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779B1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Google Patents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9779B1 KR101719779B1 KR1020150160630A KR20150160630A KR101719779B1 KR 101719779 B1 KR101719779 B1 KR 101719779B1 KR 1020150160630 A KR1020150160630 A KR 1020150160630A KR 20150160630 A KR20150160630 A KR 20150160630A KR 101719779 B1 KR101719779 B1 KR 101719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unit
- electromagnetic field
- sound
- acous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2—Binaural
-
- H04B5/000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출력되는 음향을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와 같은 텔레코일이 적용된 보청기 사용시 히어링 루프를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listen to sounds outputted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by being connected to various audio equipm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constructing a hearing loop when using a conventional hearing aid with a telecoil, To a hearing aid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력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각종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출력되는 음향을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와 같은 텔레코일이 적용된 보청기 사용시 히어링 루프를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aid which is connected to various audio equipment and can easily hear sound outputted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construct a hearing loop when a hearing aid using a conventional telecoil is us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assist system using a telecoil with improved compatibility.
텔레코일은 수화부(receiver)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자기신호(magnetic signal)로 변환하는 장치로, 변환된 자기신호는 청각장애인이 착용한 청각보조기 내의 유도코일로 제공되어 청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음향신호로 출력되며, 이와 같은 텔레코일을 사용함으로 별도의 오디오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도 일정범위 내에서 유선연결 없이 청취가능하다.A telecoil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analog electrical signal sent to a receiver into a magnetic signal and the converted magnetic signal is provided as an induction coil in a hearing aid worn by a hearing impaired person, And the sound outputted from the separate audio device can be heard without any wired connection within a certain range by using such a telecoil.
이는 인근의 보청기의 T-코일과 유도 결합을 위해 설계되는 텔레코일 또는 T-코일이라고도 하는 히어링 루프와 같은 별개의 자기장 방출 수단을 설치하고, 오디오장치의 음향을 상기 히어링 루프에 인가하여 일정 범위 내에 전자기장을 형성함으로 범위 내 보청기 착용자들이 일괄적으로 음향을 청취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separate magnetic field emission means, such as a telecoil or a T-coil, designed for inductive coupling with the T-coil of a nearby hearing aid, and applying the sound of the audio device to the hearing loop, By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it was common to allow hearing aid wearers in the range to listen to the sound collectively.
하지만, 라디오와 MP3 플레이어를 거치면서 최근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까지 점차 음향기기가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히어링 루프를 이용한 방식은 목걸이나 구조물에 매설되는 거추장스러운 루프가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포켓용 보청기 등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에서 유선 타입의 보청기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에 의해 사용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실정이며, 특히 종래의 히어링 루프의 구조적인 제약으로 스테레오 음향의 청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acoustic devices have become smaller and smaller, the smartphones that have been actively spreading through radio and MP3 players have been pointed out to have a cumbersome loop embedded in necklaces or structures. In addition, due to the tendency of avoiding the use of a wired type hearing aid in a soci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the appearance, such as a pocket hearing aid, users are faced with an external face. Particularly, because of the structural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hearing loop,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을 향상시켜 히어링 루프 없이도 다양한 음향기기의 출력단자에 연결함으로 사용 가능하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출력되는 음향을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port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output terminals of various audio devices without a hearing loop, And to provide a hearing aid system that utilizes a telecoil with improved compatibility.
더불어 본 발명은 스테레오 음향의 청취가 가능한 청력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ring aid system capable of listening to stereo sou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청력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음향기기의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단자연결부와, 상기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신호변환부를 구비하는 신호전송부; 상기 제1신호변환부에서 발생된 전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유도코일로 이루어져 수신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2신호변환부와,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음향신호로 전환하는 음향입력부와, 변환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음향입력부 또는 제2신호변환부의 음향신호 중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음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모드변환부를 구비하는 신호수신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ring aid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n acoustic output terminal of a sound device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and a first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ound signal into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 A second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into an acoustic signal, the second signal converter comprising an induction coil for receiving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signal converter, an acoustic input unit for receiving external acoustic signals and converting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field signals into acoustic signals, A signal receiving unit including a mode converting unit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acoustic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converting unit through the output unit; .
이때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단자연결부에서 입력된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하는 채널분리부와, 각 채널에 따라 생성된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을 위한 강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신호변환부는 2개가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제2신호변환부와 출력부가 2개씩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음향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anne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acoustic signal input from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into left and right channels and an intensity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according to each channel, Wherein the first signal conversion unit and the second signal conversion unit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wo left and right channels, respectively, and the signal reception unit includes two second signal conversion units and two output units, Processing of the separated acoustic signal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신호전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변환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 추가로 구비되는 신호수신부를 통해 전자기장신호의 수신 및 음향신호의 변환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확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acoustic signals separated by the left and right channels separated from the first signal convert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converted into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The signal receiving unit further receives the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nd an expans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and output an acoustic signal;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소형으로 휴대가 매우 간편하며, 히어링 루프의 설치 없이도 종래의 음향기기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 고품질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ct and portable, and can easily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acoustic device without installing a hearing loop, thereby enabling high-quality sound to be heard.
특히 음향기기의 음향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음향을 전자기장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고 주변 소음과 무관한 선명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sound outputted from the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sound device is transformed into the electromagnetic fiel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r sound regardless of the ambient noise, and to provide a sound of stereo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with improved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및 이와 동등한 기능의 각종 모바일 단말기, 테블릿 PC를 비롯하여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 각종 휴대용 음향기기(200)에 연결되는 신호전송부(110)와, 이어폰 형태의 신호수신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출력되는 음향을 듣도록 하게 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smart phone, a smart pad, various mobile terminals having equivalent functions, a tablet PC, a notebook MP3 player, The user is heard through the
이때 단순하게 음향기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무선신호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아닌 특별히 청각장애인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텔레코일을 사용함으로 보청기와 같이 청력을 보조하면서 동시에 음향기기(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telecoil used for the hearing-impaired person is used instead of simply transmitting the acoustic signal outputted from the
먼저, 상기 신호전송부(110)는 통상의 이어폰 연결단자에 해당하는 음향기기(200)의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텔레코일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되며, 이를 위해 단자연결부(111)와, 제1신호변환부(112)를 구비한다.First, the
상기 단자연결부(111)는 말 그대로 음향기기(20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는 상기 단자연결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The first
특히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는 일명 텔레코일로 불리는 구성으로 HAC 관련 규정을 만족하는 수백∼수십㏀의 임피던스를 갖는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단자연결부(111)로 인가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별도의 전원이나 증폭 수단 없이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생성된 전자기장 신호의 도달범위는 수십㎝ 이내로 통상의 무선통신수단과 비교하여 비교적 짧다.Particularly, the
실질적으로 별도의 전원이나 신호 증폭 없이 안정적인 음향신호가 전달되는 거리는 십수 ㎝ 수준으로 청각 장애인이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하여 사용함에 있어, 통상의 경우와 같이 휴대전화기를 안면에 밀착시키는 자세로 사용시 불편함 없이 음향의 청취 및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전자기장의 도달범위가 짧음에 따라 텔레코일이 적용된 보청기를 착용한 타인에게 의도치 않게 통화내용이나 음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tance at which a stabl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substantially without additional power or signal amplification is about a ten-centimeter level. When a hearing-impaired person applies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phone and uses the mobile phone in a postur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and communicate with the sound without inconvenience. As the reaching r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sh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mmunication contents and sound from being inadvertently transmitted to the other person wearing the hearing aid to which the telecoil is applied.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신호전송부(11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게 되며, 통상 십수 미터의 전파도달 범위를 갖는 블루투스 등을 활용한 무선이어폰과는 달리 음향기기(200)의 음향을 청취하는데 신호전송부(110)와 신호수신부(120) 모두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unlike a wireless earphone using Bluetooth or the like, which has a radio wave reachable range of usually ten meters, the
상기 신호수신부(120)는 보청기의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됨으로 상기 신호전송부(110)를 통해 전달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제2신호변환부(121)와, 음향입력부(123)와, 모드변환부(124)를 구비한다.The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는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유도코일로 이루어지며, 수신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와는 반대되는 기능이 구현된다.The second
상기 음향입력부(123)는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음향신호로 전환하는 일종의 마이크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이 청각 장애인을 위한 청각보조를 위한 목적으로 쓰임에 따라 상기 음향기기(200)의 음향 외에도 평상시 보청기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외부 음향 청취를 위한 음향입력부(123)가 구비된다.The
상기 출력부(122)는 변환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의 음향신호 및 음향입력부(123)의 음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출력부(122)가 이어폰과 같이 사용자의 귀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교적 작은 출력으로도 청각장애를 갖는 사용자가 충분히 청취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형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을 통해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신호수신부(120)에 별도의 가변저항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도 있으나, 통상 상기 음향기기(200)에 기본적으로 음량설정 기능이 구비됨에 굳이 신호수신부(120) 측에서 음량을 제어할 필요성은 낮다.In addition, the
상기 모드변환부(124)는 상기 음향입력부(123) 또는 제2신호변환부(121)의 음향신호 중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될 음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구성으로, 평상시 상기 음향입력부(123)의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 상기 신호수신부(120)를 보청기의 용도로 활용하고, 음향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거나 휴대전화기에 상기 신호전송부(110)를 연결함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의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 2가지 기능을 일체화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텔레코일을 활용하여 음향기기(200)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되 스테레오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신호전송부(110)는 채널분리부(113)와, 강도조절부(114)를 더 포함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elecoil is used to enable the user to listen to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상기 채널분리부(113)는 상기 단자연결부(111)에서 입력된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음향기기(200)의 음향 출력단자가 스테레오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단자연결부(111)가 스테레오 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음향을 구분하여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The channel separating unit 113 separates the acoustic signal input from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채널분리부(113)를 통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강도조절부(114)를 통해 한 쌍의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각 채널에 따라 생성된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즉 상기 강도조절부(114)는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출력되는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을 통해 전자기장의 도달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 쌍의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좌측 채널의 전자기장과 우측 채널의 전자기장의 강도를 다르게 하게 된다 이때, 통상 성인의 양쪽 귀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여 5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양 채널의 전자기장 도달범위에 차이가 나도록 한쪽의 제1신호변환부(112)에 가변저항을 두어 전자기장을 약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제1신호변환부(112, 1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intensity controller 114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each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utput through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신호수신부(120)는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 121')와 출력부(122, 122')가 2개씩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음향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자세와 같이 상기 신호전송부(110)가 설치된 음향기기(200)를 한 손에 들고 한쪽 귀 근처에 갖다댄 상태에서 상기 신호전송부(110)에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음향을 위해 각각 구비된 제1신호변환부(122, 122')의 전자기장의 도달범위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이때 양쪽 귀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여 한쪽 제1신호변환부(121')의 전자기장의 강도를 약하게 함으로, 근접한 제2신호변환부(121)에만 전자기장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쪽 제2신호변환부(121')에는 동일한 채널의 전자기장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일한 음향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다수의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전송부(110)가 확장부(130)를 통해 복수로 확장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 텔레코일을 활용하는 주된 방식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전자기장을 방출하는 히어링 루프를 매설함으로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일괄적으로 청취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는 히어링 루프의 시공에 따른 많은 번거로움을 가져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신호전송부(110)를 확장 연결하는 방식으로 강연이나 세미나를 비롯하여 다양한 공공시설에서 간편하게 다수의 사용자에게 청각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a telecoil is to embed a hearing loop that emits an electromagnetic field in a place where a plurality of users are located, thereby allowing a user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to listen to the hearing aid in a lump W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 상기 신호전송부(110)의 단자연결부(111)에 연결되는 확장부(130)가 구비되며, 음향기기(200)에 연결된 신호전송부(110)와 확장부(130)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되 복수의 확장부(130)의 병렬연결을 비롯하여 상기 확장부(130)간의 직렬연결을 통해 연속적인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n
이때 상기 확장부(130)는 상기 신호전송부(110)와 동일한 구성인 채널분리부(132)와 제1신호변환부(131)와 강도조절부(133)를 구비함으로 상기 신호전송부(1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동일한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구비되는 신호수신부를 통해 전자기장신호의 수신 및 음향신호의 변환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obvious modifications and addi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all such variations.
110: 신호전송부 111: 단자연결부
112: 제1신호변환부 113: 채널분리부
114: 강도조절부 120: 신호수신부
121: 제2신호변환부 122: 출력부
123: 음향입력부 124: 모드변환부
130: 확장부 131: 제1신호변환부
132: 채널분리부 133: 강도조절부
200: 음향기기110: signal transmission unit 111: terminal connection unit
112: first signal converting section 113: channel separating section
114: Intensity adjusting unit 120: Signal receiving unit
121: second signal conversion unit 122: output unit
123: sound input unit 124: mode conversion unit
130: extension part 131: first signal conversion part
132: channel separator 133: intensity controller
200: Sounder
Claims (3)
음향기기의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단자연결부(111)와, 상기 단자연결부에서 입력된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하는 채널분리부(123)와, 각 채널에 따라 생성된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을 위한 강도조절부(124)와, 2개가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별도의 전원이나 증폭 수단 없이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신호변환부(112, 112')를 구비하는 신호전송부(110);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유도코일로 이루어져 별도의 전원 없이 수신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2신호변환부(121, 121')와, 변환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22, 122')가 각각 2개씩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음향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신호수신부(120);
상기 신호전송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추가로 구비되는 신호수신부를 통해 전자기장신호의 수신 및 음향신호의 변환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확장부(1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In a hearing aid system,
A channel separator 123 for separating the sound signal input from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into left and right channels, and a controller 110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according to each channel, A first signal conversion unit 124 for converting the sound signals separated into the left and right channels into electromagnetic field signals without any separate power source or amplification means, A signal transmission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112 and 112 ';
A second signal converter 121, 121 'which comprises an induction coil for receiving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signal converter 112 and converts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received without a power source into an acoustic signal, A signal receiving unit 120 having two output units 122 and 122 'for outputting sound signals and processing sound signals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channels, respectively;
A signal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10 and converting the respective sound signals separated into the left and right channels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signal converting unit 112 into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n extension unit 130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nd convert and output an acoustic signal; And a hearing assist system using the telecoil with improved compatibilit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0630A KR101719779B1 (en) | 2015-11-16 | 2015-11-16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0630A KR101719779B1 (en) | 2015-11-16 | 2015-11-16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9779B1 true KR101719779B1 (en) | 2017-04-04 |
Family
ID=5858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0630A Active KR101719779B1 (en) | 2015-11-16 | 2015-11-16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97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7545A (en) | 2022-11-22 | 2024-06-03 | (주)더난 | Automatic tuning method of hearing loop system through IO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6362A (en) | 2005-09-06 | 2005-11-09 | 장순석 | Wireless telecoil receiver us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necklace-type electric wire |
JP2007325042A (en) * | 2006-06-02 | 2007-12-13 | Mimii Denshi Kk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KR101236443B1 (en) * | 2012-07-27 | 2013-02-25 | (주)알고코리아 | Wireless in-ear hearing aid system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
-
2015
- 2015-11-16 KR KR1020150160630A patent/KR1017197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6362A (en) | 2005-09-06 | 2005-11-09 | 장순석 | Wireless telecoil receiver us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necklace-type electric wire |
JP2007325042A (en) * | 2006-06-02 | 2007-12-13 | Mimii Denshi Kk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KR101236443B1 (en) * | 2012-07-27 | 2013-02-25 | (주)알고코리아 | Wireless in-ear hearing aid system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7545A (en) | 2022-11-22 | 2024-06-03 | (주)더난 | Automatic tuning method of hearing loop system through I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24992B2 (en) | Wireless in-the-ear type hearing aid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986346B2 (en) | Binaural hearing system and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beamformer unit | |
KR101648840B1 (en) | Hearing-aids attached to mobile electronic device | |
CN101175342B (en) | Hearing system with remote control as a base station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 |
EP2928210A1 (en) | A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binaural noise reduction | |
US20100329491A1 (en) | System for transmitting amplified audio signals to a user | |
KR20170012440A (en) |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 |
US20080240477A1 (en) |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 |
US20160088403A1 (en) | Hearing assistive device and system | |
EP1670283A1 (en) | Bluetooth headset | |
CN102638600A (en) | Mobile terminal, earphone and speech processing method | |
US20090196443A1 (en) | Wireless earphone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 |
KR100809549B1 (en) | Hearing Aid Wireless Headset and its Control Method | |
EP3072314B1 (en) |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 |
TWM563122U (en) | Hearing assistance device | |
KR102055187B1 (en) | Bluetooth-based sound broadcast system having a fuction of voice revision using thtereof | |
US20230099728A1 (en) | System for locating an electronic accessory device | |
US11856370B2 (en) | System for audio rendering comprising a binaural hearing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 |
KR101719779B1 (en)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
KR20110080306A (en) | Portable terminal with hearing aid function | |
KR101376175B1 (en) | Wire or wireless hearing-aid system | |
KR101164970B1 (en) | Apparatus for earing ai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 |
KR20170001815U (en) |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 |
US9668290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headset system | |
KR102356728B1 (en) |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