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646B1 - Stepper that enables waist movement - Google Patents
Stepper that enables waist mov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2646B1 KR101162646B1 KR1020090135991A KR20090135991A KR101162646B1 KR 101162646 B1 KR101162646 B1 KR 101162646B1 KR 1020090135991 A KR1020090135991 A KR 1020090135991A KR 20090135991 A KR20090135991 A KR 20090135991A KR 101162646 B1 KR101162646 B1 KR 101162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andle
- scaffold
- stepper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63B22/00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the exercises for arms and legs being functionally independ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는, 몸체를 형성하고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 사용자의 양발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발판, 상기 발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발판이 상기 설정된 방향으로 왕복해서 움직이도록 하는 이격수단, 하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상단부에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유닛, 및 상기 발판이 상기 설정된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발판의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핸들유닛을 그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한다.A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that forms a body and is supported on the floo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corresponding to both feet of the user, and is mount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set in the frame. Scaffolding, spaced apart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caffold to move the scaffold reciprocating in the set direction,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handle unit that serves as a user's handle on the upper end, and the scaffold When the movement in the set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caffolding comprises a link unit for rotating the handle unit about its rotation center axis.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오른쪽발판과 상기 왼쪽발판을 교대로 누를 때, 상기 핸들을 잡고 있는 양팔은 상기 핸들의 이동방향에 따라 왼쪽과 오른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오른쪽발판과 상기 왼쪽발판을 교대로 누르기만 하면, 하체를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허리와 양팔을 포함하여 상체가 회동운동하여 상체의 근력강화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Here, 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footrest and the left foot alternately, both arms holding the handle rotat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ndle. That is, the user simply presses the right foot and the left foot alternately, as well as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including the lower back and both arm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o strengthen the upper body strength exercise .
핸들, 스텝퍼, 쇽업소버, 암, 링크, 회전 Handle, Stepper, Shock Absorber, Arm, Link, Swivel
Description
본 발명은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의 운동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전신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maximizing the effect of whole body movement by enabling simultaneous exercise of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a user in a room.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하여 운동이 필요하지만,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 등으로 제대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need exercise to overcome the heavy work and stress, but due to time or space constraints, they cannot exercise regular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실내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ot of exercise equipment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hat can be exercised indoors.
이러한 운동기구 중 최근 들어 가장 보편적으로 보급되고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런닝머신(running machine)과 스텝퍼(stepper)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런닝머신은 전동모터로 작동되는 구조로 전기소비가 크고 가격도 비싸며 크기가 커서 일반 가정에서 구입하는 것이 쉽지 않은 반면에, 스텝퍼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전기료가 들지 않고, 유지비용도 절약되며,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손쉽게 실내에서 운동을 즐기려는 사람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The most widely used and widely used such exercise equipment in recent years include a running machine (running machine) and a stepper (stepper). Here, the treadmill is an electric motor-driven structure, which consumes a lot of electricity, is expensive, and large in size, making it difficult to purchase at home.However, stepper is relatively inexpensive, costs no electricity, and saves maintenance costs. In addition, the small space occupies the spotlight by those who want to easily exercise indoors.
이러한 종래의 스텝퍼는 일반적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 좌우에 발판이 형성되며, 발판에 결합된 상하 또는 좌우 이격수단(스프링 또는 쇽업소버)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발판상에 두 발을 위치시킨 후, 제자리 걷기 또는 다리 벌리기와 같이 발을 움직이게 되면 좌우발판이 이격수단에 의해서 상하 또는 좌우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협소한 장소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stepper generally includes a main body and a scaffold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vertically or horizontally spaced means (spring or shock absorber) coupled to the scaffold, after the user places the two feet on the scaffold. When the foot is moved, such as walking in place or spreading legs, the left and right footboards are operat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spaced apart means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even in a narrow place.
그러나, 대부분의 스텝퍼는 사용자의 하체 운동에 촛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상체 운동의 효과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며, 따라서 별도의 상체 운동기구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steppers are focused on the lower body movement of the user, the effect of the upper body is almost no reality, an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upper body exercise device should b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체 운동 뿐만 아니라 상체 운동까지도 할 수 있는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pper that can perform a lower back movement as well as a lower body movemen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는, 몸체를 형성하고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 사용자의 양발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발판, 상기 발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발판이 상기 설정된 방향을 왕복해서 움직이도록 하는 이격수단, 하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상단부에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유닛, 및 상기 발판이 상기 설정된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발판의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핸들유닛을 그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per capable of performing a waist motion may include a frame formed on a floor and supported on a floo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in response to both feet of a user, and moving in a direction set in the frame. A footrest mounted to be elastically supporting the footrest so that the footrest moves reciprocally in the set direction,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and a handle unit serving as a user's handle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a link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handle unit about its center of rotation axis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caffold when the scaffold moves in the set direction.
상기 발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발판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고정된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과 상기 발판지지부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에서 움직이고, 상기 이격수단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판지지부와 연결된다.A footrest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ootrest, and a hinge fixed in the direction set in the frame, wherein the footrest and the footrest support part move in the frame about the hinge, and one end of the spacer means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caffold support.
상기 핸들유닛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발판 사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회전브라켓에 고정되고, 수직하게 상부로 연장된 하나의 회전포스트; 및 상기 회전브라켓, 및 상기 회전포스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포스트의 상단부에 그 중심부가 고정되고, 사용자의 양손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포스트의 좌우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한다.The handle unit is a rotating bracket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rame between the footrest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rotating bracke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bracket, on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Rotation post of; And a handle dispos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otating post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bracket and the rotating post, and disposed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ng post in response to both hands of the user.
상기 링크부는, 상기 발판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파이프에 삽입되는 회전파이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발판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여서 상기 핸들유닛을 움직이는 구동암, 및 일단은 상기 구동암의 단부와 핀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브라켓의 가장자리와 핀으로 연결된 구동링크를 포함한다.The link part is fixed to the scaffold support part, the driving arm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otary pipe inserted into the hinge pipe to move the handle unit by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caffolding, and one end to the end and the pin of the driving arm It is connected, the other end includes a drive link connected to the edge and the pin of the rotating bracket.
상기 회전브라켓의 일측에는 형성된 감지브라켓, 및 상기 프레임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브라켓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One side of the rotating bracket further includes a formed sensing bracket, and a rotation detecting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sensing bracket.
오른쪽 상기 발판이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회전브라켓과 상기 핸들이 고정축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팔도 시계 반대방향 으로 움직이며, 왼쪽 상기 발판은 상부로 움직이고, 왼쪽 상기 발판이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회전브라켓과 상기 핸들이 고정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팔도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며, 오른쪽 상기 발판은 상부로 움직인다.When the right footrest moves downward, the rotating bracket and the handle rotate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xed shaft, so that the user's waist and arm also move counterclockwise, the left footrest moves upward, and the left footrest When moved downward, the rotating bracket and the handle is rota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xed axis, so that the user's waist and arm also move clockwise, the right footrest moves upwards.
상기 구동링크는, 핀으로 연결된 두 개의 분할된 링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link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wo divided link members connected by pins.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좌측 상부방향 또는 우측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판이 상기 힌지파이프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발의 거리가 멀어지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벌어진다.One end is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the upper left direction or the upper right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eet is widen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the foot plate rotates downwardly about the hinge pi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 의하면, 발판을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발판의 상하 움직임과 연동하는 핸들유닛의 구성에 의하여 양팔이 잡고 있는 핸들의 회동운동에 따라 상체까지도 소정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moving the scaffol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caffold, even the upper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that is held by both arms Can rotate the movement of.
이 때, 상기 발판은 상기 상체의 회동운동을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하작동 외에 회동방향을 따라 소정각도로 좌우로 작동하여 안전하게 상체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At this time, the scaffold helps the upper body movement safely by operating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up and down operation so that the upper body can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즉, 사용자는 상기 오른쪽발판과 상기 왼쪽발판을 교대로 누를 때, 상기 핸들을 잡고 있는 양팔은 상기 핸들의 이동방향에 따라 왼쪽과 오른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오른쪽발판과 상기 왼쪽발판을 교대로 누르기만 하면, 하 체를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허리와 양팔을 포함하여 상체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footrest and the left foot alternately, both arms holding the handle rotat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ndle. In other words, the user simply presses the right foot and the left foot alternately, as well as the lower body can perform the upper body movement including the waist and both arm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100)는 프레임(150), 오른쪽발판(130a), 왼쪽발판(130b), 이격수단(140), 커버(170), 지지캡(160), 회전포스트(120), 및 핸들(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지면에 상기 프레임(150)이 배치되고, 그 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캡(160)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50)의 상부 좌우 측에는 사용자의 양발이 놓이는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이 배치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은 각각 그 앞부분이 상기 프레임(150)에 고정된 힌지파이프(도 5의 135)에 힌지결합되어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Each of the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의 하부에는 각각 이격수단(140)이 배치되고, 상기 이격수단(140)은 상기 발판(130a, 130b)을 수평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이격수단(140)은 유압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스프링이 복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Spacer means 140 is disposed below the
상기 이격수단(140)의 일단부는 상기 발판(130a, 130b)의 하부면 중심부와 힌지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15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발판(130a, 130b)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힌지파이프(135)와 연동하여 상기 발판(130a, 130b)을 소정 범위내에서 회동운동하게 한다.One end of the separation means 140 is hing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ootrest (130a, 130b),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상기 발판(130a, 130b)은 상기 이격수단(140)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150)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힌지파이프(135)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이격수단(140)을 수축시키면서 하부로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 사이에 상기 회전포스트(12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포스트(120)는 상기 프레임(150)의 중심부(200) 상에서 직상부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 상기 핸들(110)이 좌우로 배치된다. The
여기서, 상기 핸들(110)의 중심부가 상기 회전포스트(120)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110)과 상기 회전포스트(120)의 고정축(도 5의 510) 즉, 회전중심축(17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Here, the center of the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작동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s 2a, 2b, 3a, and 3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서 오른쪽 발판이 하부로 움직일 때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when the right footrest moves downward in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lan view of Figure 2a.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오른쪽발판(130a)이 상기 힌지파이프(135) 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회전포스트(120)와 상기 핸들(110)은 상기 회전중심축(175)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다.2A and 2B, when the
상기 회전포스트(120)와 상기 핸들(110)이 상기 회전중심축(175)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오르쪽발판(130a, 130b)이 하부로 움직일 때, 상기 오른쪽발판(130a)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사용자가 상기 오른쪽발판(130a)을 누르면 오른쪽 발이 벌어진다.When the rotation post 120 and the
상기 커버(170)의 상부 중심부에는 디스플레이부(205)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5)는 상기 스텝퍼(100)의 작동시간, 작동횟수, 칼로리소모량, 또는 기타 관련자료를 보여준다.The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서 왼쪽 발판이 하부로 움직일 때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when the left footrest moves downward in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lan view of Figure 3a.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왼쪽발판(130b)이 상기 힌지파이프(135)를 중심으로 설정된 하부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회전포스트(120)와 상기 핸들(110)은 상기 회전중심축(175)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다.Referring to FIG. 3A, when the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포스트(120)와 상기 핸들(110)이 상기 고정축(51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왼쪽발판(130b)이 하부로 움직일 때, 상기 왼쪽발판(130b)은 상기 프레임(150)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사용자가 상기 왼쪽발판(130b)을 누르면 왼쪽 발이 벌어진다.Referring to FIG. 3B, when the rotation post 120 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 을 교대로 하부로 누를 때, 양발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하체의 보다 많은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lternately presses the
아울러, 상기 발판(130a, 130b)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포스트(120)와 상기 핸들(110)이 설정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핸들(110)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팔과 허리까지도 회전할 수 있어서 상체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일부 내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오른쪽발판(130a)의 하부에 발판지지부(400)가 배치되고, 상기 발판지지부(400)의 선단부에는 회전파이프(500)가 용접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파이프(500)는 상기 프레임(150) 상에 고정된 힌지파이프(135)에서 회전하는 구조는 갖는다.4 and 5, the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힌지파이프(135)는 상기 프레임(150)의 중심에서 우측 상부방향과 좌측 상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5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파이프(500)의 중심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In more detail, the
상기 회전파이프(500)와 상기 힌지파이프(135) 사이에는 베어링부재(502)가 개재되고, 상기 회전파이프(500)의 상단부에는 고정링(504)과 캡(506)이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발판(130a, 130b)은 상기 발판지지부(400)에 고정볼트로 고정되거나 상기 발판지지부(4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A
상기 회전파이프(500)에는 하부 방향으로 구동암(410)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발판(130a, 130b), 상기 발판지지부(400), 및 상기 구동암(410)은 상기 회전파이프(500)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프레임(150)의 중심부에 회전중심축(도 1의 170)을 따라서 고정축(510)이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50)에 고정 배치된 상기 고정축(510)에 상기 회전브라켓(43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A
상기 회전브라켓(430)의 중심에 배치된 파이프 형태의 회전축(434) 안으로 상기 고정축(510)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브라켓(430)이 상기 고정축(510)에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회전브라켓(430)과 상기 구동암(410) 사이에는 구동링크(420)가 배치된다. The fixed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암(410)의 단부에 상기 구동링크(420)의 일단부가 암연결부재(416)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브라켓(430)의 가장자리에 상기 구동링크(420)의 타단부가 브라켓연결부재(424)로 연결된다. In more detail, one end of the driving
여기서, 상기 구동링크(420)는 두 개의 링크부재로 나뉘고 그 중간이 링크연결부재(422)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연결부재(416), 상기 브라켓연결부재(424), 및 상기 링크연결부재(422)는 볼트, 힌지, 또는 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상기 구동링크(420)는 상기 구동암(4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브라켓(430)으로 전달한다. 즉, 상기 오른쪽발판(130a)이 하부로 움직이면, 상기 구동암(410)이 상기 힌지파이프(1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링크(420)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브라켓(430)을 회전시킨다.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포스트(120)는 제1포스트(120), 제2포스트(120), 및 제3포스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포스트(120)는 하단부에 배치되고, 그 중간에 상기 제2포스트(120)가 배치되면, 상부에 상기 제3포스트(120)가 배치된다.4 and 5, the
상기 제1포스트(12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고정부재(442)에 의해서 상기 회전브라켓(43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포스트(120)와 상기 제2포스트(120) 및 상기 제2포스트(120)와 상기 제3포스트(120)는 서로 고정핀(512)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브라켓(430), 상기 제1,2,3포스트(440a, 440b, 440c)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lower edge of the
상기 제1포스트(12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50)에는 서포팅암(450)이 고정배치되고, 상기 서포팅암(450)의 단부에는 서포팅브라켓(460)이 장착된다.In order to firmly support the
상기 서포팅브라켓(460)은, 상기 제1포스트(120)의 외측면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그 모양은 상기 제1포스트(120)의 외측면을 따르는 원형의 내주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팅브라켓(460)은 두 개의 반원형 부재들을 포함하고, 그 반원형 부재들은 서로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결합된다.The suppor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팅암(450)은 상기 제1포스트(12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1,2,3포스트(120) 및 상기 핸들(1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전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 대해서 전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사용자의 양발을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에 올려놓고, 양팔은 상기 핸들(110)의 양단부를 잡는다.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user's feet are placed on th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을 교대로 누르면서, 양팔은 상기 핸들(110)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돌리게 된다. In addition, while the user alternately presses the
즉, 사용자는 상기 오른쪽발판(130a)과 상기 왼쪽발판(130b)을 교대로 누르면서 하체를 튼튼하게 하고, 상기 핸들(110)을 돌리면서 허리와 양팔을 포함하여 상체를 튼튼하게 하는 근력강화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strengthens the lower body while alternately press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capable of performing a waist mov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를 설명하되,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 stepper capable of performing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상기 오른쪽발판(130a)의 하부에 상기 발판지지부(400)가 배치되고, 상기 발판지지부(400)가 상기 힌지파이프(13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구동암(610)이 상기 힌지파이프(135)를 중심으로 회전한다.When the
아울러, 단일링크(600)는 상기 구동암(6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브라켓(430)으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포스트(120)를 상기 회전중심축(175)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링크(420)는 두 개의 링크부재로 구성되 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단일링크(600)는 하나의 단일부재로 구성되면, 그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회전브라켓(430)의 가장자리와 상기 구동암(610)의 하단부에 고정볼트(610, 615)로 연결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아울러, 상기 회전브라켓(430)의 가장자리 단부에는 감지브라켓(620)이 장착되고, 상기 감지브라켓(620)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상기 회전브라켓(430)의 회전을 감지한다. 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감지브라켓(62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발판(130a, 130b)의 누름 횟수나 상기 핸들(11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rotation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암(610)은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판상의 브라켓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회전파이프(500, 도 5)와 연결된 부분과 상기 구동링크(600)와 연결된 부분이 서로 설정된 소정 각도를 두고 절곡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발판(130a, 130b)이 좌우로 소정 각도만큼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6, the driving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서 오른쪽 발판이 하부로 움직일 때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when the right footrest moves downward in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FIG. 2B is a plan view of FIG. 2A.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에서 왼쪽 발판이 하부로 움직일 때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when the left footrest moves downward in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3B is a top view of FIG. 3A.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일부 내부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tepper capable of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capable of performing a waist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허리 운동이 가능한 스텝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capable of performing a waist mov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스텝퍼100: stepper
110: 핸들110: handle
120: 회전포스트120: rotation post
130a: 오른쪽발판130a: right foot
130b: 왼쪽발판130b: left foot
135: 힌지파이프135: hinge pipe
140: 이격수단140: separation means
150: 프레임150: frame
160: 지지캡160: support cap
170: 커버170: cover
175: 회전중심축175: center of rotation axis
200: 중심부200: center
205: 디스플레이부205: display unit
400: 발판지지부400: scaffold support
410: 구동암410: drive arm
416: 암연결부재416: female connecting member
420: 구동링크420: drive link
422: 링크연결부재422: link connecting member
424: 브라켓연결부재424: bracket connecting member
430: 회전브라켓430: rotating bracket
434: 회전축434: axis of rotation
440a: 제1포스트440a: First post
440b: 제2포스트440b: second post
440c: 제3포스트440c: third post
442: 고정부재442: fixing member
450: 서포팅암450: supporting arm
460: 서포팅브라켓460: support bracket
500: 회전파이프500: rotating pipe
502: 베어링부재502: bearing member
504: 고정링504: retaining ring
506: 파이프캡506: pipe cap
510: 고정축510: fixed shaft
512: 고정핀512: push pin
612, 615: 고정볼트612, 615: fixing bolt
600: 단일링크600: single link
610: 구동암610: drive arm
620: 감지브라켓620: detection bracket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991A KR101162646B1 (en) | 2009-12-31 | 2009-12-31 | Stepper that enables waist mov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991A KR101162646B1 (en) | 2009-12-31 | 2009-12-31 | Stepper that enables waist mov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039A KR20110079039A (en) | 2011-07-07 |
KR101162646B1 true KR101162646B1 (en) | 2012-07-04 |
Family
ID=4491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5991A KR101162646B1 (en) | 2009-12-31 | 2009-12-31 | Stepper that enables waist mov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264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5397A (en) | 2015-06-10 | 2016-12-20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Handle of Health Equipment |
KR20220020446A (en) | 2020-08-11 | 2022-02-21 | 이상민 | Step exercise apparatus |
KR102431872B1 (en) | 2021-08-30 | 2022-08-12 | 이상민 | step exercise apparatus |
KR102445644B1 (en) | 2022-01-06 | 2022-09-26 | 이상민 | step exercise equip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77535A (en) * | 2014-05-30 | 2014-08-13 | 常州市诚天电子有限公司 | Electronic stride machine |
CN104722038A (en) * | 2015-03-17 | 2015-06-24 | 李红 | Novel virtual control system for movement trails of old people |
KR101910271B1 (en) | 2017-03-06 | 2018-10-19 | 최동환 | An Apparatus for Improving a Muscular Strength of a Waist and Stretching a Human Body |
KR20190025411A (en) * | 2017-09-01 | 2019-03-11 |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 Simulation device |
KR102763172B1 (en) * | 2022-10-24 | 2025-02-07 | (재)예수병원유지재단 | Stepper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affected side of hemiplegic patient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296Y1 (en) * | 2004-06-10 | 2004-11-18 | 주식회사 웰포츠 | Twist stepper |
KR200410514Y1 (en) * | 2005-12-26 | 2006-03-07 | 시몬통상(주) | Double twist fitness equipment |
-
2009
- 2009-12-31 KR KR1020090135991A patent/KR10116264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296Y1 (en) * | 2004-06-10 | 2004-11-18 | 주식회사 웰포츠 | Twist stepper |
KR200410514Y1 (en) * | 2005-12-26 | 2006-03-07 | 시몬통상(주) | Double twist fitness equipmen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5397A (en) | 2015-06-10 | 2016-12-20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Handle of Health Equipment |
KR20220020446A (en) | 2020-08-11 | 2022-02-21 | 이상민 | Step exercise apparatus |
KR102431872B1 (en) | 2021-08-30 | 2022-08-12 | 이상민 | step exercise apparatus |
KR102445644B1 (en) | 2022-01-06 | 2022-09-26 | 이상민 | step exercise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039A (en) | 201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2646B1 (en) | Stepper that enables waist movement | |
RU2371225C1 (en) | Jump-rotary gym apparatus | |
US7462135B2 (en) | Elliptical fitness machine having incline adjusting mechanism | |
KR100923868B1 (en) | Swivel Plate Twist Stepper | |
KR102469818B1 (en) | Exercise equipment for back | |
KR101244716B1 (en) | Rotary plate type twist stepper for waist exercise | |
KR102150353B1 (en) | Multi-convertible bicycle exercise apparatus | |
CN202724547U (en) | Rotary Stepper Structure | |
US20050079959A1 (en) | Stationary apparatus for doing exercise imitating the act of mountain climbing | |
KR200404727Y1 (en) | Stepper | |
KR20080079365A (en) | Stepper | |
CN205649838U (en) | Universal treadmill | |
WO2009122480A1 (en) | Exercise apparatus | |
KR20050048795A (en) | Pressure treatment running machine | |
CN113663288A (en) | Intelligent treadmill based on heart rate and blood oxygen fuzzy control | |
KR101472218B1 (en) | The comprehensive sporting goods | |
KR200466305Y1 (en) | Rotation Type Exercise Equipment | |
WO2021077629A1 (en) | Combined abdominal curl treadmill | |
KR200451101Y1 (en) |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 |
EP2510986A1 (en) | Water machine with propeller | |
CN214157729U (en) | Scenic spot touring wheelchair special for disabled people | |
CN106618961B (en) | A kind of comprehensive body-building machine people | |
KR200410514Y1 (en) | Double twist fitness equipment | |
KR101416968B1 (en) | Trampoline and jump exercise apparatus using the same | |
CN222324193U (en) | Waist twisting stepp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