[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4939B1 -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 Google Patents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939B1
KR101164939B1 KR1020100025886A KR20100025886A KR101164939B1 KR 101164939 B1 KR101164939 B1 KR 101164939B1 KR 1020100025886 A KR1020100025886 A KR 1020100025886A KR 20100025886 A KR20100025886 A KR 20100025886A KR 101164939 B1 KR101164939 B1 KR 10116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b
lactic acid
acid bacteria
liquid ratio
microb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692A (ko
Inventor
류종원
서운갑
이병오
한남희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9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9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3Lactobacillus acidophi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CB액비(Slurry compositing and biofilteration 액비, 이하 SCB액비라 함)를 배지의 영양원으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액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SCB액비에 탄소원을 첨가한 것, SCB액비에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한 것, SCB액비에 탄소원과 질소원 및 무기물을 첨가한 것을 배지의 영양원으로 하여 유산균을 배양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은 유기물 분해효소(protease,cellulase, amylase 등), 비타민(foric acid), 아미노산(proline 등), 생장호르몬, 핵산(uracil, adenine 등) 등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활성화되면 종자발아 및 뿌리발육이 촉진되고, 유기산(acetic acid, lactic acid 등)을 생산하여 불용성 인산화합물의 양이온과 킬레이트 결합을 함으로써 인산을 가용화한다.
본 유산균미생물 액비는 유산균과 비료영양분을 동시에 함유하여 작물의 엽수, 엽중, 생체중의 증가에 따른 증수효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제제 액비는 부유물질 함량이 낮아 관비시스템에 적용시 막힘이 생기지 않고 스프링쿨러나 점적 관비로 활용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유산균을 배양한 미생물 비료를 사용하면 분자가 큰 유기질을 유효하게 분해, 흡수하여 농산물의 맛이 좋으며, 항산화 물질이 많아 암을 예방하고 가축분뇨의 고부가가치 자원화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The method of a microbial products using the Slurry Compsiting and Biofilteration(SCB) as a culture medium of Lactobacillus}
본 발명은 SCB액비(Slurry compositing and biofilteration 액비, 이하 SCB액비라 함)를 배지의 영양원으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액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SCB액비에 탄소원을 첨가한 것, SCB액비에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한 것, SCB액비에 탄소원과 질소원 및 무기물을 첨가한 것을 배지의 영양원으로 하여 유산균을 배양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까지 가축분뇨는 축산농가 측면에서 퇴비 또는 액비화하여 이용하여 왔다. 가축 사육두수가 적은 때에는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퇴비화 처리하여 왔으나 사육두수가 증가함에 따라 축사형태가 인간의 편의위주로 슬러리 축사가 증가함에 따라 분과 뇨가 혼합되어 처리하는 액비화 방식의 처리가 증가하게 되었다. 액비는 액상 형태의 비료이지만 고형물이 상당량 혼합되어 있어서 농작물재배시 기비로 농경지에 살포하여 활용하고 있다.
가축분뇨를 SCB퇴비공법으로 퇴비화 처리 하였을 경우 톱밥층에서 침출여과되어 나오는 SCB액비는 기존의 액비저장조에서 생산되는 저장액비에 비하여 부유물질(SS, Sespended solid)이 거의 없고, 이화학성 성상에서 중금속이 적고, 속효성인 무기태 양분의 비율이 높고, 액상화가 된 안정화된 상태이어서 시설재배에 추비로 살포 또는 관비재배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가축분뇨를 퇴비로 만들 때 질소성분 등의 비료성분의 손실이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저장액비화 하였을 경우 완전한 발효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나, SCB액비는 악취발생 및 작물에 대한 가스피해가 없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SCB액비의 이화학적인 특성을 근거로 보아 미생물생산 배지로 활용가능성이 높다.
근래에 들어 산업화에 따른 심각한 환경오염과 화학비료나 농약 등의 과다한 살포로 인하여 토양은 점차 완충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그에 따라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재배능력이 크게 떨어짐과 동시에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악화되었다. 시설재배의 경우 화학비료 등의 집적으로 인해 토양화학성의 불량 및 작물생산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오염 문제를 완화시키고자 농업분야에서도 화학비료 및 화학농약의 사용을 자제하고 유기농법을 이용하는데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농법에 널리 사용되는 유기질비료는 지금까지는 흔히 수분조절제로 쓰이는 톱밥, 수피 및 농가의 농산 부산물에다 축분을 섞어 자연 발효시켜서 만드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자연발효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비료의 성분들을 목적하는 바 대로 조절하기가 곤란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비료에 다양한 미생물들이 혼입되어 오히려 병원성 미생물의 온상이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은 유기물 분해효소(protease,cellulase, amylase 등), 비타민(foric acid), 아미노산(proline 등), 생장호르몬, 핵산(uracil, adenine 등) 등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활성화되면 종자발아 및 뿌리발육이 촉진되고, 유기산(acetic acid, lactic acid 등)을 생산하여 불용성 인산화합물의 양이온과 킬레이트 결합을 함으로써 인산을 가용화한다.
SCB액비를 유산균 배지의 영양원으로 하여 유산균을 배양하면 상기 유산균은 유기산의 강한 정균력으로 유해한 미생물의 번식과 유기물의 급격한 부패형 분해를 억제시키며 항병성 인자를 생성하여 생육작물에 내병성을 강화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작물의 뿌리내림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빠르게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열악한 환경의 작물재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SCB액비는 무기질 성분은 함유하고 있으나 에너지원이 부족하여 유산균을 배양하기 어렵다. 또한 유산균 배양용 농산업용 대체배지가 개발되지 않아 유산균을 함유한 액상비료를 유기농법에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농업용 유산균 배지의 조성물은 고가이어서 대량생산이 큰 비용이 차지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배지비용이 저렴하면서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성분을 균형적으로 갖추어 있는 농업용 대체배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산균 배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임으로써 이에 대한 경제적인 접근이 용이해짐에 따른 유산균을 이용한 유기농법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기존에 활용된 유산균 배양배지를 대체하고, 상기의 대체배지를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가이면서 구입이 용이하여 배지로 활용이 수월하고, 유산균 선택배지로 주로 쓰이는 MRS배지에 비해 향상된 유산균 배양효과를 갖는 대체배지를 제공하고, 상기의 대체배지를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SCB 액비에 탄소원을 첨가한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지에 질소원을 더 첨가한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지에 무기질을 더 첨가한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소원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당밀 0.5 ~ 5 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질소원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동물성 아미노산 0.5 ~ 5 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무기질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해초분말 0.1 ~ 0.5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무기질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소디움 아세테이트 (sodium acetate) 0.5 ~ 1 w/v%과 디포테슘 포스페이트(dipotassium phosphate) 0.1 ~ 0.3 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가의 유산균 선택배지와 대등한 미생물 균수를 나타내는 배지로 SCB액비를 사용함으로써 농작물 생산비를 절감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고, SCB액비를 배지로 하여 유산균을 배양한 액비를 사용함으로써 관비시스템의 막힘이 생기지 않고 스프링쿨러나 점적 관비로 활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의 화학농법과 전통적 유기농법에서는 작물이 분자가 작은 무기질 양분만 흡수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과 같이 유산균을 배양한 미생물액비를 사용하면 분자가 큰 유기질인 아미노산(질소), 핵산, 카로틴, 비타민, 호르몬 등 생리활성물질, 당류가 분해, 흡수되어 작물생육 촉진에 효과가 있으며 토양미생물의 활력을 높여주고 유해미생물의 억제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균 선택배지로 쓰이는 MRS배지와 비슷한 높은 밀도 균수(영양세포)를 포함하여 상기의 유산균을 이용한 유기농법의 효과를 증대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
친환경 유기농법의 필요로 최근에는 미생물 비료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고, 본 발명은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이다.
SCB액비를 사용하여 미생물제제 액비로 조제하면 미생물과 비료의 동시효과가 가능하다. 미생물액비의 생산체계와 작물생산시스템이 확립될 경우 유용한 농자재로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다.
국내에서는 친환경 농업의 발전에 따라 액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나 유용한 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액비제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고, 민간기업에서 생산하는 액비 제품이 난립하고 있으며 제품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없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며 제품의 원가 대비 가격이 매우 높아 농민들의 농작물 생산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SCB액비에 첨가물을 첨가한 것을 유산균 배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차례로 각각 당밀, 당밀과 동물성 아미노산, 당밀과 동물성 아미노산 및 무기물을 첨가한 것을 배지로 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SCB액비를 유산균 배양 배지로 사용하는데, SCB액비는 퇴비단의 과수분 상태(포화수분 이상)에서 중력에 의해 퇴비여과액이 퇴비단 바닥으로 내려온 진한색의 액비를 말한다.
SCB 미생물액비는 식물에 양분을 공급하며 식물 생육을 촉진하고, 토양구조를 개선하며 토양의 보수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작물생육에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부유물질(Suspended solid)이 적어 농가에서 관비시스템의 막힘 생기지 않아 스프링쿨러나 점적 관비로 활용할 수 있다.
SCB액비의 이화학적 특성은 표1과 같다. SCB액비는 인산,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낮고 칼륨 함량은 높다. 농축액비의 부유물질(suspend solid) 함량은 352.5mg/ℓ로 매우 낮아 하우스 관비 재배시 막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수준이고, 농축액비의 질소함량은 528.6mg/ℓ이었으며 하우스 추비용 관비재배용 액비로 이용이 가능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SCB액비의 이화학적 특성
Items T-N
(mg/ℓ)
NO3-N
(mg/ℓ)
NH4-N
(mg/ℓ)
P2O5
(mg/ℓ)
CaO
(mg/ℓ)
MgO
(mg/ℓ)
K2O
(mg/ℓ)
Suspended
solid
(mg/ℓ)
Compost leachate 528.6 98 176.6 159.3 45.5 22.7 1,447.6 352.5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선택배지인 MRS배지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MRS배지의 성분조성을 고려하여 SCB액비에 부족한 성분을 부산물로 보충하여 유산균을 배양할 수 있는 대체배지를 검토하였다.
MRS배지의 성분조성
Casein peptone, tryptic digest 10.00 g
Meat extract 10.00 g
Yeast extract 5.00 g
Glucose 20.00 g
Tween 80 1.00 g
K2HPO4 2.00 g
Na-acetate 5.00 g
(NH4)2 citrate 2.00 g
MgSO4 ×7 H2O 0.20 g
MnSO4 ×H2O 0.05 g
Distilled water 1000.00 ㎖
pH 6.2 ~6.5
SCB 액비를 유산균 배양 영양원으로 사용할 때 SCB액비를 15기압 121℃ 조건에서 15분간 가압멸균 한 후 사용한다. 유산균의 배양온도는 30~45℃ 범위내 통상의 유산균 배양시의 온도로서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가감이 가능하다. 상기의 유산균으로는 다양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사용하였다.
당밀을 첨가하는 것은 유산균의 배양을 돕기 위한 탄소원이며 본 발명은 당밀에 한정되지 않고, 농축수산물, 식품 등의 가공 및 발효 부산물 또는 폐기물이 사용 가능하다. 그 예로서는 쌀겨, 왕겨, 볏짚, 옥수수 껍질, 옥수수 분말, 옥수수 잎, 옥수수 줄기, 콩 껍질, 밀기울, 밀짚, 사탕수수 가공 부산물, 사탕수수대, 톱밥 및 목재 가공 부산물, 폐지, 카사바, 감자 및 고구마 가공 부산물, 건초, 풀잎 등의 탄소원이면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물성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것은 유산균의 배양을 돕기 위한 질소원이며 본 발명은 동물성 아미노산에 한정되지 않고, 효모, 대두박, 면실박, 옥수수 침출액, 유가공 부산물, 수산물 가공 분산물 등 질소원이면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기질로서 소디움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와 디포테슘 포스페이트 (dipotassium phosphate)를 첨가하는 이유는 유산균의 최적 배지인 MRS배지의 성분과 동일하게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효에 도움이 되도록 해초, 그 외 통상적인 황산암모니아. 질산나트륨,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인산염 등의 무기염류와 Fe, Mn, Zn, Co, Mo, B 등의 미량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액상비료를 관주 및 엽면시비하면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 뿌리에 균사체를 형성하여 영양분의 공급을 원활히 하여 뿌리의 지속적인 분화와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특히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작물의 뿌리내림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빠르게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어 열약한 환경의 작물재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1>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한 유산균 배양
본 실시예는 SCB액비를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의 균체생산을 위한 배지로서 이용할 목적으로 SCB액비의 조성을 조사하고 SCB액비와 당밀 등 추가 영양원 배지에서의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밀도를 검토하였다.
본 실시예의 SCB액비 재료는 양돈농가의 SCB퇴비화 시설에서 배출되는 SCB액비를 사용하였다. SCB 액비를 유산균 배양 영양원으로 사용 할 때 SCB액비를 15기압 121℃ 조건에서 15분간 가압멸균 한 후 사용하였다.
SCB액비에 몇가지 첨가물을 넣은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3.0 ×106 cfu/㎖) 유산균 배양배지 1ℓ와 종균 200㎖ 여과액을 주 발효원으로 이용하고 MRS broth배지를 대조구로 하여 유산균을 35℃의 배양조건에서 배양 후 균수를 비교하였다. 접종균주를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하여 상기 접종균주를 다음과 같은 같이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SCB 액비 100㎖에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SCB 액비 100㎖에 탄소원으로서 당밀 2g을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3> 또한, 본 발명은 SCB 액비 100㎖에 탄소원으로서 당밀 2g에 질소원으로서 동물성 아미노산 2g을 부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4> SCB 액비 100㎖에 탄소원으로서 당밀 2g, 질소원으로서 동물성아미노산 2g과 해초분말 0.2g을 넣은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5> SCB액비 100㎖에 탄소원으로서 당밀 2g, 질소원으로서 동물성 아미노산 2g과 소디움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0.5g 및 디포테슘 포스페이트(Dipotassium phosphate) 0.2g을 넣은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였다.
<비교예 1> 대조구로서 MRS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SCB액비 100㎖, 탄소원으로서 당밀 2g, 질소원으로서 동물성 아미노산 2g과 해초분말 2g 또는 소디움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0.5g 및 Dipotassium phosphate 0.2g을 넣은 이유는 대조구인 MRS배지와의 조성비를 맞추기 위한 것이며,
SCB액비 100㎖를 기준으로 당밀은 0.5 ~ 5 w/v%, 동물성 아미노산은 0.5 ~ 5 w/v%, 해초분말은 0.1 ~ 0.5 w/v%, 소디움아세테이트 0.5 ~ 1 w/v%, 디포테슘포스페이트 0.1 ~ 0.3 w/v% 농도로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나, 상기의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통상의 범위를 포함한다.
SCB액비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밀도
처리구 배양시간(0시) 배양시간(24시) 배양시간(48시)
SCB 105x 5.4 0 0
SCB+당밀 105x 3.0 105x 4.4 106x 1.1
SCB+당밀+아미노산 105x 1.0 106x 4.1 106x 9.4
SCB+당밀+아미노산+해초분말 105x 1.0 107x 1.1 107x 1.4
SCB+당밀+아미노산+무기물* 105x 2.0 107x 1.1 107x 9.5
MRS 배지(대조구) 105x 4.0 107x 2.1 107x 2.3
*Sodium acetate(0.5g)+Dipotassium phosphate(0.2g)
유산균 배양 시험 결과는 표2.에 나타나 있으며, 접종밀도가 SCB액비를 배지로 하였을 때 105 ×5.4 cfu/g이었으나, 배양시간 24시간 후 대부분 사멸하였다. SCB액비에 당밀과 아미노산 및 해초분말을 첨가한 배지구에서의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수는 107 ×1.4 cfu/g를 나타내어 대조구인 MRS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와 비슷한 균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SCB액비에 당밀과 아미노산 및 무기물(Sodium acetate+Dipotassium phosphate을 첨가한 배지구에서의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수는 107 × 9.5 cfu/g를 나타내어 48시간 배양한 경우에 대조구인 MRS 배지와 비슷한 균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SCB액비를 원료로 부산물을 첨가한 배지가 유산균 선택배지인 MRS 배지와 비슷한 균수가 배양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미생물제재비료 제품 시용이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은 공시작물은 청치마 상추로 하고 공시비료는 SCB액비에 당밀과 동물성 아미노산 및 무기물(Sodium acetate과 Dipotassium phosphate)혼합액을 배지로 제조한 미생물제제 비료로 하여 시험장소 1, 시험장소 2에서 미생물 제재비료 제품의 시용이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처리구당 시험면적은 12m2(3m ×4m)로 하고 시험구는 임의배치법 3반복 배치로 하였다. 각 시험구 및 대조구는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실시예 7> 시험구은 퇴비 및 NPK 처리에 미생물제제 20ℓ/10a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8> 시험구는 퇴비 및 NPK 처리에 미생물제제 40ℓ/10a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9> 시험구은 퇴비 및 NPK 처리에 미생물제제 80ℓ/10a로 처리하였다.
<비교예 2> 대조구(관행구)는 퇴비 및 NPK 처리하였다.
조사항목은 엽장, 엽폭, 엽수, 생체중, 엽중, 건물중(70℃, 96시간), 수량, 엽색도(SPAD 502)로 하고 공시원료는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1.2 × 107cfu/㎖ 로 하였다.
재식거리를 20㎝ × 20㎝로 하고 시비방법은 상추 정식 후 25일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미생물제재를 3회 시비하고 시비시 표토가 충분히 젖을 수 있도록 관주 및 엽면 살포하였다. 정식 후 시험장소 1에서는 40일 후 1차 조사를, 57일 후 2차 조사를 하며, 시험장소 2에서는 39일 후 1차 조사를, 56일 후 2차 조사를 하였다.
가. 시험장소 1 에서의 실험결과
공시 미생물비료제제가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1차조사, 정식 후 40)
처 리 엽수
(개/주)
엽장
(cm)
엽폭
(cm)
엽색도
(SPAD 502)
대 조 구 16.3 a* 16.7 a 12.8 a 31.5 a
시 험 구 17.7 a 18.8 a 13.6 a 33.9 a
시 험 구 18.3 a 19.2 a 14.3 a 35.0 b
시 험 구 19.3 a 18.4 a 14.5 a 35.1 b
*DMRT at 5% level
공시 미생물비료제제가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2차조사, 정식 후 57)
처 리 엽수
(개/주)
엽장
(cm)
엽폭
(cm)
엽색도
(SPAD 502)
대 조 구 29.3 b* 17.4 a 12.2 a 32.7 a
시 험 구 29.0 b 19.3 a 13.6 a 32.0 a
시 험 구 31.3 a 20.3 a 13.3 a 33.3 a
시 험 구 31.7 a 21.2 a 13.9 a 33.7 a
*DMRT at 5% level
상추 개체중량
처 리 엽중(g/개) 생체중(g/주) 건물중(g/주)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대 조 구 4.6 a* 3.0 a 79.6 a 94.6 a 8.7 a 10.0 a
시 험 구 4.7 a 3.1 a 82.0 a 96.8 a 9.3 a 11.7 a
시 험 구 4.8 a 3.5 a 85.4 b 105.4 b 11.3 a 12.7 a
시 험 구 4.9 a 3.9 a 89.8 b 106.4 b 11.9 a 12.7 a
*DMRT at 5% level
수량
처 리 1차 수량
(kg/10a)
2차 수량
(kg/10a)
총수량
(kg/10a)
수량지수
대 조 구 1,751.2 a* 2,015.2 a 3,766.4 a 100
시 험 구 1,804.0 a 2,085.6 a 3,889.6 a 103
시 험 구 1,898.8 a 2,230.8 a 4,129.6 a 110
시 험 구 1,975.0 a 2,274.8 a 4,249.8 a 112
*DMRT at 5% level
나. 시험장소 2에서의 실험결과
공시 미생물비료제제가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1차조사, 정식 후 39)
처리구 엽수
(개/주)
엽장
(cm)
엽폭
(cm)
엽색도
(SPAD 502)
대 조 구 16.3 a* 19.1 a 13.8 a 32.2 a
시 험 구 17.0 a 19.3 a 14.6 a 36.0 a
시 험 구 16.7 a 19.9 a 15.3 a 33.7 a
시 험 구 17.7 a 22.0 a 15.4 a 30.8 a
*DMRT at 5% level
공시 미생물비료제제가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2차조사, 정식 후 56)
처리구 엽수
(개/주)
엽장
(cm)
엽폭
(cm)
엽색도
(SPAD 502)
대 조 구 22.7 b* 20.4 b 12.3 a 32.9 a
시 험 구 25.3 ab 20.8 ab 12.0 a 33.7 a
시 험 구 27.7 a 22.2 a 12.6 a 30.9 a
시 험 구 28.3 a 22.7 a 13.3 a 29.2 a
*DMRT at 5% level
상추 개체중량
처 리 엽중(g/개) 생체중(g/주) 건물중(g/주)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대 조 구 4.7 a* 3.4 a 76.5 a 81.8 a 9.3 a 10.7 a
시 험 구 4.7 a 3.4 a 78.8 a 86.2 a 10.3 a 12.0 a
시 험 구 4.8 a 3.2 a 80.7 a 87.7 a 11.3 a 12.0 a
시 험 구 4.9 a 3.2 a 84.5 a 89.9 a 11.3 a 11.7 a
*DMRT at 5% level
수량
처 리 1차 수량
(kg/10a)
2차 수량
(kg/10a)
총수량
(kg/10a)
수량지수
대 조 구 1,683.0 a* 1800.3 a 3,483.3 a 100
시 험 구 1,734.3 a 1,895.7 a 3,630.0 a 104
시 험 구 1,774.7 a 1,928.7 a 3,703.4 a 106
시 험 구 1,859.0 a 1,976.3 a 3,835.3 a 110
*DMRT at 5% level
본 실험예 2는 미생물제재 비료의 상추에 대한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장소 1, 시험장소 2에서 실시하였다. 처리내용은 대조구(관행구), 기준 반량시용구(시험구), 기준 적량시용구(시험구), 기준 배량시용구(시험구)를 두었다. 얻어진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상추의 생육특성를 살펴보면 엽수, 엽장, 엽폭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공시 미생물제제비료 기준반량, 적량 및 배량처리구에서 증가현상이 시험장소 1, 시험장소 2의 1,2차 조사에서 나타났으나, 시험장소 1(2차조사)의 엽수 및 시험장소 2(2차조사)의 엽수,엽장의 대조구와 기준배량처리구를 제외한 시험장소 1, 시험장소 2의 모든 처리구에서는 던컨(Duncan)의 다중검정의 결과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SPAD 502를 이용하여 측정한 엽록소 측정치는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제재 비료 기준반량, 적량, 배량 처리구에서 시험장소 1, 시험장소 2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추의 개체중량을 살펴보면, 엽중과 건물중의 경우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제재 비료 기준반량, 적량, 배량의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던컨(Duncan)의 다중검정 결과 대조구와의 유의성은 없었다.
상추의 수량은 공시 미생물제제비료 처리구에서 3 ~ 12 %(시험장소 1), 4 ~ 10 %(시험장소 2)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수확량의 통계처리 결과 시험장소 1, 시험장소 2의 모든 처리구에서 5% 유의수준에서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미생물제제액비 시용 시험에 따른 상추의 피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공시 미생물제제비료 기준반량, 적량 및 배량 처리구에서 대조구(관행구)에 비해 엽수, 엽중, 생체중의 증가에 따른 증수효과도 나타내었다. 상추의 수량은 공시 미생물제제비료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약 10%의 증수효과가 인정되었다.

Claims (8)

  1.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SCB 액비에 탄소원, 질소원, 무기질이 첨가되고,
    상기 탄소원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당밀 0.5 ~ 5 w/v%포함되고,
    상기 질소원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동물성 아미노산 0.5 ~ 5 w/v%포함되고,
    상기 무기질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해초분말 0.1 ~ 0.5w/v%포함되며,
    상기 SCB액비는 15기압 121℃ 조건에서 15분간 가압멸균 한 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SCB 액비에 탄소원, 질소원, 무기질이 첨가되고,
    상기 탄소원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당밀 0.5 ~ 5 w/v%포함되고,
    상기 질소원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동물성 아미노산 0.5 ~ 5 w/v%포함되고,
    상기 무기질은 SCB 액비 100㎖에 대하여 소디움 아세테이트 (sodium acetate) 0.5 ~ 1 w/v%과 디포테슘 포스페이트(dipotassium phosphate) 0.1 ~ 0.3 w/v%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KR1020100025886A 2010-03-23 2010-03-23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64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886A KR101164939B1 (ko) 2010-03-23 2010-03-23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886A KR101164939B1 (ko) 2010-03-23 2010-03-23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692A KR20110106692A (ko) 2011-09-29
KR101164939B1 true KR101164939B1 (ko) 2012-07-12

Family

ID=4495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8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4939B1 (ko) 2010-03-23 2010-03-23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958B1 (ko) * 2022-11-11 2023-09-06 강경훈 미생물 배양 후 버려지는 폐배양액을 활용하는 미생물 대사산물 비료의 제조방법
CN116162568A (zh) * 2022-12-01 2023-05-26 诺达生物科技(赞皇)有限公司 一种饲用嗜酸乳杆菌工业化生产培养基及其发酵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32B1 (ko) * 2007-05-19 2008-10-23 백도현 가축 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유기질 비료 제조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32B1 (ko) * 2007-05-19 2008-10-23 백도현 가축 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유기질 비료 제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692A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9573B (zh) 一种农业废弃物制作的多功效酵素肥
CN101602623B (zh) 一种微生物有机肥和复混肥及其制作方法
CN104609997A (zh) 人参生物有机肥的制作工艺及施用方法
CN102417415A (zh) 一种用中药渣生产的抗病虫害高效肥料及生产方法
CN103360151A (zh) 一种含有腐殖酸螯合物的生物有机复合肥
CN109456105A (zh) 一种缓解茄科作物连作障碍的微生物菌剂制备及使用方法
CN102417416A (zh) 一种用中药渣生产的高效液肥及生产方法
CN103449886A (zh) 一种水稻复合微生物肥料
KR102228080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CN104788244A (zh) 一种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02531786A (zh) 多元素高活性生物制剂
CN103725634A (zh) 一种用于猕猴桃种植的复合益生菌
CN104261909A (zh) 一种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CN112094149A (zh) 一种基于牛粪与小麦秸秆的复合微生物有机肥制备方法
KR20090057539A (ko) 해조류 구멍 갈파래를 발효하여 액체비료 제조방법
CN101870595B (zh) 老参地土壤生物改良剂
CN114031429A (zh) 一种鲁南山区农业有机废弃物堆沤还田技术
CN108546189A (zh) 农业有机肥料及其生产方法
CN104844285A (zh) 一种提高樱桃番茄免疫力的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KR101164939B1 (ko)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CN108046893A (zh) 一种中药渣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12159274A (zh) 一种具有生防营养功能的微生物颗粒菌剂
KR102409954B1 (ko) 식물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827653B (zh) 一种高浓度有机碳酸发酵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567043A (zh) 用于从有机物质中释放磷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