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2246B1 -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246B1
KR101132246B1 KR1020110080692A KR20110080692A KR101132246B1 KR 101132246 B1 KR101132246 B1 KR 101132246B1 KR 1020110080692 A KR1020110080692 A KR 1020110080692A KR 20110080692 A KR20110080692 A KR 20110080692A KR 101132246 B1 KR101132246 B1 KR 10113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insenoside
hair growth
growth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김보현
장진동
조기정
신대현
이현용
최운용
안주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소망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소망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2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중 특정한 성분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그 성능을 극대화한 육모제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를 주성분으로 하는 육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의 중량비는 2:1 내지 8: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육모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The hair growth solution mainly comprised of ginsenoside Rg3 and Rh2, and the hair treatm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중 특정한 성분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그 성능을 극대화한 육모제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홍삼 및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를 함유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아래 구조식 1의 진세노사이드 Rg3와 구조식 2의 Rh2를 배합하였을 때 육모 효과를 거둘 수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2:1 내지 8:1의 비율로 함유하도록 하였을 경우 발모 및 양모 효과가 가장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화장제는 탈모 방지 효과, 육모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하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은 장점이 있어 오랜 기간 동안 모발 및 두피에 적용하는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제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1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2

인간의 모발은 두개골 보호, 체온 조절 및 외부충격이나 자외선 등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외모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여서 사회적인 활동에 영향을 줌으로써,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탈모예방 및 양모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모발의 성장은 한계를 가지고 있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성장을 멈추고 자연스럽게 탈락하게 된다. 이러한 모발의 생리주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루에 100 이내의 모발이 빠지고 신생모가 성장하며, 이러한 모발의 재생회수는 일생동안 수십 차례 반복된다.
하지만 외부의 자극 또는 내적 요인에 의해 빠지는 모발의 수가 증가할수록 머리숱은 적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의학적으로 탈모증(Alopecia)라 한다. 즉 탈모는 두피로부터 빠지는 모발이 상대적으로 신생모보다 많아지면서 머리숱이 적어지는 이상 현상으로, 모발 생성에 필요한 영양분 및 신진대사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일종의 병리현상으로 볼 수 있다.
탈모 현상이 나타나는 모발은 성장기의 기간이 짧은 반면 휴지기의 기간이 길며, 새로 자란 모발이 완전히 성장하지 못하고 탈락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탈모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과 남성호르몬의 영향,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타나는 노화현상 등 다양하나 그 원인이 어느 한 가지에 의해 일어나기 보다는 복합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탈모를 유발한다고 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영양부족, 모생성 및 성장에 관여하는 효소 저해 및 이상, 피지분비의 장애, 모근 변형, 두피 건조 및 감염, 두피 긴장 등이 알려져 있으며 국소감염, 내분비 장애, 혈관 장애,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요인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면역학적인 측면에서 그 원인을 제시한 연구가 있지만 그 직접적인 근거는 알려진 바 없다.
현대 사회에서는 각종 오염과 스트레스 등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하여 탈모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것 중의 하나가 정신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이다. 사회적인 스트레스가 증가되면서 젊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조발성 탈모가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세 이상의 남성 80% 정도가 탈모증으로 고민하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또한 최근 탈모증으로 치료받는 젊은 층의 환자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여성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외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경제력 향상 등에 기인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탈모증 환자의 수와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탈모에 대한 치료 및 관련 약품, 식품 등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탈모예방 및 방지를 위한 방법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탈모 관리를 위한 관리형태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적인 방법으로 모발이식수술이 있으며, 발모효과를 높이기 위한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현재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모국소도포제로 인정한 미녹시딜(minoxidil)이 대표적이다. 이외에 경구제로 프로페시아(propecia)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모발이식의 경우 고가의 경제적 부담과 시술 후 관리 방법이 어렵다는 점, 그리고 이는 근본적으로 모근과 모낭을 치료하는 방법이 아니라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발모 개선을 위한 화학물을 첨가한 육모제는 부작용 문제와 단기 효과 외의 지속적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미녹시딜 같은 경우에는 고혈압 치료제로 개발되어 승인을 받았으나 임상시험에서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나타나자 바르는 발모제로 개발하여 승인받은 경우이다. 미녹시딜은 모근 내의 혈류를 증가시킴으로써 발모 효력을 나타내는 약물로서 혈압 강하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저혈압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체질에 따라 적용량이 다르게 처방되어야 하며, 두피에 적용 시 피부에 지속적으로 남아있지 않을 경우 그 효과가 감소되는 동시에 혈류로 흡수되어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홍삼 및 인삼으로부터 유래한 진세노사이드 Rh2와 Rg3를 혼합하고 나아가 그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탈모 방지 효과와 육모 및 발모 효과 등이 매우 우수한 모발 화장제를 안출하게 되었다.
인삼(Panax ginseng C.A. Mayer)은 수천 년간 사용되어진 대표적인 약용식물이자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triterpenoid saponins을 비롯한 polyacetylenes, phenolic compounds, polysaccharides, peptidoglycans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면역 증강, 암세포 증식 및 전이 억제 작용, 항스트레스, 항산화, 기억 및 학습 능력 증진 등의 여러 가지 약리작용이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한방뿐 아니라 현대의학에서도 의약품 및 기능성 보조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삼 및 홍삼의 진세노사이드는 현재 약 30종류 이상이 분리 보고되고 있다. 진세노사이드는 개별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각각 다양한 생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추신경계 자극효과와 기력항진능, 혈관확장능에 대한 효과가 보고돼 있고, 중추신경계 자극효과와 혈관확장능, 중추신경 억제작용,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부신피질호르몬 촉진, 인슐린 유사작용, 항염증 작용, 해독작용과 적혈구 용해 작용 등에도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식물체에도 존재는 하나 화학구조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인삼의 진세노사이드가 약성이 매우 온화하고 과량투여에 의한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용혈작용도 거의 없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인삼 또는 홍삼의 진세노사이드가 육모 및 발모와 관련하여 개발된 사례로는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제(일본공개특허 1985-038314),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한국등록특허 0834108), 홍삼 조사포닌과 감초, 비오틴, 쿠퍼 펩타이드, 사이토카인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 이를 함유한 헤어 케어용 화장료(한국등록특허 9753437), 진세노사이드 Ro를 함유하는 조성물(한국공개특허 2008-084117)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많은 연구와 특허를 통해 그 효과를 포함한 피부 안정성과 제형 안정성을 평가받았다.
하지만 상기 사례들은 인삼 및 홍삼 추출물 또는 진세노사이드를 일부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거나, 혼합물을 사용할 시 특정한 비율이 아닌 조사포닌과 같은 일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홍삼으로부터 분리되는 진세노사이드는 수율이 매우 낮고, 다른 소재에 비해 고가이기 때문에 사업적 소재로 사용 시 경제적 면에서 효율이 낮고,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모발 화장제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낮았다. 그렇기 때문에 홍삼 또는 인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처럼, 진세노사이드를 일부 포함한 다수 성분의 무작위적 혼합물을 대상으로 하여 탈모 방지, 육모 촉진 특징을 주장하는 사례는 있지만 육모 효과가 가장 우수한 진세노사이드만을 분리하거나 나아가 그 성분 간의 배합까지 고려하여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밝힌 사례는 없었다.
요컨대 홍삼 및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의 다양한 단일 성분에 대한 약리적 효과는 이미 과학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를 함유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제에 대해서는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복합적인 작용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이를 활용한 제제 개발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즉 기존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 모발 화장료 및 화장제는 발모, 육모, 양모 또는 피부에 유용한 기능 등의 매우 넓은 범위의 기능을 내세운 포괄적인 목적을 가지고 개발된 화장제가 대부분이었으며,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되는 양상도 인삼 및 홍삼의 복합적인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진세노사이드가 일부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단일물을 사용하거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특정한 비율이 아닌 조사포닌과 같은 일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여 홍삼 및 인삼으로부터 유래된 진세노사이드 중 특정 성분을 효과적으로 배합함으로써 탈모 방지 효과와 육모 및 발모 효과 등이 매우 우수한 육모제와 모발 화장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자들은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에 효과적인 우수한 모발 화장제를 개발함과 동시에 그 효과를 보다 더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진세노사이드들을 배합해 보고 그 비율을 조절해본 결과, 본 발명을 안출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를 주성분으로 하는 육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의 중량비는 2:1 내지 8: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육모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발 화장제는 샴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팩, 샴푸와 린스의 혼합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발 화장제는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가 전체 화장료 중에 고형분으로서 0.0001 내지 20.0중량%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활성 성분인 인삼 또는 홍삼에서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는 우수한 육모 효과를 갖으며, 특히 양 성분이 2:1 내지 8:1의 비율로 함유되었을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육모제는 천연 추출물인 관계로 다른 합성 단일 원료와 달리 두피에 대한 부작용도 없다. 실제로 상기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해본 결과 생체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오랜 기간 동안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품 등으로 제조하여 두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이어서 추후,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조성비가 상기의 탁월한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비율 범위를 충족하는 추출 공정 및 가공 공정 개발시, 기존의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의 분리 공정을 생략하고 산업소재로 사용 가능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활성성분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2:1 내지 8:1의 중량 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는 우수한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모발 화장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샴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팩, 샴푸와 린스의 혼합형 등이 있다.
이러한 제형으로 모발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 다른 배합성분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 또는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일일 1000~5000 mg 정도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함유하는 성분들은 오랫동안 임상에 적용되어 인체 안정성이 입증되어 있는 성분들이며,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 개선을 위한 모발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홍삼 추출물 및 진세노사이드 Rg 3 와 진세노사이드 Rh 2 의 제조]
(1) 홍삼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홍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다음 80% 에탄올 1L에 첨가하고 65℃에서 4시간 동안 1, 2차에 걸쳐 추출하고, 감압여과 하여 홍삼추출물을 얻었다.
(2)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g3의 제조
인삼 또는 홍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후, 건조 중량 10배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인삼조사포닌 분리하였다. 조사포닌 10g을 50% 초산 35ml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70℃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식혔다. 반응액을 증류수로 300ml로 희석하고 n-부탄올 150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여 포화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n-부탄올층을 감압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라피(클로로포름 : 에탄올 : 물 = 100 : 30 : 10, 하층)으로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g3를 얻었다.
(3)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h2의 제조
인삼 또는 홍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후, 건조 중량 10배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인삼조사포닌 분리하였다. 분리된 조사포닌으로부터 프랩 엘시(Waters Co., Ltd. 미국, Delta prep 4000)을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h2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HPLC(Waters Co., Ltd. 미국, Waters 2690 Seperations Module, Waters 2487 Dual λ Absorbance deterctor)로 정성 분석하여 순도가 96%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진세노사이드 Rg 3 및 진세노사이드 Rh 2 의 혼합물 제조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의 혼합물은 다음 표에서 나타난 비율과 같이 혼합하였다(fig. 1).
[Fig. 1]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3

[실험예 1] 세포 독성 검사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인 CCD986sk를 4~5×104 cells/㎖가 되도록 배양한 후 96 well plate에 100㎕ 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준비된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와 Rg3/Rh2의 혼합물을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된 정상세포에 농도별로 각각 100 ㎕씩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되어 상등액을 제거하고 4℃, 10%(w/v) TCA(trochloroacetic acid)을 100 ㎕씩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정치한 후 증류수로 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plate를 완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plate의 각 well에 1%(v/v)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녹인 0.4% (w/v) SRB 용액을 100 ㎕씩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킨 후 결합되지 않은 염색액을 제거하기 위해 1% acetic acid로 4~5회 세척하였다.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된 후 10 mM Tris buffer 100 ㎕를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540 nm에서 micropal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ig. 2에 나타낸 것처럼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모두 피부섬유아세포에 대하여 28 % 미만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진세노사이드 Rg3/Rh2의 혼합물 또한 26~21% 내외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화장제 및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2. 본 발명에 따른 Rg3/Rh2 혼합물의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 도표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4

[실험예 2]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와 Rg3/Rh2 혼합물의 모유두세포에 대한 증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essenger 방법[Messenger, A.G., (1984) The culture of dermal papilla cells from human hair holliceles. Br. J. Dermatol. 110: 685-689.]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체 모낭에서 분리한 모유두세포 (dermal papilla cell)는 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 2mM L-gultamine (Gibco Inc, NY, USA)와 20% inactivated fetal calf serum (FBS,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DMEM (Hyclone Inc,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모유두세포 (dermal papilla cell)의 증식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 [Mossman, B. T. (1983) In vitro approaches for determining mechanisms of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by asbestos in the gastrointestinal and respiratory tracts. Environ Health Perspect. 53: 155-161.]를 수행하였다. 96 well plate에 1.0×104 cells/㎖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실험군은 준비된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와 Rg3/Rh2의 혼합물, 홍삼추출물을 100 ㎕ 씩 처리하였고, 대조군은 Rg3/Rh2의 혼합물과 홍삼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기본배지만을 넣었다. 2일 동안 배양한 후 2 ㎎/㎖의 MTT (Sigma, MO, USA) 용액을 각 well 당 50 ㎕ 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200 ㎕ 첨가한 후, 1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formazan을 녹였다. 그다음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Fig.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g3/Rh2 혼합물은 대조군, 홍삼추출물, 단일 Rg3 및 Rh2에 비해 높은 세포 증식을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홍삼추출물을 진피유두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105.0 ± 4.1%), 대조군의 증식효과 (100%)에 대해 0.9배 증식하였으며 모든 Rg3/Rh2 혼합물에 비해 낮은 증식을 보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도 Rg3/Rh2 혼합물에 비해 낮은 증식을 보였으며, Rg3/Rh2 혼합물 2:1 내지 8:1의 비율로 함유된 시료군은 152.5±2%~175.6±0.2%으로 세포에 처리한 시료군 중에서 가장 높은 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Rg3/Rh2 혼합물은 모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의 생장을 촉진하여 모유두세포가 모기질 세포를 자극하여 모발의 성장을 유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Rg3/Rh2 혼합물은 단일 Rg3, Rh2 및 홍삼추출물보다는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Fig. 3. 본 발명에 따른 Rg3/Rh2 혼합물의 모유두세포의 증식효과를 비교한 그래프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5

[실험예 3] 급성 독성 측정
5주령 수컷 ICR 마우스를 오리엔탈바이오에서 구매한 후 1주간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개체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 및 이의 혼합물을 각각 20mg/kg, 50 mg/kg, 100 mh/k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 모두에서 사망한 개체는 없었으며, 체중 증가 및 사료 섭취량 등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별다른 이상 증상을 발견하지 못함에 따라 본 발명의 제조물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용 샴푸의 제조
아래 Fig. 4와 같이 원료를 혼합하여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 4.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6

[실험예 4] 육모 효과 측정
5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오리엔탈바이오에서 구매한 후 1주간의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개체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당 마리수는 15마리로 설정하였다.
육모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등 쪽 피부의 색이 분홍색을 보이는 휴지기 체모의 6주령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Animal clipper를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제모를 실시하고, 제모제를 이용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제모된 부위에 붓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시료를 충분히 도포하였다. 시료처리는 매일 1회씩 실시하였으며, 육모의 육안적 평가연구 개시일로부터 4, 7, 10 및 14일 경과 후 양모 효과를 확인하였다. 양모 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에 자란 털의 정도(등판 털 제거 면적 중 시료처리 후 털이 자란 면적의 비율)를 육안으로 아래의 기준(fig. 5)에 따라 평가하였다. 기존 타사제품과 비교시험을 통하여 본 제품의 육모 효능을 평가하였다.
Fig. 5. 육모효과 판정 기준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7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 효과 측정 실험에 있어서는 Fig.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와 진세노사이드 Rh2가 2:1 내지 8:1의 비율로 함유한 조성물의 C57BL/6 마우스에 대한 효과를 볼 때, 10일이 지난 후 빠른 육모효과를 갖고 있어 기존 발모제와 보다 빠른 발모시작을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다른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기존의 판매되는 화학물질인 미녹시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에 비해 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모두 천연물질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장기 사용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으므로 미녹시딜과 같은 화학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비해 화장품 등에 적용하기에 더욱 우수한 장점이 있다.
Fig. 6. 발모 및 양모 활성
Figure 112011062606916-pat00008

위에서 살펴본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를 배합할 경우 육모 및 발모에서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특히 양자의 배합비를 2:1 내지 8:1의 중량비로 할 때 더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가 2:1 내지 8:1의 중량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제.
  4. 제3항에 있어서,
    모발 화장제는 샴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팩, 샴푸와 린스의 혼합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제.
  5. 제3항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 Rg3 및 진세노사이드 Rh2가 전체 화장료 중에 고형분으로서 0.0001 내지 20.0중량%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제.
KR1020110080692A 2011-08-12 2011-08-12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Active KR10113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92A KR101132246B1 (ko) 2011-08-12 2011-08-12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92A KR101132246B1 (ko) 2011-08-12 2011-08-12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246B1 true KR101132246B1 (ko) 2012-03-30

Family

ID=4614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92A Active KR101132246B1 (ko) 2011-08-12 2011-08-12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24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82A (ko) * 2001-03-27 2002-10-09 김원태 은행잎을 이용한 그 발효액 및 은행잎 당액 제조방법
KR101343857B1 (ko) 2012-09-12 2013-12-2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 홍삼 유래의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외용제 조성물
KR20140003198A (ko) * 2012-06-29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4175678A1 (ko) * 2013-04-24 2014-10-30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644650A (zh) * 2013-11-18 2015-05-27 富力 20(R)-人参皂苷Rg3在制备改善和/或治疗脱发病症药物中的应用
KR20160145320A (ko) 2015-06-10 2016-12-2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모 또는 탈모방지 조성물
KR20170031521A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70038382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에어로졸 제형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24174889A1 (zh) * 2023-02-23 2024-08-29 茵素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人参皂苷组合物、日用化学品、用途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82A (ko) * 2001-03-27 2002-10-09 김원태 은행잎을 이용한 그 발효액 및 은행잎 당액 제조방법
KR20140003198A (ko) * 2012-06-29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43857B1 (ko) 2012-09-12 2013-12-2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 홍삼 유래의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외용제 조성물
CN107661344A (zh) * 2013-04-24 2018-02-06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人参皂苷rg3的皮肤外用剂组合物的应用
CN105283189A (zh) * 2013-04-24 2016-01-2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人参皂苷rg3的皮肤外用剂组合物
WO2014175678A1 (ko) * 2013-04-24 2014-10-30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I636796B (zh) * 2013-04-24 2018-10-01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含人參皂苷Rg3的皮膚外用劑組合物
CN104644650A (zh) * 2013-11-18 2015-05-27 富力 20(R)-人参皂苷Rg3在制备改善和/或治疗脱发病症药物中的应用
KR20160145320A (ko) 2015-06-10 2016-12-2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발효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모 또는 탈모방지 조성물
KR20170031521A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70038382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에어로졸 제형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94637B1 (ko) * 2015-09-30 2022-05-09 (주)아모레퍼시픽 에어로졸 제형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24174889A1 (zh) * 2023-02-23 2024-08-29 茵素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人参皂苷组合物、日用化学品、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246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41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15055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13712968A (zh) 一种包含米诺地尔的药物组合物在防治脱发中的用途
KR10231198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4717B1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430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86266B1 (ko) 화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KR20210104608A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KR101167510B1 (ko) 인삼 사포닌 대사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10058772A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092093A (ko) 땅콩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1724870B1 (ko) 두피 염증 완화와 Wnt/β-catenin 신호전달 활성을 갖는 모발성장 촉진 조성물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4264B1 (ko)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40148227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2087A (ko) 괴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JP2002526395A (ja) 化粧品あるいは皮膚科製品におけるボルド抽出物の使用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CN115554380B (zh) 一种通过作用于毛囊组织防治脱发的组合物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