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8037B1 -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037B1
KR101138037B1 KR1020100062105A KR20100062105A KR101138037B1 KR 101138037 B1 KR101138037 B1 KR 101138037B1 KR 1020100062105 A KR1020100062105 A KR 1020100062105A KR 20100062105 A KR20100062105 A KR 20100062105A KR 101138037 B1 KR101138037 B1 KR 10113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locking
connecting portion
housing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362A (ko
Inventor
최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6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037B1/ko
Priority to PCT/KR2011/004617 priority patent/WO2012002678A2/ko
Publication of KR2012000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0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파이프 등의 유체파이프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유체호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Quick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100)는 록킹부재(120)에 외부 충격이 작용하게 되면 각 록킹편(121)의 회동중심돌기(122)를 중심으로 각 록킹편(121)의 탄성지지편(126) 쪽이 오므려지면서 각 록킹편(121)의 록킹부(125) 쪽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하우징(1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111)에 록킹된 유체파이프(160)가 분리될 우려가 있었던 바,
일측에 유체파이프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체호스 접속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 접속부에 삽입되는 유체파이프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와 하우징 유체파이프 접속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링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링이 구비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외부 양측에 각각 록킹부재 접속부를 돌출 형성하고, 각 록킹부재 접속부의 선단과 후단에 끼움구멍과 지지구멍을 마련하며, 상기 록킹부재의 양측에 상기 하우징의 록킹부재 접속부에 접속되고 내측 중앙에 회동중심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록킹편을 마련하고, 양 록킹편의 사이에 밀폐링과 스페이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을 마련하되,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외부 둘레에 상기 록킹부재의 수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해제 방지링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는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외부 둘레에 록킹해제 방지링을 결합하게 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유체파이프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a Quick Connect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파이프 등의 유체파이프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유체호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Quick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유체파이프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는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파이프 등의 유체파이프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유체호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한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종래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측에 유체파이프 접속부(211)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체호스 접속부(212)가 마련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211)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 접속부(211)에 삽입되는 유체파이프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킹부재(220)와; 상기 하우징(20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211)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와 하우징 유체파이프 접속부(21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링(230)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23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링(240)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230)과 스페이스링(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250);으로 이루어지는 것 등이 사용되었다.
상기 종래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200)는 하우징(2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211)에 유체파이프를 투입하면 탄성걸림편을 구비하는 록킹부재(220)를 통해 유체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록킹부재(220)의 탄성누름편을 일측으로 눌러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유체파이프를 하우징(2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21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고 원가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록킹부재(220)의 조작부위가 하우징(210)의 선단에 근접되기 때문에 유체파이프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 측벽 등의 고정벽면과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조작성이 매우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일측에 유체파이프 접속부(111)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체호스 접속부(112)가 마련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111)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 접속부(111)에 삽입되는 유체파이프(16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킹부재(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111)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160)와 하우징 유체파이프 접속부(11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링(130)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13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링(140)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111)의 외부 양측에 각각 록킹부재 접속부(113)를 돌출 형성하고, 각 록킹부재 접속부(113)의 선단과 후단에 끼움구멍(114)과 지지구멍(115)을 마련하며, 상기 록킹부재(120)의 양측에 상기 하우징(110)의 록킹부재 접속부(113)에 접속되고 내측 중앙에 회동중심돌기(122)가 돌출 형성되는 록킹편(121)을 마련하고, 양 록킹편(121)의 사이에 밀폐링(130)과 스페이스링(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123)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100)를 제안(2009년 특허출원 제92588호)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100)는 밀폐링(130)과 스페이스링(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123)이 록킹부재(120)에 일체로 마련되므로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하우징(110)의 선단으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한 록킹부재(120)의 후방부위를 눌러 유체파이프의 록킹을 해제하게 되므로 유체파이프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 측벽 등의 고정벽면과 간섭을 배제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록킹부재(120)에 외부 충격이 작용하게 되면 각 록킹편(121)의 회동중심돌기(122)를 중심으로 각 록킹편(121)의 탄성지지편(126) 쪽이 오므려지면서 각 록킹편(121)의 록킹부(125) 쪽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하우징(1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111)에 록킹된 유체파이프(160)가 분리될 우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록킹부재의 조작부위를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먼 위치에 마련하여 유체파이프에 착탈할 때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에 록킹된 유체파이프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유체파이프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체호스 접속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 접속부에 삽입되는 유체파이프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와 하우징 유체파이프 접속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링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링이 구비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외부 양측에 각각 록킹부재 접속부를 돌출 형성하고, 각 록킹부재 접속부의 선단과 후단에 끼움구멍과 지지구멍을 마련하며, 상기 록킹부재의 양측에 상기 하우징의 록킹부재 접속부에 접속되고 내측 중앙에 회동중심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록킹편을 마련하고, 양 록킹편의 사이에 밀폐링과 스페이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을 마련하되,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외부 둘레에 상기 록킹부재의 수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해제 방지링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에 있어서 록킹해제 방지링은 하단부가 절제되어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되며, 상단 중앙에 회전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양측에 각각 록킹해제 방지용 돌출부가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는 상기 록킹해제 방지링의 회전손잡이부의 선단에 끼움홈을 갖는 끼움편이 마련되고,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상단 중앙에 상기 끼움편의 끼움홈에 접속되어 록킹해제 방지링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기가 마련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는 밀폐링과 스페이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이 록킹부재에 일체로 마련되므로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한 록킹부재의 후방부위를 눌러 유체파이프의 록킹을 해제하게 되므로 유체파이프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 측벽 등의 고정벽면과 간섭을 배제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의 외부 둘레에 록킹해제 방지링을 결합하게 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유체파이프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한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종래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동 본 출원인의 선출원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8은 동 실시예의 고정링 분해사시도
도 9는 동 실시예의 고정링 결합부위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동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동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동 실시예의 고정링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동 실시예의 고정링 결합부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300)는 일측에 유체파이프 접속부(311)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체호스 접속부(312)가 마련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삽입되는 유체파이프(36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킹부재(320)와; 상기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360)와 하우징 유체파이프 접속부(31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링(330)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33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링(340)과; 상기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320)의 수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해제 방지링(350);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310)은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부 양측에 각각 록킹부재 접속부(313)가 돌출 형성되고, 각 록킹부재 접속부(313)의 선단과 후단에 끼움구멍(314)과 지지구멍(315)이 마련된다.
록킹부재(320)는 상기 하우징(310)의 록킹부재 접속부(313)에 접속되고 내측 중앙에 회동중심돌기(322)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록킹편(321)의 사이에 밀폐링(330)과 스페이스링(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323)이 마련되며, 각 록킹편(321)과 안전링(323)은 S형 연결편(324)으로 연결된다.
상기 록킹부재(320)의 각 록킹편(321)의 선단부 내측에는 하우징 록킹부재 접속부(313)의 끼움구멍(314)에 삽입 결합되어 파이프 접속부(311)에 투입되는 유체파이프(360)를 록킹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325)가 마련된다.
상기 록킹부(325)의 전방에는 유체파이프(360)를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로 유도하는 유도경사면(325a)이 마련되며, 록킹부(325)의 후방에는 유체파이프(360)의 걸림플랜지(361)에 걸려 유체파이프(3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턱(325b)이 마련된다.
그리고 록킹부재(320)의 각 록킹편(321)의 후단부 내측에는 하우징 록킹부재 접속부(313)의 지지구멍(315)에 삽입되어 록킹편(321)의 회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편(326)이 마련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록킹해제 방지링(350)은 하단부가 절제되어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 형태로, 상단 중앙에 회전손잡이부(351)가 마련되고, 양측에 각각 록킹해제 방지용 돌출부(352)가 마련된다.
상기 록킹해제 방지링(350)의 회전손잡이부(351)의 선단에 끼움홈(353a)을 갖는 끼움편(353)이 마련되고,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상단 중앙에 상기 끼움편(353)의 끼움홈(353a)에 접속되어 록킹해제 방지링(3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기(318)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300)는 유체파이프(360)를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투입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유체파이프(360)를 하우징(310)에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유체파이프(360)를 접속한 후에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부 둘레에 록킹해제 방지링(350)을 설치하게 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유체파이프(360)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300)에 있어서는 유체파이프(360)를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투입하게 되면 유체파이프(360)의 선단부가 록킹부재(320)의 각 록킹편(321)의 록킹부(325)에 마련된 유도경사면(325a)을 따라 유체파이프 접속부(311)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에서 유체파이프 접속부(311)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파이프(360)의 걸림플랜지(261)가 록킹부재(320)의 록킹부(325)를 지날 때에는 각 록킹편(321)의 회동중심돌기(322)를 중심으로 각 록킹편(321)의 록킹부(325) 쪽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각 록킹편(321)의 탄성지지편(326) 쪽이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된다.
그리고 유체파이프(360)의 걸림플랜지(261)가 록킹부(325)를 통과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탄성지지편(326)이 신장되면서 각 록킹편(321)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각 록킹편(321)의 록킹부(325) 후단에 마련된 록킹턱(325b)이 유체파이프(360)의 걸림플랜지(261)에 걸리게 되어 유체파이프(360)를 록킹하게 된다.
유체파이프(360)를 설치한 후에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부 둘레에 록킹해제 방지링(350)을 결합하게 되면 록킹해제 방지링(350)의 양측의 록킹해제 방지용 돌출부(352)가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와 록킹편(321)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록킹편(32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록킹편(321)의 탄성지지편(326) 쪽이 안쪽으로 오므려질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유체파이프(36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된다.
한편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록킹된 유체파이프(36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서 록킹해제 방지편(350)을 분리하거나 록킹해제 방지편(35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록킹해제 방지링(350)의 양측의 록킹해제 방지용 돌출부(352)가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와 록킹편(321) 사이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에 각 록킹편(321)의 탄성지지편(326) 쪽을 누르게 되면 각 록킹편(321)의 회동중심돌기(322)를 중심으로 각 록킹편(321)의 탄성지지편(326) 쪽이 오므려지면서 각 록킹편(321)의 록킹부(325)쪽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삽입된 유체파이프(36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0 : 퀵 커넥터
310 : 하우징
311 : 유체파이프 접속부
312 : 유체호스 접속부
313 : 록킹부재 접속부
314 : 끼움구멍
315 : 지지구멍
318 : 끼움돌기
320 : 록킹부재
321 : 록킹편
322 : 회동중심돌기
323 : 안전링
324 : S형 연결편
325 : 록킹부
325a : 유도경사면
325b : 록킹턱
326 : 탄성지지편
330 : 밀폐링
340 : 스페이스링
350 : 록킹해제 방지링
351 : 회전손잡이
352 : 록킹해제 방지용 돌출부
353 : 끼움편
353a : 끼움홈
360 : 유체파이프
361 : 걸림플랜지

Claims (3)

  1. 일측에 유체파이프 접속부(311)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체호스 접속부(312)가 마련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에 삽입되고, 외측으로 걸림플랜지(361)를 구비하고 있는 유체파이프(36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킹부재(320)와; 상기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360)와 유체파이프 접속부(31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링(330)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33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링(340)이 구비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부 양측에 각각 록킹부재 접속부(313)를 돌출 형성하고, 각 록킹부재 접속부(313)의 선단과 후단에 끼움구멍(314)과 지지구멍(315)을 마련하며, 상기 록킹부재(320)의 양측에 상기 하우징(310)의 록킹부재 접속부(213)에 접속되고 내측 중앙에 회동중심돌기(322)가 돌출 형성되는 록킹편(321)과, 양 록킹편(321)의 사이에 밀폐링(330)과 스페이스링(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323)을 마련하고,
    이 록킹부재(320)의 전방에는 유체파이프(360)를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로 유도하는 유도경사면(325a)과, 각 록킹편(321)의 후단부 내측에는 하우징 록킹부재 접속부(313)의 지지구멍(315)에 삽입되어 록킹편(321)의 회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편(326)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부 둘레에 상기 록킹부재(320)의 수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하단부가 절제되며 상단 중앙에 회전손잡이부(351)와, 양측에 각각 록킹해제 방지용 돌출부(352)가 마련된 록킹해제 방지링(35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방지링(350)은 하단부가 절제되어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 형태로, 상단 중앙에 회전손잡이부(351)가 마련되고, 양측에 각각 록킹해제 방지용 돌출부(35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방지링(350)의 회전손잡이부(351)의 선단에 끼움홈(353a)을 갖는 끼움편(353)이 마련되고, 하우징(310)의 유체파이프 접속부(311)의 상단 중앙에 상기 끼움편(353)의 끼움홈(353a)에 접속되어 록킹해제 방지링(3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기(318)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KR1020100062105A 2010-06-29 2010-06-29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Active KR10113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05A KR101138037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PCT/KR2011/004617 WO2012002678A2 (ko) 2010-06-29 2011-06-24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05A KR101138037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62A KR20120001362A (ko) 2012-01-04
KR101138037B1 true KR101138037B1 (ko) 2012-04-23

Family

ID=4540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105A Active KR101138037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8037B1 (ko)
WO (1) WO2012002678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722A (ko) 2015-06-19 2016-12-28 (주)동아금속 퀵 커넥터
KR20220021172A (ko) 2020-08-13 2022-02-22 이규한 일체형 퀵 커넥터
KR20220021178A (ko) 2020-08-13 2022-02-22 이규한 일체형 퀵 커넥터
KR20220023188A (ko) 2020-08-20 2022-03-02 이규한 일체형 퀵 커넥터
KR20240008093A (ko)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퀵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805B (zh) * 2013-11-06 2018-01-05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快速连接器装置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CN111102411A (zh) * 2018-10-26 2020-05-05 瑞肯耐特流体控制系统(镇江)有限公司 快速连接器、滑动锁及套接部件
FR3098566B1 (fr) * 2019-07-12 2021-06-11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CN110985791A (zh) * 2019-12-10 2020-04-10 宁波恒帅股份有限公司 一种管路用快速接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616A (en) 1996-06-20 2000-07-18 A. Raymond & Cie Releasable plug connector with fitting indicator
US6536807B1 (en) 1998-05-20 2003-03-25 A. Raymond & Cie Detachable fast-coupling having an automatic assembly indicator
KR20080108506A (ko) * 2006-04-26 2008-12-15 아. 레이몽 에 씨에 유체 라인 커플링
US20100019483A1 (en) 2006-10-04 2010-01-28 A. Raymond Et Cie Coupling part for a fluid line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443A (en) * 1992-09-15 1994-01-04 Itt Corporation Sliding collar quick connect
JP2008001253A (ja) * 2006-06-23 2008-01-10 Piolax Inc ベント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616A (en) 1996-06-20 2000-07-18 A. Raymond & Cie Releasable plug connector with fitting indicator
US6536807B1 (en) 1998-05-20 2003-03-25 A. Raymond & Cie Detachable fast-coupling having an automatic assembly indicator
KR20080108506A (ko) * 2006-04-26 2008-12-15 아. 레이몽 에 씨에 유체 라인 커플링
US20100019483A1 (en) 2006-10-04 2010-01-28 A. Raymond Et Cie Coupling part for a fluid line coupl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722A (ko) 2015-06-19 2016-12-28 (주)동아금속 퀵 커넥터
KR20220021172A (ko) 2020-08-13 2022-02-22 이규한 일체형 퀵 커넥터
KR20220021178A (ko) 2020-08-13 2022-02-22 이규한 일체형 퀵 커넥터
KR20220023188A (ko) 2020-08-20 2022-03-02 이규한 일체형 퀵 커넥터
KR20240008093A (ko)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퀵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2678A3 (ko) 2012-05-03
WO2012002678A2 (ko) 2012-01-05
KR20120001362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037B1 (ko)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US10001237B1 (en) Anti-loosening buckle and hose connector using same
US20100215322A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Device using the Same
KR101028253B1 (ko)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JP494106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9073520B2 (en) Connecting device for windscreen wipers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42421B2 (ja) 管継手
KR101500408B1 (ko) 커플링
JP2015055357A (ja) ボタン解除に用いる一体ばねアームを含むラッチを有するクイックコネクト流体導管コネクタ
TWI670195B (zh) 框架鎖
WO2015068867A1 (ko) 퀵 커넥터 장치
HK1205080A1 (en) Plug body of a beverage container
WO2010136832A3 (en) Connector with lever
KR101532253B1 (ko) 정수기 필터 탈착 장치
US20210018129A1 (en) Rotating Female Portion and Ergonomic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KR20140092671A (ko) 결합 요소 및 결합 요소를 위한 잠금 해제 요소
EP1925764B1 (en) Handle for vehicle doors, handle and tool as well as proce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is handle
US11187363B2 (en) Cam lock fitting with vent and safety lock
ITMI20061445A1 (it) Dispositivo di connessione rapida tra due componenti di impianti per la distribuzione di liquidi o di gas,ad elevata sicurezza contro la manomissione.
WO2017110915A1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JP5839288B2 (ja) コネクタ
CN210106830U (zh) 快速管接头及接头组件
US20180198233A1 (en) Lever-type connector
KR101327682B1 (ko) 퀵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