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620B1 -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3620B1 KR101123620B1 KR1020100065288A KR20100065288A KR101123620B1 KR 101123620 B1 KR101123620 B1 KR 101123620B1 KR 1020100065288 A KR1020100065288 A KR 1020100065288A KR 20100065288 A KR20100065288 A KR 20100065288A KR 101123620 B1 KR101123620 B1 KR 101123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e
- block portion
- work
- workpiece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cing (AREA)
Abstract
(해결 수단) 직선 형상의 압압면을 갖고, 점착 테이프측으로부터 워크를 압압하는 브레이크 바(36)를 구비한 압압 기구(22)와, 브레이크 바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워크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46)를 구비한 워크 지지 기구(23a, 23b)가 형성되며, 브레이크 바는, 고정 블록부(37)와 가변 블록부(38a, 38b)로 분할되고, 가변 블록부의 압압면을 퇴피 상태로 변화시키는 압압면 조정 기구가 형성되며, 브레이크 바는 분단 대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길이에 따라서 브레이크 바의 압압면이 조정된 상태에서 워크를 압압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브레이크 장치의 압압 기구측으로부터 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브레이크 장치의 워크 지지 기구측으로부터 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브레이크 장치의 정면도(압압 기구측)이다.
도 5는 도 2의 브레이크 장치의 배면도(워크 지지 기구측)이다.
도 6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압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브레이크 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브레이크 바의 변형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브레이크 바의 압압면의 폭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워크 지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서포트 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서포트 바의 맞닿음면의 폭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압압 기구(22)와 워크 지지 기구(23a, 23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압압 기구(22)와 워크 지지 기구(23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링 부재(10)상의 브레이크 위치와 브레이크 바(36)의 압압면의 패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schematic view)이다.
도 17은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순차 이송 모드의 브레이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외측 우선 모드에서의 브레이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등분할 모드에서의 브레이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링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브레이크 볼에 의한 브레이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봉 형상 롤러에 의한 브레이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선 형상 압압체(브레이크 바)에 의한 브레이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 웨이퍼
12 : 점착 테이프
13 : 다이싱 링
20 : 브레이크 장치
22 : 압압 기구
23a, 23b : 워크 지지 기구
24 : 워크 반송 기구
25 : 카트
26 : 에어 플레이트
33 : 고정 플레이트
35 : 가동 플레이트
36 : 브레이크 바
37 : 고정 블록
38a, 38b : 가변 블록
39 : 단위 블록
40 : 승강 기구(압압면 조정 기구(77))
46 : 서포트 바
47 : 고정 블록
48a, 48b : 가변 블록
49 : 단위 블록
50 : 승강 기구(맞닿음면 조정 기구(78))
61 : 프레임
62 : 리니어 가이드
70 : 제어부
71 : CPU
72 : 메모리
73 : 입력부
74 : 표시부
Claims (11)
- 워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서, 다이싱 링과 다이싱 링의 링 내에 붙여진 점착 테이프에 의해 구성되는 링 부재가 이용되며,
상기 워크가 상기 링 부재의 점착 테이프에 부착된 상태에서, 워크상에 형성된 복수조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워크를 분단하는 브레이크 장치로서,
직선 형상의 압압면을 갖고, 분단 대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바로 뒤쪽을 따라 점착 테이프측으로부터 상기 워크를 압압하는 브레이크 바(break bar)를 구비한 압압 기구와,
상기 워크측에 맞닿게 하여, 상기 브레이크 바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워크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를 구비한 워크 지지 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바는, 압압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블록부와 가변(可變) 블록부로 분할됨과 함께, 가변 블록부의 압압면을 고정 블록부의 압압면보다도 들어가게 한 퇴피(退避) 상태로 변화시키는 압압면 조정 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바는 분단 대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길이에 따라서 브레이크 바의 압압면이 조정된 상태에서 워크를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바의 가변 블록부는, 고정 블록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동수(同數)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됨과 함께, 단위 블록이 고정 블록부의 양측에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압압면 조정 기구는 좌우 대칭의 위치에 있는 단위 블록의 쌍마다 브레이크 바의 압압면을 변화시키는 조정을 행하는 브레이크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의 위치에서 각각 워크에 맞닿게 하는 한 쌍의 서포트 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서포트 바는 각각 고정 블록부와 가변 블록부로 분할됨과 함께, 가변 블록부의 맞닿음면을 고정 블록부의 맞닿음면보다도 들어가게 한 퇴피 상태로 변화시키는 맞닿음면 조정 기구가 형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트 바의 가변 블록부는, 고정 블록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동수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됨과 함께, 단위 블록이 고정 블록부의 양측에서 쌍을 이루어 좌우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맞닿음면 조정 기구는 좌우 대칭의 위치에 있는 단위 블록의 쌍마다 서포트 바의 맞닿음면을 변화시키는 조정을 행하는 브레이크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맞닿게 하는 서포트 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 바는 고정 블록부와 가변 블록부로 분할됨과 함께, 가변 블록부의 맞닿음면을 고정 블록부의 맞닿음면보다도 들어가게 한 퇴피 상태로 변화시키는 맞닿음면 조정 기구가 형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의 가변 블록부는, 고정 블록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동수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됨과 함께, 단위 블록이 고정 블록부의 양측에서 쌍을 이루어 좌우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맞닿음면 조정 기구는 좌우 대칭의 위치에 있는 단위 블록의 쌍마다 서포트 바의 맞닿음면을 변화시키는 조정을 행하는 브레이크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워크상에 형성된 복수조의 스크라이브 라인에 대한 브레이크의 순서를 설정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워크 반송 기구는, 설정된 브레이크의 순서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바의 압압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순차로 분단 대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오도록 링 부재의 위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입력부는, 설정 가능한 브레이크의 순서의 하나로서, 워크상에 형성된 복수조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늘어선 순으로 브레이크를 행하는 순차 이송 모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입력부는, 설정 가능한 브레이크의 순서의 하나로서, 워크상에 형성된 복수조의 스크라이브 라인에 대하여, 가장 주연에 가까운 좌우의 스크라이브 라인부터 브레이크를 행하고, 순차로 하나 안쪽의 좌우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브레이크를 행하고, 마지막에 중앙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브레이크를 행하는 외측 우선 모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입력부는, 설정 가능한 브레이크의 순서의 하나로서, 워크상에 형성된 복수조의 스크라이브 라인에 대하여, 워크를 이분(二分)하는 브레이크를 행하고, 계속해서 사분(四分)하는 브레이크를 행하고, 계속해서 팔분(八分)하는 브레이크를 행하고, 이후, 분할된 각 워크를 각각 추가로 등분할해가는 등분할 모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5288A KR101123620B1 (ko) | 2009-10-30 | 2010-07-07 | 브레이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51183 | 2009-10-30 | ||
KR1020100065288A KR101123620B1 (ko) | 2009-10-30 | 2010-07-07 | 브레이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7962A KR20110047962A (ko) | 2011-05-09 |
KR101123620B1 true KR101123620B1 (ko) | 2012-03-20 |
Family
ID=4423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52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3620B1 (ko) | 2009-10-30 | 2010-07-07 | 브레이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362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9769A (ja) * | 2003-06-27 | 2005-01-20 | Disco Abrasive Syst Ltd | 板状物の分割装置 |
JP2007035912A (ja) * | 2005-07-27 | 2007-02-08 | Seiko Epson Corp | 基板分割方法および基板分割装置 |
-
2010
- 2010-07-07 KR KR1020100065288A patent/KR10112362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9769A (ja) * | 2003-06-27 | 2005-01-20 | Disco Abrasive Syst Ltd | 板状物の分割装置 |
JP2007035912A (ja) * | 2005-07-27 | 2007-02-08 | Seiko Epson Corp | 基板分割方法および基板分割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7962A (ko) | 2011-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2065B1 (ko) | 취성 재료 기판의 반송?분단 장치 | |
JP5281544B2 (ja) | ブレイク装置 | |
KR101112067B1 (ko) | 취성 재료 기판의 브레이크 장치 | |
JP5129826B2 (ja) |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方法 | |
JPH1179770A (ja) | スクライブ装置及び劈開方法 | |
KR100681828B1 (ko) | 멀티 절단 시스템 | |
JP5348212B2 (ja) | 分断装置 | |
TW201515800A (zh) | 擴展器、斷裂裝置及分斷方法 | |
JPH10217181A (ja) | 切断刃とその成形方法 | |
KR101123620B1 (ko) | 브레이크 장치 | |
KR20140016814A (ko) |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 |
CN107151091B (zh) | 划片设备 | |
JP2010274630A (ja) | 基板分割方法及び基板分割装置 | |
CN109553286B (zh) | 划片设备 | |
TWI857022B (zh) | 刻劃頭及刻劃裝置 | |
JPH1074712A (ja) | ウェハーブレーク装置 | |
CN105073430B (zh) | 表面加工装置 | |
JP2003221252A (ja) | マザーガラス基板の切断用溝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 |
JPH11179462A (ja) |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クランプ方法及びその装置 | |
CN112309971B (zh) | 脆性材料基板的切断方法 | |
KR102147129B1 (ko) | 기판 가공 장치 | |
JP3285905B2 (ja) | 順送り加工装置 | |
JP2021154502A (ja) |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方法並びに基板加工装置 | |
CN116901271A (zh) | 用于晶棒的支承设备、截断设备和支承方法 | |
KR20200121240A (ko) | 유지구, 위치 결정 장치, 및 스크라이브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