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878A -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7878A KR20140117878A KR1020130032742A KR20130032742A KR20140117878A KR 20140117878 A KR20140117878 A KR 20140117878A KR 1020130032742 A KR1020130032742 A KR 1020130032742A KR 20130032742 A KR20130032742 A KR 20130032742A KR 20140117878 A KR20140117878 A KR 201401178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cable
- charger
- opening
- cable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0 aud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2—Driver interactions by confirmation, e.g. of the inp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동작 방법은 외부로부터의 충전 요청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개방된 케이블 연결부에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단계; 상기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내부로 폐쇄하는 단계; 상기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전기 구동 이동체의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력 공급의 중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harger, comprising: opening a cable connection portion accommodated inside according to a request for charging from the outside; Inserting a charging cable into the open cable connection; Closing the cable connection portion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 battery of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connected through the charging cable; And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to the outside when the charging power supply stop event occu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구동 이동체를 위한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케이블의 도난 방지를 위한 전기 구동 이동체의 충전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er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for preventing theft of a charging cab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경제 발전에 따라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자동차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Demand for automobiles has increased explosively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exhaust emissions from automobiles are becoming a major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demand for automobiles increases.
이에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배출가스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더 나아가 배출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전기 자동차의 사용화가 부분적으로 시도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decreasing the emission of automobil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mobiles capable of reducing exhaust gas is underway. Furthermore, the use of an electric vehicle which does not generate exhaust gas has been partially attempted.
전기 차량은 전기를 전력 공급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차량 자체에 전력 공급원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하고, 탑재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전기 자동차는 크게 전기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 자동차를 운행하는 전기 모터와, 그 전기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operates by using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The vehicle refers to a vehicle in which a rechargeable battery is mounted as a power source, and the vehicle is operated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mounted battery. An electric vehicle is largely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driven by electricity and running an electric car, and a battery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motor.
전기 자동차용 충전 설비는 접촉 방식에 따라 접촉식(pulg-in)과 비접촉식(contactless)으로 구분된다.Charging facilities for electric vehicles are classified into contact type (pulg-in) and contact type (contact type) according to the contact type.
접촉식은 충전 설비에 커넥터가 있어서 커넥터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이고, 비접촉식은 충전용 커넥터 없이 급전용 설비 위에 급전 설비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집전장치를 통해 충전하는 방식이다.The contact type is a method in which a connector is provided in a charging facility to connect the connector, and the non-contact type is a charging method using a current collector installed in a power supply facility on a power supply facility without a charging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harger of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충전기는 충전 스탠드(10)와, 충전 케이블(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harger includes a
상기와 같은 충전기는, 충전소에 구비된 충전 스탠드(10)에 충전 케이블(20)을 매개로 연결된 충전 플러그를 전기 자동차에 형성된 소켓에 삽입하고, 그에 따라 양자 간의 단자를 연결시켜 충전 스탠드(10)로부터의 전기를 충전 배터리로 공급한다.The charger includes a charging
하지만, 현재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식에 대한 표준이 없는 실정이고, 어떤 충전소에는 충전 케이블이 없어 별도의 고가의 충전용 케이블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electric car charging method at present,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charging cable is not provided in a certain charging station, so it is necessary to carry an expensive charging cable separately.
또한, 도 1에 서와 같은 선행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12-0012920에서는, 충전 중 사용자가 충전소를 잠시 비운 사이 다른 사람이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임의로 분리한 후 이를 가지고 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 방법이 요구된다.In addition, in the prior patent document 10-2012-0012920 as shown in Fig. 1, while the charging station is temporarily emptied by the user during charging, another person can arbitrarily disconnect the charging cable and escape with it. A separate charging method is required.
즉,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문헌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충전기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은 흐름에 의해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진다.That is, in the general charger as in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documents, the electric car is charged by the flow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충전기와 전기 자동차 간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한다(1단계).Referring to FIG. 2, first, a charging cable is connected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step 1).
이후,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면, 충전용 카드를 'CARD'표시 위치에 접근시키고, 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충전량만큼의 결제를 수행한다(2단계).Thereafter, when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he charging card is approached to the 'CARD' display position, and the charging of the charging card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ging amount.
상기 결제가 이루어지면, 충전이 시작되며, 이 단계에서는 플러그 연결을 계속하여 유지해달라는 경고 문구가 제공된다(3단계).When the payment is made, the charging is started. In this step, a warning phrase for continuing the plug connection is provided (step 3).
이후, 충전이 완료되기 이전에 충전 중지를 원하는 경우, 플러그를 분리해달라는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4단계),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충전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 후,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5단계).Thereafter, if the user wishes to stop charging before the charging is completed, a message to disconnect the plug may be provided (step 4).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a message indicating completion of charging is displayed, (Step 5).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 케이블의 도난에 대한 대책이 없으며, 이에 따라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충전 케이블의 도난에 무방비 상태에 놓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countermeasure against the theft of the charging cabl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ging cable is stolen while being left unattended for a while.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충전기에 락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용 충전기 케이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구동 이동체의 충전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harger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harger by providing a lock device in the charger to prevent the charger cable from being stolen.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objective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that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propos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belong, It can be understood.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동작 방법은 외부로부터의 충전 요청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개방된 케이블 연결부에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단계; 상기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내부로 폐쇄하는 단계; 상기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전기 구동 이동체의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력 공급의 중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harger, comprising: opening a cable connection portion accommodated inside according to a request for charging from the outside; Inserting a charging cable into the open cable connection; Closing the cable connection portion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 battery of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connected through the charging cable; And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to the outside when the charging power supply stop event occurs.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개방 및 폐쇄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형성 부위에 배치된 도어의 열림 및 닫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ble connection part is perform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disposed at the formation part of the cable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폐쇄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삽입된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잠김 상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삽입된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케이블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losing step may include locking the charging cable so that the charging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connecting part can not be separated, and the opening step may include disengaging the charging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connecting part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charging cable so that the charging cable can be opened.
또한,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는, 제 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part accommodated inside according to the charging request may include performing a first user authentication and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part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또한, 상기 충전 전력 공급의 중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는, 제 2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제 2 사용자 인증이 상기 이전에 수행된 제 1 사용자 인증과 동일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제 2 사용자 인증이 상기 이전에 수행된 제 1 사용자 인증과 상이하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power supply stop event occurs, the step of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to the outside may include performing a second user authentication, and performing the second user authentication on the previously performed first user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to the outside if the authentication is the same as authentication, and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if the performed second user authentication differs from the previously performed first user authentication.
또한, 상기 제 1 및 2 사용자 인증은, 상기 충전에 따른 요금 결제를 위한 카드의 인식에 의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user authentication are performed by recognizing a card for charging a fee according to the charging.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형상 부분에 배치되어, 열림 및 닫힘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charger main body; A cable connectio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charger main body and to which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And a door disposed in the shape of the cable connection part and opening or closing the cable connection part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또한, 상기 도어의 열림은, 사용자 인증의 수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The opening of the door is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상기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케이블을 락 하는 락 장치가 더 포함된다.When the door is closed in a state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part, the locking device locks the charging cable so that the charging cable can not be dis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충전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잠김 및 잠김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충전 케이블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ble is locked and unlock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harger,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stol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버튼 없이 사용자 인증을 통한 충전 케이블의 잠김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임의의 사용자로 인한 충전 케이블의 무단 분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ocking of the charging cable is perform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without a separate button,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unauthorized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due to an arbitrary u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충전기에 대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8은 도 4에 도시된 동작 방법에 의한 충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harger of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for a charger of an electrically driven mobile body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the steps of each block and flowchar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edd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instructions,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creating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step.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manufacturing items that contain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illustration in each step of the drawing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and flowchart of the drawings.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충전기(100)는 케이블 연결부(110), 케이블 잠금부(120), 표시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40), 전력량 산출부(150), 충전 스위칭부(160), 과금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3,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전기(100)는 전기 구동 이동체(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와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기 구동 이동체 내에 구비된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한다.Th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블 연결부(110)에는 전기 자동차와 충전기(100) 사이의 전력 공급 라인을 형성하는 충전 케이블(200)이 삽입된다.More specifically, a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일단은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충전기(100)를 통해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수신하게 되며, 다른 일단은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수신한 충전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 내에 구비된 배터리로 공급한다.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은 충전 케이블(200)은 전기 자동차의 위치에 맞게 충분히 연장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후 버튼을 눌러 다시 원 상태로 감기도록 할 수 있다.The charging
운전자 등은, 상기 충전기(100)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부(110)에 충전 케이블(200)의 일단을 삽입하고, 그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다른 일단을 전기 자동차의 측부 또는 전/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에 삽입하여,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driver or the like inserts one end of the charging
상기와 같은 케이블 연결부(110)는 상기 충전 케이블(200)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핀과,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수행하여 배터리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나 잔존 용량 등)을 전달받기 위한 통신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블 잠금부(120)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 열림을 통해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를 외부로 개방시키거나, 도어 닫힘을 통해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를 폐쇄시킨다.The
또한, 케이블 잠금부(120)에는 락 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 장치는, 상기 충전 케이블(200)이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 닫힘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200)을 고정시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임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한다.The locking device is formed in the
다시 말해서, 케이블 잠금부(12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를 외부로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연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이때, 도어 열림을 통해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외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임의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며,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임의 분리 및 연결이 불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표시부(13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정보를 출력한다.The
이때, 표시부(130)는 음성 신호로 상기 충전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스피커)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충전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표시부(130)에는 충전중인 선로, 유휴 충전 스테이션, 충전 예상 시간, 충전 진행 경과, 충전 금액, 고객 정보 등을 테이블 또는 그래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또한, 표시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충전소 내에 설치된 대형 표시장치를 통해 고객이 미리 충전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객의 전기 자동차 내부 시스템 혹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충전 진행 정보나 점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네트워크 통신부(140)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별도의 상위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위 서버는, 충전소 내에 설치된 다수의 충전기들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충전 요금 결제 등을 수행하기 위한 과금 서버나, 충전된 전기 자동차의 점검을 통한 A/S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일 수도 있다.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separate upper server in a network environment. Here, the upper server may be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a plurality of chargers installed in a charging station. Alternatively, the upper server may provide a charging server for charging a charging fee or an A / S by checking a charged electric vehicle Service center.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토대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토대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 Based 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전력량 산출부(15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한다. 즉, 전력량 산출부(150)는 전원단에서 부하단으로 충전에 의해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를 계량한다.The electric
충전 스위칭부(16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한다. 다시 말해서, 충전 스위칭부(160)는 상기 배터리로 전력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The
과금부(170)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통한 충전 시작 및 충전 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력량 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전력량에 따른 요금을 부과한다.The charging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충전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특히, 제어부(18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충전 개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가 제 1 상태(잠금 해제)로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의 제 1 상태에 따라 도어의 오픈이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에 충전 케이블(200)이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가 제 2 상태(잠금)로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의 제 2 상태에 따라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폐쇄되도록 한다.When the charging
이때,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는 상기 충전 케이블(2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동작하면, 락 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연결된 충전 케이블(200)의 임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가 잠김 상태로 동작하고, 그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충전 동작을 개시하여, 상기 충전 케이블(200)을 통해 연결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When the
이때, 제어부(180)는 충전 스위칭부(1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전력을 단속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제어부(180)는 충전의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개방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event occurs, the
상기 충전 완료 이벤트는, 사용자가 초기 설정한 충전량만큼의 충전이 모두 완료된 경우나 사용자가 충전 동작에 대한 비상 종료를 요청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completion event may include a case where charging of the charging amount set by the user is completed, or a case where the user requests emergency termination for the charging operation.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의 정상 수행 여부는, 상기 최초로 충전 개시 동작을 위해 수행된 사용자 인증과 동일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ther or not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ame user authentication as that performed for the charging start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다시 말해서, 최초 충전 대기 동작에서 인증된 사용자와, 상기 충전 완료 이벤트 발생시에 인증된 사용자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한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authenticated in the initial charge waiting operation and the user authenticated at the time of the charging completion event are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If the us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사용자 인증 실패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다시 한번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abnormally performed, the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사용자 인증 성공과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를 제 1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한편,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과금부(170)는 충전량에 따른 요금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요금의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charging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부(110)에서 충전 케이블(200)이 분리되면, 상기 케이블 잠금부(120)를 제 2 상태로 변경하여, 도어 닫힘을 통한 상기 케이블 연결부(110)가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the charg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충전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잠김 및 잠김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충전 케이블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ble is locked and unlock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harger,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stol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버튼 없이 사용자 인증을 통한 충전 케이블의 잠김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임의의 사용자로 인한 충전 케이블의 무단 분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ocking of the charging cable is perform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without a separate button,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unauthorized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due to an arbitrary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8은 도 4에 도시된 동작 방법에 의한 충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ep-by-step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ically driven mobi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harger by the operation method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전기 구동 이동체의 동작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ic drive vehicle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충전기는 충전 대기 상태에 있으며, 상기 충전 대기 상태에서 충전용 카드를 인식한다(101단계). 상기 충전용 카드는, 전기 충전을 원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수단이다.First, the charger is in a charging standby state, and recognizes the charging card in the charging standby state (Step 101). The charging card is a means for authenticating a user who wishes to charge electricity.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대기 상태에 있는 충전기(300)는 충전기 본체(310)의 일측에 구비된 도어(320)가 닫힘 상태에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도어(320)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부(330)는 폐쇄된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도어(320)에는 홀(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321)은 상기 도어(3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에 연결된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다.A
상기 도어(320) 내에는 케이블 연결부(3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는 상기 도어(320)의 닫힘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지 않고 내부에 폐쇄되어 있다.A
충전기(300)는 상기 충전용 카드의 인식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도어(320)의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내부에 위치한 케이블 연결부(3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102단계).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charging card, th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300)에는 도어(3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도어(320)는 열림 상태가 되어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부(330)가 외부로 개방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준비한 충전 케이블(200)을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에 삽입한다(103단계).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충전 케이블(200)에서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에 삽입된 부분의 반대 부분을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소켓에 삽입한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충전 케이블(200)과 케이블 연결부(330)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충전기(300)는 상기 도어(320)의 상태를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가 폐쇄되도록 한다(104단계).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가 폐쇄되면,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고정이 이루어져, 상기 도어(320)를 열지 않고는 상기 충전 케이블(200)을 임의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When the charging
상기와 같이 도어(320)가 닫힘 상태가 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충전기(300)는 충전 전력을 상기 충전 케이블(200)을 통해 전기 자동차 내부의 배터리로 공급한다(105단계).When the
이후, 충전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충전기(300)는 충전 결과(예를 들어, 최종 충전량 및 금액)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106단계).Thereafter, when a charging end event occurs, the
이후, 충전기(300)는 사용자 인증을 재수행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요금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107단계).Thereafter, the
이때, 상기 요금 결제는, 상기 충전 대기 동작에 최초 수행된 사용자 인증과 동일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ee settlement is performed only when the same user authentication as the user authentication performed first in the charge wait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요금 결제가 완료되면, 충전기(300)는 도어(320)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부(330)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한다(108단계).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and the charge settlement is completed, the
상기 케이블 연결부(330)가 개방됨에 따라 충전 케이블(200)의 분리가 이루어지면(109단계), 상기 충전기(300)는 충전 완료 동작을 수행한다(110단계).When the
상기 충전 완료 동작은 충전 이용에 따른 감사 메시지 출력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200)의 정상적인 연결 해제에 따라 상기 도어(320)를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The charging completion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outputting an audit messag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harge, thereby causing the
한편, 상기에서는 케이블 연결부(330)가 개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연결부(110)와 동일 구성요소이다.Although the
또한, 상기에서는 도어(320)가 개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잠금부(120)와 동일 구성요소이며, 상기 도어(320) 상에 형성된 홀(321)은 락 장치일 수 있다.Although the
즉, 충전 케이블은 양 단에 각각 플러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플러그 사이는 연결 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선은 상기 플러그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홀(321)은 상기 연결 선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321) 내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홀(321)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임의로 분리할 수 없게 된다.That is, the charging cable has plug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connection lines are formed between the plugs. 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e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plug, so that the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락 장치는 전자 락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락 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lock device may be an electromagnetic lock device, so that the locking device operates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charging cable can not be dis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충전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잠김 및 잠김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충전 케이블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ble is locked and unlock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harger,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stol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버튼 없이 사용자 인증을 통한 충전 케이블의 잠김 해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임의의 사용자로 인한 충전 케이블의 무단 분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ocking of the charging cable is perform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without a separate button,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unauthorized separation of the charging cable due to an arbitrary us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충전기
110: 케이블 연결부
120: 케이블 잠금부
130: 표시부
140: 네트워크 통신부
150: 전력량 산출부
160: 충전 스위칭부
170: 과금부
180: 제어부100: Charger
110: Cable connection
120: Cable lock part
130:
140: Network communication section
150:
160: Charge switching section
170: Charging part
180:
Claims (8)
상기 개방된 케이블 연결부에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단계;
상기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내부로 폐쇄하는 단계;
상기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전기 구동 이동체의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력 공급의 중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동작 방법.Opening the cable connection portion accommodated inside according to a charging request from the outside;
Inserting a charging cable into the open cable connection;
Closing the cable connection portion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 battery of an electrically driven moving body connected through the charging cable; And
And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to the outside when a stop event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is generated.
How to operate the charger.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개방 및 폐쇄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형성 부위에 배치된 도어의 열림 및 닫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충전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ble connection portion may be performed,
And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disposed at the forming portion of the cable connecting portion
How to operate the charger.
상기 폐쇄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삽입된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잠김 상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삽입된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케이블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osing comprises:
And locking the charging cable so that the charging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connecting portion can not be separated,
Wherein the opening step comprises: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charging cable so that the charging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connecting portion can be disconnected
How to operate the charger.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는,
제 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part accommodated inside according to the charging request,
Performing a first user authentication,
And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portion
How to operate the charger.
상기 충전 전력 공급의 중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는,
제 2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제 2 사용자 인증이 상기 이전에 수행된 제 1 사용자 인증과 동일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제 2 사용자 인증이 상기 이전에 수행된 제 1 사용자 인증과 상이하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동작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to the outside when the stop event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occurs,
Performing a second user authentication,
If the performed second user authentication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performed first user authentication, opening the cable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if the performed second user authentication differs from the previously performed first user authentication
How to operate the charger.
상기 제 1 및 2 사용자 인증은,
상기 충전에 따른 요금 결제를 위한 카드의 인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충전기의 동작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user authentication comprises:
And a step of recognizing the card for the payment according to the charging
How to operate the charger.
상기 충전기 본체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형상 부분에 배치되어, 열림 및 닫힘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외부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충전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은,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의 인증 결과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충전기.A charger main body;
A cable connectio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charger main body and to which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A door disposed in the shape of the cable connection part and opening or closing the cable connection part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nd
And a user authentication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harger main body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may be performed,
Wherein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means
charger.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상기 충전 케이블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케이블을 락 하는 락 장치가 더 포함되는
충전기.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charging cable so that the charging cable can not be disconnected when the door is closed while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part
char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2742A KR20140117878A (en) | 2013-03-27 | 2013-03-27 |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2742A KR20140117878A (en) | 2013-03-27 | 2013-03-27 |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7878A true KR20140117878A (en) | 2014-10-08 |
Family
ID=5199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2742A Ceased KR20140117878A (en) | 2013-03-27 | 2013-03-27 |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17878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8188A (en) * | 2015-06-16 | 2016-12-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anti-theft locking method of portable rechargeable cable |
US10479205B2 (en) | 2016-07-01 | 2019-11-19 | Hyundai Motor Company | Plug-i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220166072A (en) * | 2021-06-09 | 2022-12-16 | 이재용 | Charging payment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CN115512487A (en) * | 2022-11-07 | 2022-12-23 | 华北水利水电大学 | Publi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ti-theft socket and anti-theft and charging method |
-
2013
- 2013-03-27 KR KR1020130032742A patent/KR2014011787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8188A (en) * | 2015-06-16 | 2016-12-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anti-theft locking method of portable rechargeable cable |
US10479205B2 (en) | 2016-07-01 | 2019-11-19 | Hyundai Motor Company | Plug-i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220166072A (en) * | 2021-06-09 | 2022-12-16 | 이재용 | Charging payment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CN115512487A (en) * | 2022-11-07 | 2022-12-23 | 华北水利水电大学 | Publi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ti-theft socket and anti-theft and charg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38851B (en) | Charging cable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cable | |
US9908506B2 (en) |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 |
CN107627867B (en) | Charging authorization method for object to be charged, automatic author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equipment | |
US9592736B2 (en) | Controlling a locking device of an electric charging port | |
US8560147B2 (en) |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 |
CN109866648A (en) | Intelligent charging method for electromobile and system | |
US11155178B2 (en) | Power-feed connector disconnection device and charging device | |
US20130110340A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 |
US20100194529A1 (en) | Management system for charging plug-in vehicle | |
US1012129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vehicle | |
CN106585393A (en) |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power transfer system | |
CN102162321A (en) | Electronic unlatch system for vehicle door | |
CN107221973A (en) | Object to be charged, the method for authenticating of charging equipment and system | |
CN113173096B (en) | Charging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 |
JP2013240127A (en) |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 |
KR20140117878A (en) |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 |
KR101717324B1 (en) |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 |
TWI565188B (en) | For the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 |
KR20190103613A (en) | Charging control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CN111731148A (en) | Method for realizing vehicle battery charging based on remote ignition and vehicle | |
CN104724005B (en) | Intelligent automobile key | |
CN115891880A (en)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ic quantity of battery in vehicle and vehicle | |
JP2015195660A (en) | Vehicle mounted with battery | |
KR101252965B1 (en) |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 |
JP7044556B2 (en) |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nd extern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