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139B1 -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4139B1 KR101144139B1 KR1020110076595A KR20110076595A KR101144139B1 KR 101144139 B1 KR101144139 B1 KR 101144139B1 KR 1020110076595 A KR1020110076595 A KR 1020110076595A KR 20110076595 A KR20110076595 A KR 20110076595A KR 101144139 B1 KR101144139 B1 KR 1011441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hydraulic cylinder
- torque
- clamp
- span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08—Holders for bricklayers' lines, bricklayers' bars; Sloping braces
- E04G21/1816—Adjustable positioning means between line-holder bars and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결 몸통부와 분리부가 분리되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복수의 철근을 연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의 자동 커플러 연결 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1d는 종래 TS 커플러와 스패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과 종래 TS 커플러의 작용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TS 커플러와 스패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자동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자동연결장치와 유압펌프 유닛의 시스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S 커플러를 양방향 자동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시공사시도 및 순서도이다.
110: 클램프(Clamp)
111,112: 죠(JAW) 113: 클램프 하우징
114: 연결볼트 115: 클램프 유압실린더지지구
116: 클램프 유압실린더 하우징
120: 토크 도입용 스패너(Spanner)
121: 스패너 연장부
122: 걸림지지편
130: 클램프 유압실린더 140: 스트로크 유압실린더
200: 유압펌프 유닛
210: 시퀀스 밸브(Sequence Valve) 220: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230: 제1 유압 배관 240: 제2 유압 배관
250: 제3 유압 배관 260: 압력 게이지
270: 조작 스위치
310,320: 연결대상부재(철근 또는 강봉, 파이프 또는 볼트)
500: TS 커플러
510: TS 커플러의 분리부 511: 응력분산 절편
520: TS 커플러의 단면감소부
530: TS 커플러의 체결 몸통부 540:부싱
400: 하부 철근 고정용 지그(Jig)
Claims (15)
- 내측면에 나사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대상부재가 삽입되는 분리부(510); 상기 분리부를 통해 삽입된 연결대상부재(310,320)의 연결 나사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 연결부에 연결되어 연결대상부재가 삽입 연결되는 체결 몸통부(530); 및 상기 분리부(510)와 체결 몸통부(530) 사이에서 형성된 단면 감소부(520);를 포함하는 TS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510)는 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응력분산절편(511)이 다수 연속 형성되도록 하여 토크에 의해 작용하는 응력이 각 응력분산절편(511)에 의하여 원형링 형태의 분리부(510)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리부(510)에는 스패너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끼워져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스패너는 응력분산절편(511)이 삽입되도록 스패너의 두부 내측면(C)에 절편수용부가 다수 연속 형성되도록 하여 스패너에 토크가 제공될 때 토크에 의해 작용하는 응력이 각 응력분산절편(511)에 의하여 원형링 형태의 분리부(510)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TS 커플러의 분리부 상면(A)에 지지되도록 걸림지지편(122)이 스패너의 두부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S 커플러의 체결 몸통부(530) 내부에는 철근 또는 강봉의 연결단부의 맞닿는 부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싱(540,Busing)이 더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패너(120)의 단부는 상기 TS 커플러를 충분히 감싸 형성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 스패너 연장부(121)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510)의 내측면에는 나사부를 형성시키거나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분리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 삭제
- 내장된 클램프 유압실린더(130)의 수평방향 유압에 의해 연결대상부재(320, 철근)에 장착된 클램프(110); 상기 연결대상부재(320, 철근)에 연결된 응력분산이 가능한 TS 커플러(500)에 장착되어 회전 토크를 가하는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 상기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에 전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후단부가 상기 클램프(110) 후방에 연결되어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에 회전 토크를 공급하는 스트로크(Stroke) 유압실린더(140); 및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130)와 스트로크 유압실린더(140)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펌프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양방향 자동연결장치(100)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TS 커플러(500) 및 상기 연결대상부재(320, 철근)에 클램프(110) 및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를 각각 장착하는 단계;
b) 상기 유압펌프 유닛(200)을 통해 클램프 유압실린더(130) 및 스트로크 유압실린더(140)에 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130)에 의해 상기 클램프(110)가 상기 연결대상부재(320, 철근)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스트로크 유압실린더(140)에 의해 상기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가 상기 TS 커플러(500)에 회전 토크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TS 커플러(500)는 내측면에 나사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대상부재가 삽입되는 분리부(510); 상기 분리부를 통해 삽입된 연결대상부재(철근)의 연결 나사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 연결부에 연결되어 연결대상부재(철근)가 삽입 연결되는 체결 몸통부(530); 및 상기 분리부(510)와 체결 몸통부(530) 사이에서 형성된 단면 감소부(520);를 포함하는 TS 커플러로서 상기 분리부(510)는 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응력분산절편(511)이 다수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TS 커플러(500)의 체결 몸통부(530) 상면(A)에 상기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 저면이 걸리도록 함으로서 양방향 자동연결장치가 TS 커플러(500)에 자립이 가능하도록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에는 커플러의 분리부 상면(A)에 지지되도록 걸림지지편(122)이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의 두부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유압펌프 유닛(200)은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로 설정 압력을 인가하는 시퀀스 밸브(210,Sequence Valve); 상기 스트로크 유압실린더에 설정 압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20,Solenoid Valve);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 및 상기 스트로크 유압실린더로 인가되는 유압을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260); 및 상기 시퀀스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270)를 포함하되, 상기 시퀀스 밸브가 1차적으로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로 설정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가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의 유압은 그대로 유지되고, 2차적으로 상기 스트로크 유압실린더로 유압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자동연결장치(100)는
내장된 클램프 유압실린더(130)의 수평방향 유압에 의해 상기 연결대상부재(320)에 장착되는 클램프(110);
상기 연결대상부재에 연결된 TS 커플러(500)에 장착되어 회전 토크를 가하도록 세팅된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
상기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에 전단부가 힌지연결되며, 후단부가 상기 클램프(110) 후방에 연결되어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에 회전 토크를 제공하는 스트로크(Stroke) 유압실린더(140); 및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130)와 스트로크 유압실린더(140)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펌프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 유닛(200)은
상기 시퀀스 밸브(Sequence Valve)에는 상기 클램프 유압실린더로 유압을 인가하도록 연결된 제1 유압 배관(230); 클램프 유압실린더로부터 유압이 리턴(Return)되도록 연결된 제2 유압 배관(240);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에는 상기 스트로크 유압실린더로 유압을 인가하도록 연결된 제3 유압 배관(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TS 커플러(500)는 체결 몸통부(530) 내부에는 철근 또는 강봉의 연결단부의 맞닿는 부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싱(540,Busing)이 더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510)에는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끼워져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는 응력분산절편(511)이 삽입되도록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의 두부 내측면(C)에 절편수용부가 다수 연속 형성되도록 하여 토크 도입용 스패너(120)에 토크가 제공될 때 토크가 각 응력분산절편(511)에 의하여 원형링 형태의 분리부(510)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510)의 내측면에는 나사부를 형성시키거나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분리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595A KR101144139B1 (ko) | 2011-08-01 | 2011-08-01 |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595A KR101144139B1 (ko) | 2011-08-01 | 2011-08-01 |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4139B1 true KR101144139B1 (ko) | 2012-05-24 |
Family
ID=4627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6595A Active KR101144139B1 (ko) | 2011-08-01 | 2011-08-01 |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413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6131B1 (ko) | 2014-07-04 | 2014-10-06 | 오환상 | 부재 연결을 위한 토크쉐어 커플러용 수작업 체결장치 |
KR101574518B1 (ko) | 2015-03-20 | 2015-12-04 | 오환상 | 부재 연결을 위한 토크쉐어 커플러용 일체형 체결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0324A (ko) * | 1995-10-08 | 1997-05-28 | 박준형 | 배관용 래치트 렌치 |
JP2001020374A (ja) * | 1999-07-06 | 2001-01-23 | Kaieitechno Co Ltd |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端部構造 |
KR100996121B1 (ko) * | 2010-05-28 | 2010-11-24 | (주)대우건설 | 자동 커플러 체결장치 |
-
2011
- 2011-08-01 KR KR1020110076595A patent/KR10114413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0324A (ko) * | 1995-10-08 | 1997-05-28 | 박준형 | 배관용 래치트 렌치 |
JP2001020374A (ja) * | 1999-07-06 | 2001-01-23 | Kaieitechno Co Ltd |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端部構造 |
KR100996121B1 (ko) * | 2010-05-28 | 2010-11-24 | (주)대우건설 | 자동 커플러 체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6131B1 (ko) | 2014-07-04 | 2014-10-06 | 오환상 | 부재 연결을 위한 토크쉐어 커플러용 수작업 체결장치 |
KR101574518B1 (ko) | 2015-03-20 | 2015-12-04 | 오환상 | 부재 연결을 위한 토크쉐어 커플러용 일체형 체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6354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의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 연결 방법 | |
KR101403040B1 (ko) |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 |
KR20080069195A (ko) | 파이프 클램프 | |
KR101144139B1 (ko) |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
KR20140042068A (ko) | 분리부 응력 분산을 위한 테이퍼형 절편을 구비한 커플러 | |
KR102167075B1 (ko) |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 |
KR102301698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 |
KR20140075833A (ko) | 전단응력 집중형 티에스 커플러 | |
KR101446131B1 (ko) | 부재 연결을 위한 토크쉐어 커플러용 수작업 체결장치 | |
JP4885030B2 (ja) | 重仮設構造物の継手金具における接合法及び接合確認装置 | |
KR101144138B1 (ko) | 양방향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재의 양방향 자동 체결방법 | |
KR20140042069A (ko) | 체결 가이드가 형성된 스패너 | |
KR20100005514U (ko) | 와이어 고정용 턴버클 | |
KR100355494B1 (ko) | 철근이음장치 | |
JP2011247073A (ja) | 自動カプラー締結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部材の機械式連結方法 | |
CN202899626U (zh) | 外箍式拉索张拉工装装置 | |
KR102438807B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100996122B1 (ko) | 자동 체결장치와 전단파괴를 유도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부재의 기계식 연결방법 | |
US11319975B2 (en) | Pipe connection tool and pipe connection method | |
CN113770286A (zh) | 一种钢筋连接接头及钢筋连接工艺 | |
JPH09279768A (ja) | 鉄筋の継手構造 | |
KR200317061Y1 (ko) | 철근 연결구 | |
JP7553053B2 (ja) | アンカー工又はロックボルト工における定着材注入ホースの接続治具 | |
JP2013162634A (ja) |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 |
KR200234943Y1 (ko) |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