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764B1 - Hood cap having a front supporting pad - Google Patents
Hood cap having a front supporting p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8764B1 KR101128764B1 KR1020090101250A KR20090101250A KR101128764B1 KR 101128764 B1 KR101128764 B1 KR 101128764B1 KR 1020090101250 A KR1020090101250 A KR 1020090101250A KR 20090101250 A KR20090101250 A KR 20090101250A KR 101128764 B1 KR101128764 B1 KR 101128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reinforcement pad
- hat
- cap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42B1/225—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with openings for hair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방 내측의 보강 패드를 구비한 두건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건 모자는, 보강 패드가 두건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강 패드의 일 단부가, 모자 챙의 단부 및 두건 부재가 상호 봉제되는 봉제 라인을 따라서 봉제됨으로써, 상기 보강 패드가 앞판 지지대 역할을 하여 두건 부재의 전방의 눌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1) 두건을 착용해서도 앞쪽 이마 부분이 지나치게 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더욱 향상된 두건 모자의 심미적 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2) 앞판 지지부재가 이마를 감싸주듯이 접촉하기 때문에, 착용시의 착용감을 증진시켜줄 수 있다. (3) 또한, 착용자의 두상 구조에 대응하는 형태의 앞판 지지부재에 의해 머리의 헝클어짐이나 눌림 상태를 종전보다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들은 모자 분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효과이다.
A hood cap having a front inner reinforcemen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pad is located inside the hood member, and one end of the reinforcement pad is sewn along a sewing line in which the end of the hat visor and the hood member are sewn together, whereby the reinforcement pad is supported by the front plate. It serves to prevent the pressing phenomenon of the front of the hood member.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1) the front forehead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even when a hood is worn, thereby obtaining an improved aesthetic function of the hooded hat. (2) Since the front plate supporting member comes in contact with the forehead, the fit can be enhanced. (3) In addition, the front support member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structure of the wear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ting or depressed state of the head can be improved than before. These advantages are very important in the hat s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여성이 많이 사용하는 두건 모자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oded hat that a woman uses a lot.
오늘날 패션 산업의 발전과 개성을 강조하는 문화적 현상이 보편화 됨에 따라서, 모자 산업도 기능성만 강조하던 종래의 관습에서 벗어나 패션의 중요한 요소로서 심미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햇빛 차단과 머리 보호라는 모자의 전통적인 기능성에서,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모자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As the cultural phenomenon that emphasizes the development and individuality of the fashion industry is becoming more common today, the hat industry is also tending to be aesthetically important as an important element of fashion, away from the conventional custom that emphasized only functionality. In other words, the hat industry is developing from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hat protection and head protection to the pursuit of aesthetic beauty.
또한, 소비자들도 모자의 공지된 기능성에서 심미감이 가미된 심미적 기능성이나 편리함을 추구하고 있다. 모자를 착용하였을 때의 외관이 얼마나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가, 자신이 착용한 의류와 얼마나 어울릴 수 있느냐 라는 패션 감각 요소가 구매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일환으로, 머리 전체를 스카프로 감싸면서 착용하는 두건 모자가 알려졌다. In addition, consumers are also pursuing aesthetic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added to the aesthetic in the known functionality of the hat. The fashion sense factors such as how beautiful the appearance can be when wearing a hat and how well it can be matched with the clothing worn by oneself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urchasing. As part of this trend, hooded hats are known that are worn around the entire head with a scarf.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1996-4675호 “차양달린 머리덮개용 스카프”는 차양에 머리덮개용 스카프가 재봉되어 봉합된 모자를 제안하고 있다. 사용자는 모자를 착용한 다음에 스카프를 뒤로 당긴 다음에 그 끝을 매듭지어 패션 기능을 고양한 장점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4675 “Shaded Headgear Scarf” suggests a hat that is sewn with a headgear scarf sewn to the sunshade.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fashion function by wearing a hat, then pulling back the scarf and then knotting the ends.
위 종래기술의 모자는 차양과 머리덮개용 스카프로만 구성되며, 모자 챙인 차양의 경우에는 형상이 유지되는 부재로 이루어지지만, 스카프는 섬유류 소재로 이루어져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부재라는 특성을 갖는다. 그 결과, 착용시에 스카프가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이마 부분에 스카프 부재가 직접 밀착되며, 결국 사용자의 이마가 스카프 부재에 의해 눌려버리는 현상을 불러왔다. 그러다 보니 사용자의 모자 착용 상태를 측방에서 바라보면 그와 같은 이마 눌림 현상이 우스꽝스럽게 보이기도 하며,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외관도 부자연스러워졌다. The hat of the prior art is composed only of the sunshade and the head cover scarf, in the case of the sunshade of the hat is made of a member that maintains the shape, the scarf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a member that can not maintain the shape made of fiber materials. As a result, the scarf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orehead portion while the scarf is pulled backward when worn, and eventually the user's forehead is pressed by the scarf member. As a result, if you look at the user's hat wearing from the side, such a forehead may look ridiculous, and the appearance when viewed from the front becomes unnatural.
도 1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모자는 모자 챙(10)에 스카프 부재로 이루어진 두건 부재(20)가 봉제되어 있는데, 이 스카프 부재의 단부(30)를 뒤로 당겨 매듭을 지게 되며, 모자 배면 방향인 “A”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그 결과 이마에 당접하는 “F” 부분이 눌리게 되었다. 1 illustrates the above problem. Conventional hat is a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long research effort.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 챙에 두건(스카프)이 봉제된 모자에 있어서, 모자의 배면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늘어져서 매듭을 지을 수 있는 두건을 통해서 머리를 가리는 기능을 충족함과 동시에, 두건에 의해서 이마가 눌려짐으로써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심미적 기능성을 강화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hat with a hood (scarf) sewn on the hat visor, while satisfies the function of covering the head through a hood that can be naturally knotte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hat to make a knot, the forehead by the hood It is to solve the appearance problem caused by being pressed.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enhance aesthetic functiona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본 발명 형태의 두건 모자를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시의 착용감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the fit of the user when wearing the hood ha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후 머리의 헝클어짐이나 눌림 상태가 종래보다 개선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두건 모자를 벗으면 가장 문제되는 것이, 머리가 지나치게 눌려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특히 이마와 인접한 앞머리 부분이 가장 잘 보이며, 가장 많이 눌리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머리가 가렵거나 답답하더라도 모자를 벗지 않으려 한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matting or depressed state of the head after wearing. In general, the biggest problem with taking off the hood cap is that the head is overly pressed. In particular, the forehead adjacent to the forehead is most visible and pressed the most. Therefore, the user does not want to remove the hat even if the head is itchy or stuffy.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improved convenience for the user by improving this.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자 챙에 두건 부재 가 봉제된 두건 모자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d cap in which the hood member is sewn on the cap visor,
보강 패드가 상기 두건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강 패드의 일 단부가, 상기 모자 챙의 단부 및 상기 두건 부재가 상호 봉제되는 봉제 라인 근방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보강 패드가 앞판 지지대 역할을 하여 상기 두건 부재의 전방의 눌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inforcement pad is located inside the hood member, and one end of the reinforcement pad is attached near the end of the hat visor and the sewing line where the hood member is sewn together so that the reinforcement pad serves as a front plat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the front pressing phenomenon of the hood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전방 내측의 보강 패드를 구비한 두건 모자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드는 두 조각의 패드의 바이어스된 단부(41a, 42a)를 상호 봉합하여, 착용자의 이마 쪽으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hood cap provided with the front inner reinforcemen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pad sutures the
또한, 본 발명의 전방 내측의 보강 패드를 구비한 두건 모자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드는 상기 봉제 라인 근방에 부착되는 단부를 직경으로 하여 대략 반달 모양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hood cap provided with the reinforcement pad of the front inner side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einforcement pad has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half moon shape by making the diameter part the edge part adjoining the said sewing line vicinity.
또한, 본 발명의 전방 내측의 보강 패드를 구비한 두건 모자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드는 부직포 또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Further, in the hood cap provided with a front inner reinforcemen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pad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a synthetic resin film having a certain strength.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건 부재의 전방에서, 상기 두건 부재를 중첩하여 수평 방향으로 봉제함으로써 기립하는 주름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front of the hood memb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wrinkled region standing up by overlapping the hood member and se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두건 모자를 통해 서, 머리를 두건에 의해 예쁘게 가릴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두건을 착용해서도 앞쪽 이마 부분이 지나치게 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더욱 향상된 두건 모자의 심미적 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패션의 일환으로서 두건 모자를 착용하기 때문에, 두건 모자를 착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보다 멋있고 아름답게 보이고자 욕망한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소비자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적인 장점을 발휘한다.By the abov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head be neatly covered by the hood, but also the front forehead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even when wearing a hood. As a result, the aesthetic function of the hooded hat is further improved. Because of wearing a hooded hat as part of fashion, consumers who want to wear a hooded hat desire to look more beautiful and beautiful.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echnical advantages that can satisfy such consumer desires.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앞판 지지부재가 이마를 감싸주듯이 접촉하기 때문에, 착용시의 착용감을 증진시켜줌에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ront support member wraps around the forehead, thereby improving the fit when worn.
또한, 본 발명의 두건 모자는 앞판 지지부재에 의해 머리를 누르는 압력을 어느 정도 막아주기 때문에, 머리의 헝클어짐이나 눌림 상태를 종전보다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은 모자 분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효과이다.In addition, since the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pressure to press the head to some extent by the front plate support member, it has the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mating or pressed state of the head than before. This advantage is a very important effect in the hat field.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Although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ded that the potential effect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 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경우 상당히 많은 봉제선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함에 있어 불필요한 봉제선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생략되었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부분이어서 역시 생략되기도 하였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or express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at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seams, but in order to expla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seam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may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두건 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모자 챙(10)의 일 단부 봉제라인(12)과 두건 부재(20)의 일 단부의 봉제라인(21)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봉제하여 모자 챙(10)과 두건 부재(20)를 일체화한다. 모자 챙(10)과 두건 부재(20)의 단부들이 만나서 봉제되는 곳을 편의상 봉제 라인이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까지는 종래의 두건 모자와 큰 차이가 없는 통상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마에 당접하는 안쪽의 헤어밴드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one
여기서 대략 반달 모양의 형태를 갖는 보강 패드(40)를 상기 두건 부재(20)의 안쪽에 위치시킨 후에, 보강 패드(40)의 단부(45)를 상기 봉제라인(12, 21) 근방에 부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봉제라인(12, 21)을 따라 함께 봉제할 수 있다. 보강 패드(40)가 두건 부재(20) 안쪽에서 모자 챙(10)과 두건 부재(20)에 함께 봉제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의 전방, 즉 이마의 피부는 두건 부재(20)에 직접 접하지 않고, 보강 패드(40)에 접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강 패드(40)를 착탈식으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보강 패드(40)의 단부를 봉제라인(12, 21)이 있는 위치 근방에 일시적으로 부착하거나, 미사용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부착 수단은 벨크로파스너, 지퍼, 단추 등을 이용될 수 있다.Here, after the
두건 부재(20)는 스카프와 같은 부재로서,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나일론 또는 나일론 혼방의 합성섬유 재질 또는 천연섬유 재질이기 때문에 특별히 형상의 지지력이 없이,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뒷머리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두건 부재(20)의 재질은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통상은 착용자의 머리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이며, 배면에는 고무 밴드와 같이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 착용자의 꽁지 머리가 출입할 수 있는 수단, 매듭을 지을 수 있는 수단들이 부가될 수 있다.Hood
두건 부재(20)와 달리, 상기 보강 패드(40)는 소정의 형상 유지력을 갖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부직포를 두건 부재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부재의 겉감으로 감싸서 봉제할 수 있다. 보강 패드(4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형태 유지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합성수지재 필름을 두건 부재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부재의 겉감으로 감싸서 봉제할 수 있다. 합성수지재 필름으로는 플로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경질의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스티렌 시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Unlike the
도 3의 단면도는, 도 2와 같은 방법으로 보강 패드(40)가 봉제된 두건 모자를, 각 부재들이 봉제된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다소 과장해서 표현하였다. 부재들이 함께 재봉 공정을 통해 봉제된 부분의 단면이기 때문에, 제봉 공정의 순서와 위치에 따라 도 3의 각 부재의 위 아래가 달라질 수 있다. 통상은 모자 내부의 헤어밴드(50)와 모자 챙(10)과 두건 부재(20)의 단부가 함께 봉제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자 챙(10)과 두건 부재(20) 사이에 보강 패드(40)가 게재되어 함께 봉제됨으로써, 헤어밴드(50), 모자 챙(10), 두건 부재(20), 보강 패드(40)의 각 대응 단부들이 서로 고정되고 일체화될 수 있다.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the hood hat in which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 패드(4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패드(40)는 두 조각의 패드(41, 42)를 서로 특이하게 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굴곡을 갖는 착용자의 머리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 도 4(a)는 보강 패드의 한 조각의 패드(41), 도 4(b)는 보강 패드의 다른 한 조각의 패드(42)를, 도 4(c)는 두 조각의 패드(41, 42)의 바이어스된 단부를 상호 당접시켜 봉제한 보강 패드(40)의 정면을, 도 4(d)는 보강 패드(40)의 결합 부분을 보강부재로 보강한 배면을 나타낸다.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각 패드(41, 42)의 세 단부를 갖고, 그 중 단부(41b, 42b)는 모자에 봉제되는 부분이며, 단부 (41a, 42a)는 단부(41b, 42b)와 직교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41a의 경우)과 우측(42a)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바이어스된 단부(41a, 42a)를 상호 마주보게 접한 다음에 봉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 패드(4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c) 및 도 4(d)와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43은 봉합된 양 조각 패드의 단부(41a, 42a)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보강 패드(40)를 구성하게 되면, 모자에 봉제되는 단부(41b, 42b)는 약간 위로 올라가게 되며, 보강패드(40)의 양쪽 측면 부분이 도면의 지면 상방으로 약간 들뜨게 된다. 그 결과, 단부(41b, 42b)를 따라 모자에 부착하면 보강 패드(40)는 두건 부재(20) 내측에서 안으로 굽어진 형태의 굴곡을 갖게 되며, 그 굴곡 구조가 착용자의 두상의 굽어진 형태에 대응됨으로써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 and 4 (b), it has three ends of the
도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조각의 패드가 봉합되어 구성된 보강 패드(40)의 봉합부분 위로 배면에서 보강부재(44)를 대어 제봉함으로써 두 조각의 패드를 더욱 일체화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d), the two pieces of pads can be further integrated by sewing the reinforcing
도 5는 본 발명의 두건 모자의 외부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전면부(“F”)의 안쪽에 상기에서 설명한 보강 패드(40)가 위치하여 앞판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면부(F)가 도 1과 같이 눌리지 않고 전방을 향해 어느 정도 꼿꼿이 설 수 있게 된다.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the outer structure of the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의 실시예에서는, 두건 부재(20)의 전방 쪽, 즉 상기 전방부(F) 중 가장 앞쪽 부분(이 부분은 모자 챙(10)과 봉제되는 봉제 라인부터 시작하여 대략 2~5Cm 정도 이격된 위치까지의 부분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격거리는 모자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에는, 기립하는 주름 영역(24)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보강 패드(40)의 구성에 의한 전면부의 기립에 상기 주름 영역(24)의 기립을 더 보강함으로써 두건 모자의 형태적 우수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전자는 두건 모자의 내측에 구성한 수단이며, 후자는 두건 모자의 외측에 구성한 수단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ide of the
도 6(a) 및 도 6(b)는 이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6(a)의 상기 주름 영역(24)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건 부재(20)의 단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건 부재를 중첩한 다음에 중첩된 두건 부재를 횡적으로 연장되는 스티치 라인(22)에 의해 상호 꿰맴으로써 두건 부재(20)의 다른 부분보다 위로 기립할 수 있는 주름 영역(2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티치 라인(22)은 모자 챙과의 봉제 라인에서 대략 1.5~3cm 이격된 위치에서 모자 챙의 봉제라인에 수평하는 방향으로 대략 5~10cm의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스티치 라인(22)은 모자 챙의 안쪽의 헤어밴드의 상측 끝단과 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6 (a) and 6 (b) show this in detail. As can be see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두건 모자의 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두건 부재(20)의 안쪽에 보강 패드(40)의 한쪽 단부가 모자 챙에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보강 패드(40)에 의해 전방 눌림 현상이 방지되어 심미적 기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보강 패드(40)가 굴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서 그 경우에는 사용자의 두상 구조에 대응하여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두건 모자에 의해 머리카락이 눌리는 현상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7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one end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Furth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종래의 두건 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od cap.
도 2는 본 발명의 두건 모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두건 모자의 봉제 라인에서의 부재들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 section of the members in the sewing line of the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 패드(4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건 모자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d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건 부재의 전방에 형성되는 주름 영역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wrinkle region formed in front of the hood memb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도 6(a)에 의해 형성된 주름 영역이 기립하고 있는 두건 모자의 사시도다.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d cap in which the pleated region formed by FIG. 6A stands.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두건 모자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al example of the hood cap by this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모자 챙 20 : 두건 부재10: hat visor 20: no hood
22 : 스티치 라인 24 : 주름 영역22: stitch line 24: wrinkled area
30 : 두건 매듭 40 : 보강 패드30: bandana knot 40: reinforcement pad
41a, 42a: 보강 패드의 바이어스 단부 50 : 헤어밴드41a, 42a: Bias end 50 of reinforcement pad: hair band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they are illustrated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hich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1250A KR101128764B1 (en) | 2009-10-23 | 2009-10-23 | Hood cap having a front supporting p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1250A KR101128764B1 (en) | 2009-10-23 | 2009-10-23 | Hood cap having a front supporting pa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4527A KR20110044527A (en) | 2011-04-29 |
KR101128764B1 true KR101128764B1 (en) | 2012-04-13 |
Family
ID=4404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1250A KR101128764B1 (en) | 2009-10-23 | 2009-10-23 | Hood cap having a front supporting p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876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020B1 (en) | 2007-07-03 | 2008-09-0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Shock-absorbing pad and helmet |
KR20100104128A (en) * | 2009-03-16 | 2010-09-29 | 황태명 | Multifunction hat |
-
2009
- 2009-10-23 KR KR1020090101250A patent/KR1011287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020B1 (en) | 2007-07-03 | 2008-09-0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Shock-absorbing pad and helmet |
KR20100104128A (en) * | 2009-03-16 | 2010-09-29 | 황태명 | Multifunction h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4527A (en) | 201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60258B2 (en) | Headgear with integrated hair shielding mechanism | |
US9192202B2 (en) | Head garment | |
US7707656B2 (en) | Head scarf and method of making it | |
US20110173739A1 (en) | Invisible zipper ponytail cap | |
US9398780B1 (en) | Shower cap | |
US20090000011A1 (en) | Adjustable fashion headband and scarf combination | |
US20140013486A1 (en) | Reversible storage visor, cap and sun hat | |
US2274321A (en) | Article of apparel | |
US20140223636A1 (en) | Reversible sun visor | |
US2678448A (en) | Woman's hat | |
KR101128764B1 (en) | Hood cap having a front supporting pad | |
US20050268927A1 (en) | Headwear with ponytail pull through | |
US20060010567A1 (en) | Headwear | |
KR20210080653A (en) | Improved Traditional Clothes Assembly. | |
US20050235395A1 (en) |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 |
KR200459476Y1 (en) | Resizing hat | |
KR200473814Y1 (en) | Wigs detachable cap | |
KR200458395Y1 (en) | Embellished Sunblind Hat | |
KR101052741B1 (en) | A hat with a back neck | |
CN211458983U (en) | Sweat-absorbing sports cap | |
KR200473552Y1 (en) | Hat with a Broad Brim | |
JP3174105U (en) | Not published due to violation of public order and morals. | |
RU2266695C1 (en) | "baseball hat" type head-dr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23691B1 (en) | Size adjustable hat with pleats area | |
KR200463546Y1 (en) | Cap having a rear neck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