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977B1 - Latch device - Google Patents
Latch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3977B1 KR101103977B1 KR1020090102163A KR20090102163A KR101103977B1 KR 101103977 B1 KR101103977 B1 KR 101103977B1 KR 1020090102163 A KR1020090102163 A KR 1020090102163A KR 20090102163 A KR20090102163 A KR 20090102163A KR 101103977 B1 KR101103977 B1 KR 101103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 slide
- housing
- protrusion
- engag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04—Automatic release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걸어맞춤체의 회전 모멘트에 기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완화하고, 이것에 의해서 래치 조작력 등의 설계 자유도를 확대하거나 슬라이드 작동음의 발생을 해소한다.(Problem) The problem caused by the rotation moment of the engaging body is solved or alleviated, thereby increasing the design freedom of the latch operation force and the like, and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the slide operation sound.
(해결수단) 하우징(1)과, 피걸림부재(9)와 맞닿는 맞닿음부(22) 및 캠홈(27)을 가지며 하우징(1)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2)와, 슬라이드체(2)를 하우징(1)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4)와,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지지부(35)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돌조부(32)를 맞닿음부(22) 위로 돌출시켜서 피걸림부재(9)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맞닿음부(2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3)와, 캠홈(27)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5)를 구비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3)는, 걸어맞춤체(3)의 회전중심과 상기 걸림위치로 전환된 돌조부(32)가 상기 피걸림부재(9)의 발출(拔出)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체(2)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Solution means) The slide body 2 which has the housing 1, the contact part 22 which contact | connects the to-be-engaged member 9, and the cam groove 27, an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retrea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 and the slide The spring member 4 holding the sieve 2 in the direction of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 and the slide member 2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able support portion 35, and the protrusion 32 is fitted. The engaging body 3 and the cam groove 27 which are switched to the engaging position which protrudes over the contacting part 22 to enable the latched member 9 to be latched, and to the unlocking position which retreats on the contacting part 22, and the cam groove 27. In the latch device having a pin member (5) for tracing, the engaging body (3) ha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engaging body (3) and a projection part (32) switched to the engaging position of the engag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upported by the slide body 2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extraction direction of (9).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 1 부재{예를 들면, 상자형상 기체(基體)}에 제 2 부재{예를 들면, 덮개 등의 가동체}를 개폐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고자 할 때에 이용되는 래치장치 중, 특히 최초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제 2 부재측의 피걸림부재를 걸고, 다음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상기 피걸림부재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푸시ㆍ푸시 걸림기구(이것은 "푸시로크ㆍ푸시오픈 기구"라 칭하거나 "푸시식"이라 약칭하는 것도 있다. 이하 같다)에 최적한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device for use when a first member (for example, a box-shaped body) is to be opened and secured to a second member (for example, a movable body such as a cover). Push-and-push mechanism (which is called a "push lock / push-open mechanism") which latches the caught member on the second member side by pressing operation and releases the locked state of the caught member by the next pressing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device most suitable for the following).
도 9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푸시식 래치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하우징(2)과; 피걸림부재인 스트라이커(62)와 맞닿는 맞닿음부(32) 및 캠홈(5)을 가지며,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스프링부재(4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압압 이동되는 슬라이드체(30)와; 선단측의 돌조부(39) 및 기단측의 볼록부(38c)를 가지며, 슬라이드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걸어맞춤체(37)와; 트레이스용 핀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그 중 걸어맞춤체(37)는 슬라이드체(30)의 축구멍부 에 대해서 양측에 돌출형성된 축부(37a)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슬라이드체(30)의 위치이동에 따라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9)를 맞닿음부(32) 위로 돌출시켜서 스트라이커(62)를 거는 걸림위치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9)를 맞닿음부(3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된다.9 illustrates a push latch device disclosed in
걸림해제위치에서는 슬라이드체(30)가 스프링부재(45)의 탄지력에 의해서 하우징(2)의 입구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어맞춤체(37)는 그 볼록부(38c)가 하우징(2) 내에 형성된 융기부(28)에 올라타도록 한 상태를 유지한다. 걸림위치에서는 슬라이드체(30)가 스트라이커(62)의 누름력에 의해서 스프링부재(4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내측으로 이동되되,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캠홈(5)과 핀부재(6)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유지되고, 걸어맞춤체(37)는 그 볼록부(38c)가 융기부(28)에서 저부{하우징(2)의 내면}로 이동함에 의해서 경동(傾動)함으로써, 돌조부(39)를 슬라이드체(30)의 개구부(33) 내에서 돌출시킨다.In the unlocking position, the
환언하면, 상기 래치장치는 슬라이드체(30)에 대한 스트라이커(62)의 누름력에 의해서 걸어맞춤체(37)를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하고, 또한 슬라이드체(30)에 대한 스트라이커(62)의 다음의 누름력에 의해서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한다. 이 때, 스프링부재(45)는 그 선단이 걸어맞춤체(37)의 하측 중간에 형성된 돌출편부에 걸려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체(30)가 하우징(2)의 내측으로 압압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지력을 축적하면서 걸어맞춤체(37)를 축부(37a)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 9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 로 전환 가능하게 한다.In other words, the latching device shifts the
사용형태로서는, 기기류(機器類) 본체(7)측에 래치장치를 부착하고 도어(61)측에 스트라이커(62)를 부착한 경우라면, 도 9(b)는 도어(61)를 기기류 본체(7)에 유지(로크)시킨 상태가 되며, 도어(61)측의 스트라이커(62)가 기기류 본체(7)측의 래치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체(37)에 의해서 걸리게 된다. 이 걸림은 도어(61)가 다시 기기류 본체(7)측으로 눌려짐에 의해서 핀부재(6)가 캠홈(5)의 걸림홈에서 빠져 나오게 됨으로써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특허문헌 2나 3의 래치장치에서도 같다.As a use form, if the latch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apparatus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4-13772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37725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1-262915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62915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 2006-22543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2543
상기한 래치장치에서는, 도어(61)의 폐쇄상태에서 도어(61)를 개방시키려고 하는 외력{즉, 도어(61)를 기기류 본체(7)에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면, 걸어맞춤체(37)가 스트라이커(62)의 발출(拔出)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음으로써 슬라이드체(30)의 대응부{개구부(33)를 구획하고 있는 틀부의 내면}에 누름 접촉하게 된다. 이 구조에서는, 이 때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서 걸어맞춤체(37)와 스트라이커(62)와의 사이에 높은 걸림력이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또, 도어에 대해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돌조부(39)가 맞닿음부(32) 위에서 퇴행하도록 걸어맞춤체(37)를 회전시킴으로써, 즉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파손을 회피하고 있다. 이 때의 발출력(拔出力)을 "강제발출강도(强制拔出强度)"라 칭하고 있다. 즉, 종래 구조에서는, 걸어맞춤체(37)의 걸림위치에 있어서, 돌조부(39)가 축부(37a), 즉 걸어맞춤체(37)의 회전 중심선상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되고, 또한 스트라이커(62)의 발출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으면, 축부(37a)를 지지점으로 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는 구성이다.In the above-mentioned latching device, when an external force (that is,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그런데, 상기 회전 모멘트는 스프링부재(45)의 탄지 하중 내지는 스프링 하중에 비례하므로, 예를 들면 스프링 하중을 약하게 설정하면 강제 발출강도도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 구조에서는 강제 발출강도를 제외한 상태에서 래치 조작력 등을 임의로 설정하기 어려웠고, 이 점에서 설계 자유도가 제약되어 있었다. 또, 종 래 구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돌조부(39)를 슬라이드체(30)의 대응부에 누름 접촉시키거나 마찰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모멘트에 저항하여 목적의 강제 발출강도를 확보한다.However, since the rotation moment is proportional to the finger load or the spring load of the
이와 같이 돌조부(39)를 슬라이드체(30)의 대응부에 마찰 접촉시키는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환경이 저온으로 되면, 결로에 의해서 누름 접촉 저항이나 마찰 저항이 커지게 되어 걸어맞춤체의 회전이 나빠지게 됨으로써 작동불량의 요인이 된다. 게다가, 강제 발출강도가 불규칙하게 되거나 누름 접촉이나 마찰에 기인한 슬라이드 작동음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은 이와 같은 작동불량을 해소한 것이지만, 미세 가공을 필수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하면 조작이 곤란하게 된다.Thus,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회전 모멘트에 기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완화하고, 이것에 의해서 래치 조작력 등의 설계 자유도를 확대하거나 작동불량을 확실하게 해소하거나 슬라이드 작동음의 발생을 해소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or alleviate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ove-mentioned rotation moment, thereby increasing the design freedom of the latch operation force and the like, reliably eliminating the malfunction, or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the slide operation soun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It's about improv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피걸림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 및 캠홈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와;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회전지지부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측의 돌조부를 상기 맞닿음부 위로 돌출시켜서 피걸림부재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상기 맞닿음부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와; 상기 캠홈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피걸림부재에 의해서 압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면,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상기 캠홈 및 핀부재를 통해서 유지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체가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3)는, 걸어맞춤체(3)의 회전중심과 상기 걸림위치로 전환된 돌조부(32)가 상기 피걸림부재(9)의 발출(拔出)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체(2)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가 전판부와; 상기 전판부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판부가 상기 돌조부와; 상기 돌조부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돌조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회전지지부용 축부 또는 축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편부가 측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융기부에 올라탐으로써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걸어맞춤체의 회전중심과 걸림위치에 있는 걸어맞춤체의 돌조부가 피걸림부재의 발출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걸어맞춤체가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4(a)의 경우에서는, 도어의 폐쇄상태(걸어맞춤체가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키려고 하는 외력, 즉 도 4(a)에서의 우향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돌조부와 피걸림부재가 평행하게 맞닿아서 걸어맞춰지는 한, 종래품과 같이 걸어맞춤체에 회전 모멘트(걸어맞춤체를 걸림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응력)가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품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In the invention of
(가) 상기한 강제 발출강도는 스프링부재의 스프링 하중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돌조부와 피걸림부재의 맞닿음 형상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제 발출강도에 대응하는 래치장치에서는, 피걸림부재에 대한 돌조부의 맞닿음면 또는/및 돌조부에 대한 피걸림부재의 맞닿음면에 강제 발출강도의 정도에 대응하여 쉽게 발출되는 방향의 구배(句配)를 설정한다{도 5(c) 참조}. 강제 발출강도에 대응하지 않는 래치장치에서는 서로의 맞닿음면을 발출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설정한다.(A) The above forced ejection strength is hardly influenced by the spring load of the spring member, and can be set by the contact shape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caught member. For example, in the latc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orced ejection strength, it is easily ejected in response to the degree of the forced ejection strength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projection to the engaging member and / or the contact surface of the engagement member to the projection. The gradient of the direction to be set is set (refer FIG. 5 (c)). In a latch devic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forced extraction strength, the abutting surfaces of each other are set to be perpendicular to the extraction direction.
(나)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강제 발출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돌조부를 슬라이드체의 대응부(개구부를 구획하고 있는 틀부의 내면)에 누름 접촉시키거나 마찰 접촉시킬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저온시에 있어서도 안정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으며, 누름 접촉이나 마찰에 기인한 슬라이드 작동음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B) In this 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forced ejection strength,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or frictionally contact the projection with the counterpart of the slide body (inner surface of the frame partitioning the opening) as in the prior art. Stable operation can be maintained even at low temperatures, and the problem of slide operation noise due to pressing contact or friction can be solved.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종래품에 비해서, 특히 걸어맞춤체를 구성하고 있는 전판부를 돌조부 및 이 돌조부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 돌조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회전지지부용 축부 또는 축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진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 6∼도 8의 부품도를 제외하고 세세한 부분을 간략화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구조", "조립", "작동"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FIGS. In addition, in the figure, the small parts except the parts of FIGS. 6-8 are simplif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s will be given in the order of "device structure", "assembly", and "operation".
(장치구조)(Device structure)
본 실시형태의 래치장치는, 일단측을 개구한 하우징(1)과; 스트라이커(9)와 맞닿는 맞닿음부(22) 및 캠홈(27)을 가지며, 하우징(1)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2)와;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돌조부(32)를 맞닿음부(22) 위로 돌출시켜서 스트라이커(9)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돌조부(32)를 맞닿음부(2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3)와; 슬라이드체(2)를 하우징(1)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4)와; 캠홈(27)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5);를 구비하며, 슬라이드체(2)가 스트라이커(9)에 의해서 압압되어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면,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캠홈(27) 및 핀부재(5)를 통해서 유지되고, 또한 걸어맞춤체(3)가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는 푸시ㆍ푸시 걸림기구로 이루어진다. The latch devi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또, 상기 래치장치는, 예를 들면 도 1(b)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기기류 본체(7)에 형성된 부착틀(7a)에 부착되어 도 4(a)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도어(8)에 부착된 스트라이커(9)를 걸거나 벗기는 사용예라면, 도어(8)가 탄지수단(도시생략)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도어(8)를 스트라이커(9)를 통해서 걸고, 도어(8)가 다시 같은 방향으로 눌려지면 스트라이커(9)에 대한 걸림을 해제한다. In addition, the latch device is attached to the
물론, 사용방법으로서는 래치장치를 도어 등의 가동체측에 부착하여 기기류 본체측에 부착되는 피걸림부재를 걸고 벗기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재질은 하우징(1), 슬라이드체(2), 걸어맞춤체(3)가 수지 성형체로 되어 있지만 수지 이외의 것이어도 지장없다.Of course, the use metho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atch device is attached to the movable body side such as a door to hang and remove the caught member attach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side. Moreover, although the housing |
여기서, 하우징(1)은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상하벽(10,11)과 양 측벽(12)과 저벽(13)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며, 일단측을 개구한 폐관 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은 양 측벽(12)의 일단측을 구성하고 있는 외면(15)이 외측으로 일단(一段)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류 본체(7)의 부착틀(7a)에 빠짐방지 가능하게 삽입된다.3 and 6, the
상벽(10)의 내면에는 핀규제용 세로 리브(14)가 핀부재(5)의 U자형상에 대응하여 1쌍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리브(14)는 저벽(13)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되 그 후단측이 크게 융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상의 핀부재(5)의 양 측부(5b)의 위치를 규제한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하벽(11)에는 전후 중간에 위치하여 슬라이드체(2)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관통된 가이드홈(11a)과, 가이드홈(11a)의 일단측에 연이어 통하여 있는 얕은 도입홈(11b)과, 내면 양측에서 돌출형성되며 걸어맞춤체(3)를 걸림해제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융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The
양 측벽(12)에는 ㄷ자형상의 슬릿(12a)에 의해서 구획되며 선단측을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부착용 탄성걸림돌조(17)와,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부 중 상벽(10)측에 있는 모서리부를 전후 대략 중간부에서 외면(15) 앞까지 잘라낸 테이퍼부(10a)와, 테이퍼부(10a)의 타단측에서 후측으로 잘라낸 절결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양 측벽(12)의 일단측의 내면에는 도피용 오목부(12c)가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피용 오목부(12c)는 탄성걸림돌조(17) 등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용 도피부이다.Both sidewalls 12 are partitioned by a
저벽(13)에는 하부 양측에 관통된 형빼기구멍(13a)과, 상부 양측에 관통된 대략 L자형상의 핀삽입구멍(13b)과, 양 핀삽입구멍(13b)의 사이에 작은 슬릿(13c)을 통해서 구획 형성된 탄성 협지편(13d,13e)과, 내면에 돌출된 스프링용 지지축(18) 등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삽입구멍(13b)은 핀부재(5)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구멍의 폭으로 이루어지며, 대략 U자형상의 핀부재(5)를 이 핀삽입구멍(13b)에서 하우징(1) 내로 삽입 가능하게 한다. 탄성 협지편(13d,13e)은 작은 틈새를 두고서 대향 배치되며, 핀부재(5)의 중간부(5a)가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서 소정의 협지력에 의해서 유지 가능하게 된다. 지지축(18)은 좌우 중간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협지편(13d,13e)에는 핀부재(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축(18)에는 스프링부재(4)가 유지된다. 스프링부재(4)는 코일 스프 링이며, 그 기단이 지지축(18)에 장착되고 선단이 후술하는 슬라이드체(2)의 원통부(26) 내에서 걸어맞춤체(3)의 돌출편부(34)에 걸리게 된다.The
슬라이드체(2)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출입구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본체(20)와, 슬라이드 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슬라이드 본체(20)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는 후방 연장부(21)로 이루어진다.3 and 7, the
슬라이드 본체(20)는 그 전단면 중 상측 단면이 맞닿음부(22)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전단면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개구부(23a)를 형성하고 있는 틀부(23)와, 맞닿음부(22)의 후방측에 상면(20a)과 양 측면(20b)에 의해서 구획 형성된 공동부(24)와, 양 측면(20b)에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용의 축구멍(24a)을 가지고 있다. 공동부(24)는 하측이 개구되어 있음과 아울러, 맞닿음부(22)와 대향하는 후면측 중 후방 연장부(21)를 돌출시키고 있는 부분의 양측이 관통구멍(20d)을 통해서 후방 외측으로도 개구되어 있다.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lide
후방 연장부(21)는 양측에 하트형상의 캠홈(27)을 형성하고 있는 상측 부분(25)과, 이 상측 부분(25)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의 원통부(26)로 구성되어 있다. 양측의 캠홈(27)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돌출된 섬형상 캠(28)의 주위에 형성되되 후측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도홈(27a)과, 이 유도홈(27a)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걸림용 유도홈(27b) 및 해제용 유도홈(27d)과, 이들 유도홈(27b,27d) 사이에 또한 후측에 위치한 오목형상 걸림홈(27c)과, 상기 해제용 유도홈(27d)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복귀홈(27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원통부(26)는 그 내부가 상 기한 지지축(18) 및 스프링부재(4)의 선단을 헐겁게 끼울 수 있는 원통형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방 하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26a)와, 후방 상측에서 양측으로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용 작은 날개부(29)를 가지고 있다.The
U자형상의 핀부재(5)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5a)와, 양 측부(5b)와, 각 측부(5b)의 자유단측을 내측으로 접어 구부린 선단(5c)으로 이루어지며, U자형상의 상측 폭의 치수가 하측 폭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하측 폭의 치수는 하우징(1) 내에 있어서 양 측벽(12)의 내면 간의 폭 치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걸어맞춤체(3)는 도 3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판부(30)와, 이 전판부(30)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편부(31,31)로 이루어진다. 전판부(3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조부(32)와, 이 돌조부(32)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 돌조부(3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33)와, 후단면의 좌우 중간에 돌출되어 상기한 원통부(26) 내에 끼워지는 돌출편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32)는 상기 슬라이드체(2)측의 개구부(23a)에 진입 또는 퇴행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양 돌출부(33)에는 회전지지부용 축부(35)가 동일 축선상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양 후편부(31)의 후측 외측면에는 볼록부(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3 and 8, the engaging
(조립)(Assembly)
이상의 각 부재는 예를 들면, 우선 걸어맞춤체(3)가 슬라이드체(2)에 조립된다. 이 작업에서는 도 3의 상태에서 걸어맞춤체(3)의 양 축부(35)를 슬라이드체(2) 의 공동부(24)의 내측에서 축구멍(24a)에 삽입한다. 그러면, 걸어맞춤체(3)가 축부(35)를 지지점으로 하여 소정 범위만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돌조부(32)가 도 2(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3a) 내에 수납된 걸림해제위치와 도 2(a)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3a)에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9)의 돌기(9a)를 위에서 누르는 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걸어맞춤체(3)는 슬라이드체(2)의 슬라이드 본체(20)에 대해서 축구멍(24a)과 축부(35)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돌조부(32)가 개구부(23a)에서 맞닿음부(22) 위로 돌출되는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조부(32)와 돌출부(33)의 사이에 맞닿음부(22)를 위치시키고, 돌조부(32)가 개구부(23a) 내로 퇴행되는 걸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 연장부(21)의 좁게 형성된 도피부로 대응부를 도피시킨다.For each of the above members, for example, the engaging
그리고, 상기 걸어맞춤체(3)가 조립된 슬라이드체(2)는 하우징(1) 내에 조립된다. 이 작업에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부재(4)가 지지축(18)에 장착되고 또한 핀부재(5)가 저벽(13)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미리 하우징(1) 내에 각각 배치하여 둔다. U자형상의 핀부재(5)는 양 선단(5c)을 각 핀삽입구멍(13b)을 통해서 하우징(1) 내로 삽입하되, 중간부(5a)를 양 탄성 협지편(13d,13e) 사이로 강제적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이들 탄성 협지편(13d,13e)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협지된다. 이 협지상태에서는 핀부재(5)가 하우징(1) 내에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며, 양 측부(5b)가 규제용 세로 리브(14)와 대응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위치 규제된다. And the
이어서, 걸어맞춤체(3)가 조립된 슬라이드체(2)를 하우징(1) 내로 압입하면, 돌기(26a)가 도입홈(11b)을 통해서 가이드홈(11a) 내로 들어가서 끼워맞춰짐으로써, 하우징(1)에 대해서 빠짐 방지되게 조립된다. 이 압입과정에서는 스프링부재(4)의 선단이 원통부(26) 내로 들어가서 걸어맞춤체(3)의 돌출편부(3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부재(4)는 슬라이드체(2)가 내측으로 압압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지력이 증대되게 되며, 이 탄지력에 의해서 걸어맞춤체(3)를 축부(35)를 지지점으로 하여 걸림위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 핀부재(5)의 양 선단(5c)은 대응하는 캠홈(27)의 입구에 끼워진다.Subsequently, when the
(작동)(work)
완성된 래치장치는 그 사용상태로서,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8)에 부착된 스트라이커(9)에 대응하여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류 본체(7)에 설치된 부착틀(7a)에 삽입되며, 탄성걸림돌조(17) 등을 통해서 부착된다.The completed latching device is in a state of use thereof,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b) corresponding to the striker 9 attached to the
이 부착상태에서는, 래치장치는 통상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체(2)가 스프링부재(4)에 의해서 돌출방향으로 탄지 이동{이 이동은 돌기(26a)가 가이드홈(11a)의 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됨과 아울러, 돌조부(32)가 슬라이드 본체(20)의 개구부(23a) 내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이 회전은 볼록부(36)가 융기부(16)의 가장 높은 개소에 올라타게 됨으로써 이루어진다}되어 있다. 이 상태가 "걸어맞춤체(3)의 걸림해제위치"이다.In this attaching state, the latching device generally moves the
그리고, 도어(8)를 폐쇄방향인 도 4(a)의 좌향 화살표 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슬라이드체(2)가 스트라이커(9)에 의해서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1) 내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압압 이동된다. 이 이동과정에서는 걸어맞춤체(3)가 축부(35)를 지지점으로 하여 걸림위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걸어맞춤체(3)는 그 볼록부(36)가 융기부(16)의 낮은 측으로 탄성적으로 이행하고, 동시에 돌조부(32)에 의해서 스트라이커(9)의 돌기(9a)가 빠짐 방지되게 된다. 이 때, 걸어맞춤체(3)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5)의 각 선단(5c)이 슬라이드체(2) 및 걸어맞춤체(3)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유도홈(27a)에서 걸림용 유도홈(27b)으로 들어가고, 좌향 화살표 방향의 누름력을 해제한 때에 걸림홈(27c)에 걸리게 된다. 이 걸림에 의해서 도어(8)가 폐쇄상태로 유지(로크)된다.Then, when the
상기 도어(8)의 유지상태에서 도 4(c)의 해제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8)를 폐쇄방향으로 누른 후, 이 누름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핀부재(5)의 양 선단(5c)이 상기 걸림홈(27c)에서 상기 해제용 유도홈(27d)과 복귀홈(27e)을 거쳐서 다시 유도홈(27a)의 입구로 되돌아감과 동시에, 걸어맞춤체(3)가 당초의 해제위치로 전환된다.When switching from the holding state of the said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작동에서는 종래와 같지만 다음의 점에서 개량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tch device is the same as in the conventional operation, but is improved in the following points.
즉, 종래의 래치장치에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란에 기술한 바와 같이 한랭지 등의 가혹한 환경하에서 이용될 경우, 걸어맞춤체의 걸림위치에 있어서 걸어맞춤체의 돌조부를 슬라이드체의 개구부 내면에 마찰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결로 등에 의해서 회전이 나빠지게 되어 정상적인 걸림작동, 즉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latch device, as used in the "problem to be solved" column, when used in a harsh environment such as a cold district, the protrusion of the engaging body at the engaging position of the engaging body is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slide body. Because of the frictional contact, the rotation deteriorates due to condensation or the like,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normal locking operation, that is, switching from the unlocking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is not possible.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걸어맞춤체(3)가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걸어맞춤체(3)가 회전지지부용 축부(35)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할 때의 회전중심과 걸어맞춤체(3)가 걸림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걸어맞춤체의 돌조부(32)가 상기 스트라이커(9)의 발출(拔出)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the
따라서, 상기 래치장치에서는 도 5(a)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어(8)의 폐쇄상태{걸어맞춤체(3)가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8)를 개방시키려고 하는 외력, 즉 도 5(a)의 화살표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때, 예를 들면 돌조부(32)와 스트라이커(9)의 돌기(9a)가 평행하게 맞닿아서 걸어맞춰지는 한, 종래품과 같이 걸어맞춤체(3)에 회전 모멘트{걸어맞춤체(3)를 걸림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응력}가 걸리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래치장치에서는 종래품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전개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latch device, as shown in Figs. 5A and 5C, the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란에 기술한 강제 발출강도{이것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체(3)의 걸림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8)에 대해서 도어개방방향인 도 5(a)의 화살표 방향으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때, 돌조부(32)가 맞닿음부(22) 위에서 퇴행하도록 걸어맞춤체(3)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즉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하여 파손을 회피하는 그 때의 강도}는, 슬라이드체(2)측 개구부(23a)의 내면에 대한 걸어맞춤체(3)의 돌조부(32)의 마찰 접촉을 없애고{이것은 도 5(c)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3a)와 돌조부(32)의 사이에 틈새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부재(4)의 스프링 하중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걸어맞춤체(3)의 돌조부(32)와 스트라이커(9)의 돌기(9a) 의 맞닿음 형상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ced ejection strength described in the "problem to be solved" column (this is the
즉, 강제 발출강도에 대응하는 래치장치로서 구성할 경우에는 스트라이커(9){의 돌기(9a) 등}에 대한 돌조부(32)의 맞닿음면 또는/및 돌조부(32)에 대한 스트라이커(9)의 맞닿음면에 강제 발출강도의 정도에 대응하여 쉽게 발출되는 방향의 구배를 설정한다. 도 5(c)는 그 일례로서, 스트라이커(9)에 대한 돌조부(32)의 맞닿음면을 아주 작은 각도(x)만큼 경사지게 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반대로, 강제 발출강도에 대응하지 않는 래치장치로서 구성할 경우에는 서로의 맞닿음면을 발출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강제 발출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돌조부를 슬라이드체의 대응부(개구부를 구획하고 있는 틀부의 내면)에 누름 접촉시키거나 마찰 접촉시킬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저온시에 있어서도 안정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으며, 누름 접촉이나 마찰에 기인한 슬라이드 작동음의 문제를 간단하고 쉽게 해소할 수 있다.That is, when configured as a latch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orced extraction streng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protrud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하등 제약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에서 특정하는 요건을 구비하고 있으면,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의 구조로서는, 걸어맞춤체(3)에는 축부(35) 대신에 축구멍을 형성하고, 슬라이드체(2)에는 축구멍(24a) 대신에 축부를 형성하고, 이들 축부 및 축구멍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체(2) 및 걸어맞춤체(3)에 모두 축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축구멍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통해서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restrict |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t all, If the requirement specified by a claim is provide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as needed. As an example, as a structure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래치장치를 걸어맞춤체의 걸림위치에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측면도, (d)는 배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latching device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t the latching position of an engagement body, (a) is a front view, (b) is a top view, (c) is a side view, (d) is a rear view.
도 2에 있어서, (a)는 도 1의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b)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개략 사시도In FIG. 2,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latch apparatus of FIG. 1, (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n the state which switched said latched body to the unlocking position.
도 3은 상기 래치장치의 부재끼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3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latch device;
도 4는 상기 래치장치의 통상 작동을 도 1(a)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b)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해제할 때의 상태에서의 단면도, (c)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 to show the normal operation of the latch device, in which (a) is a cross sectional view in which the engaging body is switched to a latching position, and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body is switched to an unlocked position when the lock is released.
도 5는 상기 래치장치를 도 1(a)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스트라이커가 발출방향으로 외력을 받은 상태에서의 도면, (b)는 스트라이커가 외력에 의해서 발출된 상태에서의 도면, (c)는 (a)의 A부분 확대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ch device in line AA of FIG. 1 (a), (a) is a view in which the striker is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dispensing direction, and (b) is a state in which the striker is ejected by an external force; (C)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a)
도 6은 상기 래치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d)는 (b)의 C-C선 단면도Fig. 6 is a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latch device, in which (a) is a side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a), and (d) is a sectional view taken on line C-C in (b).
도 7은 상기 래치장치의 슬라이드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 (d)는 배면도, (e)는 (d)의 D-D선 단면도Fig. 7 is a view showing a slide body of the latch device, wherein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bottom view, (d) is a rear view, and (e) is a DD line of (d). Cross-section
도 8은 상기 래치장치의 걸어맞춤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 (e)는 하면도8 is a view showing the engaging body of the latch device, wherein (a) is a top view, (b) is a rear view, (c) is a side view, (d) is a front view, and (e) is a bottom view.
도 9에 있어서의 (a),(b)는 종래의 래치장치를 걸림해제위치 및 걸림위치에 서 나타내는 작동도(A), (b) in FIG. 9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latch device in the conventional release position and the locking position.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하우징 11a - 가이드홈1-
13 - 저벽 16 - 융기부13-Bottom Wall 16-Ridge
18 - 지지축 2 - 슬라이드체18-support shaft 2-slide
20 - 슬라이드 본체 22 - 맞닿음부20-Slide Body 22-Abutment
23 - 틀부 24a - 축구멍(회전지지부)23-
3 - 걸어맞춤체 30 - 전판부3-engaging body 30-front panel
31 - 후편부 32 - 돌조부31-Sequel 32-Stones
33 - 돌출부 4 - 스프링부재33-protrusion 4-spring member
5 - 핀부재 5a - 중간부5-
5b - 측부 5c - 선단5b-side 5c-tip
7 - 기기류 본체 7a - 부착틀7-
8 - 도어 9 - 스트라이커(피걸림부재)8-Door 9-Striker
21 - 후방 연장부 25 - 상측 부분21-rear extension 25-upper part
26 - 원통부 27 - 캠홈26-Cylindrical 27-Camhome
27c - 걸림홈 35 - 축부(회전지지부)27c-Locking groove 35-Shaft (rotary support)
Claims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277545 | 2008-10-29 | ||
JP2008277545A JP5171546B2 (en) | 2008-10-29 | 2008-10-29 | Latch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7808A KR20100047808A (en) | 2010-05-10 |
KR101103977B1 true KR101103977B1 (en) | 2012-01-06 |
Family
ID=4227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2163A Active KR101103977B1 (en) | 2008-10-29 | 2009-10-27 | Latch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171546B2 (en) |
KR (1) | KR10110397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3164A (en) * | 2014-04-24 | 2015-11-03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atch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636013T3 (en) * | 2008-10-29 | 2017-10-05 | Nifco Inc. | Bolt device |
KR101825925B1 (en) | 2011-10-18 | 2018-02-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Locking apparatus device for case and case having the same |
JP5852911B2 (en) * | 2012-03-22 | 2016-02-03 | 株式会社ニフコ | Latch device |
JP6192053B2 (en) * | 2014-04-24 | 2017-09-06 | 株式会社ニフコ | Latch device |
KR101629132B1 (en) * | 2015-01-05 | 2016-06-09 |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 Lock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
JP6944361B2 (en) * | 2017-12-15 | 2021-10-06 | 株式会社ユーシン | Push-push mechanism and lid switchgear equipped with it |
JP7103880B2 (en) * | 2018-07-18 | 2022-07-20 | 中央発條株式会社 |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
AT523167B1 (en) * | 2019-12-19 | 2021-06-15 | Blum Gmbh Julius | Locking device for releasably locking two furniture parts that can be moved relative to one anoth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1759A (en) * | 1995-07-31 | 1997-02-10 | Takigen Mfg Co Ltd | Latch device for sliding door |
JPH1113331A (en) | 1997-06-26 | 1999-01-19 | Itoki Crebio Corp | Latch device for door |
JPH1150722A (en) | 1997-08-01 | 1999-02-23 | Nifco Inc | Latch |
JP2004332218A (en) | 2003-04-30 | 2004-11-25 | Kokuyo Co Ltd | Latch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64329B2 (en) * | 2002-10-17 | 2008-10-15 | 株式会社ニフコ | Latch device |
-
2008
- 2008-10-29 JP JP2008277545A patent/JP5171546B2/en active Active
-
2009
- 2009-10-27 KR KR1020090102163A patent/KR1011039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1759A (en) * | 1995-07-31 | 1997-02-10 | Takigen Mfg Co Ltd | Latch device for sliding door |
JPH1113331A (en) | 1997-06-26 | 1999-01-19 | Itoki Crebio Corp | Latch device for door |
JPH1150722A (en) | 1997-08-01 | 1999-02-23 | Nifco Inc | Latch |
JP2004332218A (en) | 2003-04-30 | 2004-11-25 | Kokuyo Co Ltd | Latch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3164A (en) * | 2014-04-24 | 2015-11-03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atch device |
KR101655667B1 (en) | 2014-04-24 | 2016-09-07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atch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7808A (en) | 2010-05-10 |
JP5171546B2 (en) | 2013-03-27 |
JP2010106478A (en) | 201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3977B1 (en) | Latch device | |
KR101116985B1 (en) | Latch device | |
WO2010050560A1 (en) | Latch device | |
KR101209406B1 (en) | Inlet Organization | |
KR100814358B1 (en) | Home Bar Lock | |
JP6746828B1 (en) | Parting lock device and injection mold assembly using the same | |
CN102038371B (en) | The shutdown system of telescopic furniture parts and furniture | |
CN103797203B (en) | latch device | |
US8857868B2 (en) | Engaging mechanism of closing device | |
JP3925887B2 (en) | Drawer closing device | |
JP4446553B2 (en) | Locking device using magnet | |
KR102354266B1 (en) | Slider shock absorber with improved assembly | |
JP5089645B2 (en) | Latch device | |
KR101505008B1 (en) | Edge bolt assembly for mortise of door lock | |
JP5789437B2 (en) | Latch device | |
JP4441346B2 (en) | Device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the shoji locking mechanism | |
KR100809810B1 (en) | Door lock | |
JP4553786B2 (en) | Lid opening / closing device | |
JP4441342B2 (en) | Device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the shoji locking mechanism | |
KR100476995B1 (en) | Locking device | |
KR930006910Y1 (en) | Slide drawer | |
CN116771199A (en) | Lock catch device | |
CN211484110U (en) | Rotation axis limit structure, lid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 |
JP3745307B2 (en) | Latch device for door | |
JPH09195608A (en) | Engage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