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4852B1 -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 Google Patents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852B1
KR101104852B1 KR1020110088597A KR20110088597A KR101104852B1 KR 101104852 B1 KR101104852 B1 KR 101104852B1 KR 1020110088597 A KR1020110088597 A KR 1020110088597A KR 20110088597 A KR20110088597 A KR 20110088597A KR 101104852 B1 KR101104852 B1 KR 101104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tube
heat
power supply
supply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복
Original Assignee
구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상(주) filed Critical 구상(주)
Priority to KR102011008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8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밀폐 방열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의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축열매체와 절연체가 격리되게 충진되며,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어 발열하는 열선이 다수 구성되는 방열관; 축열매체를 밀폐하며, 그 중앙이 관통되어 전원 공급선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1실리콘 마개와, 상기 제1실리콘 마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절연체가 충진되고 밀폐수단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2실리콘 마개실리콘 마개; 상기 제1실리콘 마개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선의 선단부가 절연되도록 하고, 이 전원 공급선과 열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절연부재; 상기 방열관의 관통된 양측 단부를 밀폐하며, 전원 공급선이 관통하는 밀폐커버와, 방열관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이중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밀폐수단; 다중 밀폐 방열관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밀폐수단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다중 밀폐 방열관의 개별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점검박스; 및 상기 점검박스의 일측에 구성되어 온도를 조절하거나,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여 방열관으로부터 발열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Multi sealed radiating pipe}
본 발명은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실리콘 마개와, 절연체의 비중 차이를 통해 발생되는 밀폐력을 제공하고, 축열매체의 팽창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도록 전원 공급선이 실리콘 마개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하여 히터선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선을 이용한 보일러 관에는 물과 같은 축열 매체를 주입하고, 열선을 삽입하여, 이 열선에 전기적인 에너지를 공급함에 따라 열을 발생시켜 보일러 관 주위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일러 관에서는 보일러 관 내에 있는 열선에 전기적인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선을 외부에서 연결하게 된다. 즉, 보일러 관의 외부에서부터 열선이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보일러 관에 축열매체의 유출을 막기 위한 패킹 등이 열선에 의해 쉽게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보일러 관의 밀봉 상태가 쉽게 훼손되고, 이에 따라 관내에 주입된 내부 물질이 쉽게 유출되어 고장의 원인이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은 전술한 일반적인 보일러 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명된 특허등록 제0861426호에 개재된 것으로서, 주변부에 열을 전달하는 방열관(110), 외부로부터 방열관(11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20), 방열관(110) 내에 위치하고, 전선(120)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30), 전선(120) 및 열선(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140) 및 방열관(110)의 말단에 위치하고, 방열관(110) 및 전선(120)을 밀봉하는 밀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밀폐부(150)는 방열관(110)의 말단에 체결되어 밀봉하고, 제1 체결너트(152), 제2체결너트(154), 밀폐관체(156)를 포함하고, 제1 체결너트(152)와 밀폐관체(156) 사이에 위치하며, 전선(120)이 인입되는 외부마개(180) 및 제2 체결너트(154), 밀폐관체(156)에 결합되는 내부마개(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의 방열관(110) 내부에는 충진된 축열매체의 양을 줄이고도 방열관(110)을 채울 수 있도록 양 끝이 밀봉된 내부관(190)이 구비된다. 이러한 내부관(190)은 방열관(110) 내의 물질이 내부관(190)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192)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밀폐부(150)가 부식되거나, 반복적인 내부마개(160)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체결력이 저하되면서 방열관(110) 내부의 축열매체 또는 히터용 난방오일 등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관(190)의 표면이 얇아 단시간에 히팅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와 반대로 단시간에 냉각될 수밖에 없어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누수방지부재를 통해 밀폐하고, 축열매체와 절연체의 비중 차이를 통해 발생되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이중 방열관이 개발되었으나, 이 누수방지부재에 의해 밀폐된 부분에 위치한 열선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방열관의 누수방지부재가 위치한 부분이 팽창하여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 방열관의 형태가 수차례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어느 한 부분이 파손되면 전체적인 이중 방열관을 교체, 보수를 해야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와 절연체를 실리콘 마개를 통해 밀폐시키고, 열선에 의해 방열관이 팽창하여 파손됨에 따라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전원 공급선이 실리콘 마개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하여 열선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이중 방열관을 장시간 사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관에 복잡하게 구성된 밀폐구조 대신 실리콘 마개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간편하게 축열매체와 절연체을 밀폐시킴에 따라 방열관의 구성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직진성을 가지는 일자형태의 이중 방열관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점검박스 및 온도 조절기와 함께 시공됨으로써, 파손시 교체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의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축열매체와 절연체가 격리되게 충진되며,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어 발열하는 열선이 다수 구성되는 방열관; 축열매체를 밀폐하며, 그 중앙이 관통되어 전원 공급선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1실리콘 마개와, 상기 제1실리콘 마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절연체가 충진되고 밀폐수단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2실리콘 마개실리콘 마개; 상기 제1실리콘 마개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선의 선단부가 절연되도록 하고, 이 전원 공급선과 열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절연부재; 상기 방열관의 관통된 양측 단부를 밀폐하며, 전원 공급선이 관통하는 밀폐커버와, 방열관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이중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밀폐수단; 다중 밀폐 방열관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밀폐수단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다중 밀폐 방열관의 개별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점검박스; 및 상기 점검박스의 일측에 구성되어 온도를 조절하거나,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여 방열관으로부터 발열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는 방열관의 단부 외주연이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며, 제2실리콘 마개가 삽입 고정되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검박스에 방열관의 발열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 조절기과 연결되는 온도센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방열관에는 내부에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와 절연체를 실리콘 마개를 통해 밀폐시키고, 전원 공급선이 실리콘 마개에 직접 연결되어 열선에 의해 방열관이 팽창하여 파손됨에 따라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하여 열선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이중 방열관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관에 복잡하게 구성된 밀폐구조 대신 실리콘 마개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간편하게 축열매체와 절연체를 밀폐시킴에 따라 방열관의 구성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진성을 가지는 일자형태의 이중 방열관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점검박스 및 온도 조절기와 함께 시공됨으로써, 파손시 교체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밀폐 방열관은 내부에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는 방열관(200), 방열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축열매체와 절연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실리콘 마개(210) 및 실리콘 마개(210)의 단부에 구성되어 방열관(200)의 단부를 밀폐시키고, 열선(204) 및 전원 공급선(202)을 고정시키는 밀폐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열관(200)은 내부에 축열매체와 절연체가 실리콘 마개(210)에 의해 격리된 채로 충진되며, 내부에 전원 공급선(202)과 연결되는 열선(204)이 다수 구비되어 있어서 이 열선(204)의 가열에 의해 방열관(200)의 주변으로 열을 전달한다.
전원 공급선(202)은 이중 밀폐 방열관의 외부에 구성된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절연부재(216)에 의해 열선(2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선(204)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선(202)은 밀폐수단(220)을 통해 인입된다.
열선(204)은 전원 공급선(202)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열에너지로 전환한다. 이러한 열선(204)은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방열관(200) 내부에 충진된 축열매체를 가열한다.
실리콘 마개(210)는 방열관(200)의 양측 단부를 밀폐하며, 축열매체와 절연체를 각각 분리 구성되도록 격리시킨 상태에서 방열관(200)의 내부에 충진되도록 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축열매체를 밀폐하며, 그 중앙이 관통되어 전원 공급선(202)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1실리콘 마개(212)와, 이 제1실리콘 마개(212)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고 밀폐수단(220)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2실리콘 마개(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실리콘 마개(212)에는 전원 공급선(202)의 선단부가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부재(216)가 관통 형성된 홀에 장착되며, 이 절연부재(216)를 통해 전원 공급선(202)과 열선(204)이 서로 연결 구성된다.
절연부재(216)는 고무, 실리콘 및 각종 수지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특히 축열매체와 절연체, 또는 실리콘 마개(210)가 열선(204)으로부터 절연되도록 한다.
이러한 실리콘 마개(210)는 방열관(200)의 직경보다 일정 직경만큼 크게 형성되어 실리콘 마개(210)가 방열관(200)의 내경에 완전히 밀착된 채,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밀폐수단(220)은 방열관(200)의 양측 단부 외주면에 체결되어 이 방열관(200)을 밀폐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방열관(200)의 단부 외주연이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232)이 형성되며, 제2실리콘 마개(214)가 삽입 고정되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삽입홈(234)이 형성된 밀폐마개(230)가 구비된다.
또한, 밀폐수단(220)의 외주면에는 방열관(200)과의 이중 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에 체결되어 방열관(200)과 밀폐수단(220)이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체결너트(240)가 구성된다.
아울러, 밀폐커버(230)는 전원 공급선(202)이 관통하여 제1실리콘 마개(212)에 구비된 절연부재(216)까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238)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238)의 내주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250)가 구비된다.
여기서, 방열관(200)의 외주면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32)에는 방열관(200)과의 체결력을 향상하기 위한 체결돌기(236)가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방열관(200)과 나사 체결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 밀폐 방열관은 직진성을 가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구성되되, 밀폐수단(220)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점검박스(310)에 의해 연결 구성됨으로써, 방열관(200)이 파손된다 하더라도 개별적으로 보수가 가능하고, 교체 작업 역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 점검박스(310)의 일측에는 방열관(200)으로부터 발열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320)를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온도를 조절하거나, 원하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점검박스(310)에 방열관(200)의 발열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 조절기(320)과 연결되는 온도센서(330)와, 전류를 감지하도록 과승센서(340)를 구성함으로써, 바닥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고, 더불어 투입된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된 전류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 밀폐 방열관은 방열관(20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와 절연체를 실리콘 마개(210)를 통해 밀폐시키고, 열선(204)에 의해 방열관(200)이 팽창하여 파손됨에 따라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전원 공급선(202)이 실리콘 마개(21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하여 열선(204)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이중 방열관(200)을 장시간 사용 가능하고, 방열관(200)에 복잡하게 구성된 밀폐구조 대신 실리콘 마개(210)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간편하게 축열매체와 절연체을 밀폐시킴에 따라 방열관(200)의 구성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직진성을 가지는 일자형태의 이중 방열관(200)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점검박스(310) 및 온도 조절기(320)와 함께 시공됨으로써, 파손시 교체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방열관 210: 실리콘 마개
212: 제1실리콘 마개 214: 제2실리콘 마개
220: 밀폐수단 230: 밀폐커버
240: 체결너트 250: 실링부재
310: 점검박스 320: 온도 조절기
330: 온도센서 340: 과승센서

Claims (4)

  1. 중공의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축열매체와 절연체가 격리되게 충진되며,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어 발열하는 열선이 다수 구성되는 방열관;
    축열매체를 밀폐하며, 그 중앙이 관통되어 전원 공급선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1실리콘 마개와, 상기 제1실리콘 마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절연체가 충진되고 밀폐수단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2실리콘 마개실리콘 마개;
    상기 제1실리콘 마개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선의 선단부가 절연되도록 하고, 이 전원 공급선과 열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절연부재;
    상기 방열관의 관통된 양측 단부를 밀폐하며, 전원 공급선이 관통하는 밀폐커버와, 방열관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이중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밀폐수단;
    다중 밀폐 방열관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밀폐수단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다중 밀폐 방열관의 개별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점검박스; 및
    상기 점검박스의 일측에 구성되어 온도를 조절하거나,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여 방열관으로부터 발열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를 포함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에는 방열관의 단부 외주연이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며, 제2실리콘 마개가 삽입 고정되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밀폐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박스에는 방열관의 발열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 조절기과 연결되는 온도센서와 과승센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방열관에는 내부에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 방열관.
KR1020110088597A 2011-09-01 2011-09-01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Expired - Fee Related KR101104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97A KR101104852B1 (ko) 2011-09-01 2011-09-01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97A KR101104852B1 (ko) 2011-09-01 2011-09-01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852B1 true KR101104852B1 (ko) 2012-01-16

Family

ID=4561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5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4852B1 (ko) 2011-09-01 2011-09-01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8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538B1 (ko) * 2001-01-29 2004-03-18 대한민국 생약재의 휘발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문화재 보존용 살생물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문화재 보존방법
KR101229952B1 (ko) * 2012-04-25 2013-02-06 (주)세진엘러텍 전열 난방파이프
KR101502748B1 (ko) * 2013-12-30 2015-03-16 주식회사 에스앤씨 에너지 난방용 전열관
KR101517952B1 (ko) 2013-09-24 2015-05-07 이원복 침대용 온열보료
KR101623545B1 (ko) 2016-01-22 2016-05-23 심용보 난방용 전열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528A (ko) * 2001-11-06 2003-05-14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용 현수애자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411488B1 (ko) 2002-01-23 2003-12-24 주식회사 대양에너텍 조립식 전기보일러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히팅파이프조립체
KR100859901B1 (ko) 2007-04-10 2008-09-23 김용권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KR100994254B1 (ko) 2010-05-03 2010-11-12 주식회사 동남아이앤이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528A (ko) * 2001-11-06 2003-05-14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용 현수애자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411488B1 (ko) 2002-01-23 2003-12-24 주식회사 대양에너텍 조립식 전기보일러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히팅파이프조립체
KR100859901B1 (ko) 2007-04-10 2008-09-23 김용권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KR100994254B1 (ko) 2010-05-03 2010-11-12 주식회사 동남아이앤이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538B1 (ko) * 2001-01-29 2004-03-18 대한민국 생약재의 휘발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문화재 보존용 살생물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문화재 보존방법
KR101229952B1 (ko) * 2012-04-25 2013-02-06 (주)세진엘러텍 전열 난방파이프
KR101517952B1 (ko) 2013-09-24 2015-05-07 이원복 침대용 온열보료
KR101502748B1 (ko) * 2013-12-30 2015-03-16 주식회사 에스앤씨 에너지 난방용 전열관
KR101623545B1 (ko) 2016-01-22 2016-05-23 심용보 난방용 전열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852B1 (ko)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CN106229437A (zh) 一种电池模组
KR100805703B1 (ko) 전열온수관 시스템
KR100994254B1 (ko)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KR101502748B1 (ko) 난방용 전열관
KR200473268Y1 (ko) 내열성 실리콘 방수 패킹이 구비된 축사용 직관형 할로겐 램프
CN211290574U (zh) 防爆电加热棒
KR20090008801A (ko) 전기온돌의 히팅케이블 연결구조
CN203979668U (zh) 一种预制保温型过墙管
KR101724414B1 (ko) 난방용 온수관
KR100859901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KR20180118287A (ko) 동파 방지 시스템
CN104344541A (zh) 一种用于加热系统的电加热器
CN102833894A (zh) 一种通过厚膜加热的铝合金加热管
KR101570414B1 (ko) 절연 피복된 스텐 주름관 난방파이프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200438715Y1 (ko) 온수보일러용 온도센서모듈
CN206774365U (zh) 一种高压电源
CN204204635U (zh) 防火电力电容器双法兰绝缘套管
KR200337528Y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구조
KR101198112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KR101514052B1 (ko) 난방용 전열 온수관의 밀폐 장치
KR100923749B1 (ko) 전기식 열매체 난방장치
CN108150691B (zh) 一种防水电磁阀
CN105451378A (zh) 一种ptc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