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2370B1 -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휴대용 통신기기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휴대용 통신기기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370B1
KR101102370B1 KR1020057018032A KR20057018032A KR101102370B1 KR 101102370 B1 KR101102370 B1 KR 101102370B1 KR 1020057018032 A KR1020057018032 A KR 1020057018032A KR 20057018032 A KR20057018032 A KR 20057018032A KR 101102370 B1 KR101102370 B1 KR 10110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isplay
detection element
display unit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218A (ko
Inventor
카주오 니시
유 야마자키
토모유키 이와부치
케이스케 미야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5012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3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04Compact construction
    • G01J1/0209Monolith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3Handh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47Details using a charging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0/00Individual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radiation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s, e.g. photodetectors
    • H10F30/20Individual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radiation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s, e.g. photodetectors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10F30/21Individual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radiation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s, e.g. photodetectors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the devices being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센서는, 투광성을 갖는 기판에 복수의 검출소자를 갖고, 그 검출소자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2개의 표시부를 갖는 접이식 휴대통신기기는, 한 개의 광센서를 갖고, 또한 그 광센서는, 복수의 검출소자를 갖고, 그 검출소자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센서, 검출소자, 휴대통신기기, 케이싱

Description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휴대용 통신기기 및 표시 방법{OPTICAL SENSOR FOR DETECTING LIGHT BEAMS COMING FROM MULTIPLE DIRECTION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광센서, 특히 다방향의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에 관한 것이다. 또한, 휴대통신기기, 특히 접어보기식 휴대용 통신기기 및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통신기기에는, 휴대전화기, PDA, 접이식 전자수첩, 모바일 컴퓨터 등이 있고, 이 기기들은, 메일의 송수신, 음성인식, 소형 카메라에 의한 영상의 혼잡 등 여러가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다기능화와 아울러, 표시시키는 정보도 증가하고, 보다 높은 시인성 및 고화질이 요구되고 있다. 휴대통신기기의 대표예인 휴대전화기에서는, 최근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2인치를 넘고, 해상도가 QVGA(Quarter VGA)대응의 것도 시장에 나돌고 있다.
옥외, 실내 등, 여러가지 환경하에서 휴대전화기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은, 주위의 밝기(즉, 표시부측의 조도. 이때 조도란, 빛에 비춰진 면의 단위면적이 받는 광속이다. 여기서는, 표시부는 주위의 빛에 비춰지므로, 표시부측의 조도는 주위의 밝기을 나타낸다.)에 따라서 다르다. 예를 들면, 태양 아래 또는 조명 아래에서는, 주위의 밝기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낮아도 표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는, 주위와 비교해서 디스플레이가 너무 밝을 경우에는, 표시 내용을 인식하기 어렵고,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약간 하강시킨 쪽이, 디스플레이를 인식하기 쉽다. 한편, 그 중간의 침침한 곳에서는, 디스플레이 표시 내용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주위의 밝기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다르기 때문에, 주위의 밝기(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주위의 밝기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디스플레이에 EL(Electro Luminescence)표시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휘도에 대응한 전압이나 전류를 EL소자에 공급하고, 계조표시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EL소자는 경시적인 요인 등에 의해 열화하고, 그 열화의 정도는, RGB의 3원색에 따라 다르다. 그 때문에, EL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색표시를 행할 때는, RGB의 3원색의 휘도를 조절해서 화이트 밸런스를 제어해야만 한다. 이 경우, 열화가 진행된 색, 즉 휘도가 낮은 색에 다른 색의 휘도를 맞춤으로써, 원하는 색채를 정확한 계조로 화상을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에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백라이트의 휘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달라져버린다. 이 때문에, 백라이트의 시간 경과적 열화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휘도조정을 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밝기로 표시하는 방 법이 있다.
한편, 접이식 휴대전화기는, 비접이식 휴대전화기와 비교하여, (1) 소형이기 때문에 휴대에 편리하고, (2) 표시부를 제1의 케이싱에 설치하고, 조작부를 제2의 케이싱에 설치함으로써 표시부의 표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한번에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3) 대기시의 오작동 조작이 적은, 등의 이점이 있다.
종래의 접어보기식 휴대전화기는, 전파수신, 조작 키의 누름, 케이싱의 개폐 등을 트리거로서,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시키고 있다(특허문헌1).
(특허문헌1) 특개 2002-101160호 공보(제6 페이지, 도 2 및 도 7)
(발명의 개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다기능화 및 디스플레이의 고화질화를 따르고,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도 증가하고 있다. 전지의 소모가 빠르면, 필요할 때에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저소비전력화가 과제로 되고 있다.
한편, 미수신시, 단지 시각이나 수신 이력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휴대전화기의 키의 누름이 필요하다. 특히, 접어 보기식 휴대전화기에서는, 측면에 있는 조작 키의 누름 또는 케이싱의 개폐가 필요하다. 이것들의 조작은 번잡하고, 특히, 어두운 곳에 있어서는, 조작 키 또는 케이싱의 개폐부를 찾기 어렵고, 표시부를 인식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저소비전력 및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위의 밝기를 검지하는 센서, 디스플레이의 휘도 센서를 설치하면 좋지만, 접어보기식 휴대전화기와 같이 복수의 표시부를 갖는 것에서는, 센서의 부품수가 증가해버려, 제품의 소형화가 곤란함과 동시에, 제조 코스트가 상승해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부품으로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광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소형으로 다기능을 갖고, 저소비전력이며,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를 인식할 때의 조작이 간단한 접어보기식 정보통신 기기 및 그 정보표시 방법에 대해서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광센서는, 투광성을 갖는 기판에 복수의 검출 소자를 가지고, 상기 검출소자는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2개의 표시부를 갖는 접어보기식 휴대용 통신기기는, 하나의 광센서를 가지고, 또한 상기 광센서는, 복수의 검출 소자를 가지고, 상기 검출 소자는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검출 소자는, 대표적으로는, 접어보기식 휴대용 통신기기가 열린 상태의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것, 및 접어보기식 휴대통신기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것, 및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것들의 복수의 검출 소자에서는, 조도 또는 휘도의 변화에 의해 전류가 생긴다. 상기 전류치에 의해, 광센서는 조도 및 휘도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전류치에 의해 제1의 표시부 또는 제2의 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하고, 접어보기식 휴 대용 통신기기의 표시부를 표시시킨다.
이때, 접어보기식 휴대용 통신기기가 열린상태에서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하는 검출 소자는, 동일한 검출소자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제1의 표시부는, 휴대전화기를 접었을 때, 조작 버튼 등의 조작부와 마주 보는 표시부이며, 제2의 표시부는, 접어보기식 휴대용 통신기기를 접었을 때, 접어보기식 휴대용 통신기기의 외측에 있는 표시부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요지에 근거한 본 발명의 광센서, 휴대용 통신기기 및 이 표시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센서는,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 위에 복수의 검출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고,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센서에 있어서, 복수의 검출 소자는,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소자이고,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전극, 제1의 반도체막 및 제2의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전극, 제2의 반도체막 및 제3의 전극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의 전극 및 제3의 전극은,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제2의 도전막은, 금속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센서에 있어서 복수의 검출 소자는, 제1의 검출 소자, 제2의 검출 소자 및 제3의 검출 소자이고,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전극, 제1의 반도체막 및 제2의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전극, 제2의 반도체막 및 제3의 전극으로 형성되며, 제3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전극, 제3의 반도체 막 및 제4의 전극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의 전극 및 제3의 전극은,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제2의 전극 및 제4의 전극은, 금속막으로 형성된다.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막은, 산화인듐 산화 주석 합금, 산화인듐 산화아연합금, 또는 산화아연으로 형성된다. 또한, 금속막은, 금, 동, 니켈, 백금 또는 은의 원소를 함유하는 막이다.
상기 제1의 반도체막, 제2의 반도체막 및 제3의 반도체막은, 비정질실리콘막, PIN접합을 가지는 실리콘막 또는 미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기기는, 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을 가지고, 제1의 케이싱에는 제1의 표시부와 제2의 표시부가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2의 케이싱에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가 서로 마주 보도록 접이 가능하고, 복수의 검출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광센서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휴대 정보기기는, 복수의 검출 소자를 가지는 광센서가 제1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검출 소자가,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소자일 경우,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열려 있을 때에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지하고, 제2의 검출 소자는 상기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휴대 정보기기는, 복수의 검출 소자를 가지는 광센서가 제2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검출 소자가,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일 경우,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열려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의 검출 소자는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지함과 동시에,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지하고, 제2의 검출소자는,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지한다. 이때, 광센서는 조작부의 투광성을 갖는 조작 키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휴대 정보기기는, 복수의 검출 소자를 가지는 광센서가 제1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검출 소자는, 제1의 검출 소자, 제2의 검출 소자 및 제3의 검출 소자일 경우,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열려 있을 때에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지하고, 제2의 검출 소자는,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지하고, 제3의 검출 소자는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기기는, 힌지부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1의 케이싱과 제2의 케이싱을 가지고, 제1의 케이싱에는, 제1의 표시부와 제2의 표시부가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2의 케이싱에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표시부와 조작부가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질 수 있으며,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제1의 수단과, 제1의 수단의 검출결과에 의해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여 표시하는 제2의 수단과,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제3의 수단과, 제3의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해 제2의 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해서 표시하는 제4의 수단을 갖는다.
또한, 상기 휴대 정보기기는,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어진 상태 에 있어서, 제1의 표시부를 표시 상태로 해서 이 휘도를 검출하는 제5의 수단과, 제5의 수단의 검출 결과 및 제1의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해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여 표시하는 제6의 수단을 가진다.
제1의 표시부 및 제2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EL표시장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EL 표시장치는, 양면에 발광이 가능한 표시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기기의 표시방법은, 광센서가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로 형성될 경우,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 제1의 검출 소자에 의해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함으로써 제1의 검출 결과를 얻고, 상기 제1의 검출 결과에 의해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하고,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2의 검출소자에 의해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함으로써 제2의 검출 결과를 얻고, 상기 제2의 검출 결과에 의해 제2 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해서 표시한다.
또한,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1의 표시부를 표시 상태로 하고, 이 휘도를 제1의 검출 소자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제3의 검출 결과를 얻고, 상기 제3의 검출 결과 및 제1의 검출 결과에 의해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기기의 표시방법은, 광센서가 제1의 검출 소자, 제2의 검출 소자 및 제3의 검출 소자로 형성되는 경우,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3의 검출 소자에 의해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해서 제1의 검출 결과를 얻은 후,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열린 상태에서, 제1 의 검출 소자에 의해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해 제2의 검출 결과를 얻음과 동시에, 제1의 검출 결과 및 제2의 검출 결과에 의해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하고, 또한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2의 검출 소자에 의해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함으로써 제3의 검출 결과를 얻고, 상기 제3의 검출 결과에 의해 제2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해서 표시한다.
(발명의 효과)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에 복수의 검출 소자를 병렬로 접속하여 다방향의 빛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광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접어보기식 통신기기에,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검출 소자를 갖는 광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저소비전력으로 소형의 접어보기식 통신기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번잡한 조작을 행하지 않더라도, 주위의 밝기의 변화에 의해 제2의 표시부의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고, 번잡하고 또한 번거로운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제2의 표시부에 의해, 시간 또는 수신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표시부 및 제2의 표시부에 있어서, 주위의 밝기에 맞춰서 휘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부를 표시하기 위한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의 검출 소자에 의해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근거로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부의 열화 도에 의하지 않고, 시인성이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지,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그 형태 및 상세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접어보기식의 휴대용 통신기기의 대표예로서 휴대전화기를 채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휴대전화기 대신에, 접이식 전자수첩, 접이식 모바일 컴퓨터 등을 적응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개관도로, 도 5a는 케이싱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b는 동일한 것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며, 제2의 표시부(802)가 설치되는 제1의 케이싱(800a)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휴대전화기는, 2개 케이싱(800a, 800b)이, 힌지(509)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힌지(509)를 중심으로 해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케이싱(800a)에는, 제1의 표시부(801), 제2의 표시부(802), 스피커(806a, 806b), 안테나(807), 카메라용 렌즈(808), 제1의 채광구(810), 제2의 채광구(811), 램프(814) 등이 설치된다.
한편, 제2의 케이싱(800b)에는, 조작 버튼(803), 휴대전화기의 측면에 설치 된 조작 버튼(804), 마이크(805), 개폐 검출 스위치(812), 헤드폰 단자 커버(813) 등을 가지고 있다.
제1의 표시부(801)는, 컬러 또는 단색의 액정표시장치나 발광 표시장치인 EL (Electro Luminescence)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전파의 수신에 관한 문자정보(대표적으로는, 전파의 수신 또는 메일의 수신의 유무 등), 전파의 수신에 의해 얻어진 문자정보 및 화상정보(대표적으로는, 수신한 메일의 내용, WEB의 수신 내용 등), 시간, 내장형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정보, 기타, 기억매체에 기억된 정보(대표적으로는, 성명, 전화번호, 주소 등)등의 상세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닫혀 있을 때, 즉 제1의 표시부(801)와 조작 버튼(803)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져 있을 때는, 제1의 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OFF상태가 된다.
제2의 표시부(802)는, 컬러 또는 단색의 액정표시장치나 발광 표시장치인 EL (Electro Luminescence)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전파의 수신에 관한 문자정보, 시간, 기억매체에 기억된 정보 등의 간단한 정보를 표시한다.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열려 있을 때는, 제2의 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OFF상태가 된다.
조작 버튼(803)은 텐 키, 전원 키, 접속 키, 메일 키, WEB키, 선택키 등이 있다. 텐 키는, 숫자나 문자가 표기되어 있고, 이 정보들을 입력할 때에 사용한다. 전원 키는, 휴대전화기의 전원의 ON/OFF나, 수신중의 통화 종료를 선택하는 키다. 접속 키는, 수신중의 전파의 접속 또는, 전파를 발신하기 위한 키다. 메일 키, WEB키는, 각각의 정보의 수신 또는 발신을 행하는 키다. 선택 키는,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다. 이때, 휴대전화기의 측면에 설치되 는 조작 버튼(804)은, 접어보기식 휴대전화기가 닫힌 상태에서, 제2의 표시부(802)의 점등, 수신중의 전파의 접속, 음성녹음 등을 선택하는 키다.
마이크(805)는, 통화중의 음성을 발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스피커(806a, 806b)는, 수신음이나 통화중의 상대의 소리, 알람, 음악 등의 소리를 출발하는 기능을 가진다. 스피커 806a는, 주로 통화중의 상대의 소리를 내는 것이고, 스피커 806b는 주로 수신 소리, 알람, 음악 등을 내는 것이다.
안테나(807)는, 통신에 필요한 전파의 발신 또는 수신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용 렌즈(808)는,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이다.
제1의 채광구(810)는, 제1의 표시부(801)측의 조도를 측정하는 검출 소자에 주위의 빛을 이끌기 위한 개구부이다. 휴대전화기의 내측에 수분이나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재(도시 생략.)로 덮어져 있다.
제2의 채광구(811)는, 제2의 표시부(802)측의 조도를 측정하는 검출 소자에 주위의 빛을 이끌기 위한 개구부이며, 제1의 채광구와 같이 커버재(도시 생략.)로 덮어져 있다.
개폐 검출 스위치(812)는, 접어보기식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의 케이싱(800a)과 제2의 케이싱(800b)과의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 제1의 케이싱(800a) 또는 제2의 케 이싱(800b)의 조도를 검출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도 된다.
헤드폰 단자 커버(813)는, 헤드폰의 접속단자구를 보호하는 것이다.
램프(814)는, 전파의 수신시에 점멸하거나, 충전중에 점등하거나 함으로써,각각의 상황을 사용자에 알리는 것이다. 주로, 발광다이오드(LED)가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 도 5b의 (a)-(a')의 단면을 도 3에 나타낸다. 이때, 도 5와 동일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선 기판(301)에, 접착재(304, 305)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와, 제2의 표시부(802)가 고정되어 있다. 제1의 표시부(801)는, 기판(801a) 및 그것에 설치된 발광 영역(801b)에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의 표시부(802)는, 기판(802a) 및 거기에 설치된 발광 영역(802b)에서 형성된다. 제1의 표시부(801)로부터 제1의 빛(318a)이 발광되고, 제2의 표시부(802)로부터 제2의 빛(318b)이 발광된다. 이때, 제2의 표시부(802)는, 배선 기판(301)을 거쳐서 제1의 표시부(801)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선 기판(301)에는, 금, 은, 납땜 등의 도전성 재료(307)에 의해 광센서(306)가 탑재되어 있다. 광센서(306)는, 기판(306a) 및 그것에 설치된 수광영역(306b)에서 형성된다. 광센서(306)는, 제1의 채광구(810), 제2의 채광구(811) 및 배선 기판(301)에 설치된 관통구(309)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의 채광구(810)로부터 제1의 표시부(801)측의 빛(310)을 받고, 광센서(306)의 수광영역(306b)의 일부가 제1의 표시부(801)측의 조도를 측정한다. 또한 제2의 채광구(811) 및 관통구 (309)로부터 빛(311)을 받아, 광센서(306)의 수광영역(306b)의 일부가 제2의 표시부(802) 또는 그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 이때, 광센서는 각 표시부의 주변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표시부와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그 주변의 조도는 개략 일치하기 때문에, 광센서(306)는 각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채광구(810) 및 제2의 채광구(811)에는, 제1의 케이싱(800a)내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지 않도록 투광성의 커버재(312)가 설치된다.
또한, 각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와 케이싱과의 사이로부터 케이싱의 내부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지 않도록, 이들의 사이가 밀봉재(313, 314)로 봉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를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도 3의 광센서(306)의 확대도이다.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101)(도 3의 306a에 해당한다.)에, ITO(산화 인듐 산화 주석 합금), 산화인듐 산화아연합금(In2O3)-ZnO), 산화 아연(ZnO)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막으로 형성된 제1의 투명전극(102)을 가진다.
제1의 투명전극(극성: 플러스)(102), 제1의 투명전극(102)에 접속되는 배선(103), 제1의 반도체막(104), 금속전극(극성: 마이너스)(105), 및 금속전극(105)에 접속되는 배선(106)에 의해 제1의 검출 소자(도 7의 509a)을 구성한다. 한편, 제1의 투명전극(극성: 플러스)(102), 제1의 투명전극(102)에 접속되는 배선(103), 제2의 반도체막(107), 제2의 투명전극(극성: 마이너스)(108), 및 제2의 투명전극(108)에 접속되는 배선(109)에 의해 제2의 검출 소자(도 7의 509b)를 구성한다.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의 각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103, 106, 109)은, 투광성을 가지는 유기수지(110)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에 의해, 도 3의 수광영역(306b)을 형성한다.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101)으로서는, 글래스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으로서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S(폴리에테르 설파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설파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술폰, 또는 폴리프탈아미드로 이루어진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의 반도체막(104) 및 제2의 반도체막(107)은, 비정질 실리콘막, PIN접합을 갖는 실리콘막, 또는 미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한다. 이때, PIN형 접합을 갖는 실리콘 막은, p형 반도체층과, n형 실리콘층과, p형 실리콘층과 n형 실리콘층의 사이에 끼워진 i형(진성)실리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전극(105)은, 금, 동(구리), 니켈, 백금, 은 등의 원소를 함유하는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제1의 투명전극(102)은,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의 공통 전극이다.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표시부에 조사하는 빛(310)의 밝기(조도)를 검지한다. 제2의 검출 소자는, 제2의 표시부에 조사하는 빛(311)의 밝기(조도)를 검지한다. 각 검출 소자에 있어서, 금속전극(105)이 차광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한쪽의 표시부에 조사하는 빛(조도)만을 검지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구성을 도 7의 블럭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5와 같은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안테나(807), 송수신부(502), 변복조부(503), 마이크(805), 스피커(806a, 806b), 음성처리부(504), CPU(511) 및 메모리(512)를 갖는 제어부(505), 제1의 표시부(801), 제2의 표시부(802), 제1의 구동회로(507), 제2의 구동회로(508), 제1의 검출 소자(509a) 및 제2의 검출 소자(509b)를 갖는 광센서(306), 조작부(510)를 가진다.
조작부는, 도 5의 조작 버튼(803, 804)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안테나(807)를 거쳐서 송수신부(502)에서 수신한 전파를, 변복조부(503)에 있어서 음성정보로 복조한다. 다음에, 이 음성정보를, 음성처리부(504)에 공급하고, 음성처리부(504)에서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스피커(806a, 806b)에서 음성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502)에서 수신하고 변복조부(503)에서 복조한 정보를 제어부(505)에서 문자정보(수신 데이터) 등으로 하고, 제1 및 제2의 구동회로(507, 508)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 또는 제2의 표시부(802)에서 표시한다. 또는, 이 정보를, 제어회로의 메모리(512)에서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805)에서 받아들이고, 음성처리부(50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 후, 변복조부(503)에 음성정보를 공급한다. 변복조부(503)에서는, 공급되는 음성정보(발신 데이터)를 전파신호로 변조한 후, 송수신부(502)를 거쳐서 안테나(807)로부터 발신한다.
또한, 조작부(510)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제어부(505)를 경유해 필요에 따라 서 메모리(512)에 저장함과 아울러, 발신 데이터로서 변복조부(503)에 공급한다. 변복조부(503)에서는, 공급되는 입력 정보(발신 데이터)를 전파신호로 변조한 후, 송수신부(502)를 경과해서 안테나(807)로부터 발신한다.
다음에, 제1의 표시부(801) 및 제2의 표시부(802)의 동작 방법을 도 7 및 도 9를 사용해서 서술한다. 먼저, 제2의 표시부(802)의 표시 방법을 서술한다.
접어보기식 휴대전화기는, 제어부(505)에 의해, 기지국(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과 소정의 순서로 신호를 송수신하고, 위치등록을 행하고, 대기 상태 S10가 된다.
대기 상태 S10에서는, 스텝 S100에 있어서, 휴대전화기가 닫힌상태인가를, 도 5a에 나타내는 개폐 검출 스위치(812)에서 검출한다.
닫혀 있는 경우, 스텝 S110에 있어서, 제2의 검출 소자(509b)의 출력 변화를제어부(505)에서 인식하고, 주위의 환경정보, 즉 제2의 표시부(802)측의 조도를 측정한다.
다음에, 스텝 S111에 있어서, 제2의 표시부(802)측의 조도가 상승한 경우, 즉 주위의 밝기가 밝아진 경우, 스텝 S112에 있어서, 이 조도를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505)의 CPU(511)에 입력한다. 메모리(512)에 저장되어 있는 비교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 조도에 대응하는 제2의 표시부(802)의 휘도를 제어부(505)의 CPU(511)에서 산출한다.
휘도의 산출은, 예를 들면 메모리(512)에, 미리 조도와 그 조도에 대응하는 시인성이 높은 표시가 얻어지는 표시부의 휘도를 기억시켜 둔다. 스텝 S 112에서 는, 이 기억 정보와 조도를 비교하여, 이 조도에 해당하는 휘도를, 제어부(505)로부터 D/A변환기에 출력하고, D/A변환기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의 구동회로(508)에 공급한다. 다음에, 스텝 S 113에 있어서, 제2의 구동회로(508)에 의해, 제2의 표시부(802)의 휘도를 조절하면서 제2의 표시부(802)에, 시간, 화상 및 수신정보를 표시시킨다. 이때, 스텝 S 111에 있어서, 조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 100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스텝 S 113 후, 스텝 S 114에 있어서, 제2의 검출 소자(509b)에서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주위의 밝기)를 검출하고, 조도가 낮아진(주위가 어두워진) 경우, 스텝 S 116에 있어서, 제2의 표시부(802)의 점등을 종료시킨다. 또한, 조도가 변화되지 않는(주위가 어두워지지 않는) 경우, 스텝 S 115에 있어서, 타이머 기능을 개시시키고, 임의 시간 경과 후, 제2의 표시부(802)의 표시를 종료시켜, 대기상태로 한다.
조도의 변화에 의해, 제2의 표시부(802)가 점등하기 때문에, 조작 키의 누름이나, 케이싱을 여는 등의 번거로운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제2의 표시부(802)의 표시 내용(시간, 송수신의 유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제1의 표시부(801)의 표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0에 있어서, 개폐 검출 스위치(812)에서 닫힌 상태에서는 없다, 즉 케이싱이 열린 상태와 검지한 경우, 스텝 S120에 있어서, 제1의 표시부(801)측의 조도(주위의 밝기)를 제1의 검출 소자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결과를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5)에 입력한다.
스텝 S121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신호 및 메모리(512)에 저장되어 있는 비교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인성이 높은 제1의 표시부(801)의 휘도를, 제어부(505)의 CPU(511)에서 산출한다. 이 휘도의 값은, D/A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제1의 구동회로(507)에 공급된다.
다음에, 스텝 S122에 있어서, 조작부(510)로부터의 입력 정보, 메모리(5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시간, 화상 및 수신 정보를 제1의 표시부(801)에서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123에 있어서, 개폐 검출 스위치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닫힌 상태인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닫혀 있다고 검지한 경우, 스텝 S140의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또한 스텝 S123에 있어서, 닫혀 있지 않다고 검지한 경우, 스텝 S120으로 돌아간다.
이상의 동작 방법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 및 제2의 표시부(802))에 있어서, 각 표시부(801, 802)측의 조도(주위의 밝기)에 맞춰서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표시부에서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의 조작을 행하지 않더라도, 주위의 밝기, 즉 제2의 표시부(802))측의 조도변화에 의해 제2의 표시부(802))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서, 번잡하고 또한 번거로운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제2의 표시부(802))에 의해, 시간 또는 수신의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검출 소자(509a) 및 제2의 검출 소자(509b)는, 한 개의 광센서 (30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용 통신기기에 탑재하는 광센서의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소형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코스트를 억제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광센서(306)의 설치 장소를, 제1의 표시부(801) 및 제2의 표시부(802)를 가지는 제1의 케이싱(800a)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광센서(306)를, 조작 버튼을 가지는 제2의 케이싱(800b)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광센서는, 반투명의 커버로 덮인 키보드 내부, 또는 미세한 구멍이 설치되어 빛을 투과하는 것이 가능한 메쉬(mesh) 상태의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는 구조가 다른 광센서 및 그것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그 표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휴대용 통신기기의 대표예로서 휴대전화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 5b (a)-(a')의 단면을 도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배선 기판(301)에, 접착재(304, 305)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와, 제2의 표시부(802)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제1의 표시부(801)는, 기판(801a) 및 그것에 설치된 발광 영역(801b)에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의 표시부(802)는, 기판(802a) 및 그것에 설치된 발광 영역(802b)에서 형성된다. 제1의 표시부(801)로부터 제1의 빛(318a)이 발광되어, 제2의 표시부(802)로부터 제2의 빛(318b)이 발광된다. 제2의 표시부(802)는, 배선 기판(301)을 통해서 제1의 표시부(801)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배선 기판(301)에는, 제1의 채광구(810)와 제2의 채광구(811)의 사이에 관통구(309)가 형성되어 있고, 제1의 채광구(810)과 관통구(309)와의 사이에 기판(306a) 및 그것에 설치된 수광영역(306b)에서 형성되는 광센서(306)가 설치된다. 이때, 제1의 채광구(810) 및 제2의 채광구(811)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투광성의 커버재(312)가 설치된다. 또한 각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와 제1의 케이싱(800a) 과의 사이는, 밀봉재(313, 314)로 봉지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306)는 광학 그리스 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접착재(316)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와 접속되어 있고, 제1의 표시부(801)에서 발광한 빛(317)이 투광성을 가지는 접착재(316)를 투과하여, 광센서의 기판(306a)에 입광된다.
본 실시예의 광센서(306)를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4의 광센서(306)의 확대도이다.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201)(도 4의 306a에 해당한다.)에, ITO(산화인듐 산화 주석 합금), 산화인듐 산화아연합금(In2O3)-ZnO), 산화아연(ZnO)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막으로 형성된 제1의 투명전극(202)을 가진다.
제1의 투명전극(극성: 플러스)(202), 제1의 투명전극(202)에 접속되는 배선 203, 제1의 반도체막(204), 제1의 금속전극(극성: 마이너스)(205), 및 제1의 금속 전극(205)에 접속되는 배선 206에 의해, 제1의 표시부에 조사되는 빛(310)을 검출하는 제1의 검출 소자를 구성한다. 한편, 제1의 투명전극(극성: 플러스)(202), 제1의 투명전극에 접속되는 배선(203), 제2의 반도체막(207), 제2의 투명전극(극성: 마이너스)(208), 및 제2의 투명전극(208)에 접속되는 배선(209)에 의해, 제2의 표시부에 조사되는 빛(311)을 검출하는 제2의 검출 소자를 구성한다. 또한, 제1의 투명전극(202), 제1의 투명전극에 접속되는 배선 203, 제1의 반도체막(204), 제2의 금속전극(210), 제2의 금속전극에 접속되는 배선 211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로부터 발광한 빛(317)을 검출하는 제3의 검출 소자를 구성한다. 제1의 검출 소자, 제2의 검출 소자 및 제3의 검출 소자에 의해, 수광영역(306b)을 구성한다.
이때, 제1의 반도체막(204) 및 제2의 반도체막(207)은, 비정질 실리콘막, PIN 접합을 가지는 실리콘막, 또는 미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한다. 이때, PIN형 접합를 갖는 실리콘막은, p형 반도체층과, n형 실리콘층과, p형 실리콘층과 n형 실리콘층의 사이에 끼워진 i형(진성)실리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의 투명전극(202)은, 제1의 검출 소자, 제2의 검출 소자, 및 제3의 검출 소자의 공통 전극이다.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표시부에 조사하는 빛(310)의 밝기(조도)를 검지한다.
제2의 검출 소자는, 제2의 표시부에 조사하는 빛(311)의 밝기(조도)를 검지한다.
제3의 검출 소자는, 제1의 표시부가 발광한 빛(317)의 휘도를 검지한다. 제1 의 검출소자와 제2의 검출 소자와의 사이에 제1의 금속전극(205)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검출 소자의 사이에서 빛의 누설은 생기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표시부(801)와 광센서(306)는, 투광성을 가지는 접착재(316)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표시부에서 발광한 빛(317)은, 제1의 표시부의 기판(801a) 또는 발광 영역(801b)과 상기 접착재(316)를 통해서 광센서(306)에 입광하기 때문에, 제3의 검출 소자에서 제1의 표시부(801)의 휘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1의 표시부에서 발광되는 빛(317)은, 기판(801a) 또는 발광 영역(801b)과 투광성을 가지는 접착제(316)를 통해서 광센서의 기판(306a)을 전해지고, 제3의 검출소자에 의해 휘도가 검출되지만, 이 빛이 제1의 검출 소자에 입광하지 않도록,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20)의,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가 형성되는 부분을 없애도 된다. 이 결과, 이것들의 검출 소자에 제1의 표시부에서 발광한 빛(317)이 간섭한 빛이 입사하는 것에 의한 오인을 막을 수 있다. 이때, 도 11중의 다른 구성 부분은 도 2와 같아서, 동일한 부호가 첨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구성을 도 8의 블록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4 및 도 5와 같은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착해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안테나(807), 송수신부(502), 변복조부(503), 마이크(805), 스피커(806a, 806b), 음성처리부(504), 메모리(512)와 CPU(511)를 포함하는 제어부(505), 제1의 표시부(801), 제2의 표시부(802), 제1의 구동회로(507), 제2의 구동회로(508), 광센서(306), 및 조작부(510) 를 갖는다.
이때, 광센서(306)는, 제1의 검출 소자(509a), 제2의 검출 소자(509b) 및 제3의 검출 소자(509c)를 갖는다. 제3의 검출 소자(509c)는, 제1의 표시부에서 발광한 빛(317)을 측정하고, 표시부의 EL 발광소자나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의 열화에 따르는 휘도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807)와 송수신부(502)를 사용한 전파의 송수신, 또 그것에 따르는 변복조부(503)에서의 음성변환 및 그 입출력, 또는 전파의 송수신에 관한 정보의 메모리(512)에의 저장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광센서(306)를 이용하여 제1의 표시부(801)의 휘도를 수정하는 동작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a 및 12b는, 휘도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 메모리(512), 검출 소자, 제어부(505),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의 표시부(801), A/D변환부(601)를 갖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검출 소자는, 도 8의 제3의 검출 소자(509c)이다.
우선, 도 12a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열려 있는 상태를 설명한다. 이 때에는,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접어져 있지 않은 상태, 즉 열린 상태이라고 하는 정보가 제어부(505)에 입력되어 있다.
이때, 제3의 검출 소자(509c) 및 A/D변환부(601)는 오프상태로 되어 있고, 제어부(505)로부터 화상 데이터(602)가 제1의 표시부(801)에 입력되어, 정보를 표시한다.
다음에, 휴대전화기가 접어져 있는 상태, 즉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에, 케이 싱이 닫혔다고 하는 정보가 제어부(505)에 입력된다.
이 후,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05)로부터 제1의 표시부(801)에, 어떤 일정한 표시를 행하는 데이터(일정 화상 데이터 612)가 입력된다. 어떤 일정한 표시란, 화면 전체에서 백색이나 각 RGB 등의 단색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505)로부터 제3의 검출 소자(509c) 및 A/D변환부(601)가 온 상태로 되는 신호가 입력되어, 이들이 온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제1의 표시부(801)의 휘도가 제3의 검출 소자(509c)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된 휘도 데이터는, 휘도의 변화량에 의해 A/D변환부(601)를 거쳐서 제어부(505)내의 메모리(512)에 입력된다.
측정된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512)에 보존되어 있는 전회 휘도 데이터로부터의 변화량을 구함으로써 EL 발광소자나 백라이트의 열화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열화에 의해 저하한 휘도를 보정하는 보정치(전류치, 전압치)를 제어부(505)에서 계산하고, 상기 휘도 보정치를 메모리(512)에 저장한다.
휘도측정 종료 후, 제3의 검출 소자(509c), A/D변환부(601)가 오프 상태로 되고, 제어부로부터 제1의 표시부에의 일정 화상 데이터(612)의 입력도 오프상태로 된다.
다음에, 제1의 표시부(801)가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한 휘도 보정치에 의해, 표시부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시인성이 높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제1의 표시부(801) 및 제2의 표시부(802)의 동작 방법을,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의 표시부(802)의 동작 방법은, 대기 상태 S10으로 부터 스텝 S100∼스텝 S116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 1과 같은 동작 방법을 갖는다. 또한, 제1의 표시부(801)의 스텝 S120∼스텝 S122의 동 방법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 1과 같은 동작방법을 갖는다.
스텝 S122의 다음에, 스텝 S123에 있어서, 도 5의 개폐 검지 스위치(812)에 의해 휴대전화기가 닫힌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닫힌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130에 있어서, 도 12b에서 도시되는 휘도를 측정하는 동작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에 일정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어, 일정한 표시가 되었을 때의 제1의 표시부(801)의 휘도를 제3의 검출 소자(509c)에서 검지하고, 휘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휘도 데이터가,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505)의 CPU(511)에 입력된다.
다음에, 스텝 S131에 있어서, 미리 입력되어 있는 비교 데이터 및 측정된 휘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의 표시부(801)의 휘도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치가 계산된다. 이 휘도 보정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의 메모리(512)에 저장된다.
이 후, 스텝 S132에 있어서, 제1의 표시부의 일정한 표시를 종료해서 스텝 S140의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제1의 표시부(801)에서 화상이 표시될 때, 구체적으로는 스텝 S120∼스텝 S122의 동작시에, 스텝 S121에 있어서, 제1의 검출 소자(509a)에서 얻어진 조도 데이터와 함께, 상기 휘도 보정치를 고려하여, 제1의 표시부(801)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한다.
이때, 스텝 S123에 있어서, 개폐 검출 스위치(812)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는 없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120으로 돌아간다.
스텝 S130 내지 스텝 S132는, 휴대전화기의 개폐마다 행하여도 일정 기간마다 행하여도 된다.
EL 표시장치에서는, 습도, 온도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발광 재료가 화학변화하고, 휘도의 열화가 생기고, 표시 품질 또는 제품수명에 제약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정 모니터에서도, 백라이트의 시간 경과 열화에 의해 표시가 어두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센서를 사용하여 EL표시장치나 백라이트의 열화 및 주위의 밝기에 의해, 제1의 표시부(801)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기 쉽고 또한 저소비전력인 접이식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검출 소자(509a), 제2의 검출 소자(509b) 및 제3의 검출 소자(509c)를 한 개의 광센서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탑재하는 부품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접어기식 통신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의 설치 장소가 다른 접이식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휴대용 통신기기의 대표예로서 휴대전화기를 사 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착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검출 소자와,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지하는 검출 소자를, 병렬로 접속한 광센서가 제2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전화기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어보기식 휴대전화기의 개관도이고, 도 6a는,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6b는 마찬가지의 것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로서, 제2의 표시부가 설치되지 않는 제2의 케이싱(800b)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케이싱(800a, 800b)이, 힌지(50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의 케이싱(800a)에는, 제1의 표시부(801), 제2의 표시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스피커(806a), 안테나(807), 카메라용 렌즈(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램프(814)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의 케이싱(800b)에는, 조작 버튼(803), 휴대전화기의 측면에 설치된 조작 버튼(804), 마이크(805), 개폐 검출 스위치(812), 헤드폰 단자 커버(813), 제1의 채광구(820), 제2의 채광구(821) 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채광구(820) 및 제2의 채광구(821)는 제2의 케이싱 중의 동일 부분의 안팎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것들의 채광구에는, 도 3의 영역(312) 및 도 4의 영역(312)과 같은 투광성 커버가 설치된다. 제1의 채광구(820)와 제2의 채광구(821)의 사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수의 검출 소 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광센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구조는, 도 7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상세한 것은,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때, 여기서는, 제1의 검출 소자(509a)는,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열려 있을 때에,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주위의 밝기)를 검지한다. 또한 휴대전화기의 케이싱이 닫혀 있을 때에 제1의 표시부(801)에 일정한 표시를 행하고, 이 때의 휘도를 검지한다. 한편, 제2의 검출 소자(509b)는 , 휴대전화기가 닫혀 있을 때의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주위의 밝기)를 검지한다.
제1의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a, 12b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상세한 것은, 실시예 2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때, 이 경우, 실시예 2의 제3의 검출 소자(509c)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검출 소자(509a)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방법은, 도 10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상세에 관해서는, 실시예 2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10의 스텝 S130에 기재된 제3의 검출 소자는, 스텝 S120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의 검출 소자(509a)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광센서는, 제1의 채광구(820) 및 제2의 채광구(8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지만, 조작 버튼의 패드가 투광성을 갖는 경우, 조작 버튼 아래에 센서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채광구(820, 82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이 아니고, 미세한 구멍이 설치되어 빛을 투과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싱(800a, 800b) 내부에 설치하여 도 좋다. 이때, 광센서를 갖는 케이싱이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채광구와 같은 구멍 또는 미세한 구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갖는 휴대 통신기기에 대해서, 도 1, 도 5, 도 13, 도 15a, 15b 및 도 16a, 16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휴대용 통신기기의 대표예로서 휴대전화기를 이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착해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이, 제1의 표시부(801) 및 제2의 표시부(802)로서, 2개의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투광성을 갖는 기판 831a, 거기에 설치된 발광영역 831b)을 사용한다. 이 표시장치는, 제1의 케이싱(800a)과 제2의 케이싱(800b)이 열려 있을 때에는, 제1의 표시부에서 인식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하고, 제1의 케이싱(800a)과 제2의 케이싱(800b)이 닫혀 있을 때에는, 제2의 표시부에서 인식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조작부(도 5의 803)와 마주 보는 표시부를 제1의 표시 버튼(도 5의 801)으로 하고, 제1의 표시부와 반대측의 표시부를 제2의 표시부(도 5의 802)로 한다.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 1에서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선 기판(301)이 제1 및 제2의 표시부(801, 802) 사이에 배치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 기판(301)은 표시의 방해가 안되도록 광센서 (306)의 옆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광센서(30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되는 2개의 검출 소자가 병렬로 접속된 것이다. 여기에서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표시부측(801)에 조사되는 빛(310)의 밝기(조도)를 검출하는 것이고, 제2의 검출 소자는, 제2의 표시부측(802)에 조사되는 빛(311)의 밝기(조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5의 개폐 검출 스위치(812)에 의해 제1의 케이싱(800a)과 제2의 케이싱(800b)이 열려 있다고 판단한 경우, 광센서(306)(투광성을 갖는 기판(306a) 및 그것에 설치된 수광영역(306b)에서 형성되어 있다)에 의해, 제1의 표시부측에 조사되는 빛(310)의 밝기(조도)를 검출한다. 다음에, 이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는 제1의 표시부(800a)측에 제1의 빛(318a)을 내고, 제1의 표시부에서 인식이 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2개의 케이싱(800a, 800b)이 닫혀 있다고 판단된 경우, 광센서(306)가, 제2의 표시부측에 조사되는 빛(311)의 밝기(조도)를 검지한다. 다음에, 이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는 제2의 빛(318b)을 내고, 제2의 표시부(802)에서 인식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도, 조작 버튼을 같은 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광센서(306, 이때, 광센서 306은, 투광성을 갖는 기판(306a) 및 그것에 설치된 수광영역(306b)에서 형성된다.)를 조작 버튼(도 5의 803 아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실시예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싱(800a) 및 제2의 케이싱(800b)이 닫혀 있을 때에, 일정한 화상을 표시해서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 능한 표시장치(831)의 휘도를 검출한다. 다음에, 제1의 표시부(801) 또는 제2의 표시부(802)로부터 인식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이 휘도 검출 결과 및 각 표시부측의 조도를 바탕으로,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양면에 발광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의 화소부에서의 발광소자구조에 대하여 도 15a, 15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의 화소부에서의 발광소자의 단면구조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고, 도 15b는 발광소자의 소자구조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이때, 여기에서 나타낸 발광소자는, 전류제어용 TFT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의 전극과, 발광물질을 함유하는 층을 끼워서 형성된 제2의 전극으로 형성된다.
도 15a에서, 기판(1201) 위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여기에서는, 발광소자(1215)의 제1의 전극(12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발광소자(1215)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전류제어용 TFT(1222)와, 전류제어용 TFT(122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비디오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용 TFT(1221)를 나타낸다.
차광성을 갖는 기판(1201)으로서, 글래스 기판, 석영기판, 수지기판, 플렉시블한 기판재료(플라스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TFT의 활성층은, 적어도 채널형성영역(1202), 소스 영역(1203), 드레인 영역(120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TFT의 활성층은, 게이트 절연막(1205)으로 덮어지고, 게이트 절연막(1205)을 통하여 채널형성영역(1202)과 겹치는 게이트 전극(1206)이 형성되어 있 다. 또한, 게이트 전극(1206)을 덮어서 층간 절연막(1208)이 설치된다. 이때, 층간절연막(1208)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산화 규소, 질화 규소 및 질화 산화 규소 등의 규소를 포함하는 절연막 외에,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아크릴(감광성 아크릴을 함유함), BCB(벤조시클로부텐)이라고 한 유기수지막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층간 절연막(1208) 위에 전류제어용 TFT(1222)의 소스 영역(120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1207), 및 드레인 영역(120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의 전극(1211)이 설치된다. 이때, 제1의 전극(1211)이 양극일 경우에는, 전류제어용TFT(1222)를 p채널형으로 형성하고, 음극일 경우에는 전류제어용 TFT(1222)를 n채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의 전극(1211)의 단부, 및 배선(1207) 등을 덮어서 절연층(1209)이 형성된다. 다음에, 제1의 전극(1211) 위에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제2의 전극(1214)을 형성함으로써 발광소자(1215)를 완성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전극(1211) 및 제2의 전극(1214)의 재료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양극으로서 기능시키는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일함수가 큰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일함수가 4.0eV 이상)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극으로서 기능시키는 전극을 형성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일함수가 작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일함수가 3.5eV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물질을 함유한 층(1213)에서 생긴 빛을 투과시키는 전극을 형성할 경우에는, 투광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의 전극(1211, 1214)을 형성 할 필요가 있다. 양쪽의 전극재료를 투광성의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양 전극으로부터 빛을 출사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낸 발광소자에 있어서, 양극이 되는 전극으로부터 발광 물질을 함유한 층(1213)에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이 되는 전극으로부터 발광 물질을 함유한 층(1213)에 전자가 주입된다. 그리고, 발광 물질을 함유한 층(1213)에 있어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함으로써 발광이 얻어진다.
또한, 발광 물질을 함유한 층(1213)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고,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블록킹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이라고 한 캐리어에 대한 기능이 다른 층 중 어느 하나, 혹은 복수를 조합해서 적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저분자계, 고분자계, 또는 중분자계의 공지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여기에서 말하는 중분자계의 유기 화합물의 대용예로서는, 덴드리마, 오리고마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을 형성하는 정공주입재료로서는, 유기 화합물이면 폴피린계의 화합물이 유효하고, 프탈로시아닌(이하, H2-Pc라고 나타낸다), 구리 프탈로시아닌(이하, Cu-Pc라고 나타낸다) 등이 있다. 도전성 고분자 화합물에 화학 도핑을 실행한 재료도 있고, 폴리스티렌술폰산 (이하, PSS라고 나타낸다)을 도핑한 폴리에티렌디 옥시티오펜(이하, PEDOT라고 나타낸다)이나, 폴리아니린, 폴리비닐카르바졸(이하, PVK라고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정공수송 재료로서는, 방향족아민계(즉, 벤젠환-질소의 결합을 갖는 것)의 화합물이 적합하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료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TPD 외에, 그 유도체인 4, 4'-비스[N-(1-나프틸)-N-페닐 아미노]-비페닐(이하, 「α-NPD」라고 적는다)이나, 4, 4', 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이하, 「TDATA」이라고 적는다), 4, 4', 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 아미노]-트리페닐아민(이하, 「MTDATA」라고 적는다) 등의 스타 버스트형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발광층을 형성하는 발광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리스(8-퀴노리노라토)알루미늄(이하, Alq3라고 나타낸다), 트리스(4-메틸-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이하, Almq3라 나타낸다), 비스(10-히드록시벤조[h]-퀴노리나토)베릴륨(이하, BeBq2라고 나타낸다), 비스(2-메틸-8-퀴노리노라토)-(4-히드록시 비페니릴)-알루미늄(이하, BAlq라고 나타낸다), 비스[2-(2-히드록시페닐)-벤조옥사조라토]아연(이하, Zn(B0X)2라고 나타낸다), 비스[2-(2-히드록시페닐)-벤조티아조라토]아연(이하, Zn(BTZ)2라고 나타낸다) 등의 금속착체의 것 외, 각종 형광색소가 유효하다. 또한, 삼중항 발광 재료도 가능해서, 백금 내지는 이리듐을 중심금속으로 하는 착체가 주체이다. 삼중항 발광 재료로서는, 트리스(2-페닐피리딘)이리듐(이하, Ir(ppy)3라고 나타낸다), 2, 3, 7, 8, 12, 13, 17, 18-옥타에틸-21H, 23H-폴피린-백금(이하, PtOEP라고 나타낸다)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전자수송 재료로서는, 금속착체가 잘 사용되고, 상술한 Alq3, Almq3, BeBq2 등의 퀴놀린 골격 또는 벤조 퀴놀린 골격을 갖는 금속착체나, 혼합 배위자 착체인 BAlq등이 적합하다. 또한, Zn(B0X)2, Zn(BTZ)2등의 옥사졸계, 티아졸계 배위자를 갖는 금속착체도 있다. 또한, 금속착체 이외에도, 2-(4-비페닐)-5-(4-tert-부틸페닐)-1, 3, 4-옥사디아졸(이하, PBD라고 나타낸다), 1, 3-비스[5-(p-tert-부틸페닐)-1, 3, 4-옥사디아졸-2-일]벤젠(이하, OXD-7이라고 나타낸다)등의 옥사디아졸 유도체, 3-(4-tert-부틸페닐)-4-페닐-5-(4-비페니릴)-1, 2, 4-트리아졸(이하, TAZ라고 나타낸다), 3-(4-tert-부틸페닐)-4-(4-에틸페닐)-5-(4-비페니릴)-1, 2, 4-트리아졸(이하, p-EtTAZ라고 나타낸다) 등의 트리아졸 유도체, 바소페난토로린(이하, BPhen이라고 나타낸다), 바소큐프로인(이하, BCP라고 나타낸다)등의 페난토로린 유도체가 전자수송성을 갖는다.
기타, 블록킹층을 포함시킬 경우에는, 블록킹층을 형성하는 정공저지재료로서, 위에서 서술한 BAlq, OXD-7, TAZ, p-EtTAZ, BPhen, BCP등이, 여기에너지 레벨이 높기 때문에 유효하다.
도 15b에는, 제1의 전극(1211) 및 제2의 전극(1214)의 양쪽이, 투광성 재료 로 형성되어 있고, 제1의 전극(1211)이 양극이고, 제2의 전극(1214)이 음극인 경우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제1의 전극(1211)은, 산화 인듐 주석 (ITO)막, 산화인듐에 2∼20[%]의 산화아연(ZnO)을 혼합한 투명도전막, IZ0, 및In2O3-ZnO라고 한 투명도전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제2의 전극(1214)은, 일함수가 작은 재료인 Mg:Ag(마그네슘과 은의 합금)과 ITO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에서 생긴 빛은, 제1의 전극(1211) 및 제2의 전극(1214)의 양쪽측에서 출사된다.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을 형성하는 재료는, 앞에 나타낸 재료를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전극(1211) 및 제2의 전극(1214)의 양쪽으로부터 빛을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한 발광소자에 있어서, 도 15b로 나타낸 구성과는 다른 구성의 소자에 대해서 도 16a, 16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전극(1211)이 양극이고, 제2의 전극(1214)이 음극이어도 상관없이, 모두 ITO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즉, 음극이 되는 제2의 전극(1214)과 접해서 형성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에는, 일함수가 작은 Li, Cs 등의 알칼리 금속이 도핑된 도핑층(1304)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음극측의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의 일함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음극이 되는 제2의 전극(1214)의 전극재료에 ITO를 사용한 경우에도 음극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6b에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이, 정공주입층(1305), 정공수송층(1306), 발광층(1307), 블록킹층(1308), 전자수송층(1309) 및 도핑층 (1304)에 의해 적층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제2의 전극(1214)과 접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에 도핑층을 형성하는 이외의 적층 구성은 상술한 재료를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6b 우측에는, 각 층으로서 사용하는 재료예와 그 막두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를 풀컬러 표시라고 하는 경우,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1213)에,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을 나타내는 재료층을 각각 증착 마스크를 사용한 증착법, 또는 잉크젯법 등에 의해 적절하고 선택적으로 막 형성하면 좋다. 또한,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백색발광이라고 하고, 컬러 필퍼나 색변환층 등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풀컬러 표시해도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양면에 발광가능한 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서, 센서 및 표시장치의 부품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서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나타낸 휴대 통신기기보다도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갖는 휴대 통신기기에 대해서 도 2, 도 5 및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휴대통신기기의 대표예로서 휴대전화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2와 같은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착해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와 같이 표시부로서 2개의 표시부(801, 802)를 사 용하는 대신에,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투광성을 갖는 기판 831a, 거기에 설치된 발광 영역 831b로 구성된다)을 사용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조작부(도 5의 803)와 마주 보는 표시부를 제1의 표시부라고 하고, 이쪽에서 발하는 제1의 빛을 318a라고 하고, 그 빛에 의해 인식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표시부와 반대측의 표시부를 제2의 표시부라고 하고, 이쪽에서 제2의 빛(318b)이 발하게 되어, 인식 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센서(도 14의 306. 이때, 광센서 306은, 투광성을 갖는 기판 306a 및 그것에 설치된 수광영역 306b로 형성된다.)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3개의 검출 소자가 병렬로 접속된 것이다. 여기서, 제 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표시부에 조사되는 빛(310)의 밝기(조도)를 검출하는 것이고, 제2의 검출 소자는, 제2의 표시부에 조사되는 빛(311)의 밝기(조도)를 검출하는 것이며, 제3의 검출 소자는 표시장치(831)가 발광한 빛(317)의 휘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센서(306)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와 투광성을 갖는 접착재(316)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의 빛은, 표시장치의 기판(831a) 또는 발광영역(831b)과, 상기 접착재(316)를 거쳐서 광센서(306)에 입광하기 때문에, 제3의 검출소자에서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가 발광한 빛(317)의 휘도를 검출 할 수 있다.
도 5의 개폐 검출 스위치(812)에 의해, 제1의 케이싱(800a)과 제2의 케이싱(800b)이 열려 있다고 판단한 경우, 광센서(306)에 의해, 제1의 표시부측에 조사되는 빛(310)의 조도를 검출한다. 또한, 제3의 검출 소자에 의해,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에서 발광되는 빛(317)의 휘도를 검출한다. 다음에,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 및 양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831)의 휘도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표시장치(831)는 제1의 표시부에 제1의 빛(318a)을 발하고,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2개의 케이싱이 닫혀 있다고 판단한 경우, 광센서(306)가, 제2의 표시부측의 빛(311)의 밝기(조도)를 검지한다. 다음에, 이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표시장치(831)는, 제2의 표시부의 측에서 제2의 빛(318b)을 발하고, 인식이 가능한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양면에 발광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에 대해서는, 실시예 4에서 서술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양면에 발광가능한 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센서 및 표시장치의 부품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서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나타낸 휴대용 통신기기보다도 더욱 소형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6)

  1. 투광성을 갖는 기판 위에 적어도 제1의 검출 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검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2의 검출 소자는, 상기 제1의 방향과 다른 제2의 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의 검출 소자는, 제1의 전극, 제1의 반도체막 및 제2의 전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검출 소자는, 상기 제1의 전극, 제2의 반도체막 및 제3의 전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전극과 상기 제3의 전극은 투광성을 갖는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전극은 금속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 소자는, 제3의 검출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의 검출 소자는, 상기 제1의 전극, 상기 제1의 반도체막 및 제4의 전극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의 전극은 금속막으로 형성되는 광센서.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을 갖는 도전막은, 산화인듐 산화 주석 합금, 산화인듐 산화아연합금,또는 산화아연으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막은, 금, 구리, 니켈, 백금 또는 은의 원소를 포함하는 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막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막은, 비정질 실리콘막, PIN 접합을 갖는 실리콘막, 또는 미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8.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함께 결합된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과,
    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케이싱은,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된 제1의 표시부 및 제2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케이싱은,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의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광센서는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검출 소자는 제1의 검출소자 및 제2의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의 검출 소자는, 상기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의 검출소자는, 상기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고,
    상기 광센서는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 위의 제 1의 투명전극과,
    상기 제1의 투명전극 위의 제1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1의 반도체막 위의 금속전극과,
    상기 금속전극 위의 제2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2의 반도체막 위의 제2의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제1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제2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조작부의 투광성을 갖는 조작 버튼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검출 소자는 상기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 소자는, 제3의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케이싱 및 상기 제 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3의 검출 소자는, 상기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5. 삭제
  16. 삭제
  17. 휴대통신기기로서,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함께 연결된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과,
    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케이싱은,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된 제1의 표시부 및 제2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케이싱은,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의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휴대통신기기는,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제1의 수단과,
    상기 제1의 수단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하는 제2의 수단과,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하는 제3의 수단과,
    상기 제3의 수단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해서 표시하는 제4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센서는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 위의 제 1의 투명전극과,
    상기 제1의 투명전극 위의 제1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1의 반도체막 위의 금속전극과,
    상기 금속전극 위의 제2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2의 반도체막 위의 제2의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단과 상기 제3의 수단은 상기 제1의 케이싱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단과 상기 제3의 수단은 상기 제2의 케이싱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단과 상기 제3의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투광성을 갖는 조작 버튼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의 표시부를 표시해서 그 휘도를 검출하는 제5의 수단과,
    상기 제5의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결과 및 상기 제1의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하는 제6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2. 제 8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부 및 상기 제2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EL 표시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3. 제 8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부 및 상기 제2의 표시부는, 양면으로부터 발광이 가능한 표시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4. 광센서를 갖는 접이식 휴대통신기기의 표시 방법으로서,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열려 있는 상태에, 제1의 검출 소자를 이용해서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함으로써 제1의 검출 결과를 얻는 것과,
    상기 제1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하는 것과,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제2의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함으로써 제2의 검출 결과를 얻는 것과,
    상기 제2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해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 위의 제 1의 투명전극과,
    상기 제1의 투명전극 위의 제1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1의 반도체막 위의 금속전극과,
    상기 금속전극 위의 제2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2의 반도체막 위의 제2의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통신기기의 표시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의 표시부를 표시하고,
    그것의 휘도를 상기 제1의 검출 소자를 이용해서 검출함으로써 제3의 검출 결과를 얻고,
    상기 제3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제1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통신기기의 표시 방법.
  26. 광센서를 갖는 접이식 휴대통신기기의 표시 방법으로서,
    제1의 케이싱 및 제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제1의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검출해서 제1의 검출 결과를 얻는 것과,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제2의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해서 제2의 검출 결과를 얻는 것과,
    상기 제1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제2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의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해서 표시하는 것과,
    상기 제1의 케이싱 및 상기 제2의 케이싱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제3의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제2의 표시부측의 조도를 검출해서 제3의 검출 결과를 얻는 것과,
    상기 제3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해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 위의 제 1의 투명전극과,
    상기 제1의 투명전극 위의 제1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1의 반도체막 위의 금속전극과,
    상기 금속전극 위의 제2의 반도체막과,
    상기 제2의 반도체막 위의 제2의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통신기기의 표시 방법.
KR1020057018032A 2003-03-26 2004-03-17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휴대용 통신기기및 표시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02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6247 2003-03-26
JP2003086247 2003-03-26
PCT/JP2004/003544 WO2004090487A1 (ja) 2003-03-26 2004-03-17 多方向からの光を検出する光センサ、携帯通信機器及び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218A KR20050121218A (ko) 2005-12-26
KR101102370B1 true KR101102370B1 (ko) 2012-01-05

Family

ID=3315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0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2370B1 (ko) 2003-03-26 2004-03-17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휴대용 통신기기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52658B2 (ko)
EP (1) EP1612526A4 (ko)
JP (2) JP4767013B2 (ko)
KR (1) KR101102370B1 (ko)
CN (1) CN100480649C (ko)
WO (1) WO2004090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1185B2 (en) * 2003-06-27 2007-01-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681140B2 (en) 2004-05-21 2014-03-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059109B2 (en) * 2005-05-20 2011-11-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GB2431276B (en) * 2005-10-14 2008-11-12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splay monitoring systems
WO2007058183A1 (en) * 2005-11-18 2007-05-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WO2007125932A1 (en) * 2006-04-28 2007-1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US7847790B2 (en) * 2006-08-30 2010-12-07 Elan Home Systems Interactive touchpad
US7791012B2 (en) * 2006-09-29 2010-09-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high-potential and low-potential electrodes
KR101365491B1 (ko) * 2006-11-17 2014-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EP2129090B1 (en) *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8314859B2 (en) * 2008-05-29 2012-11-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KR101526970B1 (ko) *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129085B1 (en) * 2008-05-29 2011-03-30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128686B1 (en) * 2008-05-29 2017-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a solar cell module integrated under th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EP2129091A1 (en) * 2008-05-29 2009-12-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transparent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TE489804T1 (de) * 2008-05-29 2010-12-1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JP2010014827A (ja) * 2008-07-02 2010-01-21 Nec Saitama Ltd 端末装置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点灯方法
US20100004518A1 (en) 2008-07-03 2010-01-07 Masimo Laboratories, Inc. Heat sink for noninvasive medical sensor
EP2159997A1 (en) * 2008-09-02 2010-03-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ual light sensors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0171617A (ja) 2009-01-21 2010-08-0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電子機器の照度検出方法、折り畳み式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ATE509375T1 (de) * 2009-06-10 2011-05-15 Mikko Kalervo Vaeaenaenen Hochleistungs-solarzelle
KR101706291B1 (ko) * 2010-03-11 2017-0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JP5635305B2 (ja) * 2010-05-26 2014-12-03 任天堂株式会社 携帯型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436406B2 (ja) * 2010-12-27 2014-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492905A1 (en) * 2011-02-25 2012-08-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Display brightness adjustment
DE112012004513T5 (de) 2011-10-28 2014-11-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bbildungsvorrichtung
CN104424912A (zh) * 2013-08-22 2015-03-18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亮度调节电路
US20150132008A1 (en) * 2013-11-11 2015-05-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Via-less multi-layer integrated circuit with inter-layer interconnection
WO2015125645A1 (ja) * 2014-02-18 2015-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6394071B2 (ja) * 2014-05-30 2018-09-26 ソニー株式会社 照明装置、照明方法及び内視鏡
JP2015223463A (ja) * 2014-05-30 2015-12-14 ソニー株式会社 照明装置、照明方法及び内視鏡
WO2015182025A1 (en) 2014-05-30 2015-12-03 Sony Corporation Illumination apparatus, method and medical imaging system
CN106486087B (zh) * 2015-09-02 2020-04-24 深迪半导体(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显示亮度的调节方法和调节装置
CN106657726B (zh) * 2016-10-21 2019-10-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的图像处理方法和移动终端
CN106657725B (zh) * 2016-10-21 2019-10-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的图像处理方法和移动终端
CN109872670B (zh) 2017-12-05 2021-1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显示装置、显示电路及其亮度补偿方法
CN108833615B (zh) * 2018-03-29 2020-08-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8962942B (zh) * 2018-06-12 2021-01-26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亮度的pm-oled显示器及其制作方法
CN109961694B (zh) * 2019-02-28 2023-02-28 重庆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EP3835890B1 (fr) 2019-12-13 2022-06-1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d'affichage digital comprenant deux cellules d'affichage superposees
AU2021207471A1 (en) 2020-01-13 2022-09-01 Masimo Corporation Wearable device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KR20240032835A (ko) 2021-07-13 2024-03-12 마시모 코오퍼레이션 생리학적 지표들을 감시하는 웨어러블 기기
KR20240006438A (ko) 2022-07-06 2024-0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EP4506667A4 (en) * 2023-06-20 2025-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LIGHT INTENSITY IDENTIFICATION USING AT LEAST ONE ILLUMINANCE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98B1 (ko) * 1993-06-11 1998-10-01 다까노 야스아끼 위치결정장치
JP2002111864A (ja) 2000-10-03 2002-04-12 Pioneer Electronic Corp 照明制御機能を有する携帯情報端末装置
US6424326B2 (en) 2000-01-11 2002-07-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portion and a sensor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305A (en) * 1984-06-18 1986-07-01 Xerox Corporation Depletion mode thin film semiconductor photodetectors
JPS6175568A (ja) 1985-09-06 1986-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2709507B2 (ja) * 1989-04-19 1998-02-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
JPH0348250U (ko) * 1989-09-19 1991-05-08
JPH05129646A (ja) * 1991-11-07 1993-05-25 Fujitsu Ltd 赤外線検知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90015A (ja) 1992-09-08 1994-03-29 Fuji Xerox Co Ltd フォト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067082A (en) 1992-11-09 2000-05-23 Enmei; Toshiharu Portable communicator
JP2752309B2 (ja) 1993-01-19 1998-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774691A (ja) 1993-08-31 1995-03-17 Sanyo Electric Co Ltd 折畳機構付携帯電話機
US5703436A (en) * 1994-12-13 1997-12-30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Transparent contacts for organic devices
US5760760A (en) * 1995-07-17 1998-06-02 Dell Usa, L.P. Intelligent LCD brightness control system
EP0941600B1 (de) * 1996-05-29 2003-12-03 Deutsche Telekom AG Einrichtung zur eingabe von informationen
JP2944582B2 (ja) * 1997-06-25 1999-09-0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6167110A (en) * 1997-11-03 2000-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voltage x-ray and conventional radiograph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WO1999039372A2 (en) 1998-02-02 1999-08-05 Uniax Corporation Image sensors made from organic semiconductors
US6352777B1 (en) * 1998-08-19 2002-03-0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transparent electrodes
JP2000156522A (ja) 1998-11-19 2000-06-06 Canon Inc 光電変換装置
JP4082547B2 (ja) 1999-02-26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発光素子の電源供給制御装置
JP2001035652A (ja) * 1999-07-21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照光ユニット
US6392617B1 (en) 1999-10-27 2002-05-21 Agilent Technologies, Inc.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3337018B2 (ja) * 1999-11-19 2002-10-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デカップリング回路および高周波回路
DE10001955A1 (de) * 2000-01-18 2001-07-19 Gerd Reime Opto-elektronischer Schalter
JP2002072963A (ja) 2000-06-12 2002-03-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光センサ
US7030551B2 (en) 2000-08-10 2006-04-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rea sensor and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n area sensor
JP3609698B2 (ja) 2000-08-11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通信端末機
JP3530475B2 (ja) 2000-09-25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3392831B2 (ja) * 2001-04-03 2003-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2002320012A (ja) 2001-04-20 2002-10-31 Nec Access Technica Ltd 液晶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機器
DE10131608B4 (de) 2001-06-29 2004-02-05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Photosensor für ein Durchlichtverfahren zur Detektion der Bewegungsrichtung von Intensitätsmaxima und Intensitätsminima einer optischen stehenden Welle
JP2003018267A (ja) 2001-07-03 2003-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
JP4304288B2 (ja) 2001-07-17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機
JP3781652B2 (ja) 2001-10-12 2006-05-3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並びに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のディスプレイ輝度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883854B2 (ja) 2001-11-29 2007-0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ゲーム機器、及び携帯情報端末
JP2003258975A (ja) * 2002-02-27 2003-09-12 Rohm Co Ltd 携帯機器及び発光駆動ic並びに調整方法
JP4094386B2 (ja) 2002-09-02 2008-06-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回路装置
JP2004140472A (ja) 2002-10-15 2004-05-13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装置
JP4283087B2 (ja) 2002-10-30 2009-06-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光電変換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98B1 (ko) * 1993-06-11 1998-10-01 다까노 야스아끼 위치결정장치
US6424326B2 (en) 2000-01-11 2002-07-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portion and a sensor portion
JP2002111864A (ja) 2000-10-03 2002-04-12 Pioneer Electronic Corp 照明制御機能を有する携帯情報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218A (ko) 2005-12-26
WO2004090487A1 (ja) 2004-10-21
CN100480649C (zh) 2009-04-22
CN1764829A (zh) 2006-04-26
US20090309859A1 (en) 2009-12-17
EP1612526A4 (en) 2012-11-21
US7652658B2 (en) 2010-01-26
JP5137987B2 (ja) 2013-02-06
US9772221B2 (en) 2017-09-26
JP2010175549A (ja) 2010-08-12
JP4767013B2 (ja) 2011-09-07
JPWO2004090487A1 (ja) 2006-07-06
US20050030518A1 (en) 2005-02-10
EP1612526A1 (en)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370B1 (ko) 다방향으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휴대용 통신기기및 표시 방법
KR101239814B1 (ko)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US9363913B2 (en) Electronic devices
US7019714B2 (en)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organic electroluminescent and liquid crystal devices
CN1757052B (zh) 显示装置、折叠型便携终端
US9231232B2 (en)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panel, and light-emitting device
CN1967328B (zh) 显示装置及其制造和驱动方法
JP200315702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05712A (ja) 携帯端末
US7176858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4463834B2 (ja) 携帯通信機器
JP4667248B2 (ja) 表示装置
US2004026366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irror function and image capture function
CN113889514A (zh) 显示装置以及包括该显示装置的电子设备
JP2002196705A (ja) 画像表示装置
CN116744726A (zh) 发光显示装置和电子装置
CN115528068A (zh) 发光显示装置
JP2005333521A (ja) 携帯端末
JP2021125451A (ja) 発光装置、表示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4025181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uxiliary light
JP2005250501A (ja) 表示装置、折り畳み型携帯端末
US20060049751A1 (en) Display device with dual display areas
JP2024008843A (ja) 発光装置、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電子機器
CN111477105A (zh) 显示模组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