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8217B1 -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상위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상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217B1
KR101128217B1 KR1020107001666A KR20107001666A KR101128217B1 KR 101128217 B1 KR101128217 B1 KR 101128217B1 KR 1020107001666 A KR1020107001666 A KR 1020107001666A KR 20107001666 A KR20107001666 A KR 20107001666A KR 101128217 B1 KR101128217 B1 KR 10112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mobile station
radio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417A (ko
Inventor
하지메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2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른 무선 기지국과 함께 상위 장치에 접속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자국과 접속된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그 이동국용의 데이터를 그 이동국에 전송하는 한편, 그 이동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고, 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핸드오버처인 다른 무선 기지국에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에,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 후에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와, 다른 무선 기지국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상위 장치{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SUPERIOR APPARATUS}
본 발명은, 패킷 교환형 서비스를 실현하는 무선 기지국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국의 서비스 에리어간 이동에 수반하는 핸드오버 처리 시에, 그 이동국용의 유저 데이터를 핸드오버원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처 무선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세대(예를 들면, 제3 세대(3G))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그 시스템 구성(서비스 에리어 범위)이 매우 넓게 구축되어 있다. 각 서비스 에리어간을 이동국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필연의 기능이다. 이동국이 서비스 에리어간을 이동하는 처리(이동국이 무선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을 절환하는 처리)는, 일반적으로 핸드오버 처리라고 불린다. 핸드오버 처리에서, 핸드오버 대상 이동국이 접속하고 있는 통신이 도중에 끊기지 않도록, 대상 이동국이 서비스 에리어간을 이동할 수 있는 기술이 채용되어 있고, 엔드 유저에 대해, 통신 끊김이 없는 스트레스리스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후보 중 하나로서 사양이 개발되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도, 이동국의 서비스 에리어간 이동에 수반하는 통신 계속 기술의 하나로서, 핸드오버 기능 및 관련하는 제어 방식이 정의되고 있다(사양이 개발 중이다).
LTE 시스템에서 현재 검토ㆍ개발되고 있는 핸드오버 사양에서는, 서비스 에리어를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을 걸친 이동국의 이동에 관하여, 이동국용의 송신 데이터를 핸드오버원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핸드오버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전송하는 방식이 검토되어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은, 무선의 서비스 에리어를 각각 갖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 장치(eNode-B(eNB))와, eNB의 상위 장치에 상당하는 MME/SAE 게이트웨이(MME/SAE Gateway)를 구비하고 있다.
MME/SAE 게이트웨이와 eNB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eNB간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된다.
MME/SAE 게이트웨이는, NAS 신호 종단, 아이들 상태의 이동국(UE:User Equipment)의 관리, SAE 베어러 리소스 관리 등을 담당한다.
eNB는, 호 제어 및 무선 제어를 담당하고, RRC(Radio Resource Control), S1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포인트(S1ㆍAP), X2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포인트(XㆍAP) 등의 기능을 갖는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제2007-53805호공보
비특허 문헌 1 : TS36.300 V8.0.0(2007-03) Evolved Unⅳ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and Evolved Unⅳ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 Overall description ; Stage 2(Release 8)
그러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리소스라고 하는 유한 자원을 유효 활용하기(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W-CDMA 등의 기존 시스템에서 채용되고 있는 개별 채널 리소스 할당의 논리를 답습하지 않고, 쉐어드 채널 할당(무선 CH(채널)의 공유 이용)을 전제로 하는 사양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 2는, 쉐어드 채널 할당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일례)이다. 도 2에 나타낸 OFDMA 무선 기술과 같은 쉐어드 채널 할당 논리의 경우에서는, 유저에 대한 리소스 할당은, 주파수축 및 시간축의 쌍방에서, 항시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유저가 필요 시에 원하는 리소스 할당을 받을 수 없는 사상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핸드오버 처리에서도, 핸드오버원 기지국 및 핸드오버처 기지국으로부터 대상 이동국에 대해, 동일 타이밍 및 동일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은 곤란하여, 핸드오버는 기본적으로 채널 절환 방식으로 되게 된다.
그러나, 채널 절환 방식의 핸드오버에서는, 이동국에서의 데이터 연속성을 유지하여, 핸드오버 처리 중의 데이터 결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 시에서, 이동국용의 데이터는 가능한 한 결락되지 않도록, 핸드오버원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처 기지국에 이동국용의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데이터 포워딩 처리」라고 불림)이 검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포워딩 처리를 적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는, 상위 장치에 각각 접속된, 이동국의 핸드오버원으로 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핸드오버처로 되는 제2 무선 기지국을 구비하고, 이동국이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무선 기지국 중의 한쪽과 무선 접속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자국과 무선 접속 중의 이동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그 이동국용의 데이터를 그 이동국에 전송하고, 그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고, 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오버 요구의 수신 후에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를 통하여, 상기 제1 무선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자국과의 무선 접속으로 절환한 상기 이동국에 대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상기 핸드오버 처리를 통한 상기 상위 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신처의 절환에 의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와의 쌍방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제2 양태는, 다른 무선 기지국과 함께 상위 장치에 접속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자국과 접속된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그 이동국용의 데이터를 그 이동국에 전송하는 한편, 그 이동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고, 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핸드오버처인 다른 무선 기지국에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 후에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와,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이다.
제2 양태에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데이터의 송신 정지 타이밍을 상기 상위 장치가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상위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위 장치 및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 중 적어도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통지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 종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 종별 및 상기 이동국용의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태는, 다른 무선 기지국과 함께 상위 장치에 접속되고,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국과 무선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대상 이동국의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핸드오버 처리를 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와,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 후에,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핸드오버 대상 무선 기지국용의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가 전송 데이터의 수신을 허용하는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처리를 통하여 자국과 무선 접속된 핸드오버 대상 이동국에 대해, 상기 수신 허용 기간 내에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데이터와, 상기 핸드오버 처리를 통한 상기 상위 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신처의 절환에 의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와의 쌍방을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이다.
제3 양태에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로서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자국에 대해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4 양태는,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국과 무선 접속하는 제1 무선 기지국 및 제2 무선 기지국과 접속된 상위 장치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과 무선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용의 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에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 송신을 정지함과 함께,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서 실행되는 핸드오버 처리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상위 장치이다.
제4 양태에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대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포워딩 처리를 적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OFDMA에서의 각 유저에 대한 쉐어드 채널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간에서의 핸드오버 처리 개념의 설명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관한 호 처리 및 유저 데이터 전송 처리의 설명도.
도 5는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및 동작의 개요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저 플레인 및 제어 플레인에서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이동국의 에리어 이동에 수반하는, 핸드오버 처리 시의 제어 신호(메시지) 및 유저 데이터의 흐름의 일례(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
도 8은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관한 타이머 정보(Timer Information)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
도 9는 이동국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MME/SAE 게이트웨이(상위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의 일례(S1/X2 공통 엔트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S1/X2 개별 엔트리).
도 11C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의 일례(S1 개별 엔트리/X2 오프셋값)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이동국용의 데이터 유량(트래픽량)에 따른 타이머값 결정 방법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데이터 유량(트래픽량)에 따른 타이머값을 저장한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타이머값 계산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타이머값 계산에 필요한 복수의 파라미터를 저장한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타이머값 계산에 사용되는 계산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부호의 설명>
10A, 10B : 무선 기지국
20 : MME/SAE 게이트웨이(상위 장치)
30 : 이동국
50, 60 : 테이블
100 : 무선 기지국 장치
101 : 송수신 안테나
102 : 옥외 수신 증폭기
110 : 무선부
111 : 송신 증폭기
112 : 무선 송수신 기능부
113, 121 : 인터페이스 기능부
120 : 무선 제어부
122 : 베이스 밴드 처리 기능부
123 : 전송로 인터페이스 기능부
124 : IP 처리부
125 : 제어부
126 : 트래픽 측정 기능부
127 : 호 처리 제어 기능부
130 : IP 전송로
200 : MME/SAE 게이트웨이 장치
210 : MME 장치
220 : SAE 게이트웨이 장치
211 : 보수 감시 기능부
212 : 콘텍스트 관리 제어부
213, 221 : 공통 제어부
214 : 호 처리 제어부
215, 223, 224 :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
222 : 유저 플레인 기능부
300 : 이동국 장치
301 : 송수신 안테나
302 : RF부
303 : 베이스 밴드부
304 : 호 제어부
305 : 기록부
306 : 듀플렉서
307 : 수신기
308 :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309 : 주파수 신시사이저
310 : 송신기
311 : 파워 앰프
312 : 변복조부
313 : 오디오 인터페이스
314 : 베이스 밴드 및 RF 제어부
315 : 음성 입출력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경위>
도 3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간에서의 핸드오버 처리 개념의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MME/SAE(Mobile Management Entity/Systems Architecture Evolution) 게이트웨이(MME/UPE(Mobile Management Entity/User Plane Entity) Gateway라고도 불리움)에 2개의 무선 기지국(eNB : evolved Node B) B1 및 B2가 접속되어 있고, 이동국(UE : User Equipment)이, 기지국 B1의 서비스 에리어로부터 기지국 B2의 서비스 에리어로 이동하는(핸드오버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지국간에 걸치는 핸드오버는, 일반적으로 기지국간 핸드오버(Inter eNB Handover)라고 불린다. 기지국간 핸드오버에서, 핸드오버원 기지국은 소스 eNB(Source eNB)라고 불린다(이하, 「소스 기지국」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핸드오버처 기지국은, 대상 eNB(Target eNB)라고 불린다(이하, 「타겟 기지국」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도 3에서는, 핸드오버 처리 시에, 기지국 B1이 소스 기지국(HO원)으로 되고, 기지국 B2가 타겟 기지국(HO처)으로 된다. 또한, 도 3은, 핸드오버 개시 전으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후에 걸치는, 유저 플레인(User Plane)의 데이터(유저 데이터)의 전송 루트 (1)~(3)을 나타냄과 함께, 핸드오버 처리 시에 제어 플레인(C-Plane)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 A~G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호 확립을 기지국 B1과의 사이에서 실시한 이동국(UE)이, HO처의 기지국 B2의 서비스 에리어(타겟 에리어)로 이동할 때에는, 유저 플레인 및 제어 플레인의 각각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순예에서 호 처리 및 유저 데이터 전송 처리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서, 이동국이 기지국 B1의 서비스 에리어(이동국이 기지국 B1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범위)에서 기지국 B1과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다운 링크 방향으로 송신되는 유저 플레인의 데이터(유저 데이터)는, 기지국 B1을 통하여 이동국에 전송된다(도 3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루트 (1) 참조).
그 후, 이동국이 기지국 B1의 서비스 에리어(소스 에리어)로부터 타겟 기지국의 서비스 에리어(대상(타겟) 에리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지국간 핸드오버 처리가 실시된다. 핸드오버 처리 중에서는,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기지국 B1(소스 기지국)에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기지국 B1로부터 기지국 B2(타겟 기지국)에 전송되고,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전송된다(도 3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루트 (2) 참조).
그 후, 핸드오버 처리가 종료되면,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기지국 B2(타겟 기지국)에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타겟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국에 전송된다(도 3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루트 (3) 참조).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 에리어로부터 대상 에리어에의 이동국의 이동을 수반하여, 제어 플레인에서는, 이동국의 핸드오버(HO) 기동 요구 메시지로서 기능하는 "Measurement Report"가,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 B1에 전송된다(도 3 및 도 4의 메시지 "A" 참조).
"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한 기지국 B1은, 소스 기지국으로서, 타겟 기지국인 기지국 B2(타겟 기지국 B2)에 대해, 기지국간 HO 기동 및 HO용 회선 확립 요구 메시지로서 기능하는 "Handover Request"를 송신한다(도 3 및 도 4의 메시지 "B" 참조).
"Handover Request"를 수신한 기지국 B2는, 타겟 기지국으로서, 핸드오버용의 회선을 포착하고, 소스 기지국인 기지국 B1(소스 기지국 B1)에 대해, "Handover Request"에 대한 응답 확인 메시지인 "Handover Request ACK"를 송신한다(도 3 및 도 4의 메시지 "C" 참조).
"Handover Request ACK"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 B1은, 이동국에 대해, HO 지시로서의 메시지 "Handover Command"를 송신한다(도 3 및 도 4의 메시지 "D" 참조).
"Handover Command"를 송신한 소스 기지국 B1은,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유저 데이터의 전송처를 타겟 기지국 B2로 절환한다.
한편, "Handover Command"를 수신한 이동국은, 소스 기지국 B1로부터, 타겟 기지국 B2에 채널 절환 처리(접속 처리)를 행한다. 접속 처리(접속처의 기지국의 절환)가 종료되면, 이동국은, 이동국의 HO 처리가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HO 완료 보고 메시지 "Handover Confirm"을 타겟 기지국 B2에 송신한다(도 3 및 도 4의 메시지 "E" 참조).
"Handover Confirm"을 수신한 타겟 기지국 B2는, MME/SAE 게이트웨이에 대해, HO 처리의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 "Handover Complete"를 송신한다(도 3 및 도 4의 메시지 "F" 참조).
"Handover Complete"를 수신한 MME/SAE 게이트웨이는, "Handover Complete"에 대한 완료 응답 메시지 "Handover ACK"를 타겟 기지국 B2에 송신한다(도 3 및 도 4의 메시지 "G" 참조). 그 후, MME/SAE 게이트웨이는, 이동국용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처를 소스 기지국 B1로부터 타겟 기지국 B2로 절환한다.
타겟 기지국 B2는, 예를 들면 이동국과의 접속 처리 후, 소스 기지국 B1로부터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를 이동국에 전송한다(도 3의 루트 (2)). "Handover ACK"를 수신한 후는, 타겟 기지국 B2는,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는 유저 데이터를 이동국에 전송한다(도 3의 루트 (3)).
전술한 바와 같은 HO 처리에서, 소스 기지국 B1로부터 타겟 기지국 B2에 유저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간(도 3의 루트 (2))의 처리는, 데이터 포워딩(Data Forwarding) 처리라고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포워딩 처리에 관하여, 현재, 주로 이하의 과제가 있다고 염려되고 있다.
(1) 데이터 포워딩 처리에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에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포워딩 데이터)의 종료 지점을 타겟 기지국(Target eNB)이 알 수 없다.
(2) 기지국간에서 실시되는 포워딩 데이터의 전송 기간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주로 상기 과제 (2)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간 핸드오버 처리 시에서의 이동국용의 유저 데이터에 관하여, 타겟 기지국은, 최대 2방로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2방로의 종별은 이하와 같다.
<1> HO원의 기지국(소스 기지국(S-eNB))으로부터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되어 오는 유저 데이터.
<2> HO 처리 후에,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신규로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
핸드오버 처리의 과도기에서, 타겟 기지국에서는, 이동국(UE)에 대한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로서, 이하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1] X2 인터페이스 경유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동국에 송신하는 송신 처리를 우선적으로 행한다.
[2] X2 인터페이스 경유의 데이터 송신 처리의 완료 후, 새로운 S1 인터페이스 경유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동국을 향하여 송신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을 갖는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간의 전송로 접속, MME/SAE 게이트웨이(이하, 간단히 「게이트웨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음)와 기지국 사이의 전송로 접속은, IP망(Internet Protocol Network)을 적용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타겟 기지국은, S1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이동국에 송신하는 처리를, 반드시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이 완료된 후에 개시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타겟 기지국이, X2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유저 데이터 패킷(유저 패킷)의 송신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S1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유저 패킷의 송신 처리를 개시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핸드오버 처리가 완전하게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간의 전송로(IP망)의 변동 및/또는 지연 등의 영향에 의해, X2 인터페이스로부터 유저 패킷이 도착하는 케이스가 일어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측에서는, 지연 패킷에 관해서도 송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타겟 기지국에 관하여,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패킷) 수신용의 버퍼량의 확보나, 데이터(패킷) 송신 순서 제어 등의 부하 처리를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기지국 장치에서의 X2 인터페이스용의 버퍼 사이즈 등을 크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기지국의 장치 규모나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실시 형태의 개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과제 (2) "소스 기지국에 의한 포워딩 데이터의 전송 기간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시에 핸드오버 처리를 실시하는 기지국간에서, 핸드오버 대상 이동국에 관하여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기간(전송 기간)을 정의하고, 장치간에서 전송 기간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억제하고, 각 장치에서의 부하 처리의 경감(예를 들면, 순서 제어를 불필요로 하는, 버퍼 사이즈의 확대를 억제함)을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핸드오버원 기지국(소스 기지국)은,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장치(MME/SAE 게이트웨이 또는 다른 기지국(타겟 기지국으로 되는 기지국))를 향하여, 필요한 정보(메시지나 파라미터)를 송신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및 동작예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저 플레인 및 제어 플레인에서의 동작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데이터 및 메시지의 흐름은, 도 3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것을 포함하고 있고, 도 3에 도시한 데이터의 전송 루트 (1)~(3) 및 메시지 A~G에, 파라미터/메시지 B1, B2 및 C1의 흐름을 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5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간 핸드오버(Inter eNB Handover)를 행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eNB)(10A 및 10B)과, 각 기지국(10A 및 10B)의 상위 장치인 MME/SAE 게이트웨이(20)(게이트웨이(20))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복수의 기지국(10A, 10B) 및 게이트웨이(20)를 구비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유저(단말기)로서, 기지국의 서비스 에리어의 재권 시에, 그 기지국과의 호 접속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UE)(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서, 최초로, 이동국(30)이 기지국(10A)의 서비스 에리어 SA1에 재권하고, 기지국(10A)과의 사이에서 호를 확립하면, 이동국(30)은, 게이트웨이(20)로부터 기지국(10A)을 통하여 전송되어 오는 다운 링크 방향의 유저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즉, 도 5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루트 (1)에서 유저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이동국(10)이 기지국(10B)의 서비스 에리어 SA2를 향하여 이동하고, 결국은 서비스 에리어 SA2 내로 이동한다. 여기에, 이동국(30)은,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 레벨을 수시 측정하고, 예를 들면 자국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기지국(10A))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 레벨보다도 다른 기지국(기지국(10B))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 레벨이 높아지고, 양자의 차분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핸드오버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는, 이동국(30)은, 기지국(10A)(소스 기지국(10A))에 대해, HO 기동 요구 메시지("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한다(도 5 및 도 6의 메시지 "A"). 이 때, 소스 기지국(10A)은, 핸드오버처 기지국(타겟 기지국 : 기지국(10B)) 및 게이트웨이(20)를 향하여, 유저 데이터 전송 기간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도 5 및 도 6의 "B1" 및 "B2"). 또한, 소스 기지국(10A)은, 게이트웨이(20)로부터 파라미터 또는 메시지 "B2"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도 5 및 도 6의 메시지 "C").
도 5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시의 동작 수순의 개요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10A)이 소스 기지국이며, 기지국(10B)이 타겟 기지국이다.
<수순 1>
이동국 장치(이동국(30))로부터 HO 기동 요구 메시지(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인 "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Source eNB)(10A)은, 그 이동국(이동국(30))에 관한 HO 기동 및 HO용 회선 확립 요구 메시지(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 "Handover Request"를, 타겟 기지국(Target eNB)(10B)에 송신한다(도 5 및 도 6의 메시지 "B1").
이 때, 소스 기지국(10A)은, X2 인터페이스를 향하여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간(전송 기간)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파라미터(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Handover Request"에 포함시킨다. 전송 기간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예를 들면 파라미터 :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Data Forwarding Period Timer Value)을 포함한다.
<수순 2>
타겟 기지국(10B)에서는, 소스 기지국(10A)으로부터 수신한 "Handover Request"를 바탕으로, 이동국(30)용의 핸드오버 리소스(회선)의 확보 및 확립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Handover Request"에 따라서 기동되는 X2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이 X2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Forwarding Data)의 수신 허용 기간을 타겟 기지국(10B)은 결정한다. 수신 허용 기간은, 소스 기지국(10A)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기간의 인도에 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기간을 포함하는 "Handover Request"를 타겟 기지국이 수신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Handover Request"와 상이한 메시지(전송 기간을 포함함)를 타겟 기지국이 수신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전송 기간의 수신 타이밍은,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전송 데이터의 적정한 수신 기간(수신 종기)을 타겟 기지국이 결정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수순 2에 의해, 타겟 기지국(10B)에서는, 전송 기간에 기초하여, X2 인터페이스 경유로 수신할 필요가 있는 유저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수신 처리의 종료 타이밍)을 인식 또는 결정할 수 있다. 수신 허용 기간의 종기는, 수신 허용 기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의 설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타이머값은,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그대로 적용하여도 되고,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바탕으로 결정되는 상이한 타이머값을 적용할 수 있다.
<수순 3>
소스 기지국(10A)은, 이동국(30)으로부터의 "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고, 타겟 기지국(10B)에 관하여 핸드오버용 회선의 기동을 실시하는("Handover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에, 접속 중의 게이트웨이(20)에 대해, 이동국(30)용의 다운 링크(DL) 송신 데이터의 송신 정지 요구를 포함하는 메시지(「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라고 칭함 : 도 5 및 도 6의 "B2")를 송신한다. 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는, 파라미터의 1개로서, 소스 기지국(10A)에서의 타겟 기지국(10B)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전송 데이터 접수 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10A)은, HO 처리 중에, 이하와 같은 유저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10B)에 송신(전송)하는 것이 요구된다.
(A) HO 중의 이동국(30)용의 다운 링크 데이터로서, 이동국(30)과의 무선 채널(다운 링크)이 절단되기(무선 채널이 타겟 기지국(10B)으로 절환되기) 전에, 이동국(30)에 송신할 수 없었던 유저 데이터(통달 확인을 취할 수 없었던 것을 포함함).
(B) 이동국(30)과의 무선 다운 링크의 절단(무선 채널 절환) 후의 HO 처리 중에서, 신규로 S1 인터페이스 경유로 게이트웨이(20)로부터 도착하는 유저 데이터.
상기 (B)의 유저 데이터(신규 송신 필요 데이터)에 관하여, 필요 없는 전송을 억제하기 위해, 게이트웨이(20)에 대해, 소스 기지국에서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 접수 가능 기간(전송 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 정보(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 "B2"로 통지한다.
또한, 이와 같은 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의 송신은 옵션이며, 필수의 구성 요건은 아니다.
<수순 4>
수순 3에서 설명한 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 "B2"를 수신한 게이트웨이(20)는, 이 메시지 "B2"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10A)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 정보(타이머값)를 인식한다. 그 후, 게이트웨이(20)는, 소스 기지국(10A)에 메시지 "B2"에 대응하는 응답 확인 메시지(도 5 및 도 6의 메시지 "C1" :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 확인)를 송신한다.
이 때 게이트웨이(20)는, 메시지 "B2"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 정보를 바탕으로, 소스 기지국(10A)을 향한 유저 데이터의 송신 가능 기간(송신 정지 타이밍)을 결정한다. 송신 정지 타이밍은, 예를 들면 송신 가능 기간의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설정 타이머값은,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그대로 적용하여도 되고,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바탕으로 결정되는 상이한 타이머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 후, 게이트웨이(20)는, 송신 가능 기간의 타이머값이 초과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S1 인터페이스(소스 기지국(10A))를 향한 유저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한다. 또한, 타이머값의 초과를 트리거로 하여, 타겟 기지국(10B)과의 사이에 설정되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한 유저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응답 확인 메시지 "C1"은, 필수의 메시지가 아니라, 소스 기지국(10A)이 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 "B2"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지 않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수순 3 및 4에 의해, 소스 기지국(10A)은, S1 인터페이스(게이트웨이(20))에 대해, 유저 데이터의 송신 기간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스 기지국(10A) 및 타겟 기지국(10B)의 쌍방은,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기간을 의식(필요 없는 데이터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소스 기지국(10A)이 타겟 기지국(10B)으로부터 메시지 "C"(HO Request ACK)를 수신하고 나서 HO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의 수순은,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이미 설명한 수순과 동일하다. 즉, 통상의 핸드오버 처리(UE용의 회선 기동 확립 확인/HO 이행 처리/HO 완료 처리(Path Switch))가 실행된다.
전술한 수순 1~4에 따르면,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시의 무선 기지국(eNB) 및 상위 장치(MME/SAE Gateway)에서의, 데이터 전송 기간의 억제(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순 1~4에 기초하는 유저 데이터의 전송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생각된다.
(a) 타겟 기지국(10B)측에서는,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기간과 S1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구별하기 위한, 신 파라미터(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X2 인터페이스 및 S1 인터페이스의 쌍방의 브랜치가 기동되는 HO 처리의 과도기에서, 타겟 기지국(10B)은, 이동국(30)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 우선도(X2와 S1 중 어느 것을 우선할지)를, 데이터 전송 기간에 기초하는 일정 시간(수신 시간)에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타겟 기지국(10B)은,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유저 데이터 도착을 헛되이 기다릴 필요가 없어진다. 즉, X2 인터페이스용의 버퍼 사이즈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타겟 기지국(10B)은,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기초하는 설정 타이머의 초과(타임아웃) 후에 X2 인터페이스로부터 유저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여, S1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유저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b) 소스 기지국(10A)은, 게이트웨이(20)에 대해 데이터 전송 접수 가능 기간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스 기지국(10A)은, 타겟 기지국(10B)에 전송이 필요한 유저 데이터의 조정을 자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기지국(10A)은, 불필요한 전송 버퍼(Forwarding Buffer(S1→X2))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버퍼량이 절약된다.
(c) 데이터 전송 기간에 따른 타이머값을 일의로 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X2 인터페이스(타겟 기지국)용으로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 및 S1 인터페이스(게이트웨이)용으로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의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은, 예를 들면 호 종별(QoS : Quality of Service)이나, 실제 데이터 유량(Traffic Volume Measurement) 등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연(Flexible)한 시스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d) 현상 상정되어 있는 무선 기지국(eNode-B)의 기능을 활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e) 타겟 기지국(10B)은, 상정 범위 외의 시간에 도착하는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효율이 낮은) 순서 제어 기능(예를 들면, S1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처리 중에,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처리를 인터럽트시키는 처리)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eNode-B 장치의 개발량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예>
전술한 실시 형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작예>
도 7은, 이동국의 에리어 이동에 수반하는, 핸드오버 처리 시의 제어 신호(메시지) 및 유저 데이터의 흐름의 일례(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에서, 이동국(UE)(30)이 기지국(10A)(소스 기지국 : S-eNB)과 접속하여 호가 확립된 상태(도 7 : OP(operation)1)에서는, MME/SAE 게이트웨이(MME/SAE-GW)(20)로부터의 유저 플레인의 데이터(유저)는, 기지국(10A)을 통하여 이동국(30)에 송신된다(도 7 : OP2).
이동국(30)의 이동에 수반하여, HO 조건이 충족(HO 트리거가 발생)되면(도 7 : OP3), 이동국(30)은, 메시지 "Measurement Report"를 기지국(10A)에 송신한다(도 7 : OP4, 도 5의 메시지 "A"에 상당).
기지국(10A)은, 메시지 "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포함하는 메시지 "Handover Request"를 기지국(10B)(타겟 기지국 : T-eNB)에 송신한다(도 7 : OP5, 도 5의 메시지 "B1"에 상당). 이와 같이 하여, 전송 기간 통지 메시지로서 기능하는 "Handover Request"를 통하여 타겟 기지국에 전송 기간이 통지된다.
기지국(10B)은, "Handover Request"에 기초하여, 이동국(30)에 관한 회선 획득이나 리소스 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행한다. 또한, 기지국(10B)은, 기지국(10A)과의 사이의 X2 인터페이스를 기동하고, "Handover Request"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기초하여, 이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도착하는 유저 데이터의 전송 기간을 계시하는 X2 유저 플레인 데이터 전송 기간 타이머를 스타트한다(도 7 : OP6).
한편, 기지국(10A)은, MME/SAE 게이트웨이(20)에 대해,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포함하는 메시지(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전송 기간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도 7 : OP7, 도 5의 메시지 "B2"에 상당).
MME/SAE 게이트웨이(20)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기초하여, 유저 플레인 데이터 전송 기간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도 7 : OP8).
MME/SAE 게이트웨이(20)는, 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10A)에 송신한다(도 7 : OP9, 도 5의 메시지 "C1"에 상당).
기지국(10B)은, HO용의 회선을 확보하면, "Handover Request"에 대한 응답 확인 메시지 "Handover Request Acknowledge"를 기지국(10A)에 송신한다(도 7 : OP10, 도 5의 메시지 "C"에 상당).
"Handover Request Acknowledge"를 수신한 기지국(10A)은, 이동국(30)에 대해, HO 지시 메시지 "Handover Command"를 송신한다(도 7 : OP11, 도 5의 메시지 "D"에 상당).
"Handover Command"를 수신한 이동국(30)은, 셀 이동을 개시한다(도 7 : OP12). 즉, 이동국(30)은, 기지국(10A)과의 사이의 채널을 해방하고, 기지국(10B)과의 채널을 확립한다(무선 채널 절환을 행한다).
한편, 기지국(10A)은, "Handover Request Acknowledge"의 수신 후의 어느 타이밍, 예를 들면 "Handover Request Acknowledge"의 수신을 계기로, MME/SAE 게이트웨이(20)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도 7 : OP13)를 이동국(30)에 전송하는 것을 정지하여, X2 인터페이스 송신용의 버퍼(전송용 버퍼)에 유저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예를 들면 "Handover Command"의 송신을 계기로 하여, 버퍼링된 유저 데이터를 X2 인터페이스(즉 기지국(10B))를 향하여 전송하는 것을 개시한다(도 7 : OP14). 단, 이동국(30)에의 유저 데이터 송신의 정지 타이밍 및 기지국(10B)에의 전송 개시 타이밍은,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기지국(10A)은, 전송용 버퍼에 축적된 유저 데이터의 전송(도 7 : OP15), MME/SAE 게이트웨이(20)로부터 새롭게 수신하는 유저 데이터(도 7 : OP16)에 대한 전송을 행한다(도 7 : OP17).
MME/SAE 게이트웨이(20)는, 유저 플레인 데이터 기간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될 때까지, 이동국(30)에 송신할 유저 데이터를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지국(10A)에 송신한다. 유저 플레인 데이터 기간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되면, MME/SAE 게이트웨이(20)는, 기지국(10A)에 대한 유저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한다(도 7 : OP18).
그 후, MME/SAE 게이트웨이(20)는, 타겟 기지국인 기지국(10B)과의 사이의 S1 인터페이스가 기동되고, 이 S1 인터페이스에의 유저 데이터 송신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이동국(30)에 송신할 유저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기지국(10B)은, X2 유저 플레인 데이터 기간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될 때까지, 기지국(10A)(X2 인터페이스)으로부터 도착하는 유저 데이터의 수신 처리(이동국(30)에의 전송용 버퍼(X2용 버퍼)에의 버퍼링)를 행한다. X2 유저 플레인 데이터 기간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되면, 기지국(10B)은, 기지국(10A)(X2 인터페이스)으로부터 도착하는 유저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정지한다. 즉, 기지국(10B)은, 타임아웃 후에 도착하는 유저 데이터를 파기한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MME/SAE 게이트웨이(20) 내의 타이머가 기지국(10B) 내의 타이머보다도 빨리 타임아웃하고, 기지국(10B)의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되기 전에, 기지국(10A)이 MME/SAE 게이트웨이(20)로부터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종료하고, 기지국(10B)이 기지국(10A)으로부터 전송된 유저 데이터의 모두를 버퍼링할 수 있도록, 기지국(10B) 및 MME/SAE 게이트웨이(20)에서의 설정 타이머값(타이머 시간)이 조정되어 있다.
이동국(30)은, HO 지시에 기초하는 HO 처리(채널 절환 등)가 종료되면, HO 처리 완료 보고 메시지 "Handover Confirm"을 기지국(10B)에 송신한다(도 7 : OP20, 도 5의 메시지 "E"에 상당).
"Handover Confirm"을 수신한 기지국(10B)은, HO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 "Handover Complete"를 MME/SAE 게이트웨이(20)에 송신한다(도 7 : OP21, 도 5의 메시지 "F"에 상당). 이에 의해, 기지국(10B)과 MME/SAE 게이트웨이(20) 사이에서의 S1 인터페이스가 기동된다.
"Handover Complete"를 수신한 MME/SAE 게이트웨이(20)는, 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확인 메시지 "Handover Complete ACK"를 기지국(10B)에 송신한다(도 7 : OP22, 도 5의 메시지 "G"에 상당).
"Handover Complete ACK"를 수신한 기지국(10B)은, 기지국(10A)에 대해, X2 인터페이스의 해방 지시를 나타내는 메시지 "Release Resource"를 송신한다(도 7 : OP23). 이 시점에서, 기지국간 HO 처리가 종료된다.
그 후, 기지국(10B)은, 버퍼링해 둔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를 이동국(30)에 송신한다(도 7 : OP24). 또한, 기지국(10B)은, MME/SAE 게이트웨이(20)로부터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유저 데이터(도 7 : OP25)를, 이동국(30)에 송신한다(도 7 : OP26). 기지국(10B)은,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는, S1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유저 데이터보다도 우선적으로 이동국(30)에 송신된다.
도 7에 나타낸 동작예에 따르면, 소스 기지국(기지국(10A))으로부터, 유저 데이터 전송처인 타겟 기지국(10B)과, 이동국용 유저 데이터 송신원인 MME/SAE 게이트웨이(20)의 각각에 대해, 데이터 전송 기간을 지정하는 타이머값(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이 송신된다.
타겟 기지국(기지국(10B))은, 수신된 타이머값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X2 인터페이스 경유의 유저 데이터 수신 허용 기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MME/SAE 게이트웨이(20)와의 사이에서 기동된 신S1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유저 데이터를 이동국(30)에 송신하는 처리의 개시 후에, 전송로 지연 등에 수반하는 지연 패킷을 X2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이동국용 송신 데이터의 순서 제어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지국(기지국(10A))은, 유저 데이터 송신원의 MME/SAE 게이트웨이(20)에 대해, 유저 데이터 송신 기간(전송 데이터 접수 기간)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HO 처리 중에서의 S1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전송 데이터 수신의 종기(엔드 포인트)를 제어하여, 데이터 수신을 억제할 수 있다(전송하기 위한 만큼의 데이터를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소스 기지국에 대해,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버퍼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동작예에서는, "Handover Request"가 X2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다. X2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은, "Handover Request"와 서로 다른 단독의 메시지로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MME/SAE 게이트웨이에 송신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포함하는 메시지(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 도 7 : OP7, 도 5의 메시지 "B2")는, 신규의 메시지이다.
또한, 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적용하지 않고, 타겟 기지국에만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를 통지하는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도, 타겟 기지국에서는, X2 인터페이스로부터 도착하는 유저 데이터의 엔드 포인트(수신 허용 기간의 종기)를 알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데이터 수신 대기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
<타이머 정보>
도 8은,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관한 타이머 정보(Timer Information)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의 표 중 엔트리 1은, 도 7에 나타낸 "Handover Request"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상당하는 파라미터(X2 유저 데이터 전송 완료 타이머)를 나타내고, 엔트리 2는, 도 7에 나타낸 MME/SAE 게이트웨이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송신 정지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상당하는 파라미터(S1 유저 데이터 송신 기간 지정 타이머)를 나타낸다.
<이동국의 구성예>
도 9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이동국(30)으로서 적용 가능한 이동국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이동국(300)은, 송수신용의 안테나(301)와, 안테나(301)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관한 처리를 담당하는 무선부(RF부)(302)와,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베이스 밴드부(303)와, 호 제어부(304)와, 기록부(스토리지)(305)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입출력부(315)를 구비하고 있다.
RF부(302)는, 안테나(301)에 접속된 송신파와 수신파를 분리하는 듀플렉서(310)와, 듀플렉서(310)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 등을 행하는 수신기(RX)(307)와, 수신기(30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A/D 변환 처리나, 베이스 밴드부(302)로부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의 D/A 변환 처리 등을 행하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308)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308)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주파수 신시사이저(309)에서 생성되는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로 변조하는 처리 등을 행하는 송신기(TX)(310)와, 송신기(31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311)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밴드부(303)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308)로부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의 복조 처리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얻거나, 송신할 음성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조하거나 하는 변복조부(L1(무선 인터페이스) 모뎀 및 채널 코덱)(312)와, 변복조부(308)와 음성 입출력부(315) 사이의 인터페이스 변환을 담당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313)와, RF부(302) 및 베이스 밴드부(303)의 동작(OFDM 신호에 관한 처리)을 제어하는 베이스 밴드 및 RF 제어부(314)를 포함하고 있다.
호 제어부(304)는, 베이스 밴드부(303)로부터 얻어지는 제어 데이터(메시지 등)나, 기록부(305)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무선 채널 관리ㆍ품질 관리ㆍ모빌리티 관리 등을 실시하는 기능부이다. 호 제어부(304)는, 예를 들면 범용 또는 전용의 프로세서 장치(CPU, DSP 등)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호 제어부(304)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메시지)나 파라미터의 해석, 해석 결과에 따른 처리(메시지나 파라미터 생성) 등이 행해진다.
이동국 장치의 구성은, 도 9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현상에서 LTE 시스템에의 적용이 생각되고 있는 모든 이동국 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
도 10A는, 도 5나 도 7에 나타낸 기지국(10A, 10B)으로서 이용 가능한 기지국 장치(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서, 기지국 장치(100)는, 송수신 안테나(101)와,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파를 증폭하는 옥외 수신 증폭기(102)와, 송수신 안테나(101)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관한 처리를 담당하는 무선부(110)와, 무선부(110)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무선 제어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무선부(110)는, 도 9에 도시한 파워 앰프(311)에 상당하는 송신 증폭기(111)와, 도 9에 도시한 수신기(307), 주파수 신시사이저(309), 송신기(310) 및 듀플렉서(306)로서의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기능부(112)와, 무선 제어부(113)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기능부(113)를 구비한다.
무선 제어부(120)는, 무선부(110)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기능부(121)와, 도 9에 도시한 변복조부(312)나 베이스 밴드 및 RF 제어부(314) 등의 기능을 구비하는 베이스 밴드 처리 기능부와, IP 전송로(130)에 대한 IP 패킷의 송수신 처리를 담당하는 전송로 인터페이스 기능부(123)를 포함하는 IP 처리부(124)와, 인터페이스 기능부(121), 베이스 밴드 처리 기능부(122) 및 IP 처리부(1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5)(전송 제어부, 결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기지국 장치(100)는, IP 전송로(130)를 통하여 다른 기지국 장치(100)나 상위 장치(MME/SAE 게이트웨이(20))와 접속된다. 이 IP 전송로(130) 상에, 전술한 S1 인터페이스나 X2 인터페이스가 생성된다.
제어부(125)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 장치(CPU, DSP 등)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장치(스토리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적어도,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확립된 통신호에 관한 처리를 담당하는 호 처리 제어 기능부(127)(도 12), 무선 리소스(공용 무선 채널)를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부, 타이머값의 계산에 필요한 파라미터(테이블)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기억부(저장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125)는, 단일의 회로 유닛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복수의 회로 유닛에 의해 실현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 기능부(122)나 전송로 인터페이스 기능부(123)에서, 이동국(30)에 관한 트래픽량이 계측된다. 즉, 베이스 밴드 처리 기능부(122), 전송로 인터페이스 기능부(123)는, 트래픽 측정 기능부(트래픽 측정부)(126)(도 12)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125)에서, 접속처의 타겟 기지국이나, MME/SAE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생성/송수신 처리 또한 메시지 수신에 수반하는 기지국 제어가 실시된다.
즉, 이동국, 타겟 기지국,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의 메시지 해석,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른 파라미터(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 등)의 생성, 메시지 생성, 메시지 송신 제어, 소스 기지국에의 유저 데이터 송신 정지 결정, 타겟 기지국에의 유저 데이터 전송 개시/정지 결정 등을 행한다.
<MME/SAE 게이트웨이의 구성예>
도 10B는, 도 5나 도 7에 나타낸 MME/SAE 게이트웨이(20)로서 이용 가능한 MME/SAE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ME/SAE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MME 장치(210)와, SAE 게이트웨이 장치(220)와의 조합이다. MME 장치(210)는, 보수 감시 기능부(211)와, 콘텍스트 관리 제어부(212)와, 공통 제어부(213)와, 호 처리 제어부(214)(결정부)와,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15)(메시지의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한다.
SAE 게이트웨이 장치(220)는, 공통 제어부(221)와, 유저 플레인 기능부(222)와,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23)와,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24)를 포함하고 있다.
보수 감시 기능부(211)는, MME/SAE에 공통된 파라미터 등의 관리, 장치 감시 제어, 보수 감시 장치 접속 제어 기능 등을 담당한다. 콘텍스트 관리 제어부(212)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기동되는 회선 내용의 관리, 상태 관리, SAE 인터페이스와의 콘텍스트 관리 등을 담당한다.
호 처리 제어부(214)는, NAS(Non Access Stratum)의 관리, S1-C(제어 플레인의 S1 인터페이스) 제어 등을 행한다. 호 처리 제어부(214)는, 도 5나 도 7에서 설명한 메시지 "B2"를 해석하고, 송신 정지 타이밍(소스 기지국의 전송 접수 기간)의 결정 처리(타이머 설정 처리)나, 응답 메시지 "C1"의 생성 및 송신 제어 등을 행한다.
공통 제어부(213)는, MME/SAE 장치 공통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15)는, S1-C용의 전송로 제어를 담당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15)에서, 메시지 "B2" 및 "C1"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공통 제어부(221)는, SAE측 공통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 유저 플레인 기능부(222)는, 유저 데이터 제어ㆍ관리를 행한다. 이동국용의 유저 데이터의 송신처 절환 처리(소스 기지국에의 유저 데이터의 송신 정지, 타겟 기지국에의 유저 데이터의 송신 개시)는, 호 처리 제어부(214)로부터의 지시(지시는, 예를 들면 공통 제어부(213 및 221)를 통하여 전달됨)에 따라서, 유저 플레인 기능부(222)에서 행해진다.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23)는, S1-U(유저 플레인의 S1 인터페이스)용의 전송로의 인터페이스 관리를 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23)로부터, 송신처의 기지국에의 유저 데이터가 송출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24)는, SAE 게이트웨이의 상위 노드나, 다른 MME/SAE 게이트웨이와의 접속 인터페이스 관리를 담당한다.
또한, 도 10B에 도시한 구성은 일례이며, MME/SAE 게이트웨이에 대한 여러 가지의 기능의 맵핑 및 기능 실현 개소에 관해서는, 상기의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머값의 결정>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전송 기간)의 결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타이머값은, 예를 들면 이동국이 확립하고 있는 QoS 종별에 따라서 결정된다. 혹은, 타이머값은, 이동국을 향하여 흐르고 있는 다운 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트래픽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1) QoS 종별에 따른 타이머값의 결정
도 11A, 도 11B 및 도 11C의 각각은,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은, 도 10A에 도시한 제어부(기억부)(125)에 미리 기억된다.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은, 예를 들면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의 "Measurement Request"(HO 기동 요구)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 및 MME/SAE 게이트웨이에 통지할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해 참조된다.
도 11A~도 11C에 도시한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은, HO 대상의 이동국이 사용하는 QoS 종별에 대응하는 타이머값을 저장하고 있다. 도 11A에 도시한 테이블예에서는, "VoIP", "Video over IP", "Streaming", "WWW", "FTP"와 같은 QoS 종별의 각각에 대해 미리 결정된 타이머값이 저장되어 있다.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의 HO 기동 요구 시에, 그 이동국이 확립하고 있는 호 종별(QoS)에 기초하여, 통지할 타이머값을 선택 및 결정한다. 테이블에 저장되는 타이머값은, 예를 들면 고정적으로 사용된다. 혹은, 타이머값은, 예를 들면 기지국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갱신된다.
도 11A에 도시한 테이블예는, X2 인터페이스(타겟 기지국) 및 S1 인터페이스(MME/SAE 게이트웨이)의 쌍방에 관하여 동일한 타이머값을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에 대해, 도 11B에 도시한 테이블예는, X2 인터페이스(타겟 기지국)와 S1 인터페이스(MME/SAE 게이트웨이)와의 각각에 대해, 상이한 타이머값을 선택 및 결정하기 위해 적용된다. 도 11B에 도시한 테이블은, 예를 들면 S1 인터페이스와 X2 인터페이스와의 전송로 지연 차분이나, 각 인터페이스의 전송 용량의 상위 등을 고려하여 타이머값을 결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11C에 도시한 테이블예는, S1 인터페이스와 X2 인터페이스의 각각에 대해 상이한 타이머값을 결정함에 있어서, S1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규정되어 있는 타이머값을 저장하고, 이 타이머값을 기준으로 하여, X2 인터페이스에 관한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저장하고 있다. 도 11C에 도시한 예는, S1 인터페이스를 베이스로 하여 X2 인터페이스용의 오프셋값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X2 인터페이스에 관한 QoS마다의 타이머값을 저장하고, 이 타이머값을 기준으로 하여 S1 인터페이스의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이 저장되도록 하여도 된다.
(2) 타이머값의 최적값 설정 방식
타이머값이 저장된 테이블(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로부터 지정할 타이머값을 선택하는 방법 대신에, 실제로 이동국용에 흐르고 있는 트래픽량에 따른 타이머값을 계산하여 채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QoS에 따른 회선 용량은 일의로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통신용 회선을 확보하는(호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QoS에 따른 회선 용량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 이동국이 계속적으로 확보된 회선 용량을 충분히 이용하여 통신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QoS 종별로부터, 일의로 타이머값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트래픽 볼륨 측정의 결과에 따라서, 타이머값을 리얼타임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의 HO 기동 요구를 소스 기지국이 수신한 시점에서, 어느 기간 내의 대상 이동국의 트래픽 상태(데이터 통신량의 측정 결과)에 따라서, 타이머값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트래픽의 운용을 감안한 사고 방식에서는, 실제로 데이터 통신 중(고트래픽)의 이동국이 핸드오버 처리를 개시한 경우에, 그 이동국에 관하여 확보된 통신 회선 용량(리소스)에 대한 트래픽량(리소스의 사용율)이 낮은 경우에는, HO 처리 시에서의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량 및 데이터 전송 기간의 설정값은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실제로 데이터 유량에 따라서, 타이머값의 최적화(과잉/부족 설정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어, HO 대상의 이동국의 상태에 적합한 데이터 포워딩 관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트래픽량에 따른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서는, 기지국 내의 트래픽 측정 기능부(트래픽 측정부(측정부))(126)와, 호 처리 제어 기능부(호 처리 제어부(호 제어부))(127)가 병렬로 처리를 실행한다.
호 처리 제어부(127)는, 이동국과의 통신호가 확립된 경우에, 그 호에 관한 호 처리를 행한다. 한편, 트래픽 측정부(126)는, 통신호가 확립된 후에, 필요에 따라서 그 통신호에 관한 트래픽량을 측정한다.
트래픽 측정부(126)는, 호가 발생하고 나서 소정의 타이밍을 계기로, 그 이동국에 대한 다운 링크의 트래픽량의 측정을 개시한다(OP101).
트래픽 측정부(126)는, 미리 규정된 측정 보고 주기의 1주기에 상당하는 시간, 트래픽량의 측정을 행한다(OP102). 1주기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되면(OP102 : "예"), 트래픽 측정부는, 트래픽 측정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고(OP103), 트래픽 측정 보고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메모리)에 저장한다(OP104).
그 후, 호 처리 제어부(127)로부터의 메모리 액세스가 있으면(OP105 : "예"), 트래픽 측정부(126)는, 트래픽 측정 보고 데이터(트래픽 측정값)를 메모리로부터 호출하고, 호 처리 제어부(127)에 공급한다(OP106). 그 후, 처리가 OP107로 진행한다.
메모리 액세스가 없으면(OP105 : "아니오"), 트래픽 측정부(126)는 측정 보고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OP107). 여기서는, 예를 들면 호 처리 제어부에 대해, 소정 횟수 n(n≥1)의 트래픽 측정 보고를 주고 있는지가 판정된다.
종료로 판정되는 경우(OP107 : "예")에는, 트래픽 측정부(126)는 처리를 종료한다(OP108). 이에 대해, 측정 보고가 종료가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는(OP107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102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주기에서의 트래픽량이 측정된다. 메모리에는, 주기마다의 트래픽 측정 보고 데이터(트래픽 측정값)가 저장되고, OP106에서, 호 처리 제어부(127)로부터의 요구에 따른 트래픽 측정값이 공급된다.
한편, 호 처리 제어부(127)에서는, 이하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호 처리 제어부(127)는, 호 처리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면(OP201 : "예"), 그 호 처리 이벤트가 HO 처리(Measurement Report 수신)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OP202).
호 처리 이벤트가 HO 처리가 아니면(OP202 : "아니오"), 호 처리 제어부(127)는, 호 처리 이벤트에 따른 HO 처리 이외의 호 처리 제어를 실시한다(OP211). 호 처리 이벤트가 HO 처리이면(OP202 : "예"), 호 처리 제어부(127)는, HO 처리 제어를 실시한다(OP203).
다음으로, 호 처리 제어부(127)는, HO 대상 이동국의 QoS 정보(QoS 종별)를 확정한다(OP204). QoS 종별은, 호 확립 시에 기지국(기록부)에 유지되는 HO 대상호의 호 종별 정보에 포함되는 QoS 종별로부터 획득된다. QoS 종별의 획득은, 기존의 다양한 QoS 종별 판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 처리 제어부(127)는, 대상 이동국의 자기 셀 접속 시의 트래픽 정보의 수집을 개시한다(OP205). 즉,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기간에서의 이동국용의 트래픽량을 수집한다.
호 처리 제어부(127)는, 트래픽 측정부에 대해 트래픽 측정 보고 데이터의 부여를 요구하는 지시(측정 정보 수집 요구)를 줄지의 여부를 판정하고(OP206), 측정 정보 수집 요구를 줄 필요가 있으면(OP206 : "예"), 트래픽 측정부에 측정 정보 수집 요구를 준다. 측정 정보 수집 요구를 주면, 처리를 OP207로 진행시킨다.
OP207에서는, 호 처리 제어부(127)는, 측정 정보 수집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 측정 정보 수집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가 OP206으로 되돌아가고, 측정 정보 수집이 종료되어 있으면, 처리가 OP208로 진행한다.
OP206 및 OP207의 루프 처리에 의해서, 호 처리 제어부(127)는, 타이머값을 산출하는 데에 필요한 주기분의 트래픽 측정 보고 데이터(트래픽 측정값)를 얻는다. 타이머값의 계산에 필요한 트래픽량(데이터 유량)으로서, 어느 1주기에서의 트래픽량(데이터 유량)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복수의 주기에서의 트래픽량의 합계값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복수의 주기에서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합계값이나 평균값의 계산은, 트래픽 측정부(126)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여도 되고, 호 처리 제어부(127)가 각 주기의 측정 보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하도록 하여도 된다.
OP208에서는, 호 처리 제어부(127)는,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으로 되는 타이머값을 계산한다(상세는 후술).
타이머값이 산출되면, 호 처리 제어부(127)는, 그 타이머값을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으로서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OP209), 메시지를 송신한다(OP210).
OP208의 처리(타이머값 계산)에 관하여, 측정 정보 수집이 완료된 시점에서 얻어진 타이머값 계산용의 트래픽량(측정 보고값 : 데이터 유량)에 대응하는 타이머값을 저장한 테이블을 미리 준비하고, 트래픽량에 대응하는 타이머값이 테이블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3은, 테이블의 일례로서의 테이블(50)을 나타낸다. 테이블(50)은, QoS 종별과 데이터 유량에 따른 타이머값을 저장하고 있다.
혹은, 이하와 같은 데이터 전송 기간 타이머값의 계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4는, 타이머값 계산 방법(OP208의 상세 처리)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타이머값 계산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한 테이블의 예(테이블(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타이머값 계산을 위해 필요한 입력 정보(입력 필요 정보) 및 파라미터(필요 설정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규정할 수 있다.
(A) Input 필요 정보
(i) HO 해당 호 및 데이터 포워딩 처리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QoS) 정보
(ⅱ) 트래픽 측정 결과(Traffic Volume Measurement Result)
또한, 상기 (i)의 정보는 도 12의 OP204에서 획득되고, 상기 (ⅱ)의 정보는 도 12의 OP207에서 획득된다.
(B) 필요 설정 파라미터
(i) QoS마다의 데이터량(데이터 레이트) 폭(Minimum Data Rate/Maximum Data Rate)
(ⅱ) QoS마다의 타이머 계산용의 우선값(Priority Value(Parameter A))
(ⅲ) QoS마다의 계산값 산출용 기간 파라미터(Calculation Period)
(ⅳ) 타이머값의 기준값
(v) 타이머 설정 최대값(Timer Maximum Value)
상기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로서, 미리 기지국의 기억 장치(메모리 : 도 10B의 기억부)에 저장해 두고, 호 처리 제어부(127)가 타이머값 계산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C) 계산식으로서, 상기 (A) 및 (B)를 이용한 타이머값(Forwarding Period Timer Value)의 계산식의 일례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계산식은 일례이며, 다른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도 14에서, 호 처리 제어부(127)는, 타이머값의 계산을 개시하면(OP2081), HO 대상호의 QoS 종별을 판정한다(OP2082). 이 판정은, 도 12의 OP204에서 QoS 종별의 확정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 처리 제어부(127)는, QoS 종별에 따른 데이터 레이트 폭의 계산을 행한다(OP2083). 즉, 호 처리 제어부는, 도 15에 도시한 테이블(60)로부터, QoS 종별에 따른 최대 데이터 레이트 및 최소 데이터 레이트를 판독하여, 데이터 레이트 폭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호 처리 제어부(127)는, QoS 종별에 따른 계산값 산출용 기간(Calculation Period)을 테이블(60)로부터 판독하여, 데이터 레이트 폭을 계산값 산출용 기간으로 나눔으로써, QoS마다의 레인지값(QoS 종별에 대응하는 레인지)을 구한다(OP2084).
다음으로, 호 처리 제어부(127)는, QoS 종별에 대응하는 레인지값을 측정 보고값(트래픽 측정값)으로 나눈 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값에 테이블(60)로부터 판독되는 QoS 종별에 따른 가중 계수(우선값)를 곱한다(OP2085). 이와 같이 하여, 전송 기간 타이머값이 산출된다.
다음으로, 호 처리 제어부(127)는, 전송 기간 타이머값이 테이블(60)로부터 판독되는 타이머 설정 최대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OP2086). 이 때, 전송 기간 타이머값이 타이머 설정 최대값 이하이면(OP2086 : "예"), 그 전송 기간 타이머값이, 타겟 기지국이나 MME/SAE 게이트웨이에 통지할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으로서 결정된다.
이에 대해, 전송 기간 타이머값이 타이머 설정 최대값 이하가 아닌 경우(OP2086 ; "아니오")에는, 호 처리 제어부(127)는, 전송 기간 타이머값이 타이머 설정 최대값이라고 간주하고(OP2087), 타이머 설정 최대값을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으로서 결정한다. 그 후, 처리가 OP209(도 12)로 진행한다.
<타이머값을 통지하지 않고 전송 기간을 억제하는 제어 방식>
도 11A, 도 11B,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X2 인터페이스에 관한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결정하기 위한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은, 기지국마다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 내, 혹은 어느 범위에 속하는 기지국 그룹간에서,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공통화할 수 있다.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이 공통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즉, HO 처리에 수반하는 X2-AP 정보(Handover Request에 포함되는 이동국용 설정 회선 정보(타겟 기지국측에서 필요로 되는, 이동국의 통신 회선 정보/호 정보 등)를 통지하고, 타겟 기지국에서는, X2-AP 정보에 포함되는 QoS 정보(QoS 종별)에 기초하여, X2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터 전송 기간 타이머값을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타이머값을 대기 시간으로서 스스로 정의할 수 있다.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에서 유지되는 파라미터(테이블의 저장 내용)가 공통인 경우에서는, 추가 정보(Message/Parameter의 송수신)가 없어도, 데이터 전송 기간의 적정화(억제)를 실현 가능하다. 도 17은, 전술한 케이스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동작예는, 도 7에 도시하면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즉, 도 17에서의 OP5A에서, 소스 기지국(10A)은,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결정한다. 이 결정 방법은, 도 7의 동작예와 마찬가지이다. 단, 소스 기지국(10A)에서,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에 의한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한다. 소스 기지국(10A)은,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포함하지 않는 "Handover Request"(QoS 정보를 포함함)를 타겟 기지국(10B)에 송신한다(도 17 : OP5B).
소스 기지국(10A)은, "Handover Request ACK"를 타겟 기지국(10B)으로부터 수신한 후의 소정 타이밍에서, MME/SAE로부터 도착하는 유저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에 전송한다. 단, OP5A에서 설정한 타이머가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유저 데이터의 전송을 정지한다(도 17 : OP5C).
한편, 타겟 기지국(10B)에서는, 소스 기지국(10A)으로부터 수신된 "Handover Request"에 포함되는 QoS 종별을 추출하고, 추출한 QoS 종별에 대응하는 타이머값을 타이머값 선택용 테이블로부터 판독하고, 타이머값을, 소스 기지국(10A)으로부터의 전송 데이터의 수신 대기 타이머 시간(수신 허용 기간)으로서 정의하여, 타이머를 설정한다(도 17 : OP6A). 그 후,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된 경우에는, 타겟 기지국(10B)은, 소스 기지국(10A)으로부터의 전송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정지한다(도 17 : OP19).
도 17에 나타낸 방법(다른 실시 형태)은, 도 7에 도시한 방법과 비교하여, 장치간 메시지의 송수신 증가(제어 Bit 증가 포함함)를 억제하는 메리트가 있다.
<HO 대상 이동국의 트래픽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기간을 억제하는 방식>
전술한 바와 같은, HO 대상 이동국에 관한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에 통지하는 방법(도 7),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에 이동국의 QoS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일의한 타이머값을 타겟 기지국측에서 정의하는 방법(도 17)과 상이한 방법(실시 형태)으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동작예로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퀀스도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된다. 단,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소스 기지국(10A)은, 이동국으로부터의 HO 기동 요구를 수신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처리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기간 지정 타이머값을 산출하고, 이 타이머값에 기초하는 타이머를 스타트한다(도 17 : OP5A). 타이머값의 산출을 위해, 테이블(50)(도 13)을 이용하는 방법과, 타이머값 계산을 행하는 방법(도 14~도 16)을 임의로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10A)은,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되면, 데이터 전송을 정지한다.
또한, 소스 기지국(10A)은, 타이머값의 산출에 이용한 트래픽 측정 결과(트래픽 측정 보고값)를 포함하는 "Handover Request(X2-AP)"를 타겟 기지국(10B)에 통지한다(도 17 : OP5B).
"Handover Request(X2-AP)"를 수신한 타겟 기지국(10B)은, 트래픽 측정 결과를 추출하고, 이 트래픽 측정 결과를 입력 정보로서, 테이블(50)(도 13)로부터 타이머값을 판독하거나, 혹은 도 14~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계산 방법으로 타이머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타겟 기지국(10B)은, 얻어진 타이머값(수신 허용 기간)의 계시를 개시하고, 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될 때까지, 소스 기지국(10A)으로부터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도착하는 전송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타이머가 타임아웃으로 되면, 전송 데이터의 수신을 정지한다(도 17 : OP19)).
이와 같은 구성 및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송수신량을 억제하는 한편, 타겟 기지국에서, 이동국의 트래픽량을 고려한 X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전송 데이터 수신 허용 기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요한 수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5)

  1. 상위 장치에 각각 접속된, 이동국의 핸드오버원으로 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핸드오버처로 되는 제2 무선 기지국을 구비하고, 이동국이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무선 기지국 중 한쪽과 무선 접속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자국과 무선 접속 중인 이동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그 이동국용의 데이터를 그 이동국에 전송하고, 그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고, 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 후에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를 통하여, 상기 제1 무선 기지국과의 무선 접속을 자국과의 무선 접속으로 절환한 상기 이동국에 대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상기 핸드오버 처리를 통한 상기 상위 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신처의 절환에 의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와의 쌍방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과 접속되기 전에 개시되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과 접속되기 전에,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다른 무선 기지국과 함께 상위 장치에 접속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자국과 접속된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그 이동국용의 데이터를 그 이동국에 전송하는 한편, 그 이동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고, 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핸드오버처인 다른 무선 기지국에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 후에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와,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과 접속되기 전에 개시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과 접속되기 전에,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전송을 개시하는 무선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데이터의 송신 정지 타이밍을 상기 상위 장치가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상위 장치에 통지하는 무선 기지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위 장치 및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 중 적어도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무선 기지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 종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종별에 따른 데이터 전송 기간을 저장한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의 호 종별 정보에 포함되는 서비스 품질 종별을 취득하고, 이 서비스 품질 종별에 따른 데이터 전송 기간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전송 기간을 결정하는 무선 기지국.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 종별 및 상기 이동국용의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종별 및 트래픽량에 따른 데이터 전송 기간을 저장한 저장부와,
    상기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의 호 종별 정보에 포함되는 서비스 품질 종별을 취득하고, 그 서비스 품질 종별과 상기 측정부에서 얻어진 트래픽량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기간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전송 기간을 결정하는 무선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기간의 산출에 필요한 복수의 파라미터를 저장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의 호 종별 정보에 포함되는 서비스 품질 종별을 취득하고, 이 서비스 품질 종별에 따른 복수의 파라미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복수의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트래픽량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기간을 산출하는 무선 기지국.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 종별을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무선 기지국.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저장부, 상기 측정부 및 상기 결정부를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품질 종별 및 트래픽량을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무선 기지국.
  12. 다른 무선 기지국과 함께 상위 장치에 접속되고,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국과 무선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대상 이동국의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핸드오버 처리를 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와,
    상기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의 수신 후로서, 또한 상기 이동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이 접속되기 전에,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이 개시되고,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국용의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가 전송 데이터의 수신을 허용하는 수신 허용 기간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과 접속되기 전에 개시되는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처리를 통하여 자국과 무선 접속된 핸드오버 대상 이동국에 대해, 상기 수신 허용 기간 내에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데이터와, 상기 핸드오버 처리를 통한 상기 상위 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신처의 절환에 의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와의 쌍방을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로서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다른 무선 기지국이 자국에 대해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허용 기간을 결정하는 무선 기지국.
  14. 복수의 이동국간에서 공용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국과 무선 접속하는 제1 무선 기지국 및 제2 무선 기지국과 접속된 상위 장치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과 무선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용의 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핸드오버 처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에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 송신을 정지함과 함께,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서 실행되는 핸드오버 처리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 전에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된 상기 이동국용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전송 처리가, 상기 이동국의 접속처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 절환되기 전에 개시되는 상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보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대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 정지 타이밍을 결정하는 상위 장치.
KR1020107001666A 2007-07-27 2007-07-27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상위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28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4785 WO2009016702A1 (ja) 2007-07-27 2007-07-27 移動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417A KR20100033417A (ko) 2010-03-29
KR101128217B1 true KR101128217B1 (ko) 2012-03-22

Family

ID=4030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6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8217B1 (ko) 2007-07-27 2007-07-27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상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0199B2 (ko)
EP (1) EP2175686B1 (ko)
JP (1) JP5056851B2 (ko)
KR (1) KR101128217B1 (ko)
CN (1) CN101766041B (ko)
WO (1) WO2009016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069B2 (en) * 2007-08-0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In-order data delivery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778090B2 (ja) * 2007-10-30 2011-09-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5174520B2 (ja) * 2008-04-18 2013-04-03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CN102172057A (zh) * 2008-12-30 2011-08-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获取目标基站传输地址的方法及建立x2接口连接的方法
ES2692171T3 (es) * 2009-06-30 2018-11-30 Alcatel Lucent Un método de comunicación entre estaciones base, una estación base y una red de telecomunicación
US8570963B2 (en) * 2009-10-26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multi-point (CoMP) network and protocol architecture
JP5581655B2 (ja) * 2009-11-09 2014-09-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WO2011103722A1 (zh) * 2010-02-26 2011-09-01 高通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中跨小区切换的方法和装置
KR20110101403A (ko) * 2010-03-08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패킷 포워딩 장치 및 방법
CN102238668B (zh) * 2010-05-07 2015-08-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通过网关进行x2切换的方法
US9143999B2 (en) * 2010-06-23 2015-09-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handling handov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344306B2 (en) * 2010-08-09 2016-05-17 Mediatek Inc.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signal processing parameters for processing wanted signal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02065429B (zh) * 2010-12-28 2013-06-26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的无线城域网的用户终端切换方法
EP2717624A4 (en) * 2011-05-30 2015-03-04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GATEWAY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US10264478B2 (en) * 2011-12-16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reliability in millimeter wave wideband communications
KR20130090273A (ko) * 2012-02-03 2013-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동국 장치
WO2014024002A1 (en) * 2012-08-08 2014-02-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ssisted data transfer scheduling
WO2014030274A1 (ja) 2012-08-21 2014-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上位ノード及び通信方法
KR101945779B1 (ko) * 2012-09-20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크 온 무선랜을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716821B (zh) * 2012-09-29 2019-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X2连接故障处理方法、信息发送接收方法、装置、系统
JP6239254B2 (ja) * 2013-04-12 2017-11-2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転送データ待ち制御方法
US9246988B2 (en) * 2013-06-17 2016-01-26 Google Inc. Managing data communications based on phone calls between mobile computing devices
EP3437244B1 (en) * 2016-03-30 2021-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enabling a network node to perform a radio operation task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178702B2 (en) * 2016-06-10 2019-01-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
CN109155939B (zh) 2016-06-28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负载迁移方法、装置及系统
CN108112041A (zh) * 2016-11-24 2018-06-01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切换方法、源基站、目标基站及终端
NL2020299B1 (en) * 2018-01-19 2019-07-29 Magnitude Space B V Method for transmission window optimization by transmitting devices such as modems communicating with satellites by adapting transmitting behavior to their location.
JP7702902B2 (ja) * 2022-02-18 2025-07-04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883A (ja) 2003-01-29 2004-08-19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ー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2006245913A (ja) 2005-03-02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396A (ja) * 1990-05-25 1992-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EP1383292B1 (en) * 2002-07-16 2005-06-29 Lucent Technologies Inc. Packet order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2178327B1 (en) 2002-09-24 2011-11-16 Fujitsu Limited Packet transferring/transmi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254935B2 (en) 2002-09-24 2012-08-28 Fujitsu Limited Packet transferring/transmi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4236294A (ja) * 2003-01-10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網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5012718A (ja) * 2003-06-23 2005-01-13 Hitachi Ltd 移動体ipデータ通信システム
RU2411660C2 (ru) * 2005-10-31 2011-02-1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информации о радиодоступе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JP2007129594A (ja) 2005-11-04 2007-05-24 Ntt Docomo Inc データ転送方法及び基地局
JP2007158538A (ja) * 2005-12-01 2007-06-21 Ntt Docomo Inc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及びソフトウエア
EP1954067A4 (en) 2005-12-14 2011-11-16 Panasonic Corp COMMUNIC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KR101319870B1 (ko) * 2006-01-05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JP4777216B2 (ja) 2006-11-06 2011-09-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基地局、エッジルータ、中継ルータ、無線端末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883A (ja) 2003-01-29 2004-08-19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ー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2006245913A (ja) 2005-03-02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0434A1 (en) 2010-05-13
JPWO2009016702A1 (ja) 2010-10-07
EP2175686A4 (en) 2013-05-01
US8380199B2 (en) 2013-02-19
EP2175686A1 (en) 2010-04-14
KR20100033417A (ko) 2010-03-29
EP2175686B1 (en) 2014-07-23
WO2009016702A1 (ja) 2009-02-05
JP5056851B2 (ja) 2012-10-24
CN101766041A (zh) 2010-06-30
CN101766041B (zh)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1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상위 장치
CN105228200B (zh) 一种网络辅助ue控制的快速小区切换方法及装置
JP6451783B2 (ja) 第1の基地局及びその方法
KR101042829B1 (ko) 개인 네트워크 셀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링크 연결 장치 및 방법
US9681350B1 (en) Differential routing of voice handover traffic and non-voice handover traffic in response to congestion on an inter-base-station interface
US8725149B2 (en) Handover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RU2420924C2 (ru) Способ облегчения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DK2832149T3 (en) DEVICES, PROCEDUR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ROVED DELIVERY IN CONNECTION WITH SITES
KR101355012B1 (ko) 조정된 멀티포인트(comp) 송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절차
JP4734341B2 (ja) 通信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EP1879416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WO20121341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obile relay node
US20120100860A1 (en) Method of managing x2 interface, handover method,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690464B2 (ja)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基地局
CA2681127A1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reordering method thereof
US1099976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JPWO2011013678A1 (ja) 無線基地局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US907202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529866A (ja) S1ハンドオーバ方法、s1ハンドオーバのデータ伝送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120002590A1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s apparatus, relay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80063761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handover control method
KR1016906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363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절차에서 데이터 패킷의 전송방법
WO2007066399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4050755A1 (ja) 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