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1838B1 -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838B1
KR101101838B1 KR1020090128216A KR20090128216A KR101101838B1 KR 101101838 B1 KR101101838 B1 KR 101101838B1 KR 1020090128216 A KR1020090128216 A KR 1020090128216A KR 20090128216 A KR20090128216 A KR 20090128216A KR 101101838 B1 KR101101838 B1 KR 10110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guide
guide
machine tool
gri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601A (ko
Inventor
허기형
Original Assignee
허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기형 filed Critical 허기형
Priority to KR102009012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8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 상에 거치되고 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볼트에 의해 제1프레임에 대한 테이퍼각이 조절되는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제1축가이드 및 제2축가이드와, 제1축가이드 및 제2축가이드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연삭부재 및 연삭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축가이드 및 제2축가이드는 상호 직교하고 각각이 더브테일 가이드로 형성된다.
연삭기계, 스핀들, 테이퍼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GRINDING APPARATUS FOR SPINDLE TAPER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삭부재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 후 이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와 같은 공작기계의 스핀들에는 테이퍼가 결합되어 있으며, 테이퍼에는 다양한 공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스핀들이 회전하면 척과 함께 공구가 회전하면서 공작물에 대한 가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머시닝센터의 경우에는 다양한 공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스핀들에 다수 개의 척을 부착한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척을 테이퍼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또는 공작물 가공시 발생하는 공작물의 미세한 칩(chip) 등이 테이퍼로 유입되어 테이퍼의 테이퍼각이 원래 설계한 각도와는 달라지거나 또는 테이퍼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가 손상되는 경우, 공구의 설정 각 자체가 변경되어서, 결과적으로 공작물이 원래 의도한 치수 및 형상으로 가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 공작기계의 테이퍼에 발생한 오차를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연삭부재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 후 이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작기계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는, 공작기계 상에 거치되고 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볼트에 의해 제1프레임에 대한 테이퍼각이 조절되는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제1축가이드 및 제2축가이드와, 제1축가이드 및 제2축가이드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연삭부재 및 연삭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축가이드 및 제2축가이드는 상호 직교하고 각각이 더브테일 가이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볼트는 상호 대향 하도록 배치된 제1조절볼트 및 제2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제1조절볼트 및 제2조절볼트는 제2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제2프레임을 가압함으로써 제2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제1프레임에는 클램프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는 제2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축가이드는 더브테일 가이드로 형성된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제2축가이드는 더브테일 가이드로 형성된 제2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축가이드는 연삭부재의 좌우 위치를 결정하고, 제2축가이드는 연삭부재의 상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축가이드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테이퍼에 발생한 오차를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삭부재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 후 이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의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예시된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는 일정한 테이퍼각(a, 도 4 참조)을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는 제1프레임(110)에 대해서 제2프레임(120)이 테이퍼각(a)을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는, 공작기계에 거치되는 제1프레임(110)과, 제1프레임(110)에 대해 테이퍼각(a)을 가지고 배치되는 제2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20) 상에 위치하면서 상하 위치조정 및 좌우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제1축가이드(130) 및 제2축가이드(140)와, 제2축가이드(140) 상에 위치하는 동력부재(160)와, 동력부재(16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내면을 연삭하는 연삭부재(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에서, 제1프레임(110)은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를 각각 구비한다.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는 상호 대향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부는 제2프레임(120)을 가압함으로써, 제2프레임(120)의 위치를 결정하게 한다. 그리고 제1프레임(110)에는 클램프(116)가 구비되어 있는데, 클램프(116)는 테이퍼각(a)이 설정된 제2프레임(1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는 연삭부재(170)의 테이퍼각(a)을 설정하는 제2프레임(120)의 위치를,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를 통해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설정된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를 통해 테이퍼각이 위치 설정된 제2프레임(120)을 클램프(116)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연삭 과정에서 설정된 테이퍼각(a)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축가이드(130) 및 제2축가이드(140)는 모두 더브테일(dovetail)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연삭부재(170)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더브테일 구조는 도 2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면의 끼워맞춤 형식의 일종으로서, 끼워맞춤부에 비둘기 꼬리 모양을 한 암수의 각도를 붙여 밑면이 위쪽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 구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더브테일 구조는 종래의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에 비해서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많은 진동이 가해지는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에서 연삭부재(17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프레임(110)은, 도 4와 같이, 공작기계(도시하지 않음) 상에 수직으로 거치된다. 제1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는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가 상호 대향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클램프(116)가 배치되어 있다. 제1프레임(110) 상에는 제2프레임(1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의 단부는 제2프레임(120)의 양 측면 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는,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에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1프레임(110)에 대해 회전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조절볼트를 예시하였지만, 조절볼트는 좌우 2쌍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프레임(120)은 회전축(122)에 의해 제1프레임(110)과 연결되는 것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프레임(120) 상에는 제1축가이드(130) 및 제2축가이드(140) 그리고 동력부재(160) 및 연삭부재(170)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120)의 각도가 변경되면, 제1축가이드(130) 및 제2축가이드(140) 그리고 동력부재(160) 및 연삭부재(170)의 각도도 함께 변경된다.
제2프레임(120)의 회전은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에 의해서 제한된다.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20)의 양 측면과 접촉하면서 제2프레임(1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제2프레임(120)의 테이퍼각(a)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1조절볼트(112) 및 제2조절볼트(114)를 회전시킨 후 클램프(116)를 이용하여 제2프레임(120)을 고정하면 된다. 제2프레임(120)의 테이퍼각(a)이 연삭부재(170)의 테이퍼각이 된다.
제2프레임(120) 상에 위치하는 제1축가이드(130)는 제2축가이드(140)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삭부재(170)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축가이드(130)는 더브테일 구조의 제1슬라이더(1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축가이드(140)는 제1슬라이드(132)의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 다. 또한, 제1슬라이더(132)는 유압실린더(134)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유압실린더(134)는 도 5에 예시된 제어시스템(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축가이드(130) 상에 위치하는 제2축가이드(140)는 연삭부재(170)의 좌우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핸들(142)과, 베벨기어(144), 이송 스크류(146) 및 제2슬라이더(15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삭부재(170)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핸들(142)을 잡고 돌리게 되면, 핸들(142)의 회전력이 베벨기어(144)를 통해서 이송 스크류(146)로 전달되고, 이송 스크류(146)의 회전에 의해 제2슬라이더(152)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1축가이드(130) 및 제2축가이드(140)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축가이드(130)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축가이드(140)는 직교 좌표축을 형성하게 된다.
제2슬라이더(152)는, 제1슬라이더(132)와 마찬가지로, 더브테일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제2슬라이더(152)의 더브테일 구조는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2슬라이더(152)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진동에 따른 영향을 별로 받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동력부재(160)는 제2축가이드(140) 상에 위치하면서 연삭부재(17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모터(162)와, 모터(162)의 샤프트에 결합된 풀리(pulley)(164)와, 벨트(166)로 이루어진다.
모터(162)는 제1축가이드(130) 및 제2축가이드(140)에 의해 상하 및 좌우 방향이 결정되며, 벨트(166)를 통해서 스핀들박스(168)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모터(162)의 회전 유무 및 회전속도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시스템(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162)의 샤프트 단부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풀리(164)가 결합되어 있다.
스핀들박스(168)는 연삭부재(170)의 회전축이 되는 것으로, 모터(162)로부터 회전력을 받아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핀들박스(168)는 제1축가이드(130)에 의해서 상하 방향 위치가 조정되고, 제2축가이드(140)에 의해서 좌우 방향 위치가 조정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연삭부재(170)는 스핀들박스(168)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내면을 연삭하는 역할을 한다. 연삭부재(170)의 테이퍼각은 제1프레임(110)에 대한 제2프레임(120)의 테이퍼각(a)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연삭부재(170)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위치는 제1축가이드(130) 및 제2축가이드(140)에 의해서 결정된다.
연삭부재(170)는 일종의 내면 연삭기(internal grinding machine)로서,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내면을 연삭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연삭숫돌의 바깥지름은 가공물의 안지름에 비해서 작기 때문에 필요한 연삭 속도 25~30m/sec를 얻기 위해서 연삭숫돌 주축에 해당하는 스핀들박스(168)의 회전수를 많게 하여야 하며, 또한 외경 연삭에 비해서 숫돌의 마모가 많게 된다.
드레서(dresser)(180)는 스핀들박스(168)의 주축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드레싱(dressing) 또는 트루잉(truing)에 사용된다. 드레싱(dressing)은 숫돌 바퀴 입자가 막히거나 달아서 절삭속도가 둔해졌을 때, 드레서라는 날 내기 공구로 숫돌차의 표면을 깎아 숫돌 바퀴의 날을 세우는 조작으로,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 드레서를 사용한다. 드레서는 보통 다이아몬드를 납땜, 코팅(caulking) 혹은 소결에 의해서 강철제의 자루에 부착한 것이 널리 사용되며, 다이아몬드 드레서라고도 한다. 사용되는 다이아몬드의 수에 따라서 단석 드레서, 다석 드레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밖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작은 원판형 차(車)나 숫돌차를 갖춘 드레싱 휠(dressing wheel), 막대 모양의 드레싱 스틱(dressing stick)이 사용되기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190)의 사시도이다.
제어시스템(190)은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100)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제1축가이드(130)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34) 및 동력부재(160)에 구비된 모터(16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어시스템(190)은 모터(192), 펌프(194), 탱크(196), 솔레노이드밸브(198) 및 제어패널(199)을 포함한다.
모터(192)는 탱크(196)에 내장되어 있는 작동유체에 압력을 주는 것으로, 모터(192)의 작동에 의해 작동 유체는 솔레노이드 밸브(198)를 통해서 제1축가이드(130)의 유압실린더(134)에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어패널(199)에 구비된 다수 개의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제1축가이드(130)의 이동 거리 및 모터(16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 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프레임에 대해서 제2프레임이 테이퍼각을 가지고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Claims (6)

  1. 공작기계 상에 거치되고 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한 테이퍼각이 조절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제1축가이드 및 제2축가이드 - 상기 제1축가이드 및 상기 제2축가이드는 상호 직교하고 각각이 더브테일 가이드로 형성됨 -;
    상기 제1축가이드 및 상기 제2축가이드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연삭부재; 및
    상기 연삭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는 상호 대향 하도록 배치된 제1조절볼트 및 제2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볼트 및 상기 제2조절볼트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제2프레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에는 클램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2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가이드는 더브테일 가이드로 형성된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가이드는 더브테일 가이드로 형성된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가이드는 상기 연삭부재의 좌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축가이드는 상기 연삭부재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가이드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KR1020090128216A 2009-12-21 2009-12-21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0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16A KR101101838B1 (ko) 2009-12-21 2009-12-21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16A KR101101838B1 (ko) 2009-12-21 2009-12-21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601A KR20110071601A (ko) 2011-06-29
KR101101838B1 true KR101101838B1 (ko) 2012-01-05

Family

ID=4440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2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1838B1 (ko) 2009-12-21 2009-12-21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0782B (zh) * 2019-06-05 2021-08-13 邵阳学院 一种打磨机
CN111389619B (zh) * 2020-03-30 2021-07-09 杨性宇 一种木门喷漆用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387B1 (ko) * 1993-02-24 1998-07-01 기와무라 히로요시 선박용 밸브와 밸브좌의 연마장치
KR19990022831U (ko) * 1999-04-22 1999-07-05 오병영 판유리면취기의브러쉬높낮이조절장치
KR19990029103U (ko) * 1997-12-27 1999-07-15 양재신 핸드 그라인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387B1 (ko) * 1993-02-24 1998-07-01 기와무라 히로요시 선박용 밸브와 밸브좌의 연마장치
KR19990029103U (ko) * 1997-12-27 1999-07-15 양재신 핸드 그라인더
KR19990022831U (ko) * 1999-04-22 1999-07-05 오병영 판유리면취기의브러쉬높낮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601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4552B (zh) 圆盘状基板的磨削方法、磨削装置
KR20120033307A (ko) 연삭 지지 장치
JP5239251B2 (ja) トラバース研削装置及び加工方法
KR101101838B1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KR20150010619A (ko) 연삭액 공급 장치
JP2020179431A (ja) 砥石車のドレッシング方法及び砥石車修正装置
JP4712586B2 (ja) Nc工作機械
CN101125412A (zh) 一种盘类零件端面槽的磨削方法
CN216883179U (zh) 一种适用于加工内外曲线的走头式随动磨床
KR102047717B1 (ko) 블레이드의 드레싱 기구 및 그 기구를 구비한 절삭 장치 및 그 기구를 사용한 블레이드의 드레싱 방법
JP2003103460A (ja) 工作物表面を油溜りがある超仕上面に研削加工する方法及び装置
CN108890411A (zh) 一种圆锯片研磨机
JP2008307633A (ja) 工作物の研削方法
JP5425570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のトラニオンの加工方法及び装置
JP5039957B2 (ja) 内面研削装置用砥石および内面研削方法
JP3180049B2 (ja) センタレス研削盤のドレッシング装置およびドレッシング方法
CN103358207A (zh) 钻床专用煤化工球阀球芯万能磨削装置
CN208841053U (zh) 一种圆锯片研磨机
JP2005118981A (ja) 円形研削を行う方法及び装置
JPS61146471A (ja) ドレツシング装置
JP2006088291A (ja) 研削盤におけるクーラント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5010421B2 (ja) 工作物外径面および平面のセンタレス研削方法およびセンタレス研削装置
JP2007237377A (ja) 溝加工装置および溝加工法
JP4486898B2 (ja) 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JPH05138513A (ja) 対向砥石台を備えた円筒研削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