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9098B1 -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098B1
KR101109098B1 KR1020090092633A KR20090092633A KR101109098B1 KR 101109098 B1 KR101109098 B1 KR 101109098B1 KR 1020090092633 A KR1020090092633 A KR 1020090092633A KR 20090092633 A KR20090092633 A KR 20090092633A KR 101109098 B1 KR101109098 B1 KR 10110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wall
furnace
resistor
furnac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077A (ko
Inventor
이상민
정완균
윤진성
황운봉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0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0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2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고로 노체의 내벽에 함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체의 내벽의 표면이 마모됨에 따라 함께 마모되어 저항값이 달라지는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 및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에 연결된 저항 측정부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저항의 저항차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로 노체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고로, 노체, 두께, 저항, 병렬 연결

Description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로 운행 중 야기되는 노체의 두께손실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고로의 노체 내벽의 내측부에 삽입된 저항막대의 저항변화를 탐지하여 노체 두께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 운행 시에는 고로의 내벽에 붙는 찌꺼기 물질들이 탈부착 과정을 반복하면서 내벽을 손상시킨다. 이와 같이 고로의 내벽이 손상되면 폭발 등의 위험이 있어 내벽 마모 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측정이 필요하다.
고로 내벽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열역학적 추정, 기계적 측정, 전기적 성질 변화가 바로 그것이다.
일본 특허공보 소57-39288호에서는 노체 연와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노벽 온도가 급상승하는 온도 변화로부터 부착물의 탈락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 특허공보 소 59-6888호에서는 코크스 및 광석의 층상 장입시 장입 주기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온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주기성이 상실될 때 부착물의 생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 특허공개 제 1995-0010238호에서는 노벽 연와에 착설되는 열전대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부착물 두께와 열전대 온도와의 상관 관계로부터 부착물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노벽에 형성되는 부착물의 성장이나 탈락되는 상황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고로 노벽의 부착물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역학적 방법은 조업상황에 따라 수치화하는 정확성이 떨어지고, 기계적 방법 또한 내벽에 붙어 있는 찌꺼기 등으로 정확한 측정을 기대하기 힘들다.
한편, 전기적 성질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은 노체의 저항을 이용하여 노체의 내벽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이 방법 또한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조업상황에 따라 온도가 수시로 변하는 노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위에 설명된 모든 세가지 방법들은 측정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으며 노체 두께 변화를 측정 시점에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급격한 변화에 대해 대비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자에 상관없이 고로 노체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노체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항 막대를 이용하여 노체의 두께를 측정함에 있어, 저항이 가지는 온도 변화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내벽의 마모량을 고로가 스스로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추가적인 유해 작용 없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부분의 두께를 신뢰도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로 노체의 내벽에 함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체의 내벽의 표면이 마모됨에 따라 함께 마모되어 저항값이 달라지는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 및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에 연결된 저항 측정부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는 각각 복수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저항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대 형태의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는 상기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각각의 복수의 저항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은 상기 노체 내벽으로부터 동일한 깊이마다 상호 나란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가 일측면에 안착되며 타측면이 상기 노체 내벽의 내측부에 위치고정가능한 저항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는 상기 노체의 서로 다른 위치의 노체 내벽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노체의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저항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저항 차이값에 따라 노체 내벽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노체 두께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제 1 저항으로 구성된 제 1 저항부 및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제 2 저항으로 구성된 제 2 저항부의 저항 개 수에 따른 저항 차이값 계산치에 대응하는 노체 내벽 두께 계산치를 제공하는 단계; 노체 내벽의 내측부에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저항 차이값 측정치와 상기 저항 차이값 계산치를 비교하여 현재 노체 내벽의 두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은 현재 압력을 측정 등을 위하여 노체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구멍들에 바로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일단 설치 후에는 별도의 관리 없이 저항막대가 마모되면서 자동적으로 알려주는 측정값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저항의 저항차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로 노체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은 내부 부착물로 인한 영향도 받지 않으므로 신뢰성 있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은, 노체 내벽의 종류에 상관없이 압력 구멍 등을 통하여 추가적 장치를 설치해 마모량을 측정하도록 하고, 노체의 두께 변화라는 물리적 변화를 전기적 성질의 변화로 변환시켜 노체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노체 벽면에 저항막대를 삽입하여 고로를 운영하면 노체가 마모되면서 저항막대의 마모 또한 야기시키고, 이는 저항막대의 저항 변화 야기시키며 이 저항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노체 벽면의 잔존두께를 측정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체의 두께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1)은 제 1 저항부(10), 제 2 저항부(20), 저항값 측정부(30), 전원 공급부(40) 및 두께 계산부(50)를 포함한다.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는, 도 2를 참조하면, 각각 복수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저항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는 노체 내벽(4)의 내측부(2)에 설치된다. 이 때,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가 설치되는 노체 내벽의 내측부(2)는 노체 내벽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홀의 측벽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체에 이미 설치된 홀에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를 설치함으로써 본 시스템은 간단한 방식으로 노체 내벽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항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를 노체 내벽에 형성된 홀 안에 설치함으로써 노체 내벽의 표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노체 내벽의 표면에 인접한 단부가 함께 마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노체 내벽(4)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단부가 함께 마모되면,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체 내벽의 표면이 마모됨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제 1 저항부(10)와 제 2 저항부(20)의 저항값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노체 내벽의 표면의 마모량을 측정하여 노체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체 내벽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값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저항부(10)는 5개의 제 1 저항(11,12,13,14,15)들이 병렬로 연결된다. 이 때, 제 1 저항(11,12,13,14,15)들은 소정의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 1 저항부(10)가 노체 내벽의 내측부에 설치될 때 노체 내벽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제 1 저항부(10)의 일단, 즉 첫번째 제 1 저항(11)이 위치된다. 제 1 저항(11,12,13,14,15)들의 간격은 노체의 내벽의 표면이 마모되는 두께에 따라, 예를 들어, 10mm 내지 20mm 정도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저항의 간격 및 수는 설치하고자 하는 고로 내벽의 두께 및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저항부(20)는 제 1 저항부(10)에 인접한 위치에 제 1 저항부(10) 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저항부(20)에 설치되는 제 2 저항(21,22,23,24,25)들은 총 5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 2 저항(21,22,23,24,25)들은 제 1 저항부(10)의 제 1 저항(11,12,13,14,15)들의 상호 이격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 2 저항들이 제 1 저항들과 나란하게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은, 내벽이 마모되어 소정 높이의 제 1 저항들이 제거될 때, 동일한 높이의 제 2 저항들도 함께 마모되어,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이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 1 저항부(10)의 제 1 저항(11,12,13,14,15)과 제 2 저항부(20)의 제 2 저항(21,22,23,24,25)은 열역학적 성질은 유사하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는 노체 내벽에 설치될 때, 노체 내벽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 즉 원형인 노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가 노체 표면으로부터 반드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때에도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제 1 저항들 및 제 2 저항들 사이의 간격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저항 차이값에 따른 노체 내벽 두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저항부(10)와 제 2 저항부(20)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하여 노체 내벽의 마모량을 계산하기 때문에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가 서로 이 격되어 있을 경우, 제 1 저항부(10)가 위치된 노체 내벽의 두께와 제 2 저항부(20)가 위치된 노체 내벽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후,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를 상호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저항 지지대(6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가 저항 지지대(60)에 설치됨으로써 저항 지지대(60)를 노체의 내벽에 형성된 홈에 고정시키기만 하면,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가 노체의 내벽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항 지지대를 이용한 경우, 저항 지지대가 설치된 노체 내벽의 위치에서의 내벽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노체 내벽에 설치된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는 각각 저항값 측정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저항값 측정부(30)는 제 1 저항들이 병렬로 연결된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들이 병렬로 연결된 제 2 저항부의 저항값을 측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제 1 저항부(10)의 저항값과 제 2 저항부(20)의 저항값은 두께 계산부(50)에서 저항 차이값으로 계산되며, 두께 계산부(50)에서는 해당 저항 차이값에 대응하는 저항의 개수를 판단함으로써 내벽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체의 내벽이 마모된 정도에 따라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의 개수가 달라지게 되므로, 노체 내벽의 두께에 따라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 차이값도 노체 내벽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1)에서는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의 수에 따른 저항 차이값을 미리 계산하여 둔 후, 고로 운행 중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 차이값이 미리 측정하여 둔 저항 차이값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현재 몇 개의 저항이 남아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고로 노체의 내벽 두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노체의 내벽 두께가 최초 L1이라고 할 때, 총 5개의 제 1 저항(11,12,13,14,15)들 및 제 2 저항(21,22,23,24,25)들이 각각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에 존재한다. 고로 운행 중 노체의 내벽이 마모되어 내벽 두께가 L1으로부터 L2로 줄어들게 되면, 내벽이 마모될 때, 제 1 저항부의 일단에 위치한 제 1 저항(11)과, 제 2 저항부의 일단에 위치한 제 2 저항(21)이 함께 떨어져 나가,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에는 각각 4개의 저항만이 남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이 변하게 된다. 또한, 추가적인 고로 운행에 의하여 내벽 두께가 L2로부터 L3로 줄어들게 되면, 제 1저항부로부터 2개의 제 1 저항(11,12)이 떨어져 나간 상태가 되며, 제 2 저항부로부터도 2개의 제 2 저항(21,22)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에 또 한번 변화가 생긴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는 운영자는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의 수에 따라 미리 계산된 저항 차이값의 계산치를 알고 있으므로, 고로 운행 중 저항 차이값의 변화가 생길 경우, 상기 계산 치와 비교하여,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가 설치된 위치에서 노체의 내벽의 두께가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지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두께 계산부(50)는, 고로를 운행함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 차이값에 해당하는 노체 내벽의 두께를 계산한다. 이 때, 현재 노체 내벽의 두께는, 현재 저항값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 차이값에 대응되는 값으로서, 미리 계산된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의 저항 수에 따른 저항 차이값의 계산치에 대응되는 노체 내벽의 두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0)는 제 1 저항부(10) 및 제 2 저항부(20)와 저항값 측정부(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본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 각각의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은 온도에 따라 저항값의 변화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체 내벽의 두께를 측정하는 인자로서,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의 저항값의 차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은, 복수개의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 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 쌍은 하나의 저항값 측정부 및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 쌍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노체의 내벽 내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체 내벽의 마모가 심한 복수개의 지점의 내벽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체의 내벽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제 1 저항으로 구성된 제 1 저항부 및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제 2 저항으로 구성된 제 2 저항부의 저항 개수에 따른 저항 차이값을 계산하고, 저항 차이값 계산치에 대응하는 노체 내벽 두께를 계산한다.(S301) 이에 따라, 저항의 남은 수에 따른 노체 내벽 두께가 계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노체 내벽 중 노체 내벽 두께의 측정이 필요한 위치에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를 설치한다.(S302)
그후 고로 운행 중, 계속적으로 혹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한다. (S303)
상기 측정된 저항 차이값 측정치와 상기 저항 차이값 계산치를 비교하면, 현재 남은 저항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현재 남은 저항의 개수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노체 내벽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S30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할 때, 노체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을 도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로의 노체 두께를 측정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내측부 4 노체 내벽
10 제 1 저항부 11, 12, 13, 14, 15 제 1 저항
20 제 2 저항부 21, 22, 23, 24, 25 제 2 저항
30 저항값 측정부 40 전원 공급부
50 두께 계산부 60 저항 지지대

Claims (8)

  1. 고로 노체의 내벽에 함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체의 내벽의 표면이 마모됨에 따라 함께 마모되어 저항값이 달라지는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 및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에 연결된 저항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는,
    각각 복수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저항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저항은,
    상기 고로 노체의 내벽에 함입되어 깊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태의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는 상기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각각의 복수의 저항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은 상기 노체 내벽으로부터 동일한 깊이마다 상호 나란하게 위치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가 일측면에 안착되며 타측면이 상기 노체 내벽 내측부에 위치고정가능한 저항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제 1 저항부 및 제 2 저항부는 상기 노체의 서로 다른 위치의 노체 내벽 표면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노체의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저항 차이값에 따라 노체 내벽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노체 두께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8.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제 1 저항으로 구성되어 저항 막대 형태를 이루고 복수의 제 1 저항이 고로 노체의 내벽에 함입되어 깊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된 제 1 저항부 및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제 2 저항으로 구성되어 저항 막대 형태를 이루고 복수의 제 2 저항이 고로 노체의 내벽에 함입되어 깊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된 제 2 저항부의 저항 개수에 따른 저항 차이값 계산치에 대응하는 노체 내벽 두께 계산치를 제공하는 단계;
    노체 내벽의 내측부에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저항부 및 상기 제 2 저항부의 저항 차이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저항 차이값 측정치와 상기 저항 차이값 계산치를 비교하여 현재 노체 내벽의 두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방법.
KR1020090092633A 2009-09-29 2009-09-29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0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33A KR101109098B1 (ko) 2009-09-29 2009-09-29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33A KR101109098B1 (ko) 2009-09-29 2009-09-29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77A KR20110035077A (ko) 2011-04-06
KR101109098B1 true KR101109098B1 (ko) 2012-01-31

Family

ID=4404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9098B1 (ko) 2009-09-29 2009-09-29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0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252A (ja) * 2002-08-15 2004-03-11 Nippon Steel Corp ライナー減肉量検出用棒、減肉量検出機能を有するライナー及び機械部品並びに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252A (ja) * 2002-08-15 2004-03-11 Nippon Steel Corp ライナー減肉量検出用棒、減肉量検出機能を有するライナー及び機械部品並びに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77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401B1 (ko) 용융 금속용 야금 용기의 내화 라이닝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US74938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deformation in turbine blades
EP3184973B1 (en) Device for measuring a property of a flowing fluid
SE445258B (sv) Sett att overvaka avnotning av eldfasta veggar i en masugn
EP3548855B1 (en) Shorted thermocouple diagnostic
JP6836927B2 (ja) 高リスク部位予測方法及び高リスク部位予測装置
WO20030388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 optic monitoring of downhole power and communication conduits
KR101109098B1 (ko)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504512A (zh) 测温传感器精度自检测和自校准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JP5547117B2 (ja) 耐火物残厚評価方法
WO2006081610A1 (en) Wear sensor
JPH0474813A (ja) 高炉壁厚測定方法とその装置
SI1972906T1 (sl) Postopek za odkrivanje napak v senzorju pretoka
KR101035689B1 (ko) 절연 와이어를 구비한 스테이브 및 이를 이용한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
JP3177887U (ja) シース型測温装置
JP7611042B2 (ja) 温度センサ異常判定装置および温度センサ異常判定方法並びに温度センサ異常判定プログラム
KR20240090222A (ko) 대류 열전달 계수 및 인터페이스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KR102724469B1 (ko) 곡면 측정장치
JP2017080771A (ja) 連続鋳造用鋳型
US49957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of electroconductive melt and the thickness of refractory lining
CN111895950A (zh) 一种检测混凝土构件中钢筋直径的方法
EP3428745A1 (en) Determination of a spatial distribution of a process variable
RU200302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толщины футеровки теплового агрегата
US20230025558A1 (en) Sensor roller
JP7705105B2 (ja) Cuステーブの損耗検出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