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23B1 -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nd Organ Implant Prosthesis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nd Organ Implant Prosthesis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8423B1 KR101098423B1 KR1020110016396A KR20110016396A KR101098423B1 KR 101098423 B1 KR101098423 B1 KR 101098423B1 KR 1020110016396 A KR1020110016396 A KR 1020110016396A KR 20110016396 A KR20110016396 A KR 20110016396A KR 101098423 B1 KR101098423 B1 KR 101098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in film
- fluid
- flexible
- fluid transfer
- film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7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title description 8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271 Kevla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61 kevl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AEMRFAOFKBGASW-UHFFFAOYSA-N 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O)=O AEMRFAOFKBGASW-UHFFFAOYSA-N 0.000 claims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06 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67 polyest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0 biocompati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37 ne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1박막필름층과, 상기 제1박막필름층에 적층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박막필름층, 및 외기와 차폐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사이에 삽입되며 유체공급원의 유체를 모세관 유동에 의해 타겟으로 이송하는 다공성 중심 구조체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향상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hin film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a second thin film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laminated on the first thin film layer, and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to shield the outside 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fluid transport film including a porous central structure for transporting a fluid from a fluid supply source to a target by capillary flow, thereby providing a fluid transport flexible film having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전달대상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for delivering a fluid from a fluid source to a fluid transfer object, and to an organ implantable prosthesis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유체공급원과 유체공급대상(타겟)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 이들을 연결하여 타겟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채널이 필요하다.In general, when the fluid supply source and the fluid supply object (targe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transport channel for connecting the fluid supply to the target is required.
타겟의 스케일이 마이크로 또는 나노 단위의 매우 미세한 경우에도 그에 대응되는 미세 채널 구조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Even when the scale of the target is very fine in micro or nano units, a corresponding micro channel structure is required,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attempted.
예를 들어, 유체공급원과 타겟 사이의 장애물 등에 의해 일반적인 도관 구조가 적용되기 힘든 경우, 변형 가능한 재질의 플렉서블 미세 채널 구조가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플렉서블 미세 채널 구조는 삽입형 신경 보철에 필요한 약물 공급 채널, 그 밖의 생체의용기구 등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general conduit structure is difficult to be applied due to an obstacle between a fluid source and a target, a flexible microchannel structure of a deformable material may be applied. Such a flexible microchannel structure can be widely applied to drug supply channels and other biomedical devices required for implantable neural prostheses.
최근 플렉서블 박막 필름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미세 채널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박막 필름은 그 자체로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그 형태 및 기능을 장기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박막 필름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미세 채널 구조가 변형되거나 그 기능을 상실하여 기계적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바 많은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methods have been tried to implement a flexible microchannel structure using a flexible thin film. However, the flexible thin film not only has poor structural stability by itself, but also has many difficulties in maintaining its shape and function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thin film, the microchannel structure is deformed or loses its function, and thus the mechanical stability is very low. Therefore, many technical improvements are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향상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having an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1박막필름층과, 상기 제1박막필름층에 적층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박막필름층, 및 외기와 차폐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사이에 삽입되며 유체공급원의 유체를 모세관 유동에 의해 타겟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중심 구조체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을 개시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thin film lay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second thin film lay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laminated on the first thin film layer, and the first and the first materials so as to be shielded from outside air. Disclosed is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comprising at least one porous central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wo thin film layers and transferring fluid from a fluid source to a target by capillary flow.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 가능하며, 상기 폴리머는 열가소성 폴리머 또는 탄성중합체 폴리머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의 종류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인 LCP(Liquid Crystal Polymer) 또는 탄성중합체의 하나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은 폴리머의 열특성에 따라 열압력접합 또는 표면 개질을 통한 화학적 접합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and the polymer may be a thermoplastic polymer or an elastomeric polymer. The type of the polym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be, for example, liquid crystal polymer (LCP), which is one of thermoplastic resins, or polydimethylsiloxane (PDMS), which is one of elastom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chemical bonding through thermal pressure bonding or surface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rmal properties of the polymer.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는 상기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상기 타겟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의 다공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섬유는 생체적합성 섬유라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상기 생체적합성 섬유의 일 예로서 cotton, PLGA, 및 Kevlar 중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생체적합성 섬유의 종류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porous central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porous fiber extending from the fluid source toward the target, and the porous fib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biocompatible fiber. An example of the biocompatible fiber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of cotton, PLGA, and Kevlar, and the type of such biocompatible fiber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는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의 타겟측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orous center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target sid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를 통해 이송된 유체를 상기 타겟에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may be formed with a first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fluid transferred through the porous central structure to the target.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의 양측에는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와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따라 유체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는 공동(void)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동은 가압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유동발생부에 연결 가능하다.Both sides of the porous center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a void (void) to form a fluid passageway along the space defined by the porous center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 Here, the cavity is connectable to a pressurized flow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a pressurized flow.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공동을 통해 이송된 유체를 상기 타겟에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may have a second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transferred through the cavity is discharged to the target.
한편,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1박막필름층과, 상기 제1박막필름층에 적층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박막필름층과,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사이에 삽입되며 유체공급원 측으로부터 타겟을 향해 연장되는 중심 구조체, 및 상기 중심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중심 구조체와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따라 유체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는 공동(void)을 포함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을 개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thin film layer of the flexible material, the second thin film layer of the flexible material laminated on the first thin film layer, and the fluid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 A central structure extending from a source side toward the target, and a cavity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cavity forming a transport passage of the fluid along a space defined by the central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 discloses a flexible film for conveying fluid.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 구조체가 유체 이송을 위한 유체 이송관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의 사이에서 이들을 구조적으로 지지해주는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하는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entral structure not only functions as a fluid transfer tube for fluid transfer but also functions as a support for structurally supporting them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transfer flexible film.
또한, 다공성 중심 구조체의 일측에 공동을 추가로 형성시킴으로써, 다공성 중심 구조체를 통한 수동적 모세관 이송 및 공동을 통한 능동적 가압 유동 이송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극소량 유체의 지속적인 이송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유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유량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by additionally forming a cavity on one side of the porous center structure, passive capillary transfer through the porous center structure and active pressurized flow transfer through the cavity are possible,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flow rate as necessary while continuing to transport very small amounts of fluid. Increased flow rate control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은 사용 환경과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과 짧은 공정 기간을 통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바, 약물 전달을 위한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 또는 마이크로플루이딕스칩(microfluidics chip)과 같은 미세유체장치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hanged in desig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purpose of use and can be easily manufactured through low cost and short process period, long-term implantable prosthetics or microfluid for drug delivery It can be usefully used for microfluidic devices such as microfluidics c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Ⅱ-Ⅱ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5는 도 3에 개시된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사진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도 8 및 9는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사이에 공동이 형성된 구조의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사진들.1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II-II line of th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hotographs of the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produced thr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disclosed in FI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6; FIG.
8 and 9 are photographs of a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and an organ implantable prosthesis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Ⅱ-Ⅱ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flexible fluid transport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II-II of the flexible fluid transport film shown in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은 제1박막필름층(110), 제2박막필름층(120), 및 중심 구조체(130, core architecture)를 포함한다.1 and 2, th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includes a first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며, 예를 들어 100㎛ 이하인 두께의 막일 수 있다.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 또는 탄성중합체 폴리머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의 종류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을 공기, 수분 등이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LCP(Liquid Crystal 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은 서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며, 열압력 접합 또는 표면 개질을 통한 화학적 접합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열압력 접합 및 화학적 접합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인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중심 구조체(130)는 외기와 차폐되도록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사이에 삽입되며, 유체공급원(140, source) 측으로부터 타겟(target, 유체전달대상)을 향해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중심 구조체(130)로서 다수의 미세 공동을 갖는 다공성 구조체(porous architecture)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심 구조체(130)는 유체공급원(140)의 유체를 모세관 유동에 의해 타겟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다공성 중심 구조체(130)의 재질로서 면, PLGA, Kevlar 등과 같은 다공성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이와 같은 다공성 중심 구조체(130)는 유체공급원(140)과 타겟간의 분압 차이에 기인한 항시적 이송 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다공성 중심 구조체(130)는 별도의 펌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미량의 유체 이송관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Such a porous
중심 구조체(130)는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 내에 단수 또는 복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도 1은 4개의 중심 구조체(130)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중심 구조체(130)의 일단은 유체공급원(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흡수하고, 타단은 타겟측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중심 구조체(130)를 통해 이송된 유체를 타겟으로 분산시킨다. 이와 같이, 중심 구조체(130)의 양단은 각각 유체의 흡수를 위한 '흡수부(131, absorption side)' 및 유체의 보급을 위한 '보급 포트(132, diffusion port)'로서의 기능을 한다.The
도 1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30)의 흡수부(131) 측이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외부로 연장되어 유체공급원(14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개념적인 도시로서 중심 구조체(130)의 흡수부(131) 측 또한 유체공급원(140) 또는 다른 차폐 구조에 의해 외기와 완벽하게 차단된다.According to FIG. 1, the absorber 131 side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30)가 유체 이송을 위한 유체 이송관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사이에서 이들을 구조적으로 지지해주는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하는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 이송관의 기능을 하는 중심 구조체(130)가 외부 대기와 완전히 차폐되기 때문에 외기에 의한 이송 대상 유체의 성분 변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바, 공급 유체의 용질 농도가 중요한 경우 유체 이송 미세 채널로서 매우 이상적인 조건을 제시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ilm for transporting fl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유체공급원에 연결될 중심 구조체의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나 타겟 측에 위치한 타단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 배출 수단이 추가로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central structure to be connected to the fluid source is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target side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In this case, the fluid discharge means is further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발명과 관련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 사이에 중심 구조체(130)를 배열한 후 중심 구조체(130)에 적절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을 접합하여 제조된다.In the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중심 구조체(130)의 한 쪽 끝이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구조인 바, 섬유 재질의 후크(10, hook)를 사용하여 중심 구조체(130)에 장력을 인가하였다. 즉, 후크(10)를 이용하여 중심 구조체(130)에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을 적층한 후 후크(10)를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였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도 4 및 5는 위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실사진들이다.4 and 5 are photographs of the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prepared using the above method.
도 4 및 5에 개시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재질로서 PDMS가 사용되었으며, 중심 구조체(130)로서 Kevlar fiber가 사용되었다. 폴리에스터 필름에 PDMS precursor를 스핀 코팅(1700rpm, 50초)하고, 90도에서 2분간 경화 처리한 후 경화된 필름층을 플라즈마 처리하였다. 그리고, Kevlar fiber 및 박막 필름층들을 접합한 후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거하였다.4 and 5, PDMS wa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and Kevlar fiber was used as the
도 4와 같이 하나의 후크(10)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도 5와 같이 복수의 후크를 사용하는 경우 중심 구조체의 다양한 굴절각 및 형태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5는 4개의 후크가 사용되어 3개의 절곡점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Although it may be manufactured using on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도 6은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전체 구조 중 타겟 측에 위치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6 partially shows a part located on the target side of the entire structure of th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30)의 적어도 일측에는 유체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는 공동(150, void)이 추가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공동(150)이 중심 구조체(130)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중심 구조체(130)의 한쪽 사이드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side of the
공동(150)은 중심 구조체(130)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따라 유체의 이송 통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동(150)을 통해서도 중심 구조체(130)와 마찬가지로 모세관 유동을 통한 수동적 모세관 이송이 가능하다. The
한편, 공동(150)은 가압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유동발생부(예를 들어, 펌프)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능동적 가압 유동을 통한 유체 이송이 가능하다. 공동(150)을 통한 유체 이송은 중심 구조체(130) 대비 다량의 약물 이송이 가능하며, 외부의 제어를 통해 능동 유량 제어 채널로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공동(150)에 유량 제어를 위한 밸브 구조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다공성의 중심 구조체(130)를 통해 극소량의 유체를 지속적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공동(150)을 통해 필요에 따라 유체의 이송 유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유량 제어가 가능하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flow a very small amount of fluid through the porous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의 한쪽 끝이 막힌 경우 별도의 유체 배출 수단이 필요하며, 유체 배출 수단은 배출홀(161,162)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Whe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is blocked as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fluid discharge means is required, and the fluid discharge mean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discharge holes 161 and 162.
배출홀(161,162)은 중심 구조체(130)를 통해 이송된 유체를 타겟에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홀(161)과, 공동(150)을 통해 이송된 유체를 타겟에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홀(1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holes 161 and 162 may include a
제1 및 제2배출홀(161,162)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배출홀(161,162)이 제 및 제2박막필름층(120)의 양면에 모두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배출홀(161,162)은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holes 161 and 162 ar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This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holes 161 and 162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20.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holes 161 and 162 may be formed through laser processing.
제1배출홀(161)은 중심 구조체(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2배출홀(162)은 공동(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배출홀(161,162)은 유체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 가능하다.The
제1배출홀(161)은 수동적 모세관 유동을 통한 연속확산(Continuos Diffusion) 노즐의 역할을 하며, 제2배출홀(162)은 연속확산 노즐의 역할 및 가압유동을 통한 능동주입(Active Injection) 노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본 실시예와 달리 중심 구조체(130)의 사이드에 공동(150)을 형성시키지 않은 경우, 제2배출홀(162) 없이 제1배출홀(161)만 형성시킨 구조도 가능하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중심 구조체(130)의 사이드에 공동(150)을 형성한 경우, 제1배출홀(161) 없이 제2배출홀(162)만 형성시킨 구조도 가능하다.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중심 구조체(130)의 사이드에 공동(150)이 형성된 경우, 중심 구조체(130)로서 다공성 섬유뿐만 아니라 금속(예를 들어, 금) 와이어 등의 비다공성 강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다공성 강체는 공동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사용되며, 보다 높은 기계적 강도를 지닌 유체 이송관 제작에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 공동(150)은 유체공급원(140) 측과 타겟 측에 연통되게 되며, 유체는 유체공급원(140) 및 타겟 사이의 분압차에 의해 타겟 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아울러, 공동(150)의 한쪽 끝이 막힌 구조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 중 적어도 하나에 별도의 배출홀을 마련하여 유체가 타겟으로 배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8 및 9는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사이에 공동이 형성된 구조의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사진들이다.8 and 9 are photographs of the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도 8은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 사이에 두 개의 중심 구조체(130)를 배열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3개의 공동이 형성되게 된다.FIG. 8 illustrates a case where two
도 9와 같이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 위에 중심 구조체 및 박막필름층을 추가로 적층한 구조도 가능하다. 도 9는 2개의 중심 구조체(130)를 이용하여 4개의 공동을 형성시킨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9, a structure in which a central structure and a thin film layer are further stacked o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may be further stacked. 9 illustrates the case where four cavities are formed using two
이와 같은 구조뿐만 아니라, 박막 필름층의 개수 및 적층 형태, 중심 구조체(130)의 개수 및 배열을 적절히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의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such a structure, various types of flexible films for fluid transfer may be implement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number and lamination form of the thin film layer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은 플렉서블 미세 채널 구조가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The flexible film for transporting fluid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to various fields to which the flexible microchannel structure is applied.
이러한 분야의 일 예로서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 분야를 들 수 있다.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는 면역반응 및 인체거부반응을 통제하기 위한 약물 주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하며, 이러한 약물 주입 채널의 구조는 인체 내 조직, 이식 단계의 외력 및 환경 등에 대해 견고한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삽입 이식형 보철은 시술시 주변 조직의 상해를 최소화하도록 가능한 작은 스케일로 설계되어야 한다.One example of such a field is the field of organ implantable prosthetics. Organ implantable prosthetics should have a structure capable of injecting drugs to control immune response and rejection of the body, and the structure of the drug infusion channel should have robust durability against tissues in the human body, external force and environment of the transplantation stage, and the like. In addition, implantable prostheses should be designed to be as small as possible to minimize injury to surrounding tissue during the procedure.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필름은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의 유체 이송 구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120)과 중심 구조체(130)를 생체 적합성 물질로 사용하여 생체 적합성 요건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능동 및 수동 유량 제어를 통해 약물 공급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중심 구조체(130) 구조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약물 공급 채널의 구조적 견고성 및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luid transpor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fluid transport structure of an organ implantable prosthesis.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and the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필름을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로 이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110, 120) 상에 미세전극을 증착시켜 약물 공급과 전극 이식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luid transf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organ implantable prosthesis, the microelectrode may be deposited o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110 and 120 to simultaneously perform drug supply and electrode implantation.
그 밖에,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은 마이크로플루이딕스 칩(microfluidics chip)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 경우에도 유체공급원과 타겟 간 이송 유체의 농도 차이를 활용하여 자력 이송(self-driven)에 의한 유체 이송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cable to the field of microfluidics chips. Even in this case, the fluid transfer by the self-driven may be possible by utilizing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the transfer fluid between the fluid supply source and the target.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장기 이식형 보철기구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luid transfer flexible film and an organ implantable prosthesi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10: 후크
110: 제1박막필름층 120: 제2박막필름층
130: 중심 구조체
131: 흡수부 132: 보급 포트
140: 유체공급원 150: 공동(void)
161: 제1배출홀 162: 제2배출홀10: hook
110: first thin film layer 120: second thin film layer
130: center structure
131: absorption portion 132: supply port
140: fluid source 150: void
161: first discharge hole 162: second discharge hole
Claims (17)
상기 제1박막필름층에 적층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박막필름층; 및
외기와 차폐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사이에 삽입되며, 유체공급원의 유체를 모세관 유동에 의해 타겟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중심 구조체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A first thin film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A second thin film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laminated on the first thin film layer; And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so as to be shielded from outside air, and includes at least one porous central structure for transferring fluid from a fluid supply source to a target by capillary flow.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the second thin film layer is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상기 폴리머 재질은 열가소성 폴리머 또는 탄성중합체 폴리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2,
The polymer material is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oplastic polymer or elastomeric polymer material.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은 열압력 접합 또는 표면 개질을 통한 화학적 접합을 통해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ar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chemical bonding through thermal pressure bonding or surface modification.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는 상기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상기 타겟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의 다공성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
The porous center structure is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orous fibers extending from the fluid source toward the target.
상기 다공성 섬유는 면, 폴리락트글리콜산(PLGA), 및 케블라(Kevl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5,
The porous fiber is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cotton, polylactic glycolic acid (PLGA), and Kevlar (Kevlar).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는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의 타겟측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
The porous center structure is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target sid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를 통해 이송된 유체를 상기 타겟에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
Is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thin film layer, the fluid transfer film further comprises a first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fluid transferred through the porous central structure to the target .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공성 중심 구조체와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따라 유체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는 공동(voi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8,
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rous cent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oid (void) to form a transport passage of the fluid along the space defined by the porous center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상기 공동은 가압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유동발생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avity is connected to a pressurized flow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a pressurized flow.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동을 통해 이송된 유체를 상기 타겟에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econd discharge hole penetrating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and discharging the fluid transferred through the cavity to the target.
제1 및 제2배출홀은 상기 유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a plurality of flexible film for conveying fluid,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luid.
상기 제1박막필름층에 적층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박막필름층;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사이에 삽입되며, 유체공급원 측으로부터 타겟을 향해 연장되는 중심 구조체; 및
상기 중심 구조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중심 구조체와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따라 유체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는 공동(void)을 포함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A first thin film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A second thin film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laminated on the first thin film layer;
A central structu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and extending from the fluid supply side toward the target; And
The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ral structure, and comprising a void (void) to form a flow passage of the fluid along the space defined by the central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
상기 중심 구조체는 다공성 섬유 또는 비다공성 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3,
The central structure is a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orous fibers or non-porous rigid body.
상기 공동은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의 타겟측 단부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cavit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t the target sid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상기 제1 및 제2박막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동을 통해 이송된 유체를 상기 타겟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플렉서블 필름.The method of claim 13,
And a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hin film layers and discharging the fluid transferred through the cavity to the targ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6396A KR101098423B1 (en) | 2011-02-24 | 2011-02-24 |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nd Organ Implant Prosthesis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6396A KR101098423B1 (en) | 2011-02-24 | 2011-02-24 |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nd Organ Implant Prosthesis With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8423B1 true KR101098423B1 (en) | 2011-12-23 |
Family
ID=4550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6396A Active KR101098423B1 (en) | 2011-02-24 | 2011-02-24 |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nd Organ Implant Prosthesis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842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5787B1 (en) * | 2012-09-27 | 2014-06-1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 3-dimensional microfluidic channel having combined flexibilit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3984B1 (en) | 1992-04-17 | 2000-02-01 | 크리젤 마샬 에스. | Improved fluid delivery apparatus |
KR100603477B1 (en) | 1998-06-18 | 2006-07-24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Active fluid transfer device with microchannel |
-
2011
- 2011-02-24 KR KR1020110016396A patent/KR10109842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3984B1 (en) | 1992-04-17 | 2000-02-01 | 크리젤 마샬 에스. | Improved fluid delivery apparatus |
KR100603477B1 (en) | 1998-06-18 | 2006-07-24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Active fluid transfer device with microchanne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5787B1 (en) * | 2012-09-27 | 2014-06-1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 3-dimensional microfluidic channel having combined flexibilit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Villarruel Mendoza et al. | Recent advances in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ed drug release applications | |
JP6325026B2 (en) | Dressing,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issue sites | |
CN111491617B (en) | Cell containment device | |
JP2023116466A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nd vascularization membranes | |
CN113710199B (en) | Multi-compartment large capsule device | |
TW201628586A (en) | Microneedle patch,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icroneedle array | |
US20170319472A1 (en) | Implantable cellular and biotherapeutic agent delivery canister | |
CN101356378A (en) | microfluidic system | |
WO2013061825A1 (en) | Hollow needles manufacturing method and hollow needles | |
KR102012241B1 (en) | Microneedle Structu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 |
Kiryukhin | Active drug release systems: Current status, applications and perspectives | |
KR101098423B1 (en) | Flexible Film For Fluid Transfer And Organ Implant Prosthesis With The Same | |
KR101537932B1 (en) | Polymer-based hybrid neural electrode array with fluidic chan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6390277A (en) | Pressure-controlled flexible microneedle drug delivery system | |
Luo et al. | Implantable microfluidics: methods and applications | |
KR101405787B1 (en) | A 3-dimensional microfluidic channel having combined flexibilit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839846B1 (en) | In vivo implantable drug pump driven by external magnetic field | |
KR102612124B1 (en) | In-Body Perfusion System | |
JP4935391B2 (en) | Drug delivery device | |
CN119857192A (en) | Implanted drug release chip based on acoustic streaming contr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Liu et al. | Acoustically excited micro mass transport for remotely dose-controlable drug releasing | |
CN207085071U (en) | A kind of pressure-controlled flexible micropin delivery system | |
Lee et al. | An implantable drug-delivery system on a chip | |
Mahija et al. | MEMS based drug delivery system using micropump | |
Zachkani | A minimally-invasive mems drug deliver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5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