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525B1 - Portable Hearing Aids for Public Beaches - Google Patents
Portable Hearing Aids for Public Beach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9525B1 KR101099525B1 KR1020100124038A KR20100124038A KR101099525B1 KR 101099525 B1 KR101099525 B1 KR 101099525B1 KR 1020100124038 A KR1020100124038 A KR 1020100124038A KR 20100124038 A KR20100124038 A KR 20100124038A KR 101099525 B1 KR101099525 B1 KR 1010995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ring aid
- receiver
- transmitter
- button
- bee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77 cochle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027 ear inn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59 ear midd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26 lymph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60 cochlear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3 ear extern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68 hai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51 lymp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9—Aspects relating to automatic logging of sound environment paramet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ring aid during use, e.g. histogram logging, or of user selected programs or settings in the hearing aid, e.g. usage log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ransmitt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청기를 하나의 송신부와 다수의 수신부로 각각 분리 구성하되, 분리된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는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민원서식을 제공하는 테이블위에 비치(備置)하고, 보청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부와 10m 반경이내에 설치하여 분리된 보청기 송.수신부 간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민원인 중의 난청자가 테이블위에 비치된 보청기 수신부를 휴대하여 사용함으로써 은행, 관공서의 민원 처리자 또는 주변의 음성을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어 저가의 비용으로 많은 고객에게 보청기를 제공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보청기 송신부와 보청기 수신부가 포함된 보청기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송신부와 보청기 수신부는 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보청기 수신부는 하나의 보청기 송신부와 10m 범위 이내 다수 개 비치되어 하나의 보청기 송신부가 다수 개의 보청기 수신부와 대응 통신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earing aid for a public place, and more particularly, a hearing aid is separated into one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receivers,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separated hearing aid receivers are usually used for civil petitions as in banks and government offices. It is provided on the table provided, and the hearing aid receiver is installed within 10m radius of the receiver to allow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parated hearing aid transmitter and receiver so that the hearing aid of the complainant is carried by using the hearing aid receiver provided on the tabl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earing aid for a public place beach, which can clearly listen to the voice of a civil complaint processor or a surrounding voic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many customers at a low cost.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ring aid transmitter and a hearing aid receiver include a hearing aid transmitter and a hearing aid receiver configur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the hearing aid receiver includes one hearing aid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hearing aid transmitters within a range of 10 m. It is characterized by corresponding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hearing aid receiv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청기를 하나의 송신부와 다수의 수신부로 각각 분리 구성하되, 분리된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는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민원서식을 제공하는 테이블위에 비치(備置)하고, 보청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부와 10m 반경이내에 설치하여 분리된 보청기 송.수신부 간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민원인 중의 난청자가 테이블위에 비치된 보청기 수신부를 휴대하여 사용함으로써 은행, 관공서의 민원 처리자 또는 주변의 음성을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어 저가의 비용으로 많은 고객에게 보청기를 제공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earing aid for a public place, and more particularly, a hearing aid is separated into one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receivers,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separated hearing aid receivers are usually used for civil petitions as in banks and government offices. It is provided on the table provided, and the hearing aid receiver is installed within 10m radius of the receiver to allow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parated hearing aid transmitter and receiver so that the hearing aid of the complainant is carried by using the hearing aid receiver provided on the tabl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earing aid for a public place beach, which can clearly listen to the voice of a civil complaint processor or a surrounding voic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many customers at a low cost.
일반적으로 사람의 귀는 크게 외이, 중이, 내이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사람의 귀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general, the human ea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outer ear, the middle ear, and the inner ear, and the path through which the human ear can hear sounds is as follows.
즉, 소리의 진동이 귓바퀴에 모여져 외이도를 따라 고막으로 전달되고, 외이도는 한쪽이 고막에 의해 막힌 일종의 공명관 형태로서 고막의 진동은 중이 안에 있는 세 이소골(즉, 망치뼈, 모루뼈, 고리뼈)을 통해 내이로 전달되며, 이소골의 진동이 고리뼈의 족판을 통해 내이 안에 있는 달팽이관에 전달되면 달팽이관 내부의 림프액이 움직이고, 달팽이관의 가운데층에 있는 수천 개의 미세한 유모세포들이 림프액의 지동을 감지하여 그 자극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됨으로써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vibrations of sound are collected in the ear canal and transmitted to the eardrum along the ear canal, and the ear canal is a type of resonator tube that is blocked by the eardrum. The vibration of the eardrum causes the three osseous bones (ie, hammerbone, anvil bone and ring bone) in the middle ear. When the oscillation of the osseous bone is transmitted to the cochlea in the inner ear through the plate bone of the annulus, the lymphatic fluid inside the cochlea moves, and thousands of fine hair cells in the middle layer of the cochlea detect the movement of the lymphatic fluid and stimulate the lymph.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auditory nerve so that a person can hear the sound.
따라서 청각이 저하 또는 상실된 상태에 있는 난청(難聽, impaired hearing) 환자의 경우 보청기의 착용을 필요로 하며, 상기의 보청기는 정상인이 들을 수 있는 대역의 음을 증폭 혹은 변형하여 난청자로 하여금 정상인과 같은 정도로 지각하도록 만들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hearing impaired hearing impaired patients (hearing impaired hearing loss (hearing impaired), a hearing aid (hearing impaired hearing aid), the hearing aid is required to wear a hearing aid, the hearing aid amplifies or modifies the sound of the band that can be heard by the hearing impaired It's about making you perceptive.
이와 같은 보청기는 난청이 그리 심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외관상과 번거러움의 이유로 인하여 사용을 기피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일지라도 착오로 인해 항시 착용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에게는 고가의 보청기를 구입하여 착용하기에는 많은 부담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Hearing aids such as hearing loss are not only avoided for reasons of appearance and inconvenience, but even when using hearing aids, they may not be worn at all times due to errors, especially economically. For those who are difficult to buy expensive hearing aids will be a lot of burden to wear.
상기와 같이 난청은 있으나, 보청기를 착용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은행이나 관공서와 같이 많은 민원이 처리되는 장소에서는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민원처리자의 음성을 정확히 청취하기가 어려운 애로 사항이 있는 것이며, 또한 은행이나 관공서에서는 난청이 있는 고객에게 서비스 차원으로 다수의 보청기를 제공하기에는 많은 비용적인 부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person who has hearing loss, but who does not wear a hearing aid, is difficult to hear the voice of the complaint processor precisely by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surroundings in places where many complaints are handled, such as a bank or a public office. In addition, banks and public offices have a large cost burden to provide a large number of hearing aids as a service to customers with hearing lo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청기를 하나의 송신부에 다수의 수신부로 각각 분리 구성하되, 분리된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는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민원서식을 제공하는 테이블위에 비치하고, 분리된 하나의 보청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부와 10m 반경 이내에 설치하여 분리된 하나의 보청기 송신부와 분리된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간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민원인 중의 난청자가 테이블위에 비치된 보청기 수신부를 휴대하여 사용함으로써 은행, 관공서의 민원 처리자 또는 주변의 음성을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어 저가의 비용으로 많은 고객에게 보청기를 제공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hearing aids are separately configured into a plurality of receivers in one transmitter, and the plurality of separated hearing aid receivers are normally provided on a table for providing a civil petition as in banks and government offices. The separated hearing aid receiver is installed within 10m radius of the receiver to allow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parated hearing aid transmitter and the plurality of hearing aid receivers, so that the hearing aid of the complainant is carried with the hearing aid receiver provided on the ta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early hear the voice of the banker, the civil service processor or the surrounding voice, and to provide a hearing aid to a large number of customers at a low cost.
본 발명은 보청기 송신부와 보청기 수신부가 포함된 보청기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송신부와 보청기 수신부는 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보청기 수신부는 하나의 보청기 송신부와 10m 범위 이내 다수 개 비치되어 하나의 보청기 송신부가 다수 개의 보청기 수신부와 대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ring aid including a hearing aid transmitter and a hearing aid receiver, the hearing aid transmitter and the hearing aid receiver are configur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hearing aid recei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ring aid transmitter and within a range of 10m one hearing aid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with the hearing aid receiver.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보청기 송신부는 업/다운버튼, EQ밴드버튼, 기능버튼, 파워버튼의 조작에 따라 보청기의 모드별 각 기능을 제어하는 MPU가 구비되고, 상기 MPU의 일측 출력단에는 마이크를 통해 집속되는 소리를 일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자동이득조절부와, 상기 각 버튼 조작 시 비프음을 발생하는 비프음 발생기를 제어하는 비프음 제어부와, 상기 각 버튼 조작 시 동작모드, 조작방법 등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하는 보이스 아나운스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MPU의 타측 출력단에는 보청기의 출력 주파수대역의 레벨 및 각종 동작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와, 파워램프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MPU의 일측에는 파워버튼을 통해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의 출력단에는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비프음 비프음을 5밴드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음성 특성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즈가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즈의 출력단에는 음성신호 및 비프음을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안테나로 송출하는 RF변환기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transmitter is provided with an MPU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p / down button, the EQ band button, the function button, the power button, the output side of the MPU through the microphone focusing Automatic gain control unit for amplifying the sound to a certain gain, a bee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eep generator for generating a beep sound when each button operation, the operation mode, operation method, etc. for each button operation to the user Voice announces are sent to each other, and the other output terminal of the MPU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utput frequency band level and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earing aid, and a power lamp, respectively, and one side of the MPU via a power button. A battery is connected, and at the output of the automatic gain control unit, the input voice signal and the beep beep for each 5 band frequency band. Equalization is connected to separate the voice characteristic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equaliz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and the beep to the radio frequency to transmit to the transmission antenna.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보청기 수신부는 상기 보청기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를 수신안테나로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조기의 출력단에는 복조된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조하여 스피커 및 이어폰연결구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가 연결되고, 상기 복조기 및 신호처리부에는 파워버튼을 통해 배터리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receiver is provided with a demodulator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hearing aid transmitter to the receiving antenna, the output terminal of the demodulator modulates the demodulated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to the speaker and earphone connector The signal processor is connected, the demodulator and the signal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connected via a power butt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보청기 수신부는 상기 보청기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를 수신안테나로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조기의 출력단에는 MP3, 휴대폰과 같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칩셋이 연결되고, 상기 복조기 및 블루투스칩셋에는 파워버튼을 통해 배터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receiver includes a demodulator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hearing aid transmitter, and receiving the demodulator,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demodulator is connected to a Bluetooth chipset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such as MP3, mobile phone, The demodulator and the Bluetooth chipse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connected via a power button.
본 발명은 보청기를 하나의 송신부에 다수의 수신부로 각각 분리 구성하되, 분리된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는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민원서식을 제공하는 테이블위에 비치하고, 분리된 하나의 보청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부와 10m 반경 이내에 설치하여 분리된 하나의 보청기 송신부와 분리된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 간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민원인 중의 난청자가 테이블위에 비치된 보청기 수신부를 휴대하여 사용함으로써 은행, 관공서의 민원 처리자 또는 주변의 음성을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어 저가의 비용으로 많은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s are separately configured into a plurality of receivers in one transmitter, and the plurality of separate hearing aid receivers are provided on a table for providing a civil complaint form, such as in a bank or a public office. It is installed within the 10m radius of the receiver and the hearing aid is separated between the hearing aid receiver and a plurality of hearing receivers separated by the hearing aid of the complaints by using the hearing aid receiver provided on the table to carry out the complaint process of banks, public offices or It is a technical task to be able to listen to the surrounding voice clearly and to provide convenience to many customers at low cos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의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있어 수신부의 외형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있어 송신부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의 블록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의 블록도.1A and 1B are conceptual views of a portable hearing aid for public pl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xternal view of the receiver in a public hearing aid for a porta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xternal view of the transmission unit for a public hearing aid portabl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hearing aid for public plac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hearing aid for public places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ortable hearing aid for a public place b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의 동작 개념도로서, 하나의 보청기 송신부(100)는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200)는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이 각종 서식을 제공하는 테이블 위에 비치되고, 보청기 송신부(100)는 반경 10m 이내에 설치된다.1A and 1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hearing aid for a public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one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있어 여러 장소에 비치되는 보청기 수신부(200)의 외형도로서, 특정 형상을 갖는 수신부 몸체(10)의 일면 일측에는 전기적신호를 사람이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스피커(15)가 설치되며, 상측면에는 보청기 송신부(1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11)가 설치되고, 타측면에는 스피커(1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출력레벨을 증감시키는 볼륨조절버튼(12)과, 수신부 몸체(10)에 내장된 전자회로에 구동전원을 단속하는 파워버튼(13)과, 외부의 이어폰(16)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연결구(14)가 설치되어 있다.2A is an external view of the
이와 같은 외형을 갖는 보청기 수신부(200)는 파워버튼(13)의 가압 시에 만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고, 파워버튼(13)을 가압하지 않을 경우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전원소모를 최소화 하였으며,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이 한 공간 내에서 보청기 송신부(100)와 10m 범위 내에서 다수 개 비치된다.The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에 있어 보청기 송신부(100)의 외형도로서, 상기 보청기 송신부(100)는 특정 형상을 갖는 송신부 몸체(20)의 일면 상하측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22)와, 보청기의 출력 주파수대역의 레벨 및 각종 동작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29)가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22) 및 표시부(29) 사이에는 보청기 송신부(100)의 출력레벨을 설정하는 업/다운버튼(25), 출력 주파수대역의 레벨을 설정하는 EQ밴드버튼(26), 보청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27), 보청기 송신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버튼(28)이 각각 설치된다.2B is an external view of a
상기 마이크(22)의 일측에는 파워버튼(28) 조작에 의한 전원공급 시 점등되는 파워램프(23)가 설치되고, 송신부 몸체(20)의 일측면 상부에는 마이크(22)로 집속된 음성신호를 무선주파수로서 공간에 방사하는 송신안테나(21)가 설치되어 있다.One side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의 블록도로서, 상기 보청기 송신부(100)는 업/다운버튼(25), EQ밴드버튼(26), 기능버튼(27)의 조작에 따라 보청기의 모드별 모든 각 기능을 제어하는 MPU(30)가 구비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hearing aid for a public 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여기서 상기 기능버튼(27)은 보청기가 갖는 여러 가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EQ밴드버튼(26)은 주파수대역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5밴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며, 업/다운버튼(25)은 상기 기능버튼(27), EQ밴드버튼(26)의 조작에 의한 설정 값을 가변하기 위한 것이다.Herein, the
상기 MPU(30)의 일측 출력단은 마이크(22)를 통해 집속되는 소리를 일정 이득을 갖도록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동이득조절부(AGC)(31)가 연결되며, 상기 MPU(30)의 타측 출력단에는 상기 각 버튼(25~27) 조작 시 비프음을 발생하는 비프음 발생기(34)를 제어하는 비프음 제어부(35)와, 각 버튼(25~27) 조작 시 동작상태 및 동작모드, 조작방법 등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하는 보이스 아나운스(38)와, 보청기의 출력 주파수대역의 레벨 및 각종 동작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29)와, 파워버튼(28) 조작에 의한 배터리(36)의 전원공급 시 점등되는 파워램프(23)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MPU(30)의 일측에는 파워버튼(28)이 연결되어 배터리(36)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e output terminal of the MPU 30 is connected to an automatic gain control unit (AGC) 31 which amplifies and outputs the sound focused through the
상기 자동이득조절부(31)의 출력단에는 상기 자동이득조절부(3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비프음 발생기(34)로부터 입력되는 비프음을 100Hz, 800Hz, 1KHz, 3KHz, 5KHz의 5밴드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음성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이퀄라이즈(32)가 연결되며, 이 이퀄라이즈(32)의 출력단에는 음성신호 및 비프음을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안테나(21)로 송출하는 RF변환기(33)가 접속되어 구성된다.At the output end of the automatic
여기서 상기 이퀄라이즈(32)는 설명의 편의상 100Hz, 800Hz, 1KHz, 3KHz, 5KHz의 5밴드로 기재하였으나, 주파수대역과 밴드 수는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그 범위는 제한하지 않는다.Here, the equalizing 32 is described as 5 bands of 100 Hz, 800 Hz, 1 KHz, 3 KHz, and 5 KHz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frequency band and the number of bands are changeable and the range is not limited.
또한, 상기 보청기 수신부(200)는 보청기 송신부(100)로부터 공간으로 방사되는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수신안테나(11)로 수신하여 다시 주파수로 복조하는 복조기(18)가 구비되고, 이 복조기(18)의 출력단에는 복조된 주파수를 음성신호로 변조하여 스피커(15)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19)가 연결되며, 상기 복조기(18) 및 신호처리부(19)에는 파워버튼(13)이 연결되어 상기 파워버튼(13)이 온(on)상태로 접속된 상태에서만 배터리(17)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송신부와 수신부가 분리된 보청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separated from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보청기 송신부(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은 공공장소에서 통상적으로 민원서식을 제공하는 테이블위에 다수의 보청기 수신부(200)를 비치하고, 상기 보청기 수신부(200)와 반경 10m 이내에 보청기 송신부(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운영자가 보청기를 동작하기 위해 파워버튼(28)을 조작하게 되면 배터리(36)의 전원이 MPU(30)에 공급됨으로써 주변회로에 모든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들게 되며, 파워램프(23)를 점등시켜 보청기가 동작중임을 표시하게 된다.First, whe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보청기 송신부(100)의 민원 처리자의 음성과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는 마이크(22)를 통해 전달되어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는 자동이득조절부(31)에 인가되어 설정된 이득만큼 자동으로 증폭하여 5밴드 이퀄라이즈(32)로 전송한다.In this state, the voice of the civil service processor of the
한편, 파워버튼(28) 조작 시 MPU(30)에서는 파워버튼(28) 조작에 해당하는 비프음을 송출하기 위해 비프음 제어부(35)를 호출하여 비프음 발생기(34)로부터 파워공급 상태임을 알리는 비프음 신호를 5밴드 이퀄라이즈(32)로 출력하게 되며, MPU(30)에서는 각 버튼(25~28) 조작 시 비프음 제어부(35)와 비프음 발생기(34)를 컨트롤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비프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버튼 조작 시 조작중인 버튼의 종류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Meanwhile, when the
즉, 파워버튼(28) 조작 시 MPU(30)에서는 파워버튼(28) 조작에 해당하는 음성을 송출하기 위해 보이스 아나운스(38)를 제어하여 그에 적정한 음성, 가령 예를 들어 "전원이 공급되어 보청기 동작을 시작합니다."라는 음성을 이퀄라이즈(32)로 출력한다.That is, when the
상기와 같이 자동이득조절부(31)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22)의 음성신호와, 비프음 발생기(34)로부터 출력되는 비프음과, 보이스 아나운스(3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모두 5밴드 이퀄라이즈(32)로 전송됨에 따라 주파수대역별 특성을 개선한 후, RF변환기(33)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RF (Radio Frequency)신호로 변조하여 송신안테나(21)를 통해 공간으로 방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udio signal of the
다음은 보청기 수신부(2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은행, 관공서에서와 같은 공공장소에서 통상적으로 민원서식을 제공하는 테이블위에 비치된 보청기 수신부(200)를 민원인이 휴대한 상태에서 보청기를 사용하기 위해 파워버튼(13)을 눌러 온(on) 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배터리(17)의 전원이 복조기(18)와 신호처리부(19)에 인가되어 보청기 수신부(200)는 동작상태가 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여기서 보청기 수신부(200)는 파워버튼(13)을 눌러 온(on) 상태로 조작되어야 동작상태가 되며, 상기 파워버튼(13)을 누르지 않을 경우 배터리(17)의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터리(17)의 소모를 최소화 하였다.Here, the
이러한 상태에서 보청기 송신부(100)를 통해 공간으로 송출되는 음성신호에 해당되는 무선주파수는 보청기 수신부(200)의 수신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되어 복조기(18)로 전송됨에 따라 원래의 음성신호로 복조되고, 이 복조된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19)를 경유함으로써 이퀄라이즈(32)에 의한 5밴드의 주파수로서 스피커(15) 또는 이어폰연결구(14)에 연결되는 이어폰(16)을 통해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radio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space through the
따라서 보청기 수신부(200)를 휴대한 민원자는 상기 보청기 수신부(200)에 설치된 스피커(15) 또는 이어폰연결구(14)에 연결되는 이어폰(16)을 통해 민원 처리자의 음성을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은행, 관공서와 같은 공공장소를 이용하는 많은 고객 중의 난청자에게 저가의 비용으로 많은 보청기를 제공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ivil servant carrying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보청기의 블록도로서, 보청기 수신부(200)에 블루투스칩셋(19a)을 부가하여 블루투스 기능이 포함되고 민원고객이 휴대한 MP3, 휴대폰과 블루투스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hearing aid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ublic hearing aid for a public b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luetooth function is added by adding a
즉, 다른 실시예의 보청기 수신부(200)는 보청기 송신부(100) 및 MP3, 휴대폰과 같은 블루투스 통신수단으로부터 방사되는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수신안테나(11)로 수신하여 다시 주파수로 복조하는 복조기(18)가 구비되고, 이 복조기(18)의 출력단에는 복조된 주파수를 음성신호로 변조하여 스피커(13)로 전송하는 블루투스칩셋(19a)이 연결되며, 상기 블루투스칩셋(19a) 및 복조기(18)에는 파워버튼(13)이 연결되어 배터리(17)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보청기 수신부(200)는 민원고객이 보청기 수신부(200)를 사용하기 위해 파워버튼(13)을 조작하게 되면 배터리(17)의 전원이 복조기(18)와 블루투스칩셋(19a)에 인가되어 보청기 수신부(200)는 동작상태기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청기 송신부(100) 또는 민원고객이 휴대한 MP3, 휴대폰과 같은 블루투스 통신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신호에 해당되는 무선주파수는 보청기 수신부(200)의 수신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되어 복조기(18)로 전송됨에 따라 원래의 음성신호로 복조되고, 이 복조된 음성신호는 블루투스칩셋(19a)을 경유함으로써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스피커(15) 또는 이어폰연결구(14)를 통해 이어폰(16)으로 출력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radio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ans such as the
따라서 다른 실시예의 보청기 수신부(200)에는 블루투스칩셋(19a)을 부가함으로써 민원고객이 휴대한 MP3, 휴대폰과 같은 블루투스 통신수단과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by adding the
10 : 수신부 몸체 11 : 수신안테나
12 : 볼륨조절버튼 13 : 파워버튼
14 : 이어폰연결구 15 : 스피커
16 : 이어폰 17 : 배터리
18 : 복조기 19 : 신호처리부
20 : 송신부 몸체 21 : 송신안테나
22 : 마이크 23 : 파워램프
25 : 업/다운버튼 26 : EQ밴드버튼
27 : 기능버튼 28 : 파워버튼
29 : 표시부 30 : 마이크로 프로세스 유닛(MPU)
31 : 자동이득조절부 32 : 이퀄라이즈
33 : RF변환기 34 : 비프음 발생기
35 : 비프음 제어부 36 : 배터리
38 : 보이스 아나운스 19a : 블루투스칩셋
100 : 보청기 송신부 200 : 보청기 수신부10: receiving unit body 11: receiving antenna
12: volume control button 13: power button
14: earphone connector 15: speaker
16: earphone 17: battery
18: demodulator 19: signal processing unit
20: transmission unit body 21: transmission antenna
22: microphone 23: power lamp
25: Up / Down Button 26: EQ Band Button
27: function button 28: power button
29: display unit 30: micro process unit (MPU)
31: automatic gain control unit 32: equalization
33: RF converter 34: Beep generator
35: beep control unit 36: battery
38: voice announce 19a: Bluetooth chipset
100: hearing aid transmitter 200: hearing aid receiver
Claims (4)
상기 보청기 송신부(100)는,
업/다운버튼(25), EQ밴드버튼(26), 기능버튼(27), 파워버튼(28)의 조작에 따라 보청기의 모드별 각 기능을 제어하는 MPU(30)가 구비되고,
상기 MPU(30)의 일측 출력단에는 마이크(22)를 통해 집속되는 소리를 일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자동이득조절부(31)와, 상기 각 버튼(25~28) 조작 시 비프음을 발생하는 비프음 발생기(34)를 제어하는 비프음 제어부(35)와, 상기 각 버튼(25~28) 조작 시 동작모드, 조작방법 등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하는 보이스 아나운스(38)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MPU(30)의 타측 출력단에는 보청기의 출력 주파수대역의 레벨 및 각종 동작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29)와, 파워램프(23)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MPU(30)의 일측에는 파워버튼(28)을 통해 배터리(36)가 연결되고,
상기 자동이득조절부(31)의 출력단에는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비프음 비프음을 5밴드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음성 특성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즈(32)가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즈(32)의 출력단에는 음성신호 및 비프음을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안테나(21)로 송출하는 RF변환기(33)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The hearing aid transmitter 100 and the hearing aid receiver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hearing aid receiver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ring aid transmitters 1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one hearing aid transmitter 100 is a plurality of hearing aids. In the hearing ai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er 200,
The hearing aid transmitter 10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p / down button 25, the EQ band button 26, the function button 27, the power button 28 is provided with an MPU 30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 of each hearing aid mode,
One side output terminal of the MPU 30 has an automatic gain control unit 31 for amplifying the sound focused through the microphone 22 with a predetermined gain, and a beep sound that generates a beep sound when the buttons 25 to 28 are operated. A beep control unit 35 for controlling the generator 34 and a voice announce 38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mode, an operation method, and the like to the user by voice when the buttons 25 to 28 are operated, respectively,
The other output terminal of the MPU 30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29 and a power lamp 23 for displaying the level and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utput frequency band of the hearing aid,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MPU 3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36 via a power button 28,
The output terminal of the automatic gain control unit 31 is connected to an equalization 32 for adjusting the voice characteristics by separating the input voice signal and the beep beep for each 5 band frequency b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equalizing 32, public hearing aids portable hear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converter 33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and the beep to a radio frequency to transmit to the transmitting antenna (21) is connec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22265 | 2010-12-02 | ||
KR1020100122265 | 2010-12-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9525B1 true KR101099525B1 (en) | 2011-12-27 |
Family
ID=4550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4038A Active KR101099525B1 (en) | 2010-12-02 | 2010-12-07 | Portable Hearing Aids for Public Beach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952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6574Y1 (en) | 2005-06-07 | 2005-09-27 | 강경모 | rechargeable hearing aid |
JP2006217088A (en) * | 2005-02-01 | 2006-08-17 | Sharp Corp | Auditory transmission system |
KR200433416Y1 (en) | 2006-09-29 | 2006-12-11 |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 Signal transmission devic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FM converter |
-
2010
- 2010-12-07 KR KR1020100124038A patent/KR1010995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17088A (en) * | 2005-02-01 | 2006-08-17 | Sharp Corp | Auditory transmission system |
KR200396574Y1 (en) | 2005-06-07 | 2005-09-27 | 강경모 | rechargeable hearing aid |
KR200433416Y1 (en) | 2006-09-29 | 2006-12-11 |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 Signal transmission devic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FM conver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24063B2 (en) | Binaural hearing aid system comprising two wireless interfaces and a user interface | |
US20120213393A1 (en) |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 |
US20120114158A1 (en) | Hearing assistance system | |
US20080240477A1 (en) |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 |
US20050191971A1 (en) | Assisted listening device | |
WO2010018235A2 (en) |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 |
JP2013247559A (en) | Hearing aid transmitter and hearing aid | |
KR100809549B1 (en) | Hearing Aid Wireless Headset and its Control Method | |
US20220256296A1 (en) | Binaural hearing system comprising frequency transition | |
JP3431512B2 (en) | Sound listening device | |
KR102055187B1 (en) | Bluetooth-based sound broadcast system having a fuction of voice revision using thtereof | |
KR20110080306A (en) | Portable terminal with hearing aid function | |
KR20130101393A (en) | Wireless hearing aid | |
KR101099525B1 (en) | Portable Hearing Aids for Public Beaches | |
US20230099728A1 (en) | System for locating an electronic accessory device | |
US8737651B2 (en) |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 |
KR200357328Y1 (en) | 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 |
US20190373380A1 (en) | Adaptation of hearing device parameters using ultrasound signal transmitters, hearing device and system | |
KR101709581B1 (en) | Indoor broadcast and lecture receiving system for hearing-impaired persons | |
KR101719779B1 (en)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
EP4543045A1 (en) |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hearing aids | |
JP3431511B2 (en) | Sound listening device | |
CN103181199A (en) | Communication system with telephone and hearing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 |
CN210202087U (en) | Wireless pickup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of bluetooth | |
KR200193678Y1 (en) | Hand-phone folder type hearing ampl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