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9851B1 -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851B1
KR101139851B1 KR1020090035389A KR20090035389A KR101139851B1 KR 101139851 B1 KR101139851 B1 KR 101139851B1 KR 1020090035389 A KR1020090035389 A KR 1020090035389A KR 20090035389 A KR20090035389 A KR 20090035389A KR 101139851 B1 KR101139851 B1 KR 10113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electrode
film
memory device
resistance ch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793A (ko
Inventor
황현상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3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85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6Complex metal oxides, e.g. perovskites, spi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전도성 나노 입자,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상에 위치하는 저항 변화 물질막 및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소자 제조방법은 제1 전극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의 단백질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상에 저항 변화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 상에 제2 전극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저항변화 메모리, 전도성 나노 입자

Description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Nonvolatile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60년대부터 연구되어온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ReRAM,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소자는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MIM(Metal Insulator Metal) 구조로서, 적기적 신호를 가하였을 때 저항이 커서 전도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저항이 작아 전도가 가능한 상태로 바뀌는 메모리 스위칭 특징이 나타난다.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는 접근시간(Acess Time)이 빠르며, 낮은 전압에서도 소자의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작은 특징이 있다. 또한, 빠른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며, 간단한 기억소자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공정상의 결함을 줄일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는 필라멘트의 형성 및 끊어짐(ON/OFF)을 유도하여 소자를 동작시키는데, 종래의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의 경우, 소정 전계에서 단위 면적당 형성되는 필라멘트의 개수가 균일하지 않으며 반복적인 스위칭 동 작에서 서로 다른 필라멘트가 형성될 수 있어 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위칭 재현성과 균일성이 향상된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전도성 나노 입자,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상에 위치하는 저항 변화 물질막 및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는 Fe, Ni, Cr 또는 Co층일 수 있다.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은 금속산화물막, PCMO(Pr1-XCaXMnO3, 0<X<1)막, 칼코게나이드막 또는페로브스카이트막일 수 있다.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은 SiO2 막, Al2O3 막, HfO2 막, ZrO2 막, Y2O3 막, TiO2 막, NiO 막, Nb2O5 막, Ta2O5 막, CuO 막, Fe2O3 막, La 막, Ce 막, Pr 막, Nd 막, Sm 막, Gd 막, Dy 막, GeSbTe 막, SrTiO3막, 또는 Cr 또는 Nb 도핑된 SrZrO3막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비휘발성 저항변화메모리소자 제조방법은 제1 전극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의 단백질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상에 저항 변화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 상에 제2 전극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은 자기조립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기조립방법은 정전하 작용법 또는 드랍렛 증발법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에 구비된 단백질의 제거는 자외선 처리 또는 오존 처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소자는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를 환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의 환원은 환원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환원성 분위기는 수소분위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에 집중된 전계로 인해 전도성 필라멘트의 위치 및 개수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셋 단계-리셋 단계 즉, 저저항 상태-고저항 상태 사이의 반복적인 스위칭 동작에서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가 형성 또는 소멸될 수 있므로, 스위칭 재현성과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전극(12)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전극(12)은 Pt 막, Au 막, Cu 막, Ti 막, Ru 막, Ir 막 또는 Al 막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14)은 구형의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들이 다수개 배치된 층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 질 결정층(14)은 페리틴(ferritin)층일 수 있다. 상기 페리틴은 내부에 금속이온이 위치하고, 외부에 상기 금속이온을 감싸는 단백질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은 철이온, 니켈이온, 크롬이온 또는 코발트이온, 구체적으로 Fe3+, Ni+, Cr2+ 또는 Co3+일 수 있고, 상기 단백질은 아포페리틴(apoferritin)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14)은 자기조립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기조립방법은 정전하 작용법 또는 드랍렛 증발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전하 작용법은 상기 제1 전극(12) 상에 PTS(phenyltrriethoxysilane)와 같은 양전하 물질막을 형성한 후, 상기 양전하 물질막 상에 음전하를 띠는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을 도입시켜 전하결합에 의해 상기 제1 전극(12) 상에 상기 단백질 결정을 자기결합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드랍렛 증발법은 음전하를 띠는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과 양전하를 띠는 CTAB(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를 혼합한 용액을 상기 제1 전극(12) 상에 드랍(drop)시키고, 상기 양전하 물질이 공기/용액 계면에 있으려는 성질과 +/-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을 자기조립시키는 방법이다.
그 결과, 상기 제1 전극(12)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이 균일하게 배치된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1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도 1a의 14) 에 구비된 단백질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15)를 형성한다.
상기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14) 상에 자외선처리 또는 오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전극(12)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5)는 단백질 제거에 따른 산소와의 반응에 의해 산화물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은 Fe2O3, NiO, CrO2 또는 Co3O4일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5) 상에 저항 변화 물질막(16)을 형성한다.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16)은 금속산화물막(transition metal oxide layer), PCMO(Pr1-XCaXMnO3, 0<X<1)막,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막 또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막일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막은 SiO2, Al2O3,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막일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막은 HfO2, ZrO2, Y2O3, TiO2, NiO, Nb2O5, Ta2O5, CuO, Fe2O3, 또는 란타노이드 산화물막(lanthanoids oxide layer)일 수 있다. 상기 란타노이드는 La(Lanthanum), Ce(Cerium), Pr(Praseodymium), Nd(Neodymium), Sm(Samarium), Gd(Gadolinium), 또는 Dy(Dysprosium)일 수 있다. 상기 칼코게나이드막은 GeSbTe막일 수 있고, 상기 페로브스카이트막은 SrTiO3, Cr 또는 Nb 도핑된 SrZrO3막일 수 있다.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16)은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LD(Pulse laser deposition), ALD(Atomic layer deposition)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5)를 환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5)를 환원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환원성 분위기는 수소 분위기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5)는 하기 반응식 1에 의해 금속 상태(17)로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400℃~900℃의 온도에서 10 내지 60분간 수행할 수 있다.
[반응식 1]
MnOm + mH2 → nM + mH2O
상기 반응식 1에서, 상기 M은 Fe, Ni, Cr 또는 Co의 금속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상기 m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M이 Fe인 경우에 n은 2이고 m은 3일 수 있고, 상기 M이 Ni인 경우에 n은 1이고 m은 1일 수 있고, M이 Cr인 경우에 n은 1이고 m은 2일 수 있고, M이 Co인 경우에 n은 3이고 m은 4일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16) 상에 제2 전극(18)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전극(18)은 Co 막, Al 막, Ni 막, Fe 막, Ta 막, Ti 막, Au 막, Pt 막, Cr 막, Cu 막 또는 Ag 막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메모리 소자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원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메모리 소자의 제1전극(12)과 제2 전극 사이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하여 전원을 연결한다.
도 3a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8) 사이에 셋 전계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12)에 인가되는 전압을 기준으로 제2 전극(18)에 양의 전압을 인가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전극(12)에 기준전압(Vr)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18)에 양의 셋 전압(Vs)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7)에 전계가 집중된다. 그 결과,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16)의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7)에 인접하는 부분은 상기 전계에 의해 전기적 파괴(electrical breakdown)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으로 파괴된 부분은 대전 영역(charged region) 예를 들어, 결함(defect), 상 분리 영역(phase separation region), 또는 전위(dislocation)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함, 상기 상분리 영역 또는 상기 전위는 댕글링 본드들(dangling bond)을 구비하여, 상기 댕글링 본드들을 통해 전도성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16) 내에 국부적으로 전도도가 높은 영역 즉, 전도성 경로가 제공되므로, 상기 소자는 상기 전도성 경로를 따라 필라멘트(17a)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자는 셋 상태 즉,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7)에 집중된 전계로 인해 전도성 필라멘트의 위치 및 개수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셋 단계-리셋 단계 즉, 저저항 상태-고저항 상태 사이의 반복적인 스위칭 동작에서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15a)가 형성 또는 소멸될 수 있므로, 스위칭 재현성과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17)에 집중된 전계로 인해 낮은 전계에서도 전도성 필라멘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8) 사이에 리셋 전계를 인가한다. 제1 전극(12)에 인가되는 전압을 기준으로 제2 전극(18)에 음의 전압을 인가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전극(12)에 기준전압(Vr)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18)에 음의 리셋 전압(Vrs)을 인가한다.
그 결과, 상기 전도성 필라멘트(17a)는 제거되고 상기 전극들(12, 18) 사이의 전도성 경로가 제거됨에 따라 소자는 리셋 상태 즉,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를 가질 수 있다.
실험예 1: 열처리에 따른 Co 전도성 나노 입자의 환원능력 평가
SiO2 기판 상에 드랍렛 증발법을 사용하여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은 내부에 Co3+가 위치한 페리틴 물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을 자외선에 노출시켜 단백질을 제거하여 Co3O4 전도성 나노 입자를 형성하였다.
상기 Co3O4 전도성 나노 입자의 열처리에 따른 환원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Co3O4 전도성 나노 입자가 형성된 샘플을 세 개 준비하고, 두 개의 샘플은 각각 450℃의 온도에서 60분 열처리 및 800℃의 온도에서 10분 열처리를 수행하고, 나머지 하나의 샘플은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았다. 이때, 상기 열처리는 수소분위기에서 수행되었다.
도 4a는 실험예 1에 따른 전도성 나노 입자의 환원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XPS 그래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Co3O4 전도성 나노 입자는 Co3O4의 표준 결합 에너지를 나타내는 약 779eV 부근에서 피크가 관측되었다(도 4a의 a).
한편, Co3O4 전도성 나노 입자를 4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779eV에서 강한 피크가 나타났으며, 약 793eV 부근에서 약한 피크가 관측되었다. 이는 Co 금속의 표준 결합 에너지가 793.2eV 및 778.1eV인 것을 참조하여 볼 때, Co3O4의 전도성 나노 입자을 열처리함으로써, Co 금속으로 환원되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4a의 b).
또한, Co3O4 전도성 나노 입자를 800℃의 온도까지 상승시켜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793.2eV 및 778.1eV에서 완전한 피크가 관측되었다(도 4a의 c).
상술한 측정 결과를 참조하여 볼 때, Co3O4 전도성 나노 입자는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Co 금속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는 450℃ 내지 800℃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는 800℃의 온도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b는 800℃에서 열처리를 수행한 Co 전도성 나노 입자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Co 전도성 나노 입자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Co 전도성 나노 입자는 약 7×1011/㎠의 밀도를 가지며, 이는 12nm×12nm 당 하나의 Co 전도성 나노 입자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난다.
이와 같이 단위 면적당 배치된 전도성 나노 입자가 균일한 경우,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를 비휘발성 메모리소자에 적용하였을 때, 균일한 스위칭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스위칭 동작에서도 재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메모리 소자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원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는 실험예 1에 따른 전도성 나노 입자의 환원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XPS 그래프이다.
도 4b는 800℃의 온도에서 10분간 열처리하여 제조된 Co 전도성 나노 입자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전극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의 단백질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전도성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상에 저항 변화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를 열처리하여 환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저항 변화 물질막 상에 제2 전극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열처리는 400℃ 내지 9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 함유 단백질 결정층은 자기조립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제거는 자외선 처리 또는 오존 처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은 수소분위기에서 이루어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는 Fe, Ni, Cr 또는 Co인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KR1020090035389A 2009-04-23 2009-04-23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13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89A KR101139851B1 (ko) 2009-04-23 2009-04-23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89A KR101139851B1 (ko) 2009-04-23 2009-04-23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93A KR20100116793A (ko) 2010-11-02
KR101139851B1 true KR101139851B1 (ko) 2012-05-02

Family

ID=4340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389A Active KR101139851B1 (ko) 2009-04-23 2009-04-23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58B1 (ko) * 2011-08-23 2015-03-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9166B1 (ko) * 2011-11-29 2019-08-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가변 저항체, 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356958B1 (ko) * 2012-04-10 2014-01-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1997B1 (ko) * 2012-08-24 2014-04-04 한국과학기술원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기술을 이용한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60100B1 (ko) * 2013-09-05 2014-1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휘발성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1154B1 (ko) * 2014-02-14 2015-06-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변화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29424B1 (ko) * 2018-11-16 2020-07-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바이오 재료를 활용한 저항 스위칭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815970B1 (ko) * 2023-03-24 2025-06-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63A (ko) * 2005-06-23 2006-12-28 서동학 나노 입자와 고분자 소재로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070043444A (ko) * 2005-10-21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 도트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95761A (ko) * 2007-04-25 2008-10-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65003A (ja) 2007-09-07 2009-03-26 Panasonic Corp 抵抗変化素子とその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63A (ko) * 2005-06-23 2006-12-28 서동학 나노 입자와 고분자 소재로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070043444A (ko) * 2005-10-21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 도트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95761A (ko) * 2007-04-25 2008-10-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65003A (ja) 2007-09-07 2009-03-26 Panasonic Corp 抵抗変化素子とそ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93A (ko)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851B1 (ko)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nda et al. Nonvolatile Memr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of TiO $ _ {\bm 2} $ Films Embedded With Nickel Nanocrystals
Ismail et al. Stabilized and RESET-voltage controlled multi-level switching characteristics in ZrO2-based memristors by inserting a-ZTO interface layer
KR100983175B1 (ko) 산화물막과 고체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소자, 및 이의 동작방법
Gao et al. Enhanced res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in Al2O3 memory devices by embedded Ag nanoparticles
Jabeen et al. Impact of work function on the res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of M/ZnO/CeO2/Pt devices
Goux et al. Optimized Ni oxidation in 80-nm contact holes for integration of forming-free and low-power Ni/NiO/Ni memory cells
Zhao et al. Synaptic learning behavior of a TiO2 nanowire memristor
Kang et al. NiO-based resistive memory devices with highly improved uniformity boosted by ionic liquid pre-treatment
Sahoo Conduction and switching behavior of e-beam deposited polycrystalline Nb2O5 based nano-ionic memristor for non-volatile memory applications
Hu et al. Resistive switching and synaptic learning performance of a TiO2 thin film based device prepared by sol–gel and spin coating techniques
Yazdanparast et al. Copper nanofilament formation during unipolar resistance switching of electrodeposited cuprous oxide
RU2472254C1 (ru) Мемристор на основе смешанного оксида металлов
US7297975B2 (en) Non-volatile, resistive memory cell based on metal oxide nanoparticles,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mory cell arrangement of the same
JP6517184B2 (ja) 半金属及び/又は半導体の電極を備える不揮発性メモリ
Munjal et al. Compliance current controlled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in Ag/CoFe2O4/Pt resistive switching device
US8530873B2 (en) Electroforming free memr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JP2007036256A (ja) 金属酸化物ナノ粒子に基づく不揮発性抵抗メモリセ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メモリセル配置
Hu et al. Unipolar resistive switching effect and mechanism of solution-processed spinel Co3O4 thin films
CN111293219B (zh) 阻变存储器件
Prakash et al. Improvement of uniformity of resistive switching parameters by selecting the electroformation polarity in IrOx/TaOx/WOx/W structure
CN103633243B (zh) 一种电阻型存储器的制备方法
KR102395031B1 (ko) 멤리스터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ana et al. Formation-polarity-dependent improved resistive switching memory performance using IrOx/GdOx/WOx/W structure
Hu et al. Res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in manganese oxide and tantalum oxid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