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741B1 - A hat with a back neck - Google Patents
A hat with a back ne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2741B1 KR101052741B1 KR1020090099819A KR20090099819A KR101052741B1 KR 101052741 B1 KR101052741 B1 KR 101052741B1 KR 1020090099819 A KR1020090099819 A KR 1020090099819A KR 20090099819 A KR20090099819 A KR 20090099819A KR 101052741 B1 KR101052741 B1 KR 1010527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t
- sun
- fastening
- pair
- fasten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072 sun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89 polycarbonate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34 poten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7—Removable protection for the nape, e.g. sun or rain shield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자는, 일측의 단부가 모자의 차양과 착용부의 좌우 봉제선 영역에 각각 봉제되며, 타측의 단부가 상기 차양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햇빛을 가리는 한 쌍의 햇빛가리개와; 상기 착용부의 배면 중앙 부근에 형성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하는 체결 수단을 가지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체결수단이 대응하여 체결되는 경우 고리 모양을 형성하고, 그 고리 모양으로 상기 한 쌍의 햇빛가리개의 매듭이 관통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t having a back neck cover. Ha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sewn in the left and right seam region of the awning and the wearing portion of the hat, respectively, the other end is formed by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awning, a pair of sun shades that cover the sunlight; A coupling member formed near the rear center of the wearing portion; A fastening member having a fasten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ans are fastened correspondingly to form a ring shape, and to fasten the knot of the pair of sunshade through the ring shape; Member;
햇빛가리개 사용시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수단을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분리하고, 햇빛가리개 비사용시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수단을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결합 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의 햇빛가리개가 나누어지고 상호 매듭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로서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When using a sun shader, the fastening means of the fix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member, and when the sun shader is not used, a pair of left and right sunlight 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ring formed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of the fixing member to the coupling member. The screen is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and knotted together.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simultaneously improving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as a hat with a back neck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가리개를 부착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t with a shade that can protect the skin from sunlight.
일반적으로 모자는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차양과 머리가 수용되는 크라운이 봉제되어 이루어진다. 이런 형태의 대표적인 모자가 캡(Cap)과 햇(Hat)이며, 이들은 통상 직물재 부재로 구성되는 모자이다. 또한, 크라운 대신에 착용자의 머리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으로 압박하여 착용하는 헤어밴드를 구비한 모자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를 "썬캡"이라고 칭하기도 하며, 차양이 반투명 합성수지재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직물이나 밀짚 등의 천연소재로 구성되기도 한다.In general, the hat is made of a sunshade for covering the face of the wearer from the sun and the crown is accommodated in the head is sewn. Representative hats of this type are caps and hats, which are typically hats composed of fabric members. In addition, a hat having a headband worn under pressure b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n the wearer's head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tead of the crown is also widely known.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sun cap," and the shade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polycarbonate film, or may be made of a natural material such as fabric or straw.
위와 같은 종래의 모자는 전방 위쪽에서 조사되는 햇빛으로부터 어느 정도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머리 뒷부분, 목 뒷부분의 피부 또는 햇볕에 노출되는 어깨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착용자는 모자 외에 스카프나 수건 등을 별도로 준비해서 모자 위에 덧쓰거나 어깨에 걸쳐 사용하 곤 했다. 그러나, 수건이나 스카프 등을 번번이 휴대하기는 무리가 있으며, 모자 위에 수건이나 스카프 등을 걸칠 경우 외적인 심미성이 떨어져 실상 그 사용이 많지 않았다. Conventional hats as above can protect the face to some extent from the sunlight emitted from above the front.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otect the back of the head, skin behind the neck, or shoulders exposed to the sun. The wearer used to prepare a scarf or towel in addition to the hat and used it over the shoulder or over the should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rry a towel or a scarf repeatedly, and when a towel or a scarf is worn on a hat, the external aesthetics are not practically used.
한편, 별도의 햇빛가리개 부재를 차양이나 크라운에 부착한 모자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모자에 따르면 다음 두 가지 큰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첫째 기능적인 문제점이다. 햇빛가리개로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은 만족할 수 있지만,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햇볕이 따갑지 않거나 답답한 기분이 들 때에도 부착된 햇빛가리개가 아래쪽으로 내려져 있어서 불만이었다. 따라서 햇빛가리개를 사용하길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답답함을 증대시키고 시야를 협소하게 하는 기능상의 불이익을 초래하였다. On the other hand, a hat is known in which a separate sun shade member is attached to the shade or crown. But such a hat entailed two major problems: The first is the functional problem. The ability to block the sun with a sunshade can be satisfactory, but when the sunshade is not used, for example, the attached sunshade is lowered even when the sun is not sore or frustrating. Thus, in situations where you do not want to use sun shaders, this has resulted in functional disadvantages that increase frustration and narrow your field of view.
둘째, 심미적인 불이익이 수반되었다. 본래 모자의 양 사이드 사이를 횡단하여 부착되어 아래쪽으로 내려진 햇빛 차단 부재에 의해, 모자의 외관 형태가 우스꽝스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햇빛가리개를 모자에 부착하지 않고 착탈식으로 해서,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자에서 분리하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햇빛가리개 착탈식 모자는 분실의 위험이 수반되며, 단추와 같은 착탈 수단이 모자의 외관에 노출되어 역시 심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되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모자의 경우,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Second, there was an aesthetic disadvantage. Original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hat was ridiculous due to the sunscreen member attached downward across the sides of the hat.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 technique of detaching a sunshade without attaching the sunshade to a hat and detaching the hat from the hat when a sunshade is not used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sunshade removable hat carries the risk of loss, and the detachable means such as buttons are exposed to the hat's appearance, which is also a detrimental factor. That is, in the case of the h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roblem that the aesthetics is lowered in order to secure the functionality occurred.
오늘날 패션 산업의 발전과 개성을 강조하는 문화의 보편적인 현상에 기초하여, 종래의 모자의 전통적인 기능성(햇빛 차단 및 머리보호 등)을 강조하는 시대에 서 심미적인 기능성 및 편리성이 강조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는 모자 산업의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는 기능성뿐만 아니라 심미성도 함께 고려하여 모자를 구매하고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기능성도 심미적으로 자연스럽게 보이거나 작용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 기술은 단자 햇빛 차단의 기능적인 목적만을 달성하고자 하여, 심미적으로 부자연스러운 결과를 불러왔다. Today, based on the universal phenomenon of culture that emphasizes the development and individuality of the fashion industry, the era of emphasizing aesthetic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from the era of emphasizing the traditional functionality of the traditional hat (sun protection and head protection, etc.) We need to face the reality of the changing hat industry. Consumers tend to buy and use hats considering not only functionality but also aesthetics. In other words, the functionality also needs to look or act aesthetically naturally, and the prior art only attempts to achieve the functional purpose of terminal sun protection, resulting in aesthetically unnatural results.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research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향상된 기능성과 고양된 심미성을 동시에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mproved functionality and enhanced aesthetic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함에 있다. 그 기능성의 일환으로서, 햇빛가리개를 모자에 부착하여 모자와 일체화함으로써 햇빛가리개의 분실 위험성을 방지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뒷목 부위까지 햇빛을 가릴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의 다른 측면에서는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햇빛가리개가 효과적으로 고정되어 착용자의 뒷목 쪽으로 내려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improved functionality. As part of its functionality, the sun shader is attached to the hat and integrated with the hat to prevent the risk of losing the sunshade, thereby increasing portability and providing a hat that can cover the sunlight to the back neck area. 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function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the sun shader from being fixed down effectively toward the wearer's back neck when the sun shader is not u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 향상과 동시에 심미성을 더욱 고양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심미성은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더욱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햇빛가리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햇빛가리개의 기능을 이용하여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기능성이 더욱 강조될 수 있다. 하지만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히려 햇빛가리개의 본래 기능을 감추고, 그것을 심미성으로 대체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인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improving functionality and further enhancing aesthetics. The aesthetic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applied when the sun shader is not used. In the case of using a sun shader, the functionality can be further emphasized because it is used to protect the skin from the sun by using the function of the sun shader. However, when the sun shader is not used, it is ra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id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sun shader and replace it with an aesthetic.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의 단부가 모자의 차양과 착용부의 좌우 봉제선 영역에 각각 봉제되며, 타측의 단부가 상기 차양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햇빛을 가리는 한 쌍의 햇빛가리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one side is sewn in the left and right seam region of the hat and the wearing portion of the hat, respectively, the other end is formed by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hade, a pair that covers the sunlight Sunshade;
상기 착용부의 배면 중앙 부근에 형성되는 결합 부재; 및A coupling member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wearing portion; And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하는 체결 수단을 가지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체결수단이 대응하여 체결되는 경우 고리 모양을 형성하고, 그 고리 모양으로 상기 한 쌍의 햇빛가리개의 매듭이 관통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A fastening member having a fasten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ans are fastened correspondingly to form a ring shape, and to fasten the knot of the pair of sunshade through the ring shape; Member;
햇빛가리개 사용시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수단을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분리하고, 햇빛가리개 비사용시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수단을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결합 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의 햇빛가리개가 나누어지고 상호 매듭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When using a sun shader, the fastening means of the fix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member, and when the sun shader is not used, a pair of left and right sunlight 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ring formed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of the fixing member to the coupling member. The screen is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and knotted together.
본 발명의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좌우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햇빛가리개를 모자의 측면에서 배면쪽으로 가이드 해 주는 제 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at having a back neck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which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ear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upling member for guiding the pair of sun shaders from the side of the hat to the back side; ,
상기 제 2 결합부재에 각각 대응하는 체결 수단을 가지는 제 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fixing member having a fastening mea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햇빛가리개는 모자의 배면의 상기 고정부재가 있는 위치에서, 상호 중첩되는 봉제 영역을 갖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at having a back neck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n shades,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wing area overlapping each other, at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on the back of the hat.
또한, 본 발명의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배면에서 상기 한 상의 햇빛가리개가 상호 매듭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이 통기를 위한 메쉬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at having a back neck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un shades of the one top are knotted on the back of the wearing portion is formed of a mesh material for ventilation.
또한, 본 발명의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배면에는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고무밴드가 부착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at having a back neck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ubber band that can adjust the size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wearing portion.
본 발명의 모자는 햇빛가리개가 모자에 일체로 봉제되어 있어서,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여 뒷목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햇빛가리개의 분실 위험이 없고 사용자의 휴대가 간편하다. H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n shade is sewn integrally to the hat, can effectively protect the back neck using a sun shade, there is no risk of losing the sun shade and easy to carry the user.
또한, 햇빛가리개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모자의 후면에서 매듭을 형성하여 모자의 장식부재로 활용할 수 있어,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모자의 외관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고정부재의 기능성에서 비롯되며, 또한 햇빛가리개의 또 다른 기능을 추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n shader is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can be used as a decorative member of the hat by forming a knot at the rear of the hat by the fixing member,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hat when not using the sun shader have. This advantage comes from the functionality of the fixing member to enhance the aesthetics, and also has the effect of adding another function of the sunshade.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Although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ded that the potential effect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경우 상당히 많은 봉제선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함에 있어 불필요한 봉제선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생략되었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부분이어서 역시 생략되기도 하였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Shapes of elem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or expressed to emphasize clearer explanation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at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seams, but in order to expla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seam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자(100)에서 햇빛가리개(130,1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모자(100)의 측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모자(100)의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자(100)에서 햇빛가리개(130,140)를 사용하는 경우의 측면구성과 배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when not using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착용부(110)와, 착용부(110)와 봉제선에 의해 봉제되어 일체화되어 햇빛을 가려주는 차양(120)과, 착용부(110)의 좌우에 구비되어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뒷목까지 연장되어 햇빛을 가려주고, 비 사용시에는 차양(120) 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햇빛가리 개(130,140)를 포함한다. 또한, 햇빛가리개(130,140)가 사용되지 않을 때 햇빛가리개(130,1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착용부(110)와 차양(120)이 상호 봉제되는 위치에 따라 그 하측단부에 함께 봉제되는 헤어밴드가 착용부(110)의 내측에 존재한다. 이 헤어밴드는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착용부(110)와 차양(120)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부가적인 디자인이 더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re is a hair band sewn together at the lower end of the wearing
특히, 착용부(110)의 배면에는 착용시에 통기성을 높이기 위해 메쉬소재로 형성된 통기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통기부(115)는 메쉬 소재의 그물망 형태로 구비되어 착용시 상쾌함을 느낄 수 있다. 햇빛가리개를 착용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더운 여름철이기 때문이며, 햇빛가리개 착용시의 답답함을 그와 같은 통기부(115)에 의해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햇빛가리개(130, 140) 사용시에 통기부(115)가 기능하도록 하고, 비사용시에는 햇비가리개(130, 140)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결과적으로 햇빛가리개(130, 140)가 매듭지어지는 위치에 상기 통기부(115)가 형성될 것이다. In particular, the back of the wearing
또한, 차양(120)이 직물재인 경우 차양의 부재에는 차양(120)의 형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스티치라인(123)이 봉제될 수 있다. 스티치라인(123)은 좁은 간격으로 차양(12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차양(120)의 판면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햇빛가리개(130,140)의 일측의 단부는 착용부(110)의 좌우 양쪽으로 봉제선 영역에 함께 봉제되어 모자와 일체화된다. 즉, 햇빛가리개(130,140)의 일단부는 봉제선을 따라 모자에 봉제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의 형태로 중력에 의해 차양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늘어지는 구성이다. 햇빛가리개(130,140)는 봉제선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펼쳐졌을 때 전체 길이가 사용자 착용시 어깨에 이를 정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햇빛가리개(130,140)는 봉제선을 따라 사용자의 좌우측 귀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착용부(110)의 배면 쪽으로 봉제되며, 그 끝이 배면 중앙의 고정부재(150)을 기준으로 약간 반대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배면 중앙의 고정부재(150)를 기준으로 좌우의 햇빛가리개가 상호 중첩되는 봉제 영역이 만들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ends of one side of the pair of
고정부재(150)는 햇빛가리개(130,1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햇빛가리개(130,140)를 차양(120)의 위로 안내하여 위치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 고정부재(150)의 한쪽 끝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에 봉제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 부분에 체결 수단(153a)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편(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고정부재(150)는 모자의 배면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ixing
또한, 착용부(110)의 배면 중앙 부근에는 결합 부재(151)가 있으며, 그 위치는 고정부재(15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가 된다. 고정부재(150)의 체결수단(153a)은 대응되는 결합부재(151)에 착탈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의 체결수단(153a)이 결합 부재(151)에 체결되는 경우, 고정부재(150)의 결합편(153)은 고리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고리 모양으로 햇빛가리개(130, 140)가 관통하게 되며(정확하게는 하기의 매듭이 위치함), 한 쌍의 햇빛가리개(130, 140)이 상호 중첩되는 부분이 이 고정부재(15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고리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결합 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의 햇빛가리개(130, 140)가 나누어지고 상호 매듭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이 도시하고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특히 도 3의 경우, 고정부재(150)를 기준으로 한 쌍의 햇빛가리개를 매듭 지은 다음에 결합편의 체결수단(153a)과 결합부재(151)를 체결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gure 3, a pair of sun shades are knotted based on the fixing
상기 결합편(153)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햇빛가리개(130,140)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펼쳐지는 햇빛가리개(130,140)의 아래에 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모자 배면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재(50)는 햇빛가리개(130, 140)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모자의 심미감을 해치지 아니한다. The
한편,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와 결합부재는 모자의 좌우 측면에 2개씩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과 역할이 동일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서는 좌측의 고정부재(150)를, 도 2에서는 우측의 고정부재의 결합편(153)과 체결수단(153a)를 도시하고 있다. 착용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재들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결합부재들은 착용부의 좌우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햇빛 가리개(130, 140)를 모자의 측면에서 배면쪽으로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들 결합부재들에 각각 대응하는 체결 수단을 가지는 고정부재들을 통해 형성되는 결합고리에 햇빛가리개(130, 140)가 관통하여, 배면으로 안내됨으로써 전방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햇빛가리개의 형태도 심미적으로 안정감 있게 해 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may be further configured by two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p. Since the functions and roles are the sam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FIG. 1, the fixing
또한, 고정부재(150)들을 통해서 햇빛가리개(130,140)가 자연스럽게 주름을 형성하고 늘어지면서 심미적인 효과는 더욱 부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재(151)는 수단추이고, 상기 체결수단(153a)는 암단추로서, 암수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재(151)는 벨크로 고리이고, 상기 체결수단(153a)는 벨크로 암섬유로서, 벨크로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빛가리개(130,140)를 모자(100)의 배면 측으로 접어서 서로 매듭을 묶은 상태로 착용하다가, 햇빛이 강해져 목과 어깨를 가기로 싶은 경우 결합편(153)과 체결수단(151)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햇빛가리개(130,140)의 매듭을 푼다. 이에 의해 햇빛가리개(130,140)의 위치를 구속하던 구속력이 사라지므로 한 쌍의 햇빛가리개(130,14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면서 사용자의 어깨까지 연장되게 되고, 햇빛을 효과적으로 가리게 된다. The user folded the sun shades 130 and 140 to the rear sid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부(110)와 차양(120)의 봉제 영역의 배면에는,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고무밴드가 부착될 수 있다. 도 5의 도면부 호 160은 부착된 고무밴드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주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고무밴드에 의해서, 본 발명의 모자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자연스럽게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ubber band that can adjust the size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ewing area of the wearing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자는 햇(HAT) 형태의 모자에 관한 것이지만, 캡(CAP)의 모자에 대해서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으며, 소위 "썬캡" 형태의 모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재의 개수는 모자의 디자인과 햇빛가리개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추가될 수 있다. The ha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lates to a hat of the hat (HAT), but of course can also be applied to the hat of the cap (CAP), so-called "sun cap" type hat Applicable to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osition fixing member may be added in an appropriate number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hat and the thickness of the sun shade.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Furth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when the sun shader is not used in th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측면구성예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configuration example when not using a sun shader in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배면구성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ack configuration when the sun shader is not used in the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햇빛가리개를 사용하는 경우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ide configuration when using a sun shader in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햇빛가리개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rear configuration when using a sun shader in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모자 110 : 착용부100: cap 110: wearing part
115 : 통기부 120 : 차양115: vent 120: shade
121 : 봉제선 123 : 스티치라인121: seam 123: stitch line
130 : 좌측 햇빛가리개 140 : 우측 햇빛가리개130: left side blinder 140: right side blinder
150 : 고정부재 151 : 결합부재150: fixing member 151: coupling member
153 : 결합편 153a : 착탈수단153:
160 : 고무밴드에 의해 형성되는 주름 영역160: wrinkle area formed by the rubber band
※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 및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함이며, 그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drawings and reference numeral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9819A KR101052741B1 (en) | 2009-10-20 | 2009-10-20 | A hat with a back ne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9819A KR101052741B1 (en) | 2009-10-20 | 2009-10-20 | A hat with a back ne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2942A KR20110042942A (en) | 2011-04-27 |
KR101052741B1 true KR101052741B1 (en) | 2011-07-29 |
Family
ID=4404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9819A KR101052741B1 (en) | 2009-10-20 | 2009-10-20 | A hat with a back ne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274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3226B1 (en) * | 2013-04-09 | 2014-11-21 | 변형자 | Hat awning with means crossover suppor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2936A (en) * | 2000-03-27 | 2001-10-27 | 김동수 | The product method of the sang too hat |
KR200442962Y1 (en) | 2007-08-17 | 2008-12-23 |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 Ringed Sun Cap |
KR20110000917U (en) * | 2009-07-21 | 2011-01-27 | (주)청림인터내셔날 | Sun cap with two functions for decoration and protection against sunshine |
-
2009
- 2009-10-20 KR KR1020090099819A patent/KR1010527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2936A (en) * | 2000-03-27 | 2001-10-27 | 김동수 | The product method of the sang too hat |
KR200442962Y1 (en) | 2007-08-17 | 2008-12-23 |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 Ringed Sun Cap |
KR20110000917U (en) * | 2009-07-21 | 2011-01-27 | (주)청림인터내셔날 | Sun cap with two functions for decoration and protection against suns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2942A (en) | 2011-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10316B2 (en) | Head cover | |
US20060168708A1 (en) | Shade cap | |
US20140223637A1 (en) | Bespoke cap for dreadlocks | |
KR200456313Y1 (en) | Cap having a hiden rear neck cover with hiden connecting parts thereof | |
KR101052741B1 (en) | A hat with a back neck | |
JP3219279U (en) | Sun hat | |
KR200459476Y1 (en) | Resizing hat | |
KR101666935B1 (en) | Equipped with an open upper sun shade hat | |
KR200458395Y1 (en) | Embellished Sunblind Hat | |
KR200463546Y1 (en) | Cap having a rear neck cover | |
JP3202931U (en) | Sun hat | |
KR200473552Y1 (en) | Hat with a Broad Brim | |
KR200327105Y1 (en) | Visor hood | |
KR200453288Y1 (en) | Double-sided shading wool by attaching and detaching decorative members | |
JP3217834U (en) | Sun hat | |
KR20120002083U (en) | Hood member for hat | |
JP3248104U (en) | hat | |
CN217791611U (en) | Deformable hat | |
JP2017014640A (en) | Sun visor hat | |
JP3162935U (en) | Hat with collar | |
KR200418518Y1 (en) | Sunshade | |
JP3152364U (en) | Apparel hat | |
KR20120001993U (en) | Adjustable Strap Hood | |
KR200479093Y1 (en) | Cap with a wrinkle band | |
KR20100104128A (en) | Multifunction h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