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457B1 -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1457B1 KR101111457B1 KR1020060011300A KR20060011300A KR101111457B1 KR 101111457 B1 KR101111457 B1 KR 101111457B1 KR 1020060011300 A KR1020060011300 A KR 1020060011300A KR 20060011300 A KR20060011300 A KR 20060011300A KR 101111457 B1 KR101111457 B1 KR 1011114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ignal
- pressing
- plate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unction thereof, e.g. normally closed contacts or consecutive operation of conta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4—Separate snap action
- H01H2215/036—Metallic dis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8—Consecutive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7)
- 플레이트와,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과, 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로 구성된 키스위치를 복수개 포함하는 키패드;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출력되는 상기 키스위치의 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사용자 입력확인을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기 위한 음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의 처리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상기 키버튼부와 각 스위치접점 간의 상이한 가압거리에 대응되는 오목, 볼 록 또는 요철 형태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접점이 형성된 기판에는 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스위치접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접점은,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점; 및상기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키버튼부는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소정 가압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1접점에 접촉시키는 제1누름턱; 및상기 제1누름턱의 가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2접점에 접촉시키는 제2누름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누름턱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함에 따라 가압거리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키버튼부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상기 기판 상의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 및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과 접촉되는 제2접점이 마련되며;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돔 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상기 제1접점으로 가압하는 제1누름턱과, 상기 제1누름턱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가지고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을 상기 제2접점으로 가압하는 제2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각각의 스위치접점과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갖는 요철이 형성되고,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 스위치접점과 대응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위치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상기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과,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접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갖도록 돌출된 기판상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복수개의 키스위치를 포함하는 키패드에 있어서,플레이트;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 및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각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 및사용자 입력확인을 위하여 상기 각 스위치접점의 순차적 접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드백하는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상기 키버튼부와 각 스위치접점 간의 상이한 가압거리에 대응되는 오목, 볼록 또는 요철 형태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접점이 형성된 기판에는 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스위치접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접점은,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점; 및상기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키버튼부는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소정 가압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1접점에 접촉시키는 제1누름턱; 및상기 제1누름턱의 가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2접점에 접촉시키는 제2누름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누름턱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함에 따라 가압거리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키버튼부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상기 기판 상의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 및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과 접촉되는 제2접점이 마련되며;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돔 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상기 제1접점으로 가압하는 제1누름턱과, 상기 제1누름턱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가지고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을 상기 제2접점으로 가압하는 제2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각각의 스위치접점과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갖는 요철이 형성되고,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 스위치접점과 대응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위치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상기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과,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접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갖도록 돌출된 기판상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a)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키스위치 신호가 발생하는 키패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스위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b)상기 키스위치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C)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와;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사용자 입력확인을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5 항에 있어서,(a) 단계는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키스위치의 일 영역과 접촉되는 제1접점으로부터 제1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및상기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키스위치의 다른 영역과 접촉되는 제2접점으로부터 제2신호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b) 단계는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5 항에 있어서,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음향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N(N은 3 이상의 자연수)×M(M은 3 이상의 자연수) 키패드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상기 키패드에 배열된 숫자키 중 적어도 4개가 방향키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상기 키패드는 플레이트와,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과, 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키스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른 상기 순차적 접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드백하는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1항에 있어서,상기 숫자키를 제외한 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1항에 있어서,상기 N은 3, M은 4이며, 상기 4개의 방향키 기능을 갖는 숫자키의 배열은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2항에 있어서,상기 핫키는 통화시작, 종료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삭제
- 제 31항에 있어서,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출력되는 상기 키스위치의 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1300A KR101111457B1 (ko) | 2006-02-06 | 2006-02-06 |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
US11/670,403 US7737373B2 (en) | 2006-02-06 | 2007-02-01 | Mobile termin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
EP07002441A EP1816662B1 (en) | 2006-02-06 | 2007-02-05 | Mobile termin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
CN2007100067923A CN101018378B (zh) | 2006-02-06 | 2007-02-06 | 移动终端按键输入设备和方法 |
JP2007027100A JP5110896B2 (ja) | 2006-02-06 | 2007-02-06 | 移動端末機、キー入力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1300A KR101111457B1 (ko) | 2006-02-06 | 2006-02-06 |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0147A KR20070080147A (ko) | 2007-08-09 |
KR101111457B1 true KR101111457B1 (ko) | 2012-02-21 |
Family
ID=3800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13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1457B1 (ko) | 2006-02-06 | 2006-02-06 |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737373B2 (ko) |
EP (1) | EP1816662B1 (ko) |
JP (1) | JP5110896B2 (ko) |
KR (1) | KR101111457B1 (ko) |
CN (1) | CN10101837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272B1 (ko) * | 2006-03-13 | 2012-03-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US7674003B2 (en) | 2006-04-20 | 2010-03-09 | Streamlight, Inc. | Flashlight having plural switches and a controller |
US8233613B1 (en) * | 2007-05-22 | 2012-07-31 | Avaya Inc. | Monitoring key-press delay and duration to determine need for assistance |
US7652216B2 (en) * | 2007-12-18 | 2010-01-26 | Streamlight, Inc. | Electrical switch, as for controlling a flashlight |
US8150480B2 (en) * | 2008-12-10 | 2012-04-03 | Nokia Corporation | Device with retracted front face |
KR101587002B1 (ko) * | 2009-02-02 | 2016-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US8120588B2 (en) | 2009-07-15 | 2012-02-21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Sensor assembly and display including a sensor assembly |
US20110024276A1 (en) * | 2009-07-28 | 2011-02-0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Keyboard assembly for a mobile device |
KR101595385B1 (ko) * | 2009-07-29 | 2016-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7952038B1 (en) * | 2009-12-04 | 2011-05-31 | Shin-Etsu Polymer Co., Ltd. | Two-stage switch apparatus |
FR2961340B1 (fr) * | 2010-06-11 | 2013-06-28 | Coactive Technologies Inc | Commutateur electrique a effet tactile a double action |
CN102339683A (zh) * | 2010-07-23 | 2012-02-01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多功能按键结构 |
KR101873410B1 (ko) * | 2011-11-03 | 2018-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
TWI489323B (zh) * | 2014-01-17 | 2015-06-21 | Darfon Electronics Corp | 鍵盤、依使用者調整操作之鍵盤及依使用者調整操作導通力量之方法 |
WO2017018097A1 (ja) * | 2015-07-24 | 2017-02-02 |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 押釦スイッチ用部材 |
CN105187980A (zh) * | 2015-09-16 | 2015-12-23 | 尚平 | 一种迷你音箱 |
KR102423148B1 (ko) * | 2015-11-26 | 2022-07-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장치 |
WO2018035836A1 (zh) * | 2016-08-26 | 2018-03-0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按键结构和电子设备及其操控方法、装置 |
CN107785200B (zh) * | 2016-08-26 | 2019-09-10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按键结构和电子设备 |
CN106506761A (zh) * | 2016-11-24 | 2017-03-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控制按键、移动设备及其按键操控方法和系统 |
US10930448B2 (en) * | 2016-12-22 | 2021-02-23 | Shin-Etsu Polymer Co., Ltd. | Push-button switch member |
CN108354666B (zh) * | 2018-03-02 | 2024-05-28 | 崇好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减少高功率激光作用组织时产生烟雾的手持装置 |
JP7389599B2 (ja) * | 2019-07-11 | 2023-11-30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スイッチ装置 |
JP7422601B2 (ja) * | 2020-04-28 | 2024-01-26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プッシュスイッチ |
JPWO2021246105A1 (ko) * | 2020-06-04 | 2021-12-09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4162U (ja) * | 1993-01-06 | 1994-07-2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押ボタンスイッチ |
JP2001338553A (ja) | 2000-05-29 | 2001-12-07 | Sanyo Electric Co Ltd | キースイッチ |
KR20030020742A (ko) * | 2001-09-04 | 2003-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
KR20050079126A (ko) * | 2004-02-04 | 2005-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07609A (en) | 1971-10-27 | 1972-12-26 | Texas Instruments Inc | Diaphragm pushbutton switch array for keyboards |
US3941964A (en) * | 1974-12-09 | 1976-03-02 | Bowmar Instrument Corporation | Push-button type binary switch device |
US4376238A (en) * | 1980-03-12 | 1983-03-08 | International Computers Limited | Electrical devices |
US4385218A (en) | 1981-04-21 | 1983-05-24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Electric switch |
JPH05258641A (ja) | 1992-03-16 | 1993-10-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パネルスイッチ |
JP3000885B2 (ja) * | 1994-12-28 | 2000-01-17 | ヤマハ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FR2796754B1 (fr) | 1999-07-19 | 2002-04-12 | Cit Alcatel | Commutateur a double pression |
JP2001297657A (ja) * | 2000-04-13 | 2001-10-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2002245895A (ja) | 2001-02-14 | 2002-08-30 | Yazaki Corp | ドームスイッチ |
JP5036103B2 (ja) * | 2001-05-14 | 2012-09-26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用通信機 |
JP2003092620A (ja) * | 2001-09-17 | 2003-03-28 | Mitsumi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装置、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機器操作方法 |
JP2003187671A (ja) * | 2001-12-14 | 2003-07-04 | Nec Saitama Ltd | キー入力回路、及び、携帯端末の入力装置 |
JP4106915B2 (ja) * | 2002-01-21 | 2008-06-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JP4075608B2 (ja) * | 2002-03-13 | 2008-04-1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JP4088577B2 (ja) * | 2003-10-16 | 2008-05-21 | ホシデン株式会社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用可動接点および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JP2005340154A (ja) * | 2004-03-12 | 2005-12-08 | Fuji Denshi Kogyo Kk | 二段動作スイッチ |
US20080164133A1 (en) | 2004-06-15 | 2008-07-10 | Japan Aviation Electronice Industry Limited | Dome-Shaped Contact and Multi-Step Operation Electrical Switch Incorporating the Same |
JP4314576B2 (ja) * | 2004-06-23 | 2009-08-19 | 日立エーアイシー株式会社 | 機能部品の製造方法 |
US7217893B1 (en) * | 2006-10-13 | 2007-05-15 | Altek Corporation | Two-stage button structure |
-
2006
- 2006-02-06 KR KR1020060011300A patent/KR10111145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2-01 US US11/670,403 patent/US773737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2-05 EP EP07002441A patent/EP1816662B1/en not_active Ceased
- 2007-02-06 JP JP2007027100A patent/JP511089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2-06 CN CN2007100067923A patent/CN10101837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4162U (ja) * | 1993-01-06 | 1994-07-2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押ボタンスイッチ |
JP2001338553A (ja) | 2000-05-29 | 2001-12-07 | Sanyo Electric Co Ltd | キースイッチ |
KR20030020742A (ko) * | 2001-09-04 | 2003-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한글 2벌식 자모 배열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 |
KR20050079126A (ko) * | 2004-02-04 | 2005-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184877A1 (en) | 2007-08-09 |
EP1816662A2 (en) | 2007-08-08 |
JP5110896B2 (ja) | 2012-12-26 |
US7737373B2 (en) | 2010-06-15 |
JP2007214129A (ja) | 2007-08-23 |
CN101018378A (zh) | 2007-08-15 |
EP1816662A3 (en) | 2009-04-08 |
EP1816662B1 (en) | 2011-11-30 |
CN101018378B (zh) | 2010-04-14 |
KR20070080147A (ko) | 2007-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1457B1 (ko) |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 |
CN1862736B (zh) | 手持式电子装置及提供增强的可用性和减小的尺寸的键盘以及相关方法 | |
KR20010098792A (ko) | 회전조작스위치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 |
KR20080021442A (ko) |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 |
JPH11126126A (ja) | 携帯電話機用スクロールスイッチ装置 | |
JP4414037B2 (ja) | スイッチ装置 | |
EP1770734B1 (en) | Rubber key device | |
US6670563B1 (en) |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 |
CA2315982C (en) | Key input device | |
US20150090569A1 (en) | Operation key assembly | |
CA2325356C (en) | Key input device | |
KR100568914B1 (ko) | 다방향 입력장치 | |
CN217902950U (zh) | 电子装置 | |
KR20070103628A (ko) | 키패드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기 | |
JP2003131787A (ja) | 携帯機器のキーボタン構造 | |
KR100639324B1 (ko) | 다단 조작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키 스위치 패드 | |
KR200412587Y1 (ko) |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 |
JP5045277B2 (ja) | 電子機器におけるキー構造及び電子機器 | |
KR20050055841A (ko) | 네비게이션 키 겸용 서브 엘씨디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 |
EP1492137B1 (en) | Switch dome device | |
KR100625454B1 (ko) | 복수의 스위칭 접점부를 갖는 돔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370673Y1 (ko) | 조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기 | |
JP3481587B2 (ja) | キーボタン付き装置 | |
JP2003092620A (ja) | スイッチ装置、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機器操作方法 | |
KR100714851B1 (ko) | 메탈돔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호인식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12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