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132B1 - Lock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 Google Patents
Lock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9132B1 KR101629132B1 KR1020150000737A KR20150000737A KR101629132B1 KR 101629132 B1 KR101629132 B1 KR 101629132B1 KR 1020150000737 A KR1020150000737 A KR 1020150000737A KR 20150000737 A KR20150000737 A KR 20150000737A KR 101629132 B1 KR101629132 B1 KR 101629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slider
- elastic member
- housing
- stri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OHC(Over Head Console) 또는 트레이(Tray) 류와 같은 개폐구조물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고 하중상태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61)에 슬라이더(64)를 탄성부재(67)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탄력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64)에는 후크(66)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64)에 형성된 하트 캠(63)에는 하우징(61)의 배면에 설치되는 레버(70)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스트라이커(65)가 슬라이더(64)를 밀어줌에 따라 스트라이커(65)의 걸림상태가 유지되거나, 해제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1)의 바닥면에 수평면(62a) 및 경사면(62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62)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64)에는 저면이 가이드(62)의 수평면(62a) 및 경사면(62b)에 선택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스트라이커(65)와 결합되거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후크(66)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후크(66)의 배면에, 후크의 잠금상태 시 탄성부재(67)가 접속되는 수직면(68a)과, 상기 후크(66)의 잠금상태 해제 시 탄성부재(67)가 접속되게 수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68b)으로 구성된 챔버(6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used in an opening / closing structure such as an OHC (Over Head Console) or a tray installed in an automobile, and is capable of maintaining a fastening force in a high load state .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r 64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housing 61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by an elastic member 67, and a hook 6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lider 64, The one end of the lever 7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61 is fitted in the heart cam 63 formed in the stator 65. As the striker 65 pushes the slider 64,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otiv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o be maintained or released,
A guide 62 formed of a horizontal surface 62a and an inclined surface 62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61.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r 64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horizontal surface 62a and the inclined surface 62b of the guide 62 The hook 66 is coupled to the striker 65 or the hook 66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so that the elastic member 67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ok 66 when the hook is locked And a chamber 68 composed of a vertical surface 68a and an inclined surface 68b extending from a vertical plane so that the elastic member 67 is connected when the hook 66 is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OHC(Over Head Console) 또는 트레이(Tray) 류와 같은 개폐구조물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를 개선하여 고 하중상태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used in an opening / closing structure such as an overhead console (OHC) or tray installed in an automobile interior, and more specifical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device for an automotiv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컵 홀더, 재떨이, 오버 헤드 콘솔 등(이하 "개폐구조물"이라 함)은 탑승객이 수시로 개폐함으로 그 개폐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In general, a cup holder, an ashtray, an overhead cons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n / close structure") installed inside a car is opened and closed by a passenger at any time to provide convenience.
이러한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에 사용되는 잠금장치, 즉 원터치형 잠금장치는 밀거나 눌러서 로킹시키고, 상기 로킹상태에서 다시 더 밀거나 눌러 로킹을 해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lock device used in such an automotiv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hat is, a one-touch type lock device, has a structure that pushes or pushes and locks, and the lock is released by pushing or pushing again in the locked state.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장치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써, 종래의 트레이(10)는 트레이 본체(11)와, 상기 트레이 본체(11)를 삽입하는 하우징(20)을 구비하여, 상기 트레이 본체(11)에 로커(12)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0)에는 로커(12)의 대향위치에 지지부(21)를 형성하여 슬라이더(22)를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하며, 상기 슬라이더(22)에는 로커(12)의 대향부에 로크 홈(23)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로크 홈(23)의 개방부에 로크돌기(24)를 형성하여 슬라이더(22)가 좌우로 상하 슬라이딩할 때 상기 로크돌기(24)가 로커(12)를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것이다.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pparatu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nventional apparatus cut off,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In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2)의 로크 홈(23) 반대 측에 로크판(41)을 형성하여 상기 로크판(41)에 홈(43)을 부설한 하트형 캠(4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21)의 외면에 스프링 강선 등으로 된 역U형 탄성 가이드부재(47)의 폐쇄부를 지지부(21)에 형성한 클립(49)에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가이드부재(42)의 일 측 가이드 바(48a)는 지지부(21)를 관통하여 상기 로크판(41)에 고정하고, 타측의 가이드 바(48b)는 지지부(21)에 형성한 가이드공(50)을 관통하여 상기 하트형 캠(42)의 홈(43)에 삽입지지하도록 되어 있다.A
한편 상기 홈(43)의 로크돌기(24) 측에는 로크 요홈(44)을 형성하여 트레이(10)의 로킹 시 로킹상태를 안전하고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of the
따라서 도 1과 같이 로크(12)가 로크돌기(24)에서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는 탄성 가이드부재(42)의 타측의 가이드바(48b)는 도 4의 실선위치에 있게 되는바, 상기한 상태에서 트레이본체(11)를 로킹하기 위하여 트레이 본체(11)를 밀기 시작하면 로크(12)가 로크 홈(23)에 삽입되면서 그 폐쇄부에 접촉되면 지지부(21)에서 슬라이더(22)가 도 1의 좌측으로 슬라이딩하기 시작한다.1, the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22)가 지지부(21)를 따라 도 1의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면 로크판(41)도 동시에 슬라이딩하면서 로크판(41)에 형성한 하트형 캠(42)도 좌측으로 이동하며, 상기와 같이 하트형 캠(42)이 좌측으로 이동할 때 그 홈(43)에 삽입지지된 역U형 탄성 가이드부재(47)의 타측의 가이드 바(48b)는 홈(43)의 궤적을 따라 탄성 변형하기 시작하고, 트레이 본체(11)를 더욱 밀어 로커(12)가 로크돌기(24)에 로킹되고, 타측의 가이드 바(48b)가 로크 요홈(44) 부분을 지날 때 트레이 본체(11)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타측의 가이드 바(48b)는 도 4의 가상선과 같이 로크 요홈(44)에 삽입되면서 트레이(10)를 로킹시키게 된다.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로킹되었던 트레이 본체(11)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트레이 본체(11)를 조금 더 밀면 가이드 바(48b)가 홈(43)으로 인출되고 가이드 바(48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로크판(41) 및 슬라이더(22)가 후진하면서 하트형 캠(42)의 로크 요홈(44) 반대 측에 가이드 바(48b)가 위치되므로 로킹이 해제된다.The
상기와 같이 트레이 본체(11)가 로킹 해제에서 로킹되고 다시 로킹 해제될 때 타 측의 가이드 바(48b)는 가이드 공(50)을 따라 홈(43) 사이의 폭만큼 슬라이더(22)와 직각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tray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36362호(2009.04.14.공개)(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36362 (Published Apr. 14, 2009)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장치는 지지부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삽입하던 코일 스프링을 생략하고 그 기능을 역U형 탄성 가이드부재가 수행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체적이 감소되며, 조립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갖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oil spring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lider is omitted and the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inverted U-shaped elastic guide member,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he volume is reduced,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have arisen.
첫째, 반복 사용에 따라 로크 돌기가 형성된 힌지부가 변형되거나, 파손 등으로 인해 원형 유지력이 저하되므로 기준 힘 값 이상의 힘으로 로크에 부하가 걸릴 경우, 슬라이더에서 로크가 이탈되고, 이에 따라 잠금장치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First, the circular holding force is lowered due to deformation of the lock protrusion formed by repeated use, breakage or the like, and therefor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lock with a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force value, the lock is released from the slider, The function will be lost.
둘째, 로크돌기 타입의 잠금장치는 일정 하중이상 작용 시 로크돌기의 회전에 의해 로크가 해제되는 잠금장치로써, 유지력이 약하며 로크돌기의 강성부족으로 기준 힘 값 이상에서는 로크돌기에서 로크를 이탈시키더라도 처짐 및 파손이 발생되어 유지력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홈의 위치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 이들의 조립이 어렵고, 로크에 의해 슬라이더가 이동 시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Second, the locking device of the lock protrusion type is a locking device in which the lock is released by rotation of the lock protrusion when a constant load is applied. If the locking force is weak and the lock protrusion is released from the lock protrusion There is a limit in securing the retaining force due to deflection and breakage, an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m because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groove, and there is a fear that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slider moves due to the lock.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 슬라이더 및 후크를 분리 형성하여 슬라이더의 수평운동 시 후크가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잠금상태 시 후크와 대상물 간의 확실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er and a hook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allow a hook to be rotated dur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er,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의 수평 이동에 따른 후크의 회동을 후크의 저면 형상 및 가이드의 수평면/경사면에 의해 구현하므로 잠금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by implementing the rotation of the hook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er by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and the horizontal surface / slope of the gu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에 슬라이더를 탄성부재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탄력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후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에 형성된 하트 캠에는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는 레버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스트라이커가 슬라이더를 밀어줌에 따라 스트라이커의 걸림상태가 유지되거나, 해제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바닥면에 수평면 및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저면이 가이드의 수평면 및 경사면에 선택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스트라이커와 결합되거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후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후크의 배면에, 후크의 잠금상태 시 탄성부재가 접속되는 수직면과, 상기 후크의 잠금상태 해제 시 탄성부재가 접속되게 수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 챔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lider is provided on a housing such that it can be retract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an elastic member, and a hook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lider, And the striker is held or released by the striker as the striker pushes the slider. In the locking device for the automotiv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 guide made of a horizontal surface and a sloped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slider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hook to be engaged with the striker or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as the bottom surface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and an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ok, A vertical plane, and a hook The lock of the vehicle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characterized in that sex member is connected to a chamber configured to be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lane is formed, it is provided.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apparatuses.
첫째, 슬라이더 및 후크가 분리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수평운동 시 후크가 회동되도록 되어 있어 스트라이커의 잠금상태 시 후크와 스트라이커 간의 확실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slider and the hook are separated and formed so that the hook is rotated when the slider is horizontally moved, so that the hooked state between the hook and the striker can be maintained when the striker is locked.
둘째, 슬라이더의 수평 이동에 따른 후크의 회동이 후크의 저면 형상 및 가이드의 수평면/경사면에 의해 구현되므로 잠금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Secondly, since the rotation of the hook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er is realized by the bottom surface shape of the hook and the horizontal surface / slope of the guide, the durability of the locking device can be increased.
셋째, 후크의 전면을 슬라이더에 형성된 커버부재가 감싸고 있어 후크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Third, the cover member formed on the slider wraps the front surface of the hook, thereby preventing the hook from being broken.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후크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evic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onventional device cut out.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in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diagrams showing operation stat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후크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하우징(61)의 바닥면에 수평면(62a) 및 경사면(62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6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1)의 내부에는 하트 캠(63)이 구비된 슬라이더(64)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64)에는 저면이 가이드(62)의 수평면(62a) 및 경사면(62b)에 선택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스트라이커(65)와 결합되거나, 결합상태에서 해제되는 후크(6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후크(66)의 배면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66)의 잠금상태 시 탄성부재(67)가 접속되는 수직면(68a)과, 상기 후크(66)의 잠금상태 해제 시 탄성부재(67)가 접속되게 수직면(68a)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68b)으로 구성된 챔버(6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슬라이더(64)의 수평 이동에 따른 후크(66)의 회동이 후크(66)의 저면 형상 및 가이드(62)의 수평면/경사면(62a)(62b)에 의해 구현되도록 함에 따라 본 발명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8, the
이때, 상기 챔버(68)의 양측으로 탄성부재 이탈방지부재(69)를 형성함과 함께 탄성부재 이탈방지부재(69)의 상부에 만곡부(69a)를 형성하면 후크(66)의 회동으로 탄성부재(67)가 수평면(68a) 및 경사면(68b)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때 챔버(68)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elastic member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4)에 형성된 하트 캠(63)에는 하우징(61)에 일단이 지지된 레버(70)가 끼워져 있고 상기 하우징(61) 및 후크(66)의 사이에는 탄성부재(67)가 접속되게 설치되어 있다.A
상기 슬라이더(64)에 도 7과 같이 탄성부재(67)가 통과하는 리브(64a)를 형성하여 상기 리브(64a)가 탄성부재(67)를 감싸도록 하면 슬라이더(64)가 출몰할 때 후크(66)는 수직면(68a) 및 경사면(68b)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므로 탄성부재(67)가 슬라이더(64)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7, a
또한, 상기 슬라이더(64)의 전면에 후크(66)를 감싸는 커버부재(7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스트라이커(65)의 이동 시 후크(66)가 타 부품과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스트라이커(65)가 후크(66)에 걸려 잠긴상태는 레버(70)가 하트 캠(63)의 잠금위치에 있어 슬라이더(64)가 하우징(61)의 내부에 최대한 삽입되고, 후크(66)의 저면은 하우징(61)의 바닥면에 형성된 수평면(62a)과 접속된 도 9a와 같다.First, when the
이때에는 탄성부재(67)가 후크(66)의 배면에 형성된 챔버(68)의 수직면(68a)에 접속되어 있다.At this time, an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도시는 생력함)를 개방하기 위해 스트라이커(65)를 화살표방향으로 밀면 스트라이커(65)에 의해 슬라이더(64)가 탄성부재(67)를 압축하면서 함께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if the
이에 따라, 하트 캠(63)의 잠금위치에 있던 레버(70)가 잠금위치에서 빠져나와 도 9b와 같이 되므로 스트라이커(65)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As a result, the
그 후, 도어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슬라이더(64)는 스트라이커(65)와 함께 탄성부재(67)의 복원력에 의해 도 9c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61)으로부터는 인출되는데, 이때 슬라이더(64)의 이동거리는 레버(70)가 하트 캠(63)에 형성된 홈의 후단에 접속될 때까지 이다.Thereaft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door,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4)가 하우징(61)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저면이 가이드(62)의 수평면(62a)에 접속되어 있던 후크(66)의 저면이 경사면(62b)에 접속되도록 회동하면서 스트라이커(65)와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므로 수직면(68a)에 접속되어 있던 탄성부재(67) 또한 경사면(68b)에 접속되는데, 이때 상기 챔버(68)의 양측으로는 탄성부재 이탈방지부재(69) 및 만곡부(69a)가 형성되어 있어 후크(66)에서 탄성부재(67)가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개방되었던 도어를 닫기 위해 밀면 도어의 배면에 형성된 스트라이커(65)가 도 9c와 같이 회동되었던 후크(66)를 밀게 되므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되었던 후크(66)가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슬라이더(64)와 함께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7)를 압축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that has been opened is pushed to close, the
이와 같이 슬라이더(64)가 이동함에 따라 하트 캠(63)의 후단에 위치되어 있던 레버(70)가 도 9d와 같이 하트 캠(63)의 하부를 거쳐 도 9a와 같이 잠금위치에 도달하므로 스트라이커(65)가 후크(66)에 걸려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the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65)가 회전반경을 갖는 개폐식 도어에도 적용 가능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n opening and closing door having a turning radius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described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61 : 하우징 62 : 가이드
63 : 하트 캠 64 : 슬라이더
65 : 스트라이커 66 : 후크
67 : 탄성부재 68 : 챔버
69 : 탄성부재 이탈방지부재 70 : 레버
71 : 커버부재61: housing 62: guide
63: Heart cam 64: Slider
65: Striker 66: Hook
67: elastic member 68: chamber
69: Elastic member release preventing member 70: Lever
71: cover member
Claims (6)
하우징(61)의 바닥면에 수평면(62a) 및 경사면(62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62)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64)에는 저면이 가이드(62)의 수평면(62a) 및 경사면(62b)에 선택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스트라이커(65)와 결합되거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후크(66)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후크(66)의 배면에, 후크의 잠금상태 시 탄성부재(67)가 접속되는 수직면(68a)과, 상기 후크(66)의 잠금상태 해제 시 탄성부재(67)가 접속되게 수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68b)으로 구성된 챔버(6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A slider 64 is provided on the housing 61 so as to be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acting by an elastic member 67 and a hook 6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lider 64 and a heart cam One end of a lever 7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61 is fitted in the housing 61 so that the striker 65 can be held in a locked state as the striker 65 pushes the slider 64, CLAIMS 1. A locking device for a door structure,
A guide 62 formed of a horizontal surface 62a and an inclined surface 62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61.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r 64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horizontal surface 62a and the inclined surface 62b of the guide 62 The hook 66 is coupled to the striker 65 or the hook 66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so that the elastic member 67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ok 66 when the hook is locked And a chamber (68) formed of a vertical surface (68a) and an inclined surface (68b) extending from a vertical plane to connect the elastic member (67) when the hook (66) Device.
상기 챔버(68)의 양측으로 탄성부재 이탈방지부재(6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69)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68).
상기 탄성부재 이탈방지부재(69)의 상부에 만곡부(69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urved portion (69a)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release preventing member (69).
상기 슬라이더(64)에 탄성부재(67)를 감싸는 리브(6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der (64) is formed with a rib (64a) for covering an elastic member (67).
상기 슬라이더(64)의 전면에 후크(66)를 감싸는 커버부재(7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ver member (71) for covering a hook (66)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lider (6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737A KR101629132B1 (en) | 2015-01-05 | 2015-01-05 | Lock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737A KR101629132B1 (en) | 2015-01-05 | 2015-01-05 | Lock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9132B1 true KR101629132B1 (en) | 2016-06-09 |
Family
ID=5613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0737A Active KR101629132B1 (en) | 2015-01-05 | 2015-01-05 | Lock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913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362A (en) | 2007-10-09 | 2009-04-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ock structure of vehicle trays |
KR20100047808A (en) * | 2008-10-29 | 2010-05-10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atch device |
KR20100047807A (en) * | 2008-10-29 | 2010-05-10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atch device |
JP2013194472A (en) * | 2012-03-22 | 2013-09-30 | Nifco Inc | Latch device |
-
2015
- 2015-01-05 KR KR1020150000737A patent/KR1016291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6362A (en) | 2007-10-09 | 2009-04-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ock structure of vehicle trays |
KR20100047808A (en) * | 2008-10-29 | 2010-05-10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atch device |
KR20100047807A (en) * | 2008-10-29 | 2010-05-10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atch device |
JP2013194472A (en) * | 2012-03-22 | 2013-09-30 | Nifco Inc | Latch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249914B (en) | What it is for vehicle ceiling includes the component covered | |
JP4412234B2 (en) | Glove box | |
JP4397378B2 (en) | Vehicle storage device | |
US8353549B2 (en) |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 |
KR100798845B1 (en) | Car tray lock | |
US7334441B1 (en) | Electronic vehicle key and housing assembly | |
CN107771236B (en) | Door handle system for vehicle | |
CN112092589B (en) | Structure for providing separation strength of relative sliding door | |
CN105960498B (en) | Door handle system for vehicle | |
JP6232336B2 (en) | Latch device | |
KR101628499B1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door opening at side impact and method for preventing door opening at side impact | |
US8740262B2 (en) | Push button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a glovebox for a vehicle | |
CN218582011U (en) | Lock for retaining a first component to a second component and assembly of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 |
KR100973134B1 (en) | Glove box | |
KR101629132B1 (en) | Lock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 |
JP5985234B2 (en) | Seat member fastening | |
KR20110018712A (en) | Car tray lock | |
KR200391926Y1 (en) | Push-button type lock assembly for automobile armrest | |
KR100803821B1 (en) | Sunroof of vehicle | |
CN209799657U (en) | Sliding window with locking device | |
KR20090036362A (en) | Lock structure of vehicle trays | |
JP4553786B2 (en) | Lid opening / closing device | |
JP2001113995A (en) | Lock mechanism for seat slide device | |
US20150068359A1 (en) | Steering Lock Device | |
CN110446633B (en) | Steering lock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