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4350B1 -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350B1
KR101094350B1 KR1020110068006A KR20110068006A KR101094350B1 KR 101094350 B1 KR101094350 B1 KR 101094350B1 KR 1020110068006 A KR1020110068006 A KR 1020110068006A KR 20110068006 A KR20110068006 A KR 20110068006A KR 101094350 B1 KR101094350 B1 KR 10109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signal
unit
detecting
pulse
electrocardiogr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후
Original Assignee
김종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후 filed Critical 김종후
Priority to KR102011006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3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생체신호인 뇌파, 심전도, 맥박을 동시에 측정하여 측정자의 정신과 육체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뇌파를 감지하기 위한 뇌파감지부(110), 심전도를 감지하기 위한 심전도감지부(120),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맥박감지부(130)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부(100)와;
상기 생체신호측정부(100)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감지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증폭부(200)와;
상기 신호증폭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검사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서 이 결과를 저장장치(500)에 저장하면서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와 접속되어 검사대상자의 설정범위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패드(6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주치의가 상기 키패드(600)를 통하여 측정검사대상자에 알맞게 자극의 정도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생체신호측정부(100)로 부터 측정된 뇌파, 심전도, 맥박에 관한 피검사자의 생체신호와 결합되어 그 변화된 피검사자의 생체신호가 제어부(400)를 통해 저장장치(5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여 피검사자가 어떤 종류의 자극 및 어느 정도의 자극강도에 어떠한 생체변화가 일어났는지를 검사 및 필요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Test analysis system of complex body stimulation}
본 발명은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생체신호인 뇌파, 심전도, 맥박을 동시에 측정하여 측정자의 정신과 육체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신호는 인체에서 나오는 뇌파, 맥박, 심전도 등을 말하는 것으로 질병을 치료하거나 질병의 진단 등의 의료활동을 위하여 필수 적이다.
따라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기 전에 먼저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생체신호인 맥박과 심전도 및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맥박측정기와 심전도측정기 및 뇌파측정기를 이용해 검사하여야 함으로써, 생체신호를 측정 시 많은 측정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생체신호를 측정 시 어떤 외부조건에서 어떠한 생체변화가 이루어졌는지가 저장되어있지 않은 관계로, 적절하고 올바른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없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생체신호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뇌파, 심전도, 맥박에 관한 검사 대상자의 생체신호가 어떤 자극에 어떠한 반응을 일으키는지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실질적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육체적 정신적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은 뇌파를 감지하기 위한 뇌파감지부(110), 심전도를 감지하기 위한 심전도감지부(120),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맥박감지부(130)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부(100)와;
상기 생체신호측정부(100)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감지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증폭부(200)와;
상기 신호증폭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검사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서 이 결과를 저장장치(500)에 저장하면서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와 접속되어 검사대상자의 설정범위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패드(6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주치의가 상기 키패드(600)를 통하여 측정검사대상자에 알맞게 자극의 정도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생체신호측정부(100)로 부터 측정된 뇌파, 심전도, 맥박에 관한 피검사자의 생체신호와 결합되어 그 변화된 피검사자의 생체신호가 제어부(400)를 통해 저장장치(5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여 피검사자가 어떤 종류의 자극 및 어느 정도의 자극강도에 어떠한 생체변화가 일어났는지를 검사 및 필요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은 생체신호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뇌파, 심전도, 맥박에 관한 검사 대상자의 생체신호가 어떤 자극에 어떠한 반응을 일으키는지를 동시에 측정하여 보관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치료를 수행 시 치료자가 보다 정확하고 실질적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육체적 정신적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인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뇌파를 감지하기 위한 뇌파감지부(110), 심전도를 감지하기 위한 심전도감지부(120),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맥박감지부(130)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부(100)와, 상기 생체신호측정부(100)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감지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증폭부(200)와, 상기 신호증폭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검사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서 이 결과를 저장장치(500)에 저장하면서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와 접속되어 검사대상자의 설정범위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패드(6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키패드(600)를 통해 입력되는 검사대상자의 설정범위는 제어부(400)를 통해 저장장치(500)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생체신호측정부(100)의 뇌파감지부(110)는 피검사자의 뇌파를 심전도감지부(120)는 피검사자의 심전도를 맥박감지부(130)는 피검사자의 맥박을 측정하게된다.
상기 생체신호측정부(100)에서 센싱된 신호는 신호증폭부(200)에서 증폭되고, 신호변환부(300)에서 변환하여 제어부(400)에 입력됨과 동시에 저정장치(500)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피검사자의 생체신호를 저장장치(500) 저장함과 동시에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장치(500)에 저장되는 생체신호는 측정검사대상자에 알맞게 주치의가 키패드(600)를 통하여 자극을 정도를 선택하여 주는 것에 의해, 생체신호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된 뇌파, 심전도, 맥박에 관한 피검사자의 생체신호가 제어부(400)를 통해 저장장치(5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게된다.
물론, 상기 키패드(600)를 통해 입력되는 검사대상자의 설정범위 역시도 제어부(400)를 통해 저장장치(500)에 저장되어 진다.
이로 인해 상기 피검사자가 어떤 종류의 자극 및 어느 정도의 자극강도에 어떠한 생체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주치의가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검사대상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검사를 수행 후 재 진료시에는 저장장치(500)에 저장되어있는 피검사자의 생체신호와 재 진료 받은 생체신호를 육안으로 비교하여 치료의 진행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피검사자의 정확한 현재상태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은 생체신호, 생체신호를 측정할 동안의 동작 상태에 따른 일종주기의 변동을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제공함은 물론, 상기 생체신호 및 키패드(600)를 통하여 가해진 자극을 저장장치(500)에 저장하여 필요시에 다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실질적인 생체신호 테이터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생체신호측정부 110 : 뇌파감지부
120 : 심전도감지부 130 : 맥박감지부
200 : 신호증폭부 300 : 신호변환부
400 : 제어부 500 : 저장장치
600 : 키패드 700 : 컴퓨터

Claims (2)

  1. 뇌파를 감지하기 위한 뇌파감지부(110), 심전도를 감지하기 위한 심전도감지부(120),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맥박감지부(130)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부(100)와;
    상기 생체신호측정부(100)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감지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증폭부(200)와;
    상기 신호증폭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검사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서 이 결과를 저장장치(500)에 저장하면서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와 접속되어 검사대상자의 설정범위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패드(6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주치의가 상기 키패드(600)를 통하여 측정검사대상자에 알맞게 자극의 정도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생체신호측정부(100)로 부터 측정된 뇌파, 심전도, 맥박에 관한 피검사자의 생체신호와 결합되어 그 변화된 피검사자의 생체신호가 제어부(400)를 통해 저장장치(5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컴퓨터(7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여 피검사자가 어떤 종류의 자극 및 어느 정도의 자극강도에 어떠한 생체변화가 일어났는지를 검사 및 필요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2. 삭제
KR1020110068006A 2011-07-08 2011-07-08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Active KR10109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006A KR101094350B1 (ko) 2011-07-08 2011-07-08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006A KR101094350B1 (ko) 2011-07-08 2011-07-08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350B1 true KR101094350B1 (ko) 2011-12-19

Family

ID=4550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006A Active KR101094350B1 (ko) 2011-07-08 2011-07-08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3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6629B2 (en) 2013-11-25 2016-11-08 Ybrain Inc. Brain stimulating system
KR101799013B1 (ko) 2017-05-10 2017-11-22 김은지 동적 지표를 포함한 영재성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영재성 개발 교구 제안 방법
US10265524B2 (en) 2014-06-20 2019-04-23 Ybrain Inc.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for recognizing brain activation pattern and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
US10610686B2 (en) 2014-02-07 2020-04-07 Ybrain Inc.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system
KR102162054B1 (ko) * 2020-04-01 2020-10-06 유승구 통증 분석 장치
WO2025105558A1 (ko) * 2022-11-25 2025-05-22 차희찬 뇌파 측정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6629B2 (en) 2013-11-25 2016-11-08 Ybrain Inc. Brain stimulating system
US10610686B2 (en) 2014-02-07 2020-04-07 Ybrain Inc.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system
US10265524B2 (en) 2014-06-20 2019-04-23 Ybrain Inc.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for recognizing brain activation pattern and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
US10420936B2 (en) 2014-06-20 2019-09-24 Ybrain Inc.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KR101799013B1 (ko) 2017-05-10 2017-11-22 김은지 동적 지표를 포함한 영재성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영재성 개발 교구 제안 방법
KR102162054B1 (ko) * 2020-04-01 2020-10-06 유승구 통증 분석 장치
WO2021201353A1 (ko) * 2020-04-01 2021-10-07 유승구 통증 분석 장치
WO2025105558A1 (ko) * 2022-11-25 2025-05-22 차희찬 뇌파 측정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9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cardiac and/or mental health
KR101094350B1 (ko)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JP2009089883A (ja) 心房細動検出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Bogdány et al. Validation of the Firstbeat TeamBelt and BodyGuard2 systems
CN204708828U (zh) 一种可穿戴的无创动脉健康检测装置
Shi et al. A contactless system for continuous vital sign monitoring in palliative and intensive care
US7549959B2 (en) Stimulation arrangement f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ignal reactivity
US9198594B2 (en) TWA measuring apparatus and TWA measuring method
Suzuki et al. Development of the irregular pulse detection method in daily life using wearable photoplethysmographic sensor
DK201370337A1 (en) Method of detecting psychogenic non-epileptic seizures
JP5252345B2 (ja) レビー小体型認知症の判定方法、判定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9538932B2 (e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nd synthesized electrocardiogram generating method
NO322580B1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overvaking av en sedert pasient
Huda Handheld Electrocardiogram Design
RU86861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и оценки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KR100991620B1 (ko) 허혈성 동물 모델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Bozorova Methods of processing and analysis of bio signals in electrocardiography
Wahyu Kusuma et al. Design of arrhythmia detection device based on fingertip pulse sensor
NO322696B1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overvaking av en sedert pasient
JP6585951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および生体情報測定方法
Wisana et al. Design Oxygen Saturation Monitoring in Telemedicine Smartphone System (TmSS)
JP2019063531A (ja) ゼロ基準中間点
Shanghavi et al. Pulse Rate Variability From Wearable Wristwatches as a Surrogate for Heart Rate Variability? We Think Not Yet
KR20230083741A (ko) 다채널 생체신호 획득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모니터링
Riswandhani et al. Bedside Monitor Based on Personal Computer Using STM32F7 Micro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