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527B1 -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0527B1 KR101140527B1 KR1020100036248A KR20100036248A KR101140527B1 KR 101140527 B1 KR101140527 B1 KR 101140527B1 KR 1020100036248 A KR1020100036248 A KR 1020100036248A KR 20100036248 A KR20100036248 A KR 20100036248A KR 101140527 B1 KR101140527 B1 KR 101140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charging connector
- protective cover
- cover
- lock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켓으로부터 충전 커넥터의 강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 장치가 제공된다.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는, 충전 커넥터가 접속되는 소켓을 덮어 보호하며,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보호 커버 및 충전 커넥터가 소켓에 접속된 경우에, 보호 커버가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에 의해 잠김 되거나 또는 잠김 해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A protection device is provided which can prevent forced disconnec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from the socket. The charging connector protector covers and protects the socket to which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and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protective cover including one or more locking means, the protective cover is locked or locked by one or more locking mean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rel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커넥터가 충전 장치에 접속되어 충전 중인 상태에서 강제로 충전 장치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최근 들어 환경 유해 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를 대신할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as part of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ly harmful gase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to replace conventional fossil fuel vehicles is increasing.
친환경 자동차의 하나인 전기 자동차는 차량 내부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의 힘으로 차량 모터를 구동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An electric vehicle, which is one of eco-friendly vehicles, is provided with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electricity in a vehicle, and is driven by driving a vehicle motor by the power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battery.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가 주유소 등과 같은 시설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 자동차 역시 전기 충전 시설에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여 운행한다.Like conventional fossil fuel vehicles inject fuel in facilities such as gas stations, electric vehicles also operate by charging electricity in batteries in electric charging facilities.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커넥터를 충전 장치의 소켓에 연결하고, 이를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시켜야 한다. Accordingly, the user must connect the charging connector to the socket of the charging device in order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and maintain it until the charging is completed.
한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사용자가 다른 용무를 보기 위하여 충전 장치를 벗어날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충전 장치의 소켓에 접속된 충전 커넥터가 타인 또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강제로 소켓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rging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takes a long time, the user may leave the charging device to see other business. At this time, a situation in which the charging connector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charging device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socket by another person or an external force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 장치의 소켓으로부터 충전 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that can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from the socket of the charging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는, 충전 커넥터가 접속되는 소켓을 덮어 보호하며,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보호 커버 및 충전 커넥터가 소켓에 접속된 경우에, 보호 커버가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에 의해 잠김 되거나 또는 잠김 해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ver and protect the socket to which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he protective cover including at least one locking means and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tective cover to be locked or unlocked by one or more locking means.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는, 충전 장치의 소켓에 보호 덮개를 장착하고, 소켓에 충전 커넥터가 접속된 경우에 사용자의 잠금 설정으로 보호 덮개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에 외부에 의하여 충전 커넥터가 소켓에서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protective cover to the socket of the charging device, and can prevent the protection cover from being opened by the user's lock setting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rging connector from being forcibly separated from the socket by the outsid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소켓에 충전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보호 커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b에 도시된 보호 커버를 Ⅲ~Ⅲ'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shown in FIG. 1. FIG.
2B is a view of a protective cover in a state in which a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FIG. 2A.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illustrated in FIG. 2B taken along line III-III '.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3A.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of FIG. 1.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10)는 보호 커버(110)와 제어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harging
보호 커버(110)는 충전 장치(미도시)의 소켓(130)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커버(110)는 평상시, 즉 충전 장치가 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켓(130)을 덮어 보호하고, 사용자가 차량에 전기를 충전하고자 할 때 보호 커버(110)를 열고 내부의 소켓(13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소켓(130)에 충전 커넥터(미도시)를 접속시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보호 커버(110)는 제어 유닛(120)의 제어에 따라 잠금 설정되거나 또는 잠금 해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호 커버(110)에는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하나의 예로써, 소켓(130)에 충전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유닛(120)을 통해 보호 커버(110)의 잠금 요청을 할 수 있다. As one example, with the charging connector connected to the
이에 따라, 제어 유닛(120)은 보호 커버(1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을 이용하여 보호 커버(110)가 소켓(130)을 덮은 상태에서 잠기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다른 하나의 예로써, 소켓(130)에 충전 커넥터가 접속되고 보호 커버(110)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유닛(120)을 통해 보호 커버(110)의 잠금 해제 요청을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ile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이에 따라, 제어 유닛(120)은 보호 커버(1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을 이용하여 보호 커버(110)가 잠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제어 유닛(120)은 입력부(121), 제어부(122) 및 표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n
입력부(121)는 키패드 또는 RFID 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보호 커버(11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등과 같은 사용자 설정이 입력될 수 있다.The
예컨대, 사용자는 키패드로 구성된 입력부(121)에 사용자 인증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보호 커버(11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request to lock or unlock the
또한, 사용자는 RFID 리더기로 구성된 입력부(121)에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된 RF 태그를 접촉시킴으로써 보호 커버(11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request to lock or unlock the
제어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보호 커버(110)의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보호 커버(110)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또한, 제어부(122)는 입력부(121)에 사용자 설정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충전 커넥터가 소켓(130)에 접속되어 일정 시간, 예컨대 대기 시간이 흐른 뒤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보호 커버(110)의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보호 커버(110)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표시부(123)는 사용자에게 현재의 상태에 대한 정보, 예컨대 사용자 설정 입력을 위한 정보 또는 보호 커버의 잠금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차량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커버에 대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소켓에 충전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보호 커버에 대한 도면이다.FIG. 2A is a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shown in FIG. 1, and FIG. 2B is a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FIG. 2A.
또한, 도 3a는 도 2b에 도시된 보호 커버를 Ⅲ~Ⅲ'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shown in FIG. 2B taken along line III-III ',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3A.
우선,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보호 커버(110)는 소켓(130)이 위치하는 충전 장치에 부착되는 몸체(112)와 이에 연결된 커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B, the
보호 커버(110)의 몸체(112)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소켓(13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An opening is formed in the
소켓(130)에는 5개의 접속구, 예컨대 3개의 전원선 접속구(131) 및 2개의 통신선 접속구(133)가 형성될 수 있고, 보호 커버(110)의 몸체(112)에 형성된 개구부는 이러한 소켓(130)의 접속구(131, 133)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The
또한, 몸체(112)의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수단(115)은 제어 유닛(120), 즉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몸체(112)에 커버(111)를 결합시켜 잠기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locking means 115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커버(111)는 몸체(112)의 일측과 경첩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111)와 몸체(11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힌지(113)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113)에 의해 커버(111)와 몸체(112)가 연결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1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힌지(113)에 의해 커버(111)가 몸체(112)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1)에는 소켓(130)에 결합된 충전 커넥터(200)의 케이블(220)을 노출시킬 수 있는 절개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B, the
커버(111)에 형성된 절개부(117)는 커버(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절개부(117)는 커버(111)의 하단부로부터 소켓(130)의 중심점, 예컨대 소켓(130)에 접속된 충전 커넥터(200)의 플러그(210)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커버(111)에 절개부(117)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충전 커넥터(200), 예컨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ㄱ자형 또는 일자형의 충전 커넥터(200)가 보호 커버(110)를 통해 소켓(130)에 접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커버(111)에는 몸체(11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3A and 3B, the
따라서, 제어부(122)는 소켓(130)에 충전 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호 커버(110)의 몸체(11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이 커버(111)의 결합 홈(118)에 결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호 커버(110)를 잠글 수 있다.Therefore, the
여기서, 결합 홈(118)은 커버(111)의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에 인접되는 부분, 즉 커버(111)가 몸체(112)에 덮힌 상태에서 몸체(112)의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에 인접하는 커버(1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of FIG. 1.
도 1,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차량에 전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 장치의 소켓(130)에 충전 커넥터(200)를 접속시킬 수 있다(S10).Referring to FIGS. 1, 3A, and 4, the user may connect the charging
이때, 충전 장치의 소켓(130)은 보호 커버(110)에 의해 덮여있는 상태이고, 사용자는 보호 커버(110)를 열고, 외부로 노출된 소켓(130)에 충전 커넥터(200)를 접속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소켓(130)에 충전 커넥터(200)가 접속된 후, 사용자는 보호 커버(110)의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S20).After the charging
사용자는 제어 유닛(120)의 입력부(121)를 통해 보호 커버(110)의 잠금을 설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입력부(121)에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RF 태그를 접촉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may set the lock of the
사용자가 입력부(121)를 통해 잠금 설정을 하면, 제어부(122)는 보호 커버(110)의 몸체(11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이 커버(111)에 형성된 결합 홈(118)에 결합되도록 제어하여 보호 커버(110)가 잠기도록 할 수 있다(S30).When the user sets the lock through the
그러나, 사용자가 입력부(121)를 통해 잠금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충전 커넥터(200)가 소켓(130)에 접속되어 일정 시간, 예컨대 대략 15초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22)에 의해 자동으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이 결합 홈(118)에 결합되도록 제어되어 보호 커버(110)의 잠금이 설정될 수도 있다(S25).However, even if the user does not set the lock through the
보호 커버(110)가 잠금 상태가 되면, 충전 장치는 소켓(130)에 접속된 충전 커넥터(200)를 통해 차량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S40). 그리고, 일정 시간 후에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S50).When the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어 유닛(120)의 입력부(121)를 통해 보호 커버(110)의 잠금 해제를 설정할 수 있다(S60).When the charg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the user may set the unlocking of the
예컨대, 사용자는 앞서 입력부(121)를 통해 보호 커버(110)의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S20)와 마찬가지로 입력부(121)를 통해 보호 커버(110)의 잠금 해제를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t unlocking of the
이때, 제어부(122)는 표시부(123)를 통해 사용자가 충전한 전기량에 따른 과금액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지불한 경우에 입력부(121)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잠금 해제 설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사용자가 입력부(121)를 통해 잠금 해제 설정을 하면, 제어부(122)는 커버(111)의 결합 홈(118)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을 결합 홈(118)으로부터 분리시켜 보호 커버(1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S70).When the user sets the lock release through the
한편, 보호 커버(110)의 잠금 해제 설정 단계(S60)에서도, 앞서 보호 커버(110)의 잠금 설정 단계(S20)와 마찬가지로, 충전 완료 후에 충전 커넥터(200)가 소켓(130)에 접속되어 일정 시간, 예컨대 대략 15초가 경과되면, 제어부(122)에 의해 자동으로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115)이 결합 홈(118)에서 분리되도록 제어되어 보호 커버(110)의 잠금이 해제될 수도 있다(S65). Meanwhile, in the unlocking setting step S60 of the
보호 커버(110)의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소켓(130)으로부터 충전 커넥터(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S80).When the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 110: 보호 커버
111: 커버 112: 몸체
113: 힌지 115: 잠김 수단
117: 절개부 118: 결합 홈
120: 제어 유닛 130: 소켓
200: 충전 커넥터10: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110: protective cover
111: cover 112: body
113: hinge 115: locking means
117: incision 118: coupling groove
120: control unit 130: socket
200: charging connector
Claims (7)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소켓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소켓에 접속된 경우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보호 커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에 의해 잠김 되거나 또는 잠김 해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소켓에 접속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에 상기 사용자 설정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기 보호 커버를 잠그거나 또는 잠김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A protective cove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socket to which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he protective cover including one or more locking means;
An input unit to which a user setting is input while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tective cover to be locked or unlocked by the at least one l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locks or unlocks the protective cover when the user setting is not input to the input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ocket.
상기 소켓에 부착되며, 상기 소켓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이 형성된 몸체; 및
힌지에 의해 상기 몸체와 경첩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의 인접부에 결합 홈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ive cover,
A body attached to the socket and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socket to the outside and the one or more locking means; And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body by a hinge in a hinge form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n adjacent portion of the one or more locking means.
상기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소켓의 중심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ver includes a cutou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utout is a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to the center point of the socke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이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잠기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된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수단이 결합 해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서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ne or more locking mean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cover is locked to the body, or the one or more locking mean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re disengaged to separate the cover from the body. Charg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to control.
상기 입력부는 키패드 또는 RFID 리더기인 충전 커넥터 보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input unit is a keypad or RFID read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248A KR101140527B1 (en) | 2010-04-20 | 2010-04-20 |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248A KR101140527B1 (en) | 2010-04-20 | 2010-04-20 |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6684A KR20110116684A (en) | 2011-10-26 |
KR101140527B1 true KR101140527B1 (en) | 2012-05-02 |
Family
ID=4503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62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527B1 (en) | 2010-04-20 | 2010-04-20 |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052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7219A (en) * | 2021-09-09 | 2023-03-16 | (주)누리플렉스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nergy using lock on-of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00966B (en) * | 2021-06-25 | 2022-03-08 | 安徽工程大学 | Fill electric pile plug fix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5685A (en) * | 2003-08-15 | 2006-06-14 | 감브로 룬디아 아베 | Connecting Devices, Medical Systems, and Medical Subsystems |
-
2010
- 2010-04-20 KR KR1020100036248A patent/KR1011405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5685A (en) * | 2003-08-15 | 2006-06-14 | 감브로 룬디아 아베 | Connecting Devices, Medical Systems, and Medical Subsystem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7219A (en) * | 2021-09-09 | 2023-03-16 | (주)누리플렉스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nergy using lock on-off |
KR102580229B1 (en) * | 2021-09-09 | 2023-09-20 | (주)누리플렉스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nergy using lock on-of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6684A (en) | 2011-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19515B2 (en) | vehicle | |
US10348038B2 (en) | Soft lock to secure an EVSE-to-EV charging connector | |
US9592736B2 (en) | Controlling a locking device of an electric charging port | |
US9827950B2 (en) | Locking assembly and method with authenticated unlocking of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 |
US10173537B2 (en) |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 |
EP2842793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 |
CN105492239B (en) | Use the vehicle of external charging | |
CN102438851B (en) | Charging cable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cable | |
WO2010058742A1 (en) | Charging connector | |
US8647134B2 (en) | Charge cord lock for electric vehicle | |
CN106965687A (en) | Ground locking-type intelligent charging spot and its application method | |
CN107791860A (en) | The control method of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device | |
US20140256172A1 (en) | Power supplying plug lock device | |
CN104228601A (en) |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ally charging at least one energy store of the electric vehicle | |
JP5387024B2 (en) | Vehicle charging cable | |
JP6365169B2 (en) | vehicle | |
CN103764437A (en) | Lock device | |
JP2013240127A (en) |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 |
KR101140527B1 (en) | Charging connector protection apparatus | |
JP5578968B2 (en) | Car charger | |
CN112895930A (en) | New energy automobile self-cleaning charging port and use method | |
CN105178744B (en) | Energy storage device overhauls interlock | |
KR20140117878A (en) |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 |
CN105812538A (en) |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 |
KR102249773B1 (en) | An anti-theft locking method of portable rechargeable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