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1032B1 -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032B1
KR101151032B1 KR1020110101552A KR20110101552A KR101151032B1 KR 101151032 B1 KR101151032 B1 KR 101151032B1 KR 1020110101552 A KR1020110101552 A KR 1020110101552A KR 20110101552 A KR20110101552 A KR 20110101552A KR 101151032 B1 KR101151032 B1 KR 10115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pper door
door
frame
evacu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국
이승호
서춘원
Original Assignee
(주) 네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네오텍 filed Critical (주) 네오텍
Priority to KR102011010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0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피난 시에는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연동하여 개방되게 하고, 피난이 완료되면 상부도어만을 폐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피난 사다리 장치를 폐쇄할 수 있어 아래층의 피해를 최대한 막을 수 있게 하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 장치는 상부 및 하부가 열린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접철 배치되고 사용 시 전개되는 사다리와, 완강기 및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 연동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링크부재는 프레임의 내부 양측면 상에 중앙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링크, 제 1 링크의 일단과 상부도어를 연결하면서 일단이 제 1 링크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제 1 링크의 타단과 하부도어를 연결하는 제 3 링크, 제 1 링크와 제 2 링크의 연동관계를 해제시켜 상부도어만이 닫히게 하는 개별 닫힘 수단, 및 개별 닫힘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EVACU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난 시에는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연동하여 개방되게 하고, 피난이 완료되면 상부도어만을 폐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피난 사다리 장치를 폐쇄할 수 있어 아래층의 피해를 최대한 막을 수 있게 하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는 주거 문화에서 많은 고층 건물의 등장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 또는 기타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비상계단은 화재 시 화염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대피가 어려워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일정 층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위난 시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수단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종래 비상탈출수단으로는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강하는 완강기(緩降機)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완강기는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대단히 어렵고 위험하며, 탈출속도가 느려 실제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고층 아파트 또는 고층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위난 시 탈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아직까지도 소방용 고가사다리 또는 구조헬기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방용 고가 사다리는 높이에 한계가 있어 일정 높이 이상을 전개가 되지 못하며, 구조헬기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바닥 설치형 비상탈출수단, 즉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피난 사다리 장치(10)는 상부 및 하부가 열린 사각 함체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2)과, 일단이 프레임(12)의 상부 일측 및 하부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도어(14) 및 하부도어(16)와, 상부도어(14)와 하부도어(16)를 연동되게 연결하면서 상부도어(14)가 개방되면 하부도어(16)도 개방되게 하고, 하부도어(16)가 폐쇄되면 상부도어(14)도 폐쇄되게 하는 링크부재(18)를 구비한다. 그리고 피난 사다리 장치(10)는 접철된 상태로 프레임(12)의 내측에 수용되고 사용 시에는 프레임(12)의 하부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개되는 피난 사다리(20)와, 프레임(12) 내에 배치되고 아래층으로 전개된 피난 사다리(20)를 프레임(12) 내부로 접어 올리는 완강기(2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피난 사다리 장치(1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화재와 같은 위난 상황이 발생하면, 상부도어(14)를 개방한다. 상부도어(14)가 개방되면 링크부재(18)에 의해 하부도어(16)가 동시에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철된 피난 사다리(20)를 구속하고 있는 완강기(22)의 구속력을 해제하면, 피난 사다리(20)는 자중에 의해 아래층으로 전개된다. 이렇게 피난 사다리(20)가 아래층으로 전개되어 피난 경로가 제공되면, 피난경로를 통해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피난 사다리 장치(10)는 아래층으로 피난 완료 후 화재로부터 격리되기 위해서 상부도어(14) 또는 하부도어(16)를 닫아야 하는데, 상부도어(14) 및 하부도어(16)를 닫기 위해서는 화재가 발생한 위층으로 이동 한 후 완강기(22)를 작동시켜 전개된 피난 사다리(20)를 복귀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상부도어(14) 및 하부도어(16)를 닫을 수 없어 화염, 유독가스 및 소방용수 등이 아래층으로 그대로 유입되어 아래층에 상당한 재산상의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난 시에는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연동하여 개방되게 하고, 피난이 완료되면 상부도어만을 폐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피난 사다리 장치를 폐쇄할 수 있어 화염, 화재로 인한 이물질, 유독가스 및 화재 진압을 위해 뿌려진 소방용수 등이 아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여 아래층의 피해를 최대한 막을 수 있게 하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가 열린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접철 배치되고 사용 시 전개되는 사다리와, 완강기 및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 연동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피난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링크부재는;
프레임의 내부 양측면 상에 중앙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링크;
제 1 링크의 일단과 상부도어를 연결하면서 일단이 제 1 링크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제 1 링크의 타단과 하부도어를 연결하는 제 3 링크;
제 1 링크와 제 2 링크의 연동관계를 해제시켜 상부도어만이 닫히게 하는 개별 닫힘 수단; 및
개별 닫힘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개별 닫힘 수단은;
제 2 링크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고, 제 1 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선회공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지는 선회축;
선회축의 연장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선회축의 연장단부에서 프레임의 내부 측면 상으로 선회축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핀; 및
일단은 선회공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링크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며, 상부도어 폐쇄 시 슬라이딩 핀이 안내되는 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는 피난 시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연동하여 개방되게 하고, 피난 완료 후에는 하부도어 및 사다리가 전개된 상태 하에서 상부도어만 닫히게 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신속하게 피난 사다리 장치를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화염, 화재로 인한 이물질, 유독가스 및 화재 진압을 위해 뿌려진 소방용수 등이 아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여 아래층의 재산상의 피해를 최대한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자리 장치의 링크부재는 상부도어 폐쇄 시 슬라이딩 핀이 안내되는 슬라이딩 장공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도어가 빠르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폐쇄되는 상부도어로 인해 피난자가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링크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100)는 아파트, 또는 고층건물의 바닥, 예를 들면 아파트의 발코니에 위층과 아래층이 서로 연결되도록 관통 매설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링크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 장치(100)는 상부 및 하부가 열린 사각 함체 형상의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통상의 힌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도어(120) 및 하부도어(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피난 사다리 장치(100)는 프레임(110) 내부에 배치되는 링크부재(200), 사다리(140) 및 완강기(150)를 더 구비한다.
사다리(140)는 평상 시 프레임(110)의 내부에 접철되어 배치되고 사용 시에는 프레임(110)이 하부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개되며, 완강기(150)는 접철된 사다리(140)를 전개시킴과 아울러 아래층으로 전개된 사다리(140)를 프레임(110) 내부로 접어 올린다. 그리고 링크부재(200)는 상부도어(120)와 하부도어(130)를 연동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도어(120)가 열리면 하부도어(130)도 같이 열리게 하고, 하부도어(130)가 닫히면 상부도어(120)도 같이 닫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피난 사다리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링크부재(200)에 관한 것으로, 피난 완료 후 상부도어(120)만을 신속하게 폐쇄되게 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100)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링크부재(200)는 한 쌍의 제 1 링크(210), 제 2 링크(220) 및 제 3 링크(230)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 1 링크(210)는 프레임(110)의 내부 양측면 상에 중앙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 링크(220)는 제 1 링크(210)와 상부도어(120)를 연결하며, 그리고 제 3 링크(230)는 제 1 링크(210)와 하부도어(130)를 연결한다. 즉 제 1, 제 2, 제 3 링크(210, 220, 230)는 서로 연동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 2 링크(220)의 일단은 제 1 링크(210)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링크(220)의 타단은 상부도어(120)의 하부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 3 링크(230)의 일단은 제 1 링크(210)의 타단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하부도어(130)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제 2 링크(220)의 일단은 제 1 링크(210)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링크부재(200)는 피난 완료 후, 제 1 링크(210)와 제 2 링크(220)의 연동관계를 해제시켜 상부도어(120)만이 닫히게 하는 개별 닫힘 수단(240)과, 개별 닫힘 수단(240)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250)를 구비한다.
먼저, 개별 닫힘 수단(240)은 제 1 링크(210)의 일단과 제 2 링크(2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선회축(242)과, 선회축(242)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핀(244)과, 상부도어(120) 폐쇄 시 슬라이딩 핀(244)이 안내되는 슬라이딩 장공(246)을 구비한다.
선회축(242)은 제 2 링크(220)의 일단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선회축(242)은 제 1 링크(210)의 일단에 형성된 선회공(212)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진다. 즉 제 1 링크(210)와 제 2 링크(220)의 연결은 제 1 링크(210)에 형성된 선회공(212)에 제 2 링크(220)에 고정 장착되는 선회축(242)이 끼워지면서 연결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핀(244)은 선회축(242)의 연장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선회축(242)의 연장단부에서 프레임(110)의 내부 측면 상으로 선회축(242)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핀(244)의 직경(d)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축(242)의 직경(D)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딩 장공(246)은 제 1 링크(210)의 일단에서부터 제 1 링크(210)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슬라이딩 장공(246)의 일단은 선회공(212)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장공(246)의 폭의 길이(L)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축(242)의 직경(D)의 길이보다 작은 폭의 길이(L)를 가지며, 슬라이딩 핀(244)의 직경(d)의 길이보다 큰 폭의 길이(L)를 가진다.
즉, 피난 완료 후, 마지막 피난자가 상부도어(120)만을 폐쇄 할 목적으로, 후술하는 작동레버(250)를 작동시키면, 작동레버(250)는 슬라이딩 핀(244)을 타격하여 선회공(212)에 슬라이딩 핀(244)이 위치되도록 선회축(242)을 선회공(212)에서 밀어내고, 슬라이딩 핀(244)은 선회공(212)에 위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장공(246)을 따라 안내되는데, 이렇게 슬라이딩 장공(246)을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딩 핀(244)에 의해서 제 2 링크(220)는 제 1 링크(210)와 연동관계가 해제되어 하강하게 되고, 그 결과 제 2 링크(220)와 연결된 상부도어(120)도 하강하면서 프레임(110)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슬라이딩 장공(246)은 상부도어(120)가 빠르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단에서부터 타단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된다.
한편, 작동레버(250)는 각각의 선회축(242)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24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작동레버(250)는 프레임(110)의 내부 측면에서 연장되는 선회브라켓(112)에 통상의 힌지(11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직 타격판(252), 및 수직 타격판(252)의 상부에서 프레임(110)의 내부 측면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작동판(254)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평 작동판(254)에는 하부도어(130) 개방 시 아래층으로 연장되는 당김줄(256)이 연결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화재를 피해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피난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피난 사다리 장치(100)의 상부도어(120)를 개방시킨다. 상부도어(120)가 개방되면 링크부재(200)에 의해 하부도어(130)도 같이 개방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상부도어(120) 및 하부도어(130)가 개방되면, 완강기(150)의 래치레버(도시되지 않음)를 눌러 사다리(140)를 전개를 시키고, 전개된 사다리(140)를 통해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한편, 전개된 사다리(140)를 통해 피난이 완료되면, 마지막 피난자가 상부도어(120)만을 닫기 위해서 아래층으로 연장된 당김줄(256)을 당기게 되는데, 이렇게 당김줄(256)이 아래층 측으로 당겨지면, 작동레버(250)의 수직 타격판(252)은 힌지(11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핀(244)을 타격하여 선회공(212)에 슬라이딩 핀(244)이 위치되도록 선회축(242)을 선회공(212)에서 밀어낸다. 그리고 선회공(212)에 위치된 슬라이딩 핀(244)은 선회공(212)와 연결된 슬라이딩 장공(246)을 따라 슬라이딩 장공(246)의 타단 측으로 안내된다. 그 결과 제 2 링크(220)는 제 1 링크(210)와 연동관계가 해제되어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제 2 링크(220)와 연결된 상부도어(120)도 하강하면서 프레임(110)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100)는 피난 시 상부도어(120)와 하부도어(130)가 연동하여 개방되게 하고, 피난 완료 후에는 하부도어(130) 및 사다리(140)가 전개된 상태 하에서 상부도어(120)만 닫히게 하는 링크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신속하게 피난 사다리 장치(100)를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화염, 화재로 인한 이물질, 유독가스 및 화재 진압을 위해 뿌려진 소방용수 등이 아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여 아래층의 재산상의 피해를 최대한 막을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200)는 상부도어(120) 폐쇄 시 슬라이딩 핀(244)이 안내되는 슬라이딩 장공(246)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도어(120)가 빠르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폐쇄되는 상부도어(120)로 인해 피난자가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110 : 프레임 120 : 상부도어
130 : 하부도어 140 : 사다리
150 : 완강기 200 : 링크부재
210 : 제 1 링크 212 : 선회축
220 : 제 2 링크 230 : 제 3 링크
240 : 개별 닫힘 수단 242 : 선회축
244 : 슬라이딩 핀 246 : 슬라이딩 장공
250 : 작동레버 252 : 수직 타격판
254 : 수평 작동판 256 : 당김줄

Claims (5)

  1. 상부 및 하부가 열린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접철 배치되고 사용 시 전개되는 사다리와, 완강기 및 상기 상부도어 및 상기 하부도어 연동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피난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양측면 상에 중앙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과 상기 상부도어를 연결하면서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과 상기 하부도어를 연결하는 제 3 링크;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의 연동관계를 해제시켜 상기 상부도어만이 닫히게 하는 개별 닫힘 수단; 및
    상기 개별 닫힘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 닫힘 수단은;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선회공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지는 선회축;
    상기 선회축의 연장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선회축의 연장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측면 상으로 상기 선회축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핀; 및
    일단은 상기 선회공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도어 폐쇄 시 상기 슬라이딩 핀이 안내되는 슬라이딩 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핀의 직경은 상기 선회축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장공의 폭의 길이는 상기 선회축의 직경의 길이보다 작은 폭의 길이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핀의 직경의 길이보다 큰 폭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장공은 상기 상부도어가 빠르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단에서부터 타단 측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슬라이딩 핀을 타격하여 상기 선회축을 상기 선회공에서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선회공에 상기 슬라이딩 핀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 핀이 상기 슬라이딩 장공을 통해 안내될 수 있게 하는 수직 타격판; 및
    상기 수직 타격판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측면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작동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작동판에는 상기 하부도어 개방 시 아래층으로 연장됨고 아울러 상기 수직 타격판을 회전시키는 당김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KR1020110101552A 2011-10-06 2011-10-06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Active KR10115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52A KR101151032B1 (ko) 2011-10-06 2011-10-06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52A KR101151032B1 (ko) 2011-10-06 2011-10-06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032B1 true KR101151032B1 (ko) 2012-06-01

Family

ID=4668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52A Active KR101151032B1 (ko) 2011-10-06 2011-10-06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475B1 (ko) 2023-05-17 2023-12-11 주식회사 정수테크 도어 장착용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475B1 (ko) 2023-05-17 2023-12-11 주식회사 정수테크 도어 장착용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JP6949147B2 (ja) 建築物での火災・災難避難施設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CN109812216B (zh) 一种具有火灾应急逃生功能的防盗窗
CN102247662B (zh) 紧急逃生用脱险装置
KR102467543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20110077727A (ko) 해치형 구조대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51032B1 (ko)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017078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CN210422413U (zh) 一种防火控火装置
KR20110054882A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151031B1 (ko)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JP2003117011A (ja) 避難具
CN113982439B (zh) 抗爆消防救援门
KR20130008277A (ko) 피난 사다리장치
JP6436740B2 (ja) 地上脱出用の避難扉装置
KR101090902B1 (ko) 피난 사다리장치용 감속기
WO2014183590A1 (zh) 气袋式高楼火灾逃生器
KR101154844B1 (ko)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