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7661B1 -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개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개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661B1
KR101157661B1 KR1020050001419A KR20050001419A KR101157661B1 KR 101157661 B1 KR101157661 B1 KR 101157661B1 KR 1020050001419 A KR1020050001419 A KR 1020050001419A KR 20050001419 A KR20050001419 A KR 20050001419A KR 101157661 B1 KR101157661 B1 KR 101157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ng cylinder
cylinder
support
metal band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701A (ko
Inventor
앙드레 몽디에레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5007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5Stretching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 Roll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용이한 금속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작동실린더(2,2')가 그 각 단부에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축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심 저널(3,3')에 의해, 상기 작동실린더(2)의 축을 통해 이송하는 방사상 평면(P)과 평행한 유닛(E,E')의 횡단 섀시(1) 상에 슬라이딩하여 장착된 지지부(4,4') 상에 운반되고, 두 지지부(4,4')의 섀시에 대한 위치가 백업부재(7,7') 상의 적용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 그 축과 평행한 작동실린더(2)의 교체를 위한 방사상의 슬라이딩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각 작동실린더(2)가 어느 하나의 중심 저널(3) 상에 회전 토크를 직접 부가함으로써 그 축 주변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이며, 아울러 각 작동실린더(2)의 회전 구동이 작동실린더의 각속도에 종속하여 밴드(M)의 이송속도까지 실린더(2)의 한 단부 상에서의 회전토크의 직접적인 적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롤링 개선 방법이다.
Figure R1020050001419
템퍼 롤링 장치, 금속 밴드, 작동실린더, 백업부재

Description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 개선하는 방법 {TEMPER ROLLING MACHINE OF A METAL BAND, AND AN IMPROVEMENT TO TEMPER ROLLING METHOD}
도 1은 템퍼 롤링 장치의 조립에 관한 개략도
도 2는 상부 템퍼 롤링 유닛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상부 템퍼 롤링 유닛의 한 단부의 상세 축방향 단면도
도 4는 양측의 두 템퍼 롤링 유닛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라인 Ⅴ-Ⅴ에 따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섀시 2,2' : 작동실린더
3,3' : 중심 저널 4,4' : 지지부
5 : 안내풋 6 : 리콜 수단
7,7' : 백업부재(백업롤, 중간롤) 10 : 백업부
30,30' : 베어링 20 : 축
40 : 케이싱 41 : 아암
70 : 백업 롤러 M : 금속밴드
E : 하부 유닛 E' : 상부 유닛
G : 롤러 F 1,F2 : 플랙션 유닛
T : 볼트 콜렉션 디바이스 P : 평면
삭제
본 발명은 사용이 용이한 템퍼 롤링(temper rolling; 조질압연) 장치 및 이의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 밴드로 견인된 템퍼 롤링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금술의 다른 분야에 있어서, 특히 금속 시트의 생산과 관련하여, 종래의 템퍼 롤링 장치는 롤링 작업후 발생되는 평탄 결함을 가능한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템퍼 롤링 장치는 견인 상태에 놓여있고, 그에 따라 구속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대향 방향으로의 견인 굴곡 효과(traction-flexion effects)를 받는 밴드의 파상 통로(undulated path)를 형성하기 위해 종방향 및 높이에 있어서 오프셋(offset)되고 템퍼롤링될 밴드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축들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템퍼 롤링 장치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오프셋된 적어도 두개의 템퍼 롤링 유닛, 즉 상부 유닛(E')과 하부 유닛(E)을 포함하며, 이들 상부 유닛 및 하부 유닛은, 밴드로부터 이격된 휴먼 위치와 템퍼 롤링 위치 사이에서, 밴드의 이송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각 템퍼 롤링 유닛이 수직 변위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또는 유압 수단과 같은 밴드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상부 템퍼 롤링 유닛(E') 및 하부 유닛(E)을 구비하는 두 개의 플렉션 유닛(flexion unit; F1,F2)과, 기계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소위 "볼트 커넥터(vault connector)"라 일컬어지는 롤(roll)을 운반하는 플랙션 유닛(T)과, 챔버(chamber) 수정 또는 디캠버링 롤(decambering roll)을 운반하는 또다른 플랙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장치 형상들은 적용분야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각 템퍼 롤링 유닛은 프레임 내에서 수직으로 움직이고 이송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소위 작동 실린더인 템퍼 롤링 실린더를 운반하는 횡단 섀시를 포함한다. 템퍼 롤링(즉, 조질압연)을 위해, 작동 실린더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에 따라 대부분 세 줄의 롤러 위에 놓여진 두 개의 중간롤로 구성된 백업부재(back-up member) 상에 지지되어야 한다.
부하의 전달과 회전 센터링(rotational centring)은 중간 롤 상의 작동 실린더와 횡단 섀시에만 부착되어 있는 베어링 롤러를 적용함으로써 실행된다.
실제로, 바람직한 견인 굴곡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템퍼 롤링 작동 실린더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져야 하므로 매우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속의 회전은 그 외면의 비교적 빠른 마모를 초래한다. 따라서, 작동실린더와 중간롤은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해 디바이스(disassembly device)가 종래에도 이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분해 디바이스는 템퍼 롤링 장치의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이동하기 위해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템퍼 롤링 유닛으로부터 조립체를 후퇴시킬 수 있는 한편, 그에 따라 금속 밴드는 템퍼 롤링 장치 내에 머무를 수도 있고, 아니면 정지하거나 또는 이송될 수 있다. 실제로, 작동실린더의 단순한 변경이나 다른 어떤 간단한 유지보수를 위해서 템퍼 롤링 장치는 개방을 위해 정지하여야 하며, 처리부에서 밴드의 이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실린더를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와 같은 운전은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이는 통상 작동 실린더 및 중간롤이 간단히 세라믹 재질의 축방향 스톱부(axis stops)에 의해 그 단부에 간단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 세라믹 재질의 축방향 스톱부는 밴드의 템퍼 롤링 동안 나타나는 축 스러스트(axis thrust)를 초래한다. 그러나, 조립체(assembly)는 횡단 섀시를 조정할 때 뿐만 아니라 템퍼 롤링과는 별도로 템퍼 롤링 장치의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 횡단 섀시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템퍼 롤링은 개별 기계에서 수행되었고, 밴드는 코일이 위치된 상류로부터 풀린 밴드는 하류에서 다시 감기게 된다. 그러나, 특히 밴드의 어닐링(annealing) 또는 열 전기도금(heat-galvanis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연속 라인에서 템퍼 롤링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라인에서, 코일은 라인의 입구에 맞대기 용접(butt-welded)되고, 벤드는 출구에서 코일로 다시 절단된다. 따라서 밴드 어큐뮤레이터(band accumulators)가 용접을 위해 입구에서, 그리고 절단을 위해 출구에서 필요한 정지기간 동안 중앙처리부에서 밴드가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도록 상류 및 하류에 각각 설치된다. 템퍼 롤링 유닛은 통상 제품의 품질 변수에 관한 바람직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 대체로 일정한 속도로 가지는 이 중앙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두 연속된 코일 간에 용접은 일반적으로 템퍼 롤링 실린더를 손상시키는 결함인 과도한 두께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점이 지나갈 때 템퍼 롤링 실린더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하고 이어서 밴드와 접촉시키면서 템퍼 롤링 장치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작동실린더, 중간롤 및 백업 롤러의 조립체는 템퍼 롤링 장치가 밴드 상에 결합(docking)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다시 구동하게 되나, 이송 속도를 고려할 때 수십미터의 밴드에 상당하는 몇초 동안의 다른 실린더들과 롤러들의 회전관성으로 인한 슬리핑(slipping)이 불가피하게 초래된다.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어닐링 또는 열 전기도금 라인에서, 이와 같은 슬리핑은 스크래칭(scratching)에 의한 결함, 부식 구멍(corrosion pits) 또는 그로부터 초래되는 거칠기 결함(roughness defect)을 육안으로 어느 정도 식별할 수 있는 한편, 적어도 통상의 철로서 부적격한 것이 아니므로 허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제 표면이 더욱 무르고 그 형상이 더 큰 다른 형태의 철, 예를 들어 스텐레스 철의 연속 라인에서 처리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철은 종종 감소된 마찰계수, 즉 실린더와 롤러의 조립체를 마찰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한 감소된 용적(capacity)을 보이는데, 이러한 마찰계수는 슬리핑의 결점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63-149017호에서는 템퍼 롤링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결합되어 있는 동안 슬리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밴드의 이송 속도와 대체로 상응하는 각속도(angular speed)를 미리 작동실린더에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63-149017호는 중심 줄의 백업 롤러를 차례대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 백업 롤러는 클러치에 의해서 모터에 연결된 세로홈이 파진 샤프트(fluted shaft) 상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이동은 마찰에 의해 중간롤에 이어서 작동실린더에 전달되고, 롤 들의 회전속도는 밴드의 이송속도에 상응하는 각속도를 작동실린더에 제공하기 위하여 조정되며, 이는 결합해 있는 동안 슬리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은 밴드의 이송 평면의 이격된 위치에서 템퍼 롤링 유닛의 섀시 상에 클러치 및 모터를 설치할 수 있으나, 분명한 결점을 보인다.
실제로, 회전 토크는 오로지 마찰에 의해서만 작동실린더에 전달되며, 이러한 효과는 다른 이송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부재들의 적용 압력에 따라 좌우된다. 하부 유닛에 있어서, 이 적용 압력은 작동실린더가 밴드에 적용되지 않는 한 단지 작동실린더 및 중간롤의 하중(weight)에 상응한다.
반대로, 상부 유닛에 있어서, 작동실린더는 중간롤과 백업 롤러에 이를 적용하기 위하여, 작동실린더를 상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에 의해, 그 단부에 유닛의 섀시로부터 매달려 있는 두 개의 베어링에 의해 유지되어야 한다.
작동실린더의 분해가 가능하도록, 제거가능한 후크에 의해 베어링에 스프링이 연결된다.
이러한 배치는 오히려 더 복잡하며, 작동실린더는 마찰 때문에 요구 속도로 구동하는데 충분한 적용 압력을 항상 보장할 수는 없다.
다른 한편, 회전 토크가 인가되는 백업 롤러의 각속도는, 그 각속도가 밴드의 이송속도와 완전히 일치하도록 상기 롤러, 중간롤 및 작동실린더의 직경비에 대해 조정되어야만 한다. 여전히, 이러한 다른 부재들의 직경은 마모로 인해 약간 변화될 수 있으며, 이는 각속도를 조정할 때 계산되어져야 한다. 더욱이, 그와 같은 마모는 실린더의 길이를 초과하여 규칙적으로 분배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직경에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회전하여 구동되는 열의 연속된 롤러들 사이의 주연 속도에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차이는 밴드 상에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작동실린더와 중간롤의 소정 부분의 마모를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목적이 달성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결점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매우 간단한 수단으로 제품의 이송 속도와 적절하게 상응한 각속도로 작동실린더를 구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배열을 가지는 한편, 작동실린더의, 필요하다면 중간롤의 쉽고 빠른 분리와 재조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춘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밴드의 양측에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템퍼 롤링 유닛을 포함하며 각각의 작동실린더와 횡단 섀시 상에서 축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 세트의 백업부재들을 포함하는 템퍼 롤링 장치를 제공하되, 그 조립은 작동실린더가 밴드로부터 물러난 위치와 작동실린더가 밴드 또는 베어링에, 대응측 상에, 백업부재 상에 제공된 템퍼 롤링 위치 사이에서 자체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각 작동실린더는 밴드에 적용되기 전에 밴드의 이송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작동실린더의 순차적인 구동은 밴드의 이송속도에 종속된 각속도에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한 단부에 회전 토크를 직접 적용시킴으로써 결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작동실린더는 그 각각의 단부에, 작동실린더의 축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중심 저널에 의해, 상기 작동실린더의 축을 통해 이동하는 방사상 평면과 평행한 템퍼 롤링 유닛의 횡단 섀시 상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지지부 상에 보유되고, 이에 양측 지지부의 상기 섀시에 대한 위치들은 백업부재 상의 적용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 그 축과 평행한, 작동실린더의 변위를 위한 방사상의 활주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각 작동실린더의 한 중심 저널은 이 저널에 회전 토크를 직접 적용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동실린더의 각 지지부는 원통형 케이싱의 형태이고 작동실린더의 회전 지지를 위한 베어링이 고정되며 상기 작동실린더의 축을 통해 이송하는 방사상의 평면상에 중심이 있는 제1 단부와, 템퍼 롤링 유닛의 횡단 섀시에 부착된 가이딩 풋(guiding foot) 상에 배열된 레일 상에서 활주하도록 장착된 아암을 구성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각각의 지지부는 지지부 상의 일측 그리고 횡단 섀시 상의 타측에서, 백업부재 상에 작동실린더의 적용을 위한 리콜 수단 베어링(recall means bearing)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지지부는 리콜 수단의 작용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압박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부 상의 리콜 수단 베어링과 섀시상의 휴면 지점(resting position) 때문에, 백업부재 상에 작동실린더의 적용이 가능한, 그 각각이 섀시의 이격 위치인, 적어도 두 개의 지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캠으로 구성된, 섀시 상의 백업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지지부는 횡단 섀시 상의 제1 단부에 의해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로드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 오리피스가 구비된 베어링부분을 포함하며, 지지부의 베어링 부분의 타측에, 베어링 플랜지와 상기 지지부의 베어링 부분 사이에 압착된 기밀수단의 베어링 수단을 구비한 제2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작동실린더의 각 지지부는 작동실린더의 단부에 부착된 한 지지 저널이 이어진 로터리 내부 롤 프레임(rotary internal roll frame)을 구비한 중심 베어링을 운반하며, 그 연장부에서는 두 저널 중 하나가 축 주변에 작동실린더를 구비한 저널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 구동 단부 캡(driving end cap)에 위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실린더의 두 지지 저널은 각각 작동실린더를 구비한 제거 가능한 연결수단(linking means)과 결합된 샤프트(shaft)의 작동실린더측 단부를 형성하되, 상기 샤프트 단부는 실린더를 가지는, 회전 지지를 위한 고정된 연결지점과 실린더의 단부로부터 분리된, 분해를 위한 이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그에 따라 이 연결수단이 저널과 실린더의 단부 상에 각각 놓여지고, 이격지점에서 고정지점까지 저널의 축 교체에 의해 타측 안에 치합하게 되는 적절한 형상의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또다른 배열에 따르면, 적어도 각각의 작동실린더의 구동 저널의 지지부는 중심베어링 상에 작동실린더 단부의 치합을 위한 양측 지지부의 고정 지점과, 작동실린더 단부의, 분해를 위한 이격 공극 위치(away clearance position) 사이에서, 횡단 섀시 상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받침대(skid)와 상호 연결된, 작동실린더의 축과 평행한 안내 풋(guiding foot) 상에 작동실린더의 축을 통해 이송하는 방사상 평면과 평행하게 활주식으로 고정되되, 상기 횡단 섀시는 중심 베어링 상의 작동실린더 단부의 고정된 치합 지점에서 지지부의 안내 풋의 기부(base)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과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배열에 따라, 템퍼 롤링 유닛의 휴면 지점에서 작동실린더는 두 저널 간에 재결합된 후 두 캠에 의해 백업롤로부터 이격 후진하여 분해될 수 있으며, 백업부재 상으로 미리 운반하기 위해 반대방향에서 두 지지부에 의해 가압된다. 이 위치에서, 밴드의 이송속도에 대응하는 주변 속도로 차례대로 구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또한 백업부재도 구동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슬리핑(slipping)의 위험 없이, 그리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표면 품질을 손상시키는 위험 없이 템퍼 롤링 위치에서 밴드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전히, 백업부재에 대한 작동실린더의 이러한 적용은 템퍼 롤링 유닛의 휴면 지점에서 유지될 수가 있되, 상기 작동실린더는 분해 및/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백업부재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회전토크가 작동실린더에 직접 제공되기 때문에, 축 주변에서 그 각 회전속도는 템퍼 롤딩시 템퍼 롤링 유닛의 휴면지점 뿐만 아니라 템퍼 롤링 유닛의 작동 지점에서 밴드의 이송속도와 회전토크에 종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리핑의 소정의 결함은 템퍼 롤링을 중단한 후 접촉이 일어날 때 뿐만 아니라, 템퍼 롤링 동안 템퍼 롤링 부분에서의 갑작스런 이송속도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방지되며, 이 경우 롤 및 백업 롤러의 관성은 마찰에 의해 백업부재를 구동시키는 작동 실린더에 직접 상기 종속 속도로 회전토크가 제공되어서 보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도 1은 템퍼 롤링 유닛의 종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 템퍼 롤링 유닛은 도 1의 평면과 평행한 종방향에 따른 연속된 롤들 사이에서 이송하는 밴드(M)의 파상 통로(undulated path)를 제한하기 위하여, 두 개의 플랙션 유닛(F1,F2)과 디플렉터 롤(deflector rolls; D)과 결합되고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볼트 콜렉션 디바이스(vault correction device; T)를 포함한다.
템퍼 롤링 공정을 위해, 밴드는 상류 및 하류에 배치된 소위 "S 롤(S-rolls)"이라 일컬어지는 텐션 롤과 같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견인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도 1은 텐션 디바이스(tension device; S)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플렉션 유닛은 두 개의 템퍼 롤링 유닛, 즉 하부 유닛(E)과 상부 유닛(E')을 포함하는데, 이들 하부 유닛(E) 및 상부 유닛(E')은 각각 종방향으로 만곡져 있고 종래와 같이 작동실린더(A)를 포함하며, 이 작동실린더(A)는 섀시(C)의 수직 변위에 의해, 다시 말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잭(jacks) 또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작동실린더가 도 1에 도시된 템퍼 롤링 위치에서 밴드에 제공될 때 세 줄의 백업 롤러(G) 상에 놓여져 있는 두 개의 중간롤(I)과 결합되어 있다.
도 2는 밴드의 이송축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저항 빔(beam)을 구성하는 횡단 섀시(1) 상에 장착된, 그리고 밴드에 템퍼 롤링 유닛을 제공하기 위해 잭 또는 스러스트 스크류용 백업부(10)와 결합된 템퍼 롤링 장치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유닛(E')의 횡단 섀시는 동일 회사에 의한 프랑스 특허출원 제2 659 254호에 개시된 배열에 따라, 횡축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술한 바로서, 종래 사용된 배열에서 작동실린더(A)와 중간롤(I)은 서로의 위에 그리고 템퍼 롤링 지점에서 단지 롤러(G) 위에 놓여지며, 그에 따라 상기 작동실린더(A)와 중간롤(I)은 횡단 섀시(C)에 의해 공극을 가지게 되고 축방향 스톱부에 의해 다만 측방향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2)는 양단부에서, 도 3, 4 및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두 개의 지지부(4,4') 상에 베어링(30,30')에 의해 두 개의 저널(3,3')과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각각의 지지부(4)는 작동실린더(2)의 축(20)을 통해 이송하는 방사상 평면(P) 상에 중심을 갖는 일종의 쐐기(chock)를 형성하며, 섀시(1)로부터 밴드를 향하여 연장된 안내풋(5) 상에 방사상으로 활주식으로 장착된 아암(41)과, 섀시와 대향되는 아암(41)의 단부에 부착되고 저널(3)의 베어링(30)이 삽입되는 케이싱(40)의 형태의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 작동실린더(2)의 한 단부의 각 지지부(4)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두 안내풋(5,5') 사이에 축방향으로 보유되고 횡단 섀시(1)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세 줄의 백업 롤러(70) 상에 놓이는 두 개의 중간롤(7,7')로 구성된 백업부재에 작동실린더를 적용시키는 예컨대 스프링인 리콜 수단(recall means; 6)과 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해, 각 지지부(4,4')는 섀시(1)의 측면상에서, 섀시(1) 상에 대향 방향으로 지지되고 방사상 평면(P)의 양측면에 대칭하여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리콜 수단(6)이 설치된 밑판(sole; 44)과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로서, 각각의 리콜 수단(6)은, 축방향 스크류(62)에 의해 섀시(1)에 부착되고 지지부(4)의 밑판(44)의 오리피스에서 이송하는 소켓(61)상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소켓(61)은 리콜 수단(6)을 압축하기 위해 플랜지(63)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부(4,4')는 적어도 두 개의 소켓(61) 상에 방사상으로 활주식으로 장착되고 베이스(51)와 평행하게 단거리 연장되는 밑판(44)과 플랜지(63) 사이에 압축된 리콜 수단(6)에 의해 섀시(1)를 향하여 가압된다.
작동롤(2)의 단부를 지지하는 두 지지부(4,4')는 롤러(70)상에 지지된 중간롤(7,7')에 작동실린더를 적용하는 동안 횡단 섀시(1)를 향하여 가압된다.
중간롤(7)은 종래와 같이 베어링에 의해 유지되지 않고 후측 연장부(73)에 의해 안내풋(5)에 부착된 케이싱(72)에 장착된 각각의 세라믹 펠릿으로 구성된 두 축방향 스톱부(71)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간단히 고정된다. 이 목적을 위해, 안내풋(5)은 레일(50)을 유지하는 두개의 이격된 기둥(52)을 포함하되 이들 사이에 두 개의 홈(53)이 제공된 크로스빔(crossbeam;54)이 연장되고, 상기 두 홈(53)에서는 중간롤(7,7')의 양측 중심 스톱부(centring stops; 71)의 연장부(73)가 나사결합된다.
각 케이싱(72)은 중간롤의 약간의 조정이 가능한 공극을 가지며, 두 줄의 롤러(70)의 양분된 평면과 평행한 홈(53)에서 활주하도록 장착된 연장부(73)의 나사형 보어(bore)와 결합되는 클램핑 스크류에 의해 보유된다.
이와 같이, 작동실린더(2)가 리콜 수단(6)에 의해 백업롤(7)에 적용될 때, 백업롤(7)은 백업 롤러(70)에 적용되도록 그 자신과 평행하게 약간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는 달리, 작동실린더(2)는 어느 정도의 마모가 발생할 수 있으으므로 교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두 지지부(4)를 유지하는 양측 안내풋(5)의 베이스(51)는 상기 작동실린더의 축과 평행하게, 횡단 섀시(1) 상에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베이스(51)는 횡단 섀시(1)의 직선 엠보스(rectilinear emboss; 11) 상에 결합하는 중심홈과 결합된다. 더욱이, 직선 엠보스(11)는 두 종방향 하우징(12)과 결합되고, 두 종방향 하우징(12)의 내측에는, 활주 후 선택된 위치에 베이스(51)를 로킹시키는(lock) 스크류(14)에 의해 베이스(51)에 연결된 두 스트립(13)이 각각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한편, 작동실린더의 각 저널(13)은, 서로 맞물려 있고 스크류(34)와 그 축에서 작동실린더(2)의 단부에 부착된 각각의 피봇핀(31)과 베어링(30) 내에 나사결합되는 샤프트(32)의 한 단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지지부(4) 및 안내풋(5)과 축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봇핀(31)과 샤프트 단부(32)는, 각각 만곡되고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고, 작동실린더(2)의 회전 구동 및 센터링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서로 맞물린 적절한 원추부에 결합되되, 하나의 샤프트 단부(32), 예컨대 도 3의 좌측 부분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구동형 수단에 의해 발생한 회전 토크가 적용되는 캡(33)과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작동실린더(2)의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중간롤(7,7') 상에서 그 적용 압력은 감압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작동실린더(2)의 저널(3,3')의 각 지지부(4,4')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축(80)을 중심으로 지지부(4)의 중심홈(41)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편심 구조의 캠(8)으로 구성된 실린더를 이격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80) 둘레에서 편심 캠(8)의 회전은 리콜 수단(6)의 압축이 증대되는 동안 각 지지부(4,4')의 밑판(44)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작동실린더(2)는 중간롤(7,7')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으며, 작동실린더(2)의 양 단부에서 피봇핀(31)을 해제하기 위해 지지부(4,4')와 함께 두 안내풋(5,5')의 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스크류(14)가 느슨해지는 동안 베이스(51)를 로킹해제(unlocking)하고 스크류(34)가 느슨해지는 동안 각 저널(3)의 두 부분(31,32)을 분리시킨 후, 두 안내풋(5)은 지지부(4,4') 및 샤프트 단부(32,32')를 구동시키는 베어링(30, 30')과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도 3, 4 및 5에 도시된 하부 템퍼 롤링 유닛(E)의 경우, 베어링(30,30')이 분리된 작동실린더(2)는 백업롤(7,7') 상에 단순히 놓여 있다. 따라서, 쉽게 인출 및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필요하다면, 작동실린더는 백업 롤러(70)상에 놓여진 중간롤(7,7')을 인출 및 교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상부 템퍼 롤링 유닛(e')의 경우에, 전술한 프랑스 특허출원 제2 659 254호에 개시된 배열에 따라 횡단 섀시(1)가 수평축(15)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제로 소정의 분해 작업 전, 지지부(4,4')를 가지는 샤프트 단부(32,32')가 분리하여 이동하게 될 때 작동실린더(2)가 백업부재 위에 위치되어 놓여지도록 상부 템퍼 롤링 유닛(E')을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실린더(2)를 교체하고 가능하다면 중간롤(7,7')도 교체한 후, 지지부(4,4')는 피봇핀(31) 및 샤프트 단부(32)의 원추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조여진다. 이어서, 작동실린더(2)는, 베이스(51)를 향하여 리콜 수단(6)이 밑판(44)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plane face; 81)과 결합된 편심캠(8)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안 중간롤(7,7')에 적용될 수 있다.
캠(8)이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밑판(44)과 베이스(51) 사이의 간극(e)은 밑판(44)의 나사형 보어에 결합된 스크류로 구성된 조정가능한 스톱부(64, stop)에 의해 최소치로 보유된다.
종래와 같이, 이러한 작동은 템퍼 롤링 장치 및 유닛의 조립체로부터 이격된 유지보수 지점에서, 횡단 섀시를 구비한 각 템퍼 롤링 유닛 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어서 프레임 내측의 작동 위치로 귀환되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작동실린더(2)의 두 저널 중 하나, 즉 도 2의 좌측 저널은 구동단부 캡(33)에 의해 연장되고, 구동단부 캡(32)은 템퍼 롤링 장치에 적용된 일반적인 배열에 따라 감속기어, 풀리 및 벨트와 같은 모터구동형 수단 또는 다른 동작 전달부재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및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모터구동형 수단은 모든 백업부재의 직경에 따라, 작동실린더의 모든 축의 위치를 뒤따르는 동안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이중 카단 미세 연장부(double-cardan telescopeic extension; 36)에 의해서, 고정된 프레임 상에 그리고 각 템퍼 롤링 장치(E,E')의 섀시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작동실린더(2,2')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여러 수단들은 이송 밴드의 직선 속도에 주변속도를 종속시키기위해 직경을 고려하면서 템퍼 롤링 유닛의 작동실린더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이송속도는 밴드를 견인하기 위해 템퍼 롤링 장치의 양측에 실제 배치된 텐션 블록(tension block; S) 중 하나의 텐션 블록의 롤의 회전속도로부터, 센서(92)에 의해 매 순간마다 측정될 수 있다.
전술된 장치는 전술한 모든 문제점에 대해 비교적 경제적인 간단한 해결책(solution)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템퍼 롤링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제품의 표면 상태를 손상시키는 슬리핑 효과 위험을 방지한다.
실제로, 각각의 작동실린더의 저널 중 하나에 회전 토크가 직접 인가될 수 있기 때문에, 각속도는 정밀하게 조정될 수 있고, 특히 밴드의 이송속도에 종속될 수 있어서 양측의 속도는 각 순간마다 동일하게 고정된다.
한편, 작동실린더(2)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저널에 의해 각 실린더의 회전 직접 구동은 실린더의 분해 및 재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실제로, 밴드로부터 이격 이동하여 그 휴면 위치에서 전체 템퍼 롤링 유닛을 배치한 후, 캠(8)의 간단한 회전에 의해, 작동실린더(2)와 함께 두 지지부(4,4')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두 지지부(4,4')는 이 위치에서 중간롤(7,7')로부터 이격하여 이동되는 실린더(2)를 해제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이격하여 이동하게 되며, 그 표면을 손상시키는 어떠한 결함이 없이 회수될 수 있다.
작동실린더(2)의 재조립 후, 전자는 두 캠(8)의 회전에 의해 중간롤(7)과 롤러(70)에 다시 적용된다. 본 조립체는 리콜 수단(60)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에 의해 조정된 부하로 클램핑된다.
이어서, 작동실린더(2)는 회전되고 마찰에 의해 중간롤과 백업 롤러를 구동하게 된다. 밴드와 함께 동시 이송 속도에 도달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템퍼 롤링 위치에서 두 유닛(E,E')을 배치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작동실린더는 제품에 흠을 남기지 않으면서 어떠한 슬리핑도 없이 밴드 상에 접촉하게 된다.
더욱이, 템퍼 롤링 공정 동안에 있어서도, 정확한 제어 및 작동실린더의 각속도의 종속 가능성의 이유에 의해, 본 발명은 밴드의 이송속도와 대응하는 가속도로 영구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이는 작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밴드에 대해서도 소정의 슬리핑 결함이 없이 템퍼 롤링 공정의 속도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하게는, 본 발명은 단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또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베어링에서 작동실린더의 저널의 제거가능한 조립체, 및 동시에 축방향 및 방사방향으로의 후자의 활주 조립체 용으로, 그리고 백업부재 상의 상기 실린더의 적용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리콜 수단(6)은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작동실린더의 적용 부하는 하중이 보상되어지는 하부 유닛(E) 및 상부 유닛(E')과는 동일하지 않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의 쐐기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평면(P)에 대해 대칭하는 두 쌍의 스프링과 관련되는데, 이들 스프링 중 그 한 쌍은 단지 실린더와 중간롤을 회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적용 압력만을 가하는 스프링인 리콜 수단(60)이고, 다른 한 쌍은 두 지지부(4,4'), 그 구동수단(36) 및 통상 섀시에 의해 유지되지 않은 모든 부재와 함께 작동실린더(2)의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어지는 두 개의 스프링인 리콜 수단(65)이다.
한편, 간단한 실시예로 단지 구동 저널(3)만이 실린더의 단부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저널은 실린더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실린더의 재결합을 위해 대응 베어링의 내부 롤 스탠드(internal roll stand)에 축방향으로 간단히 맞물릴 수 있으며, 지지부(4')의 안내풋은 섀시에 부착되어 있는 베어링을 지지한다.
특허청구범위에 설명된 기술적 특징 뒤에 삽입된 참조번호들은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그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24)

  1. 종방향으로 그리고 이송 평면을 따라 금속 밴드의 텐션 조정한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 밴드(M)의 양측에 배치되고, 작동실린더(A,2) 및 서로 평행하고 이송방향에 직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횡단 섀시(C,1)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세트의 백업부재(I,7)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템퍼 롤링 유닛(E,E'); 및 밴드로부터 작동실린더(A,2)가 이격하여 이동된 휴면 위치와, 작동실린더가 밴드에 적용되면서 대향측에서 백업부재(I,7) 상에 지지되는 템퍼 롤링 위치 사이에 평행한 각 템퍼 롤링 유닛(E,E')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실린더(2)는 밴드의 이송속도에 대체로 대응하는 각속도로, 밴드(M)에 적용하기 전에 회전되어질 수 있는, 금속 밴드를 템퍼 롤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작동실린더(2,2')는 그 각 단부에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심 저널(3,3')에 의해, 상기 작동실린더(2)의 축을 통해 이송하는 방사상 평면(P)과 평행한 유닛(E,E')의 횡단 섀시(1) 상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지지부(4,4') 상에 보유되고,
    두 지지부(4,4')의 섀시에 대한 위치가 백업부재(7,7') 상의 적용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 축과 평행한 작동실린더(2)의 변위를 위해 방사상의 활주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각 작동실린더(2, 2')는 중심 저널(3)들 중 하나 상에 회전 토크를 직접 부가함으로써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실린더(2)의 각 지지부(4,4')는 박스 형상의 부분(40)을 포함하고, 이 부분(40)에는 작동실린더(2)의 대응 저널(3,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상기 실린더의 축(20)을 통해 이송하는 방사상 평면(P) 상에 중심을 가지는 베어링(30)과, 템퍼 롤링 유닛의 횡단 섀시(1)에 부착된 안내풋(5) 상에 배열된 레일(50) 상에서 활주하도록 장착된 아암(41)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4,4')는 백업부재(7,7') 상에 작동실린더(2)의 적용을 위해, 상기 지지부(4) 상의 한 방향으로, 그리고 횡단 섀시(1) 상의 대향 방향으로 지지된 리콜 수단(6)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4,4')는, 작동실린더(2)가 백업부재(7,7')로부터 이격하여 이동되거나 그 위에 자유롭게 위치된 조립 및 분해 위치에서, 리콜 수단(6)의 작동에 대항하여 작동실린더(2)를 가압하도록 섀시(1)상에 백업 수단(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백업수단(8)은 축(8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캠이고,
    캠은 리콜 수단(6)의 작용에 대항하여 지지부(4, 4')를 가압하기 위해 축(8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섀시(1) 상에 지지되는 면과, 리콜 수단(6)에 의해 백업부재(7) 상에 작동실린더(20)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캠(8)의 회전에 의해 섀시(1)의 이격 위치를 수용하는 평면(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4)는 베어링부(44)를 포함하고,
    베어링부(44)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로드(61)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 오리피스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로드(61)는 횡단 섀시(1) 상의 제1 단부에 의해 부착되고, 지지부의 베어링부(44)의 타측상에서 탄성 리콜 수단(6)의 상기 베어링 플랜지(63)가 구비되는 제2 단부까지 연장되고,
    탄성 리콜 수단(6)은 상기 베어링 플랜지(63)와 지지부(4)의 베어링부(44)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4)는 베어링부(44)의 오리피스를 통해 각각 이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안내로드(61) 상에 활주식으로 장착되고, 2개 이상의 안내 로드(61)는 상기 로드(61)상에 나사 결합되고 베어링부(44)와 안내로드(61)의 단부에 배열된 플랜지(63) 사이에 압축되는 리콜 수단(6)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각 안내로드는 베어링부(44)의 반대편 소켓(61) 단부에 배열된 플랜지(63)에 지지되고 지지부(4)의 베어링부(44)에 부착된 스크류 상에 나사 결합된 소켓(61)과, 소켓(61) 상에 나사 결합되고 플랜지(63)와 베어링부(44) 사이에 스크류(62)를 클램핑함으로써 압축되는 리콜 수단(6)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각 작동실린더(2)의 단부들의 두 지지부(4,4')는 상기 작동실린더(2)에 의해 상기 백업부재(7,70)를 마찰시킴으로써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텐션 하에서 백업부재(7,70) 상에 작동실린더(2)를 적용하기 위해 조정되어진 리콜 수단(6)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부 템퍼 롤링 유닛(E')의 작동실린더(2)의 두 지지부(4,4')는 백업부재(7,70) 상에 작동실린더의 적용을 위해 조정된 제1 리콜 수단(60), 및 작동실린더(2)의 하중, 작동실린더(2)의 지지부(4,4')의 하중, 그리고 지지 섀시(1)에 의해 직접 운반되지 않는 부재(36)의 하중을 보정하기 위하여 조정된 제2 리콜 수단(65)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4)는 지지부에 부착된 외부 롤 프레임(30a) 및 로터리 내부 롤 프레임(30b)을 구비한 적어도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는, 작동실린더(2)의 단부(3)의 회전 센터링을 위한 베어링(30)을 보유하고, 베어링(30)에는 중심 저널(3)이 나사 결합되고 작동실린더(2)의 대응 단부에 부착되고 작동실린더(2)의 회전축(20)상에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작동실린더(2)의 양 단부(3)에 각각 부착된 두 저널 중 한 저널(3)은 요구된 각속도로, 축을 중심으로 실린더(2)를 구동시키기 위해, 저널(3) 상에 회전토크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36)에 연결된 구동단부 캡(33)에 의해 외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구동 저널(3)의 적어도 지지부(4)는 대응하는 지지부(4,4') 상에서 작동실린더(2)의 각 단부(31,31')를 치합하기 위한 두 지지부(4,4')의 클램핑된 지점과, 분해를 위한 작동실린더(2)의 단부(31,31')의 이격 지점 사이에서, 작동실린더(2)의 축과 평행하게 횡단 섀시(1)상에서 활주하도록 자체가 장착된 안내풋(5) 상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회전토크가 인가되는 적어도 구동저널(3)은 작동실린더(2)의 대응 단부(31)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적어도 구동 저널(3)은 지지부(4)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실린더의 단부(31)와 제거가능한 연결수단으로 결합된 샤프트(32)의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32)의 단부는 회전 지지를 위한 실린더(2)와의 클램핑된 연결 위치와, 분해를 위해 작동실린더(2)의 단부로부터 분리된 이격 지점 사이에서, 지지부(4)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널(3)과 작동실린더(2) 사이의 연결수단(34)은, 샤프트 단부(32)와 실린더(2)의 대응 단부(31) 상에 각각 설치되고 이격 지점에서 클램핑된 지점까지 샤프트 단부(32)의 축 변위에 의해 서로 결합하게 되는, 일치하는 형상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구동저널(3)의 지지부(4)의 안내풋(5)은 지지부(4,4') 상의 작동실린더(2)의 단부(31)의 클램핑된 결합 위치에서 섀시(1) 상의 안내풋(5)의 제거가능한 부착 수단과 결합되고 방사상의 평면(P)과 평행한 섀시(1) 상에 활주식으로 장착되는 베이스(5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작동실린더의 백업부재는, 두 개의 정렬된 중심 부재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횡단 섀시에 부착된 두 개의 안내풋(5) 상에 각각 설치되고 작동실린더(2)의 두 지지부(4,4')가 상기 작동실린더(2)의 축(20)을 통해 이송하는 방사상의 평면(P)과 평행하게 각각 활주식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원통형 롤(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백업롤(7)의 중심 부재는 작동실린더(2)의 두 지지부(4,4')의 안내풋(5) 상에 각각 장착된 두 개의 축방향 스톱부(7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각 템퍼 롤링 유닛(E)의 작동실린더(2)의 백업부재(7)는 두 개의 축방향 스톱부(71) 사이에서 각각 축방향으로 보유되고 횡단 섀시(1)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두 줄의 롤러(70) 상에서 각각 지지되는 두 개 이상의 중간 롤(7, 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중간롤(7)의 각 단부는, 작동실린더(2)와 백업부재(7,70)의 직경에 대해 중간롤(7)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공극 및 안내풋(5)의 부분(52) 상에 배열된 홈(53) 안에 수납된 연장부(73)를 구비한 케이싱(72)에 장착된 축방향 스톱부(71) 상에 중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
  22. 금속 밴드(M)의 이송축과 직교하는 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작동실린더(2)의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두개의 로터리 백업부재(7)와 결합된 각각의 작동실린더(2)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템퍼 롤링 유닛(E,E') 사이에, 종축을 따라 상기 금속 밴드를 이송시킴으로써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공정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그 조립체는 금속밴드(M)에 작동실린더(2)가 적용되어 백업부재(7,70) 상에 반대측에 유지되는 한편, 상기 작동실린더(2)와 롤(7)을 회전 구동시키는 템퍼 롤링 위치와, 작동실린더(2)가 밴드로부터 이격하여 이동된 휴면 위치 사이에서 금속밴드(M)의 이송면에 횡단하여, 제거가능한 횡단 지지 섀시(1)에 의해 운반되며, 각각의 실린더(2,2')는 밴드의 이송속도에 대응하는 각속도로, 밴드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작동실린더(2)의 회전 구동은 밴드(M)의 이송속도에 작동실린더의 각속도를 종속하여 실린더(2)의 한 단부 상에서 회전토크를 직접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 개선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각각의 작동실린더(2)는 실린더가 접촉할 때와 템퍼 롤링 동안 매 순간마다 실린더(2)의 각속도가 밴드(M)의 이송속도에 종속된 상태로 인가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밴드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도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 개선하는 방법.
  24.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2)는 템퍼 롤링 유닛(E)의 휴면 위치에서 백업부재(7) 상에 영구적으로 적용되고, 상기 작동실린더(2)의 분리 및 교체를 위해 필요하다면 상기 백업부재로부터 이격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 개선하는 방법.
KR1020050001419A 2004-01-06 2005-01-06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개선하는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57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50021 2004-01-06
FR0450021A FR2864797B1 (fr) 2004-01-06 2004-01-06 Machine de planage d'une bande metall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701A KR20050072701A (ko) 2005-07-12
KR101157661B1 true KR101157661B1 (ko) 2012-06-20

Family

ID=3458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4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7661B1 (ko) 2004-01-06 2005-01-06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개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51977B2 (ko)
EP (1) EP1552892B1 (ko)
KR (1) KR101157661B1 (ko)
CN (1) CN1636643B (ko)
AT (1) ATE400376T1 (ko)
DE (1) DE602005007943D1 (ko)
ES (1) ES2308412T3 (ko)
FR (1) FR2864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6810B3 (de) * 2007-02-07 2008-10-02 Bwg Bergwerk- Und Walzwerk-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Planieren von Metallbändern
CN101733285B (zh) * 2008-11-05 2011-11-16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弯窜辊功能的平整机
KR101084314B1 (ko) * 2010-03-18 2011-11-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압연장치, 비대칭 압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압연재
CN105327939B (zh) * 2015-11-27 2017-07-25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一种能快速更换防皱辊的辊组
KR101779334B1 (ko) * 2015-12-29 2017-09-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두께 판재 성형용 롤 포밍 장치
CN109604339B (zh) * 2018-08-13 2023-09-01 襄阳博亚精工机器有限公司 一种辊盒
CN109604378B (zh) * 2018-12-24 2024-06-11 杭州恒创精密机械有限公司 拉弯矫直机
CN110038902A (zh) * 2019-04-03 2019-07-23 马鞍山市恒强合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冷轧中间辊便于调节的切削装置
CN112775264A (zh) * 2020-12-23 2021-05-11 安徽宜万丰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v型卡箍扎带冲切模具
CN118162544B (zh) * 2024-03-26 2024-09-20 扬中凯悦铜材有限公司 一种u型铜材连续挤压等距扩展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1789A (en) 1934-12-11 1937-08-31 Hedwig Maussnest Sheet straightening machine
JPH0741317B2 (ja) * 1986-12-11 1995-05-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テンシヨンレベ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3071A (en) * 1957-03-15 1960-12-06 Lake Erie Machinery Corp Leveler for sheet metal strips
DE2537188C3 (de) * 1975-08-21 1978-05-18 Bwg Bergwerk- Und Walzwerk-Maschinenbau Gmbh, 4100 Duis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Warmband mit verbesserten Qualitätseigenschaften
US4286451A (en) * 1979-06-18 1981-09-01 The Yoder Company Forming leve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1789A (en) 1934-12-11 1937-08-31 Hedwig Maussnest Sheet straightening machine
JPH0741317B2 (ja) * 1986-12-11 1995-05-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テンシヨンレベ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2892B1 (fr) 2008-07-09
ATE400376T1 (de) 2008-07-15
FR2864797B1 (fr) 2007-02-23
EP1552892A1 (fr) 2005-07-13
CN1636643B (zh) 2010-12-08
US20050172691A1 (en) 2005-08-11
CN1636643A (zh) 2005-07-13
FR2864797A1 (fr) 2005-07-08
KR20050072701A (ko) 2005-07-12
DE602005007943D1 (de) 2008-08-21
US7251977B2 (en) 2007-08-07
ES2308412T3 (es) 200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02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dies
US6792783B1 (en) Quick change cassette system for multi-roll leveler
KR101157661B1 (ko)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 장치와, 금속 밴드의 템퍼 롤링을개선하는 방법
CN102333601B (zh) 用于改变校平机的辊之间的距离的方法以及用于实施所述方法的校平机和校平设备
JP4224212B2 (ja) 3個以上の旋回する調節可能なアームを有する圧延スタンド
US5385088A (en) Press having guide for bearing brackets
CN201135993Y (zh) 一种三辊轧机
CN100589893C (zh) 一种三辊轧机
CN110709179A (zh) 用于引导金属制品的装置和方法
JPH07164015A (ja) 軸方向に移動可能なロールを有する圧延機
CN106994465B (zh) 十八辊冷轧机侧支撑装置调节机构及控制方法
US5127249A (en) Levelling installation
CN115945543A (zh) 一种拉伸机
KR100558672B1 (ko) 금속 밴드 제품 압연 장치
CN103781563A (zh) 用于轧机设备的驱动器的驱动辊更换设备
US5758534A (en) Leveling machine with a parallel cylinders
CN103889606A (zh) 带材处理装置
US51136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the work rolls of a planetary rolling mill
JP3684808B2 (ja) ピンチロール装置
US3016082A (en) Roll bending machines for curving plate members
JP4331833B2 (ja) ストリップの巻取方法
JPH06320209A (ja) 圧延シートの絞り方法及び絞り装置
JPH0653294B2 (ja) テンシヨンレベラのロ−ル組替装置
JP3991130B2 (ja) 高圧下プレス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H06297594A (ja) シート材或いは板材を造るためのつや出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