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239B1 -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4239B1 KR101104239B1 KR1020100029342A KR20100029342A KR101104239B1 KR 101104239 B1 KR101104239 B1 KR 101104239B1 KR 1020100029342 A KR1020100029342 A KR 1020100029342A KR 20100029342 A KR20100029342 A KR 20100029342A KR 101104239 B1 KR101104239 B1 KR 101104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nitride
- substrate
- buffer layer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8은 도 7의 결정성장핵층의 두께에 따른 FWHM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도 7의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1 버퍼층과 수평성장층을 보여주는 SEM 사진.
도 10은 도 7의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수평성장층과 제2 버퍼층을 보여주는 SEM 사진.
도 11은 도 7의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20K에서 측정된 PL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는 도 7의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AFM으로 측정한 표면 사진.
도 13은 도 7의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을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의 I-V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5는 도 13의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의 L-I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6은 도 13의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7은 도 13의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의 방향별 x-ray rocking curve의 FWHM 값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
도 19 내지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종 기판을 제작한 후 표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종 기판의 시편을 CL(Cathode Luminescence)로 관찰한 사진.
도 26은 micro-PL(Photo Luminescence)로 위치별 발광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을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도 29 및 도 30의 반도체 소자의 축방향에 따른 광출력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극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3 : 제1 버퍼층 14 : 수평성장층
15 : 질화실리콘층 16 : 구멍
17 : 제1 버퍼층 18 : a면 질화물층
10 : 이종 기판 20 : 제1 질화물층
30 : 활성층 40 : 제2 질화물층
100 : 질화물 반도체 소자 200 : 유전체막
210 : 유전체막 패턴 300 : 적층결함
400 : n형 전극 500 : p형 전극
Claims (27)
- 무극성 또는 반극성면 중에 하나를 갖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과 다른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기판 면에 형성되는 유전체막 패턴;
상기 유전체막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의 면에 형성된 질화물계 결정성장핵층;
상기 결정성장핵층 위에 성장되며, 수평 방향에 비해서 수직 방향으로 더 빨리 성장된 제1 버퍼층;
상기 제1 버퍼층 위에 성장되며, 수직 방향에 비해서 수평 방향으로 더 빨리 성장된 수평성장층;
상기 수평성장층 위에 성장된 제2 버퍼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 패턴은 SiO2 및 SiN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 상기 수평성장층 또는 상기 제2 버퍼층의 계면 또는 내부에 형성되며, 균일하게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질화실리콘(SiNx)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질화실리콘층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질화실리콘층 아래의 결정이 성장하여 상기 질화실리콘층 위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실리콘층은,
상기 제1 버퍼층 위에 상기 수평성장층과 상기 제2 버퍼층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극성 또는 반성극면은,
a면, r면 또는 m면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계 결정성장핵층은,
무극성 또는 반극성을 갖는 질화물계 단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계 결정성장핵층은,
GaN, AlxGa1-xN, InxGa1-yN(0<x,y<1)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계 결정성장핵층은,
450~1300℃, 30~760 torr의 질소나 수소분위기, V/Ⅲ의 비가 50~3000에서 성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은,
V/Ⅲ의 비가 50~2000, 450~1300℃ 및 100~760 torr에서 성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성장층은,
V/Ⅲ의 비가 2~1000, 800~1500℃ 및 10~300 torr에서 성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11항에 있어서, 제2 버퍼층은,
V/Ⅲ의 비가 50~2000, 450~1300℃ 및 30~760 torr에서 성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계 결정성장핵층은,
5~7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
상기 제2 버퍼층 위에 형성된 n타입 또는 p타입 중의 하나의 제1 질화물층;
상기 제1 질화물층 위에 형성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질화물층과 반대되는 타입의 제2 질화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화물층에 접합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질화물층에 접합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c축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일 전극이 타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무극성 또는 반극성면 중에 하나를 갖는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베이스 기판과 다른 굴절율을 가지는 유전체막 패턴을 상기 베이스 기판 상면에 형성하는 유전체막 패턴 형성 단계;
상기 유전체막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의 면에 질화물계 결정성장핵층을 형성하는 결정성장핵층 형성 단계;
상기 결정성장핵층 위에 제1 버퍼층을 성장시키되, 수평 방향에 비해서 수직 방향으로 더 빨리 성장시키는 제1 버퍼층 성장 단계;
상기 제1 버퍼층 위에 수평성장층을 성장시키되, 수직 방향에 비해서 수평 방향으로 더 빨리 성장시키는 수평성장층 성장 단계;
상기 수평성장층 위에 제2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제2 버퍼층 성장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 패턴은 SiO2 및 SiN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이고, 상기 무극성 또는 반성극면은 a면, r면 또는 m면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성장층 성장 단계는,
상기 제1 버퍼층 위에 상기 제1 수평성장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수평성장층 위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질화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실리콘층의 구멍으로 노출된 상기 제1 수평성장층을 성장시켜 상기 질화실리콘층을 덮는 제2 수평성장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 성장 단계는,
상기 질화실리콘층 위에 제2-1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2-1 버퍼층 위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질화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실리콘층의 구멍으로 노출된 상기 제2-1 버퍼층을 성장시켜 상기 질화실리콘층을 덮는 제2-2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성장층 형성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수평성장층 위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질화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질화실리콘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버퍼층 성장 단계에서 상기 질화실리콘층의 구멍으로 노출된 상기 제2 버퍼층을 성장시켜 상기 질화실리콘층을 덮는 상기 제2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의 제조 방법. -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질화물이 적층된 이종 기판을 제조 하는 단계;
상기 제2 버퍼층 위에 n타입 또는 p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가지는 제1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제1 질화물층 형성 단계;
상기 제1 질화물층 위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활성층 형성 단계;
상기 활성층 위에 상기 제1 질화물층과 반대되는 타입의 제2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제2 질화물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질화물층 위에 상기 제1 및 제2 질화물층 각각에 접합하도록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c축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일 전극이 타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9342A KR101104239B1 (ko) | 2010-03-31 | 2010-03-31 |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PCT/KR2010/003828 WO2010147357A2 (ko) | 2009-06-15 | 2010-06-15 |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JP2012514892A JP2012530027A (ja) | 2009-06-15 | 2010-06-15 | 異種基板、それを利用した窒化物系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US13/327,647 US8878211B2 (en) | 2009-06-15 | 2011-12-15 | Heterogeneous substrate, nitride-base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9342A KR101104239B1 (ko) | 2010-03-31 | 2010-03-31 |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9557A KR20110109557A (ko) | 2011-10-06 |
KR101104239B1 true KR101104239B1 (ko) | 2012-01-11 |
Family
ID=4502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93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4239B1 (ko) | 2009-06-15 | 2010-03-31 |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423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7182A (ko) * | 2014-02-18 | 2015-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분극 이종 기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58976A1 (en) * | 2012-12-06 | 2014-06-12 | Sansaptak DASGUPTA | Iii-n semiconductor-on-silicon structures and techniques |
KR101407698B1 (ko) * | 2012-12-28 | 2014-06-16 | 한국광기술원 |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64929A (ja) | 1998-11-26 | 2000-06-16 | Sony Corp | 半導体薄膜と半導体素子と半導体装置とこれらの製造方法 |
KR20070093691A (ko) * | 2006-03-15 | 2007-09-19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개선된 버퍼층을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
-
2010
- 2010-03-31 KR KR1020100029342A patent/KR10110423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64929A (ja) | 1998-11-26 | 2000-06-16 | Sony Corp | 半導体薄膜と半導体素子と半導体装置とこれらの製造方法 |
KR20070093691A (ko) * | 2006-03-15 | 2007-09-19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개선된 버퍼층을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7182A (ko) * | 2014-02-18 | 2015-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분극 이종 기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
KR102140741B1 (ko) * | 2014-02-18 | 2020-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분극 이종 기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9557A (ko) | 2011-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63340A1 (en) | METHOD FOR RELAXING SEMICONDUCTOR FILMS INCLUDING THE FABRICATION OF PSEUDO-SUBSTRATES AND FORMATION OF COMPOSITES ALLOWING THE ADDITION OF PREVIOUSLY UN-ACCESSIBLE FUNCTIONALITY OF GROUP lll-NITRIDES | |
KR100448662B1 (ko) | 질화물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US7943494B2 (en) | Method for blocking dislocation propagation of semiconductor | |
US10008571B2 (en) | Semiconductor waf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layer | |
US8878211B2 (en) | Heterogeneous substrate, nitride-base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246832B1 (ko) | 무극성 또는 반극성 iii족 질화물 기반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 |
US9515146B2 (en) | Nitride semiconductor layer,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layer | |
JP5999916B2 (ja) |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028585B1 (ko) |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356457B1 (ko) |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04239B1 (ko) | 이종 기판,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4883931B2 (ja) | 半導体積層基板の製造方法 | |
KR101405693B1 (ko) |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JP7053209B2 (ja) | 半導体成長用基板、半導体素子、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成長用基板の製造方法 | |
KR101391960B1 (ko) | 저결함 질화물 반도체층을 갖는 고품질 반도체 소자용 기판의 제조 방법 | |
US12211955B2 (en) | Method to control the relaxation of thick films on lattice-mismatched substrates | |
KR101250475B1 (ko) | 절연체 패턴을 갖는 이종 기판 및 그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
KR101379341B1 (ko) | 마스크 패턴을 삽입한 고품질 반도체 소자용 기판의 제조 방법 | |
KR20110130165A (ko) | 질화갈륨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 발광소자 | |
JP2018022814A (ja) | 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0332293A (ja) | Iii−v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40031000A (ko) | 반도체 버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 |
US20160020359A1 (en) | Nitride semiconductor crysta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471425B1 (ko) | 양자섬을 삽입한 고품질 반도체 소자용 기판의 제조 방법 | |
KR20160149837A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