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9975B1 -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975B1
KR101129975B1 KR1020097019999A KR20097019999A KR101129975B1 KR 101129975 B1 KR101129975 B1 KR 101129975B1 KR 1020097019999 A KR1020097019999 A KR 1020097019999A KR 20097019999 A KR20097019999 A KR 20097019999A KR 101129975 B1 KR101129975 B1 KR 10112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inlet
bran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766A (ko
Inventor
다카히로 다이라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9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045Intake manifolds characterised by the charge distribution between the cylinders/combustion chambers or its homoge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02M35/10052Plenum chambers special shapes or arrangements of plenum chamber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12Intake manifolds fo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M)는 흡기 집합실(11)을 형성하는 집합부(10)와, 복수의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분기부(20)를 구비한다. 집합부(10)는, 흡기 집합실(11)을 구성하는 제1, 제2 공간(11a, 11b)을 각각 형성하는 제1, 제2 케이스(A, B)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제1, 제2 케이스(A, B)에는 코너부(31a, 31b)가 일체 성형된다. 제2 케이스(B)에는, 제1, 제2 케이스(A, B) 내부에 걸쳐 연장되어 코너부(31a, 31b)의 내면(31a1, 31b1)을 덮게 배치되는 정류부(40)가 설치된다. 정류부(40)는 내면(31a1, 31b1)에 비하여 흡기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면(44)을 갖는다. 이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의 집합부를 분할 구조로 함으로써, 집합부의 코너부의 형상에 상관없이 흡기 집합실에서의 흡기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체적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다기통 내연기관에 구비되는 흡기 매니폴드로서, 흡기 집합실을 형성하는 집합부와, 이 흡기 집합실로부터 분기되어 각 연소실에 흡기를 유도하는 복수의 흡기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에, 흡기 매니폴드와 연소실 사이의 흡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된 것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4431호 공보
흡기 입구를 갖는 흡기 집합실을 형성하는 집합부와, 이 흡기 집합실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흡기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흡기 부압이 작용하는 집합부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집합부의 코너부를 특정 형상, 예컨대 각진 형상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집합부에 분기부가 일체 성형되는 경우에는, 흡기 분기로를 형성하는 구멍용 성형 몰드의 이형(demolding)을 쉽게 하고, 성형 몰드의 복잡화에 따른 흡기 매니폴드의 비용 상승을 피하기 위해서, 집합부의 성형이 용이해지도록 집합부의 형상을 설정한다. 이 때, 이 구멍용 성형 몰드가 집합부의 코너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코너부를 특정 형상, 예컨대 각진 형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집합부의 강성상 또는 성형상의 요청에 기초한 집합부의 형상은, 흡기 집합실에서의 흡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체적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흡기 매니폴드의 집합부를 분할 구조로 함으로써, 집합부의 코너부의 형상에 상관없이 흡기 집합실에서의 흡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체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기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부가 집합부에 일체 성형될 때의 성형 몰드의 복잡화를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기 입구를 갖는 흡기 집합실을 형성하는 집합부와, 상기 흡기 집합실로부터 분기되어 내연기관의 각 연소실에 흡기를 유도하는 복수의 흡기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집합부는, 상기 흡기 집합실을 구성하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제1 분할체 및 제2 분할체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분할체 및 상기 제2 분할체 중 적어도 상기 제1 분할체에는 코너부가 일체 성형되며, 상기 제2 분할체에는, 상기 제1 분할체 내부 및 상기 제2 분할체 내부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코너부의 내면을 덮게 배치되는 정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정류부는, 상기 내면에 비하여 흡기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면을 갖는 것인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흡기 분기로는, 내연기관의 기통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집합부는, 상기 기통 배열 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흡기 입구를 가지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흡기 입구와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흡기 분기로 중 상기 흡기 입구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로의 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안내면은, 그 최대 곡률이 상기 코너부의 최대 곡률보다도 작은 만곡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체에는 상기 흡기 분기부가 일체 성형되고, 상기 정류부는, 상기 흡기 분기로의 가상 연장 통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체의 상기 코너부는 상기 가상 연장 통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흡기 매니폴드의 집합부는 제1, 제2 분할체로 구성되는 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집합부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등의 이유로 제1, 제2 분할체 중 적어도 제1 분할체에 코너부가 일체 성형되는 경우에도, 제2 분할체에 설치된 정류부에 의해 코너부의 형상에 상관없이 흡기 집합실에서의 흡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정류부는 제1, 제2 분할체 내부에 걸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 집합실에 있어서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흡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적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복수의 흡기 분기로를 내연기관의 기통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하고, 상기 집합부가, 상기 기통 배열 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흡기 입구를 가지며, 상기 안내면을, 상기 흡기 입구와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흡기 분기로 중 상기 흡기 입구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로의 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안내면은, 흡기 입구와 이 흡기 입구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 통로의 입구 양쪽 모두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흡기 입구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로에도 흡기가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한, 상기 안내면을 그 최대 곡률이 상기 코너부의 최대 곡률보다도 작은 만곡면으로 구성하면, 안내면은 코너부의 내면에 비하여 흡기를 보다 원활하게 안내한다.
제1 분할체에 상기 분기부를 일체 성형하고, 상기 정류부를 상기 흡기 분기로의 가상 연장 통로 상에 배치하며, 상기 제1 분할체의 상기 코너부를 상기 가상 연장 통로 영역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흡기 집합실로 유입된 흡기를 원활하게 흡기 분기로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흡기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부가 제1 분할체에 일체 성형되는 경우에도, 흡기 분기로를 형성하는 성형 몰드의 이형이 정류부에 의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집합부에 분기부가 일체 성형될 때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고, 성형 몰드의 복잡화를 막을 수 있어 흡기 매니폴드의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흡기 매니폴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기 매니폴드의 제1 케이스를 결합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흡기 매니폴드의 제2 케이스를 결합면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합부
11 : 흡기 집합실
20 : 분기부
22 : 흡기 분기로
31 : 코너부
40 : 정류부
44 : 안내면
M : 흡기 매니폴드
A : 제1 케이스
B : 제2 케이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흡기 매니폴드(M)는 분해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차량에 탑재되는 다기통 내연기관으로서의 직렬 4기통 내연기관에 구비된다. 이 내연기관은 복수인 소정수의 실린더, 여기서는 4개의 실린더가 직렬로 배열되어 일체 성형된 실린더 블록과, 이 실린더 블록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와, 이 실린더 헤드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로 구성되는 기관 본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연기관은, 상기 각 실린더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크랭크축을 회전 구동하는 피스톤과, 연소실에 흡기를 유도하는 흡기 장치와, 연소 가스를 배기 가스로 하여 상기 연소실로부터 내연기관의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소실은, 상기 각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끼워지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흡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된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에어클리너(1)와, 에어클리너(1)로부터의 공기를 함유하는 흡기의 흡기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밸브를 구비하는 스로틀 장치(2)와, 스로틀 장치(2)를 통과한 흡기를 각 연소실로 유도하는 흡기 매니폴드(M)를 구비한다.
상기 흡기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흡기 통로를 통과한 흡기는, 상기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각 흡기 포트를 경유하여 각 연소실에 흡입된다. 또한, 흡기에는, 연료가 흡기 장치 내부에서 공급되는 경우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 또는 연료가 연소실 내에 직접 공급되는 경우의 공기가 포함된다.
또한, 상류 및 하류의 용어는 흡기의 흐름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흡기 매니폴드(M)는, 스로틀 장치(2)로부터의 흡기가 유입되는 흡기 집합실(11)을 형성하는 집합부(10)와, 흡기 집합실(11)로부터 분기되어 각 연소실에 흡기를 각각 유도하는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분기부(20)와, 하류측 접속부로서의 하류측 플랜지(28)를 구비한다.
하류측 플랜지(28)에는, 각 흡기 분기로(22)에 연통하는 하류측 분기로를 형 성하는 하류측 흡기관(도시되지 않음)이 접속되고, 이 하류측 흡기관이 상기 실린더 헤드에 접속된다. 또한, 내연기관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하류측 흡기관을 통하지 않고, 하류측 플랜지(28)가 상기 실린더 헤드에 접속되어도 좋다.
집합부(10)는, 4개의 상기 실린더의 배열 방향인 기통 배열 방향(도 2, 도 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양단 실벽(12, 13)과, 각 흡기 분기로(22)의 입구(22i)가 개구되는 하류 실벽(14)과, 각 흡기 분기로(22)를 따르는 방향으로 하류 실벽(14)과 대향하는 상류 실벽(15)과, 제1 실벽으로서의 바닥벽(16) 및 제2 실벽으로서의 천장벽(17)을 가지며, 이들 실벽(12~17)이 일체로 연속됨으로써 흡기 집합실(11)이 형성된다. 흡기 집합실(11)은, 후술하는 흡기 입구(11i)를 갖는 도입로(11d)와 확대실(11e)로 구성된다.
기통 배열 방향으로 집합부(10)의 일단측(10c)에는, 스로틀 장치(2)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밸브가 배치되는 흡기 통로를 형성하는 보디인 스로틀 보디가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부(18)가 설치된다. 이 상류측 접속부(18)는, 흡기 집합실(11)로 유입되는 흡기의 입구인 흡기 입구(11i)를 갖는 도입로(11d)를 형성하고 있고, 집합부(10)의 입구부이다.
또한, 기통 배열 방향으로 타단측(10d)에는 각진 코너부(31)가 형성된다. 이 코너부(31)와 마찬가지로 각진 코너부(32, 33)가 하류 실벽(14)측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들 코너부(31~33)는 흡기 부압이 작용하는 집합부(10)의 강성을 높인다. 이들 코너부(31~33)의 내측 코너는 약간의 만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만곡면이 없는 것과 다름없는 각진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집합부(10)는, 결합면(A2, B2)에서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어 흡기 집합실(11)을 형성하는 제1 분할체로서의 제1 케이스(A)와, 제2 분할체로서의 제2 케이스(B)로 구성되는 분할 구조를 갖는다. 제1, 제2 케이스(A, B)는 각각 흡기 집합실(11)을 구성하는 실부분인 제1, 제2 공간(11a, 11b)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제1, 제2 케이스(A, B)는, 성형 몰드를 사용하여 각각 합성수지로 성형된 단일 부재로서, 결합면(A2, B2)을 갖는 가장자리(A1, B1)가 결합 수단으로서의 열용착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제1 케이스(A)에는, 단부 실벽(12)의 부분인 제1 단부 실벽(12a)과, 단부 실벽(13)의 부분인 제1 단부 실벽(13a)과, 하류 실벽(14)의 부분인 제1 하류 실벽(14a)과, 제1 상류 실벽(15)의 부분인 제1 상류 실벽(15a)과, 바닥벽(16)과, 기통 배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4개의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분기부(20)와, 코너부(31)의 제1 케이스(A)측 부분인 제1 코너부(31a)와, 하류측 플랜지(28)가 일체 성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단부 실벽(12a)과 제1 단부 실벽(13a)과 제1 하류 실벽(14a)과 제1 상류 실벽(15a)과 바닥벽(16)에 의해 제1 공간(11a)을 형성하는 제1 집합부(10a)가 구성된다.
제1 단부 실벽(12a)에는 접속부(18)의 부분인 반원통형의 제1 접속부(18a)(도 1)가 일체 성형된다. 제1 코너부(31a)는, 제1 하류 실벽(14a)보다도 상류의 위치에서, 제1 단부 실벽(13a)과 제1 상류 실벽(15a)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제1 코너부(31a)에 의해 제1 집합부(10a)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분기부(20)는,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각 흡기관(21)이 모여 일체 성형 되어 구성된다. 하류를 향해 테이퍼진 테이퍼 형상을 갖는 각 흡기 분기로(22)는, 제1 케이스(A)를 제조하기 위해서 제1 케이스(A)를 성형 몰드에 의해 성형할 때에, 구멍용 성형 몰드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구멍용 성형 몰드는, 입구(22i)를 지나 상류측으로, 또는 제1 공간(11a)측[흡기 집합실(11)측]으로, 흡기 분기로(22)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 연장 통로(22p) 상을 따라 이형된다[도 1, 도 2에는, 대표적으로, 후술하는 흡기 분기로(22c)의 가상 연장 통로(22p)가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음]. 그리고, 이러한 이형이 제1 케이스(A)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제1 코너부(31a)와 제1 실벽(15)의 가장자리(A1)를 구성하는 제1 가장자리(A1a)는, 각각 가상 연장 통로(22p)의 일부로서 흡기 분기 통로(22)의 통로 길이(L2)와 같은 길이를 갖는 가상 연장 통로 부분(22p1) 상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가장자리(A1a)는, 가상 연장 통로 부분(22p1)의 영역을 넘은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흡기 분기로(22)의 통로 길이(L2)는, 입구(22i)와 코너부(31a) 또는 제1 가장자리(A1a)와의 사이의 가상 연장 통로(22p)를 따르는 방향(이하, 「연장 방향」이라 함)으로의 간격(L1)보다도 작다. 이에 따라, 흡기 집합실(11)의 제1 공간(11a) 내부에서 상기 구멍용 성형 몰드의 이형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상기 연장 방향으로 하류 실벽(14)과 상류 실벽(15)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코너부(31a)의 굴곡부(31a2), 즉 제1 코너부(31a)에 있어서 제1 단부 실벽(13a)과 제1 상류 실벽(15a)을 접속하고 있는 절곡되거나 만곡된 부분은 가상 연장 통로(22p) 상에는 배치되지 않으며, 바꾸어 말하면 가상 연장 통로(22p)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제2 케이스(B)에는, 단부 실벽(12)의 부분으로서 제1 단부 실벽(12a)과 결합하여 단부 실벽(12)을 구성하는 제2 단부 실벽(12b)과, 단부 실벽(13)의 부분으로서 제1 단부 실벽(13a)과 결합하여 단부 실벽(13)을 구성하는 제2 단부 실벽(13b)과, 하류 실벽(14)의 부분으로서 제1 하류 실벽(14a)과 결합하여 하류 실벽(14)을 구성하는 제2 하류 실벽(14b)과, 제1 상류 실벽(15)의 부분으로서 제1 상류 실벽(15a)과 결합하여 제1 상류 실벽(15)을 구성하는 제2 상류 실벽(15b)과, 천장벽(17)과, 코너부(31)의 제2 케이스(B)측 부분으로서 제1 코너부(31a)와 결합하여 코너부(31)를 구성하는 제2 코너부(31b)와, 흡기 집합실(11)에서의 흡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정류부(40)와, 접속부(18)의 부분으로서 제1 접속부(18a)와 결합하여 접속부(18)를 구성하는 반원통형의 제2 접속부(18b)가 일체 성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단부 실벽(12b)과 제2 단부 실벽(13b)과 제2 하류 실벽(14b)과 제2 상류 실벽(15b)과 천장벽(17)에 의해 제2 공간(11b)을 형성하는 제2 집합부(10b)가 형성된다. 제2 코너부(31b)에 의해 제2 집합부(10b)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정류부(40)는 판형이며, 또한 흡입 집합실(11)을 향해 오목형을 이루는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정류부(40)는, 제2 단부 실벽(13b) 및 제2 상류 실벽(15b)에 걸쳐 일체 성형되어 설치되고, 제2 케이스(B)에 있어서 제2 코너부(31b)의 내면(31b1)을 덮게 배치되며,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 실벽(13b) 및 제2 상류 실벽(15b)으로부터 가장자리(B1)를 넘어서 제1 코너부(31a)를 향해 돌 출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케이스(A, B)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흡기 매니폴드(M)에 있어서, 정류부(40)는, 제2 케이스(B) 내부 또는 제2 공간(11a) 내부로부터 제1 케이스(A) 내부 또는 제1 공간(11b)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1 케이스(A)에 있어서 제1 코너부(31a)의 내면(31a1)을 덮게 배치된다.
정류부(40)는, 제2 단부 실벽(13b)과 제2 상류 실벽(15b)과 천장벽(17)과의 접속부(41)와, 코너부(31)의 내면(31a1, 31b1)보다도 흡기 집합실(11)의 보다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만곡부(42)를 갖는다. 접속부(41)는, 제2 단부 실벽(13b), 제2 상류 실벽(15b) 및 천장벽(17)과 기밀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만곡부(42)가 코너부(31)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정류부(40)와 코너부(31)에 의해, 정류부(40)의 배후에 위치하고, 그 용적이 흡기 집합실(11)의 용적에 비하여 작은 배후 공간(47)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코너부(31)는 정류부(40)보다도 흡기 집합실(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되어 있다.
흡기 집합실(11)의 벽면을 구성하는 정류부(40)의 안내면(44)은, 그 최대 곡률이 양 코너부(31a, 31b)의 내면(31a1, 31b1)의 최대 곡률보다도 작은 만곡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안내면(44)은, 내면(31a1, 31b1)에 비하여 흡기 집합실(11) 내부의 흡기를 보다 원활하게 안내한다. 또한, 흡기 입구(11i)를 포함한 도입로(11d)와 안내면(44)은, 기통 배열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안내면(44)에는, 흡기 입구(11i)로부터 흡기 집합실(11)로 유입되고, 도입로(11d)에 의해 안내된 후에 확대실(11e)로 유입된 흡기가 접촉하기 쉽다. 또한, 정류부(40)의 안내 면(44)은, 흡기 입구(11i)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 통로의 입구(22i)에도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흡기 입구(11i)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로(22)에도 흡기가 원활하게 안내된다.
정류부(40)는, 4개의 흡기 분기로(22) 중, 기통 배열 방향으로 단부 실벽(13a) 및 코너부(31a)에 가장 가까운 흡기 분기로(22c)의 가상 연장 통로(22p) 상에 배치되고,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상 연장 통로 부분(22p1) 상에도 배치된다(도 1, 도 2 참조). 따라서, 정류부(40)가 제1 케이스(A)에 일체 성형된다고 가정하면,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구멍용 성형 몰드의 이형은 정류부(40)에 의해 방해되게 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일이 없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기 매니폴드(M)의 집합부(10)는, 흡기 집합실(11)을 구성하는 제1 공간(11a) 및 제2 공간(11b)을 각각 형성하는 제1 케이스(A) 및 제2 케이스(B)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제1 케이스(A) 및 제2 케이스(B)에는 코너부(31)를 구성하는 코너부(31a, 31b)가 각각 일체 성형되며, 제2 케이스(B)에는, 제1 공간(11a) 및 제2 공간(11b)에 걸쳐 연장되어 양 코너부(31a, 31b)의 내면(31a1, 31b1)을 덮게 배치되는 정류부(40)가 설치되고, 정류부(40)는, 내면(31a1, 31b1)에 비하여 흡기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면(44)을 가지며, 흡기 매니폴드(M)의 집합부(10)는 제1, 제2 케이스(A, B)로 구성되는 분할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집합부(1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등의 이유로 제1, 제2 케이스(A, B)에 코너부(31a, 31b)가 일체 성형 되는 경우에도, 제2 케이스(B)에 설치된 정류부(40)에 의해 코너부(31)의 형상에 상관없이 흡기 집합실(11)에서의 흡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 정류부(40)는 제1, 제2 케이스(A, B) 내부에 걸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 집합실(11)에 있어서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흡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체적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정류부(40)는 제2 케이스(B)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정류부(40)가 제1, 제2 케이스(A, B)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집합부(10)의 성형에 의한 제조가 용이해진다.
제1 케이스(A)에는 복수의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분기부(20)가 일체 성형되고, 정류부(40)는 이들 흡기 분기로(22) 중 하나인 흡기 분기로(22c)의 가상 연장 통로(22p) 상에 배치됨으로써, 흡기 집합실(11)로 유입된 흡기를 원활하게 흡기 분기로(22)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분기부(20)가 제1 케이스(A)에 일체 성형되는 경우에도,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성형 몰드의 이형이 정류부(40)에 의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집합부(10)에 분기부(20)가 일체 성형될 때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고, 성형 몰드의 복잡화를 막을 수 있어 흡기 매니폴드(M)의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정류부(40)가 흡기 분기로(22c)의 통로 길이(L2)와 같은 길이의 가상 연장 통로 부분(22p1)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장 방향으로의 집합부(10)의 폭이 작아져서 집합부(10)가 상기 연장 방향으로 소형화된 흡기 매니폴드(M)에 있어서도, 흡기 집합실(11)로 유입된 흡기를 원활하게 흡기 분기로(22)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너부(31a) 및 제1 상류 실벽(15a)이 각각 가상 연장 통로(22p)에 있어서 흡기 분기로(22)의 통로 길이(L2)와 같은 길이를 갖는 가상 연장 통로 부분(22p1) 영역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분기부(20)가 제1 케이스(A)에 일체 성형되는 경우에,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성형 몰드의 이형이 정류부(40)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것은 물론, 제1 코너부(31a) 및 제1 상류 실벽(15a)에 의해서도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집합부(10)에 분기부(20)가 일체 성형될 때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고, 성형 몰드의 복잡화를 막을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형태의 일부의 구성을 변경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변경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제2 케이스(A, B)의 형상에 따라서는, 집합부(1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1 케이스(A)에만 코너부(31)가 형성되어도 좋다.
정류부(40)는, 코너부(31)와의 사이에 배후 공간(47)을 형성하지 않는 형상이어도 좋다.
정류부(40)는, 가상 연장 통로(22p) 상에 배치되는 한편, 가상 연장 통로 부분(22p1)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다기통 내연기관은, 4개 이외의 복수의 기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1개의 뱅크가 복수의 기통으로 구성되는 V형 또는 수평 대향형의 내연기관이어도 좋다.
상기 소정수는, 반드시 내연기관의 전체 기통수와 같을 필요는 없고, 기통수 보다도 작은 수이어도 좋다.
내연기관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에 사용되는 것이지만, 수직 방향을 지향하는 크랭크축을 구비하는 선외기(船外機) 등의 선박 추진 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4)

  1. 흡기 입구(11i)를 갖는 흡기 집합실(11)을 형성하는 집합부(10)와, 상기 흡기 집합실(11)로부터 분기되어 내연기관의 각 연소실에 흡기를 유도하는 복수의 흡기 분기로(22)를 형성하는 분기부(20)를 포함하는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로서,
    상기 집합부(10)는, 상기 흡기 집합실(11)을 구성하는 제1 공간(11a) 및 제2 공간(11b)을 각각 형성하는 제1 분할체(A) 및 제2 분할체(B)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분할체(A) 및 상기 제2 분할체(B) 중 적어도 상기 제1 분할체(A)에는 코너부(31a, 31b)가 일체 성형되며, 상기 제2 분할체(B)에는, 상기 제1 분할체(A) 내(內) 및 상기 제2 분할체(B) 내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코너부(31a, 31b)의 내면(31a1, 31b1)을 덮게 배치되는 정류부(40)가 설치되고, 상기 정류부(40)는, 상기 내면(31a1, 31b1)에 비하여 흡기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면(44)을 가지며, 상기 흡기 입구(11i)와 상기 안내면(44)은, 상기 흡기 입구(11i)로부터 상기 흡기 집합실(11)에 유입되는 흡기가 상기 안내면(44)에 접촉하여 상기 흡기 분기로(22)를 향해 안내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면(44)은, 상기 내면(31a1, 31b1)의 최대 곡률보다도 작은 최대 곡률을 갖는 만곡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기 분기로(22)는, 내연기관의 기통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집합부(10)는, 상기 기통 배열 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흡기 입구(11i)를 가지며, 상기 안내면(44)은, 상기 기통 배열 방향으로 상기 흡기 입구(11i)와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흡기 분기로(22) 중 상기 흡기 입구(11i)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로(22c)의 입구(22i)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체(A)에는 상기 흡기 분기로(22)가 일체 성형되고, 상기 정류부(40)는, 상기 흡기 입구(11i)로부터 가장 떨어진 흡기 분기로(22c)의 가상 연장 통로(22p)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체(A)의 상기 코너부(31a)는 상기 가상 연장 통로(22p)의 범위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4. 삭제
KR1020097019999A 2007-03-15 2008-03-12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129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67539 2007-03-15
JP2007067539A JP4906548B2 (ja) 2007-03-15 2007-03-15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PCT/JP2008/054463 WO2008126584A1 (ja) 2007-03-15 2008-03-12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766A KR20090115766A (ko) 2009-11-05
KR101129975B1 true KR101129975B1 (ko) 2012-04-12

Family

ID=3984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9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9975B1 (ko) 2007-03-15 2008-03-12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05590B2 (ko)
EP (1) EP2123896B1 (ko)
JP (1) JP4906548B2 (ko)
KR (1) KR101129975B1 (ko)
CN (1) CN101631948B (ko)
WO (1) WO2008126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6549B2 (ja) * 2007-03-15 2012-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KR101452114B1 (ko) * 2013-06-03 2014-10-2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CN104343534A (zh) * 2014-10-30 2015-02-11 魏伯卿 发动机的多个不同工作容积气缸组合体
JP7140644B2 (ja) * 2018-11-16 2022-09-21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整流構造体
JP7139958B2 (ja) * 2019-01-10 2022-09-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272A (ja) 2000-09-13 2002-03-27 Toyota Motor Corp 車載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2195115A (ja) 2000-11-08 2002-07-10 Waertsilae Technology Oy Ab ピストンエンジンに空気を送る装置と方法
JP2002361745A (ja) 2001-06-04 2002-12-18 Keihin Corp 樹脂製構造物における振動溶着構造
DE10300809A1 (de) 2003-01-13 2004-07-22 Seeber Ag & Co. Kg Ansaug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295A (en) * 1985-09-09 1988-05-0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Intake manifold system for V-type multiple 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805564A (en) * 1987-09-22 1989-02-21 Sharon Manufacturing Company Engine intake manifold assembly
JPH0220717A (ja) 1988-07-07 1990-01-24 Kubota Ltd 支柱打込装置
JP2930329B2 (ja) * 1989-09-28 1999-08-03 ソニー株式会社 抗血栓性材料
JPH03112560U (ko) * 1990-02-28 1991-11-18
JP2921287B2 (ja) * 1992-08-31 1999-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5524582A (en) * 1995-02-08 1996-06-11 Kia Motors Corporation Two-phase fuel emission system for spark ignited engine
JPH0968066A (ja) * 1995-08-29 1997-03-11 Daihatsu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圧検出装置
US5655492A (en) * 1996-06-28 1997-08-12 Basf Corporation Labyrinth manifold
DE10119280A1 (de) * 2001-04-20 2002-11-07 Mann & Hummel Filter Ansaugvorrichtung
JP2003074431A (ja) * 2001-09-05 2003-03-12 Yanmar Co Ltd 内燃機関のマニホールド構造
JP3790992B2 (ja) * 2002-11-20 2006-06-28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の取付構造
US7100559B2 (en) * 2003-02-19 2006-09-05 Nissan Motor Co., Ltd. Engine air intake manifold
JP3953437B2 (ja) * 2003-04-09 2007-08-08 愛三工業株式会社 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US6988478B2 (en) 2003-04-09 2006-01-24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Resin intake manifold
JP4399210B2 (ja) * 2003-08-26 2010-01-13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内燃機関の合成樹脂製マニホルド
EP1522715B1 (en) * 2003-10-10 2015-02-25 Nissan Motor Co., Ltd. Intake arrange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D512074S1 (en) * 2004-01-27 2005-11-29 Lee Frederick Bender Auto intake plenum
JP2005337117A (ja) * 2004-05-27 2005-12-08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100645576B1 (ko) * 2004-07-06 2006-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인테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272A (ja) 2000-09-13 2002-03-27 Toyota Motor Corp 車載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2195115A (ja) 2000-11-08 2002-07-10 Waertsilae Technology Oy Ab ピストンエンジンに空気を送る装置と方法
JP2002361745A (ja) 2001-06-04 2002-12-18 Keihin Corp 樹脂製構造物における振動溶着構造
DE10300809A1 (de) 2003-01-13 2004-07-22 Seeber Ag & Co. Kg Ansaug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6584A1 (ja) 2008-10-23
KR20090115766A (ko) 2009-11-05
US20100095921A1 (en) 2010-04-22
EP2123896A4 (en) 2011-01-19
JP4906548B2 (ja) 2012-03-28
EP2123896B1 (en) 2013-06-05
EP2123896A1 (en) 2009-11-25
JP2008223737A (ja) 2008-09-25
CN101631948A (zh) 2010-01-20
US8205590B2 (en) 2012-06-26
CN101631948B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800B2 (ja) レゾネータを備える多気筒内燃機関
JP4896822B2 (ja) 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KR101999077B1 (ko) 엔진 장치
KR101129975B1 (ko)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JP4853481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1129918B1 (ko) 다기통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JP4305828B2 (ja) 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ールド
JP2013249822A (ja) 吸気マニホールド
JP2017180227A (ja) エンジン装置
JP3675226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3074428A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352829B2 (ja) V型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443078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1094633A (ja) レゾネータを備える多気筒内燃機関
JP2010151017A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JP2010084713A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3074353A (ja) V型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0192867A (ja) V型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4301023A (ja) 樹脂製吸気マニホルド
JP2005090417A (ja) V型内燃機関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