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2870B1 - Dtx 프레임 검출에 의한 통신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Dtx 프레임 검출에 의한 통신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870B1
KR101092870B1 KR1020040032270A KR20040032270A KR101092870B1 KR 101092870 B1 KR101092870 B1 KR 101092870B1 KR 1020040032270 A KR1020040032270 A KR 1020040032270A KR 20040032270 A KR20040032270 A KR 20040032270A KR 101092870 B1 KR101092870 B1 KR 101092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ceived
dtx
rlp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535A (ko
Inventor
미어스마틴하워드
샐버라니알렉산드로
위버칼프랜시스
Original Assignee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9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1Frame classification, e.g. bad, good or er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0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err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프레임들에서 DTX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방법 및 전력 제어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RLP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RLP 정보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이 이레이저 혹은 DTX 프레임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특정 서비스 품질에 관계된 문턱값을 조정하는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채널, DTX 프레임, RLP 정보

Description

DTX 프레임 검출에 의한 통신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Power control method with DTX frame detection for a communication chan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조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에 관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들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전송(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 프레임 검출에 의한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전력 제어 메카니즘은 바람직한 수준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전력 소비 및 간섭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전력 제어 메카니즘은 2개의 전력 제어 루프들로 구현된다. 제1 전력 제어 루프("인너(inner)" 전력 제어 루프, 혹은 "인너 루프"라고도 함)는 이동국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전송의 신호 품질(예를 들면, 신호 대 잡음비로 측정된)이 특정한 목표 신호 대 잡음비, 또는 목표 Eb/No로 유지되게 각 이동국에의 전송 전력를 조정한다. 목표 Eb/No는, 여기서 Eb는 정보 비트 당 에너지이고, No는 수신기에서 본 간섭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인 것으로, 전력 제어 설정점, 또는 문턱값이라고도 한다. 제2 전력 제어 루프("아웃터(outer)" 전력 제어 루프, 혹은 "아웃터 루프"라고도 함)는 예를 들면 특정의 목표 블록 에러 레이트(BLER), 프레임 에러 레이트(FER), 혹은 비트 에러 레이트(BER)에 의해 측정되는 바람직한 수준의 성능이 유지되도록 문턱값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링크(순방향 링크, 혹은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에 있어서, 인너 루프는 문턱값을 수신신호의 측정된 Eb/No과 비교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1.25ms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측정된다. 측정된 Eb/No가 문턱값보다 작다면, 수신기는 링크 상의 전력 증가를 요청한다. 즉, 수신기가 수신된 전송의 프레임들을 복호할 때 너무 많은 복호 에러들이 있어 FER은 허용범위 밖에 있게 된다(즉, 너무 높다). 측정된 Eb/No이 문턱값보다 크다면, 수신기는 링크 상의 전력 감소를 요청한다. 즉 복호되는 전송이 에러들을 갖고 있지 않아 시스템은 지나치게 효율적일 수 있어(FER은 허용범위 미만임) 전송 전력이 낭비되고 있을 수도 있다.
아웃터 루프는 인너 루프를 에워싸고 있고 인너 루프보다 훨씬 낮은 레이트, 이를테면 20ms 간격으로 동작한다. 아웃터 루프는 링크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한다. 아웃터 루프가 없다면, 시스템은 고정된 문턱값으로 동작할 것이다. 그러나, 고정된 문턱값은 예를 들면 채널 상태, 전송 전력, 시스템 부하, 이동국 속도, 채널 레이트, 채널 복호 등에 변화와 같이, 채널 상태 및/또는 환경 상태의 변화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문턱값은 변하는 채널/환경 상태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아웃터 루프는 링크의 품질을 살펴, 품질이 너무 안 좋으면, 아웃터 루프는 이에 따라 문턱값을 증가시킬 것이다. 링크 품질이 너무 좋으면(즉, 데이터 전송에 너무 높은 것으로, 약 1% 음성 전송의 목표 FER보다 낮은 FER), 아웃터 루프는 지나치게 시스템 자원들을 낭비하지 않게 문턱값을 다시 조정한다.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불연속 전송을 하게 하였을 경우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불연속 전송, 즉 DTX는 자원들 면에서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는 채널 해제(release), 처리 비효율 등을 피하기 위해서, 기지국 혹은 이동국이 보낼 데이터가 없을 때 자발적으로 자신의 전송기를 온 오프 전환시키는 동작모드이다. 채널 해제는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을 소실시킬 수 있고, 시스템 정지 시간(down time) 증대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DTX 모드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전송 전력을 최소화하며 시스템과의 간섭의 감소로 인해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킨다. DTX 모드는 기지국/이동국 자원들을 사용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DTX 모드에서 시스템은 DTX 모드에서 전송기가 예고 없이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때문에(즉, 자발적으로) 수신기가 프레임들이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모를 때 문제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수신기(이를테면 기지국)가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DTX 프레임들로서 전송되는 프레임들은 전송되지만 에러를 포함하는 프레임들과 유사한 Eb/No을 가질 수 있다. 에러를 갖고 전송 및 수신되는 프레임들을 "이레이저(erasure)"라 한다. 따라서, 실제 에러를 갖고 전송되고 에러를 갖고 수신되는 프레임들(이레이저)과, 데이터를 갖고 전송되지 않았던 프레임들 즉 제로 이득을 갖고 전송된 빈 데이터 프레임, 예를 들면 DTX 프레임 간을 수신기가 판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수신기에서의 현재 DTX 검출 과정은 이레이저들을 DTX 프레임들과 구별하려고 하였다. 현재의 DTX 검출기들은 에너지(Eb/No)의 검출만에 근거해서 판별한다. 이것은 특히 신호 강도가 낮으면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낮은 Eb/No에서, DTX 검출은 DTX 프레임이 이레이저로서 오해될 수 있고 그 역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 이러한 잘못된 식별(identity)의 경우는 변경된 채널/환경 상태에 기인한 링크 변화를 아웃터 루프가 효과적으로 추적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기의 아웃터 루프는 문턱값을 유지할 것인지 혹은 문턱값을 바꿔야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없다. 아웃터 루프는 인너 루프가 충족하는 문턱값을 설정하고, 인너 루프 전력 제어 또한 영향을 받는다. 즉, DTX 검출기가 이레이저들과 DTX 간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다면, 전력 제어는 부정확할 수 있어 잠재적으로 전력 및/또는 시스템 자원을 낭비할 수도 있고, 혹은 불필요한 재전송이나 아마 채널의 우발적 해제를 유발하여 불필요하게 시스템 정지 시간을 증가시킨다. 이는 링크 성능 및 시스템 용량의 손실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DTX 프레임들을 정확하게 검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프레임들에서 DTX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방법 및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채널로 수신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정보가 수신될 수 있고 상기 RLP 정보에 기초하여, RLP 정보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이 이레이저 혹은 DTX 프레임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특정 서비스 품질에 관련된 문턱값을 조정하기 위해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한 첨부한 도면 및 다음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고 이들은 단지 예로 주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채널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Radio Link Protocol)층(이하 "RLP 정보")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는 수신된 프레임이 에러가 없는지, DTX 프레임인지 아니면 이레이저인지 여부와, 데이터 프레임이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기에 응답 메시지가 보내질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평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DTX 프레임 검출, 따라서 아웃터 전력 제어("아웃터 루프")는 RLP 정보에서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의 존재 유무에 기초할 수 있다.
전송기는 RLP 정보 내에 복수의 연속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예를 들면 패킷에 대한 헤더로서 첨부하여 데이터 패킷을 보낸다. 수신기는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살펴본다. RLP 층 기능은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갭을 검출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신기는 미싱 프레임 시퀀스 번호(missing frame sequence number)를 재전송하라는 적합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기에 보낼 수 있다.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갭은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불연속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RLP 기능성은 DTX 프레임들과 이레이저들 간의 상이를 결정하기 위해서 RLP 정보에서 이들 갭을 찾는다. DTX 프레임이 어떠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DTX는 갭이 없으며, 이레이저는 연속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 간에 갭을 가질 수 있다. 갭이 검출되면, 이 정보는 예를 들면 아웃터 루프가 문턱값을 조정하도록 순환 잉여 코드(CRC: Cyclic Redundancy Code) 체크 실패로 표시되는 것으로서 아웃터 루프에 전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RLP 정보를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DTX 프레임 검출과 이레이저와의 구별, 및 효율적인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방법은 수신기에서 DTX 프레임들의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사용하는 알고리즘 또는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필요성을 없게 할 수 있다.
RLP 정보 내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갭이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메시지 교환 센터(MSC)에 존재할 수 있는) RLP 층의 기능에 의해 검출되면, 수신기는 미싱 프레임 시퀀스 번호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이를테면 부정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과 같은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방법은 예를 들면 기지국 혹은 무선 이동국 내 트랜시버 회로의 일부일 수 있는 수신기에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방법은 특정 무선 시스템의 특정 섹터 혹은 셀 내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에 각각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MSC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통상적으로 통신 채널의 링크층은 다중화, 흐름 제어 및 재전송 기능을 위한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을 지원한다. RLP층은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때 링크를 통해 전송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활성화된다. RLP층의 기능은, 예를 들면 헤더로서 전송된 패킷에 첨부된 RLP 정보 내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의 스트링에서의 갭들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방법에서, RLP층 기능은 RLP 정보에 포함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 내 갭들을 찾는다(단계 S10). 수신기에서, 프레임 시퀀스 번호에 갭이 검출되고(단계 S20의 출력이 YES), 수신된 다음 "양호한" 프레임(예를 들면, 에러 없이 CRC 코드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에러가 없는 데이터를 전하는 프레임)이 순서가 맞지 않으면(단계 S30), 수신기는 이레이저가 방금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고(단계 S40), 예를 들면 NACK들의 형태일 수 있는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이레이저가 검출된 경우, 갭 또는 미싱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표시한 정보와 함께 재전송 요청이 전송기에 보내진다.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서 갭이 검출되지 않으면(단계 S20의 출력이 NO), RLP층 기능은 프레임 시퀀스가 RLP 정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50). 프레임 시퀀스가 RLP 정보에 있을 경우 그리고 어떠한 갭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단계 S50의 출력이 YES), 프레임은 만족스럽게 수신된 것이며(단계 S60), 에러는 없으며 수신확인 응답(ACK)과 같은 응답 메시지가 전송기에 보내질 수 있다. 단계 S50의 출력이 NO이면, DTX 프레임이 전송기로부터 방금 수신된 것이며, 수신기의 아웃터 루프는 바람직한 DTX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단계 S70). 이 DTX 프로토콜은 현재의 문턱값을 유지하고, 시스템 전력 레벨에 수렴하고, 기준 문턱값을 위 혹은 아래로 이동시키고, 현재의 문턱값을 유지하고 추가의 DTX 프레임들이 전송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특정 시간량을 대기하는 것 등일 수 있고, 또는 수신기가 소프트 핸드오프 중에 있는지 여부에 의존할 수 있는 프로토콜, 혹은 이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명백한 어떤 다른 DTX 프로토콜일 수도 있다. 따라서, RLP 정보로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 정보는 이레이저와 DTX 프레임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조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레이저가 올바르게 검출되었을 때, 아웃터 루프는 문턱값(즉, 목표 Eb/No 설정점)을 증가시킨다(단계 S42). 예를 들면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인너 루프 전력 제어 알고리즘("인너 루프")은 아웃터 루프에 의해 설정된 문턱값과 같은 목표(target)를 만족시키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인너 루프는 예를 들면 약 1%의 바람직한 FER이 달성될 수 있도록,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에서 보내지는 에러들의 수를 수용할 수 있는 레벨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전송 전력 PTX를 조정할 것이다(단계 S44). 한편, DTX 프레임이 수신되면, 아웃터 루프는 링크 품질, 즉 바람직한 시스템 FER, BLER, BER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 문턱값을 유지 또는 조정하는 바람직한 DTX 프로토콜을 실행할 수 있다.
DTX 프레임들과 이레이저들 간을 구별하는 능력에 기초하여, 이레이저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었을 때 전송 전력이 조정될 수도 있고, DTX 프레임들이 수신될 때 현재의 레벨들로 유지 및/또는 아웃터 루프에서 DTX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된 RLP 정보에 있는 프레임 시퀀스 번호 갭들에 기초하여, 아웃터 루프는 수신된 DTX 프레임들 및 수신된 이레이저들 모두를 올바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은 수신기에서 연속해서 수신될 수 있어, 전력 제어 아웃터 루프의 입력의 불연속성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아웃터 루프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어떤 특정의 DTX 검출을 완전하게 수행해야 하는 것을 피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에 관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전송기에서의 RLP층 기능은 데이터(즉, 데이터 패킷)가 전송될 때 RLP층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기에 보내고 있을 때를 안다. 통상 RLP층 기능은 전송되는 각 데이터 프레임에 프레임 시퀀스 번호가 첨부될 것을 명한다. 보낼 데이터가 없다면, 전송기는 DTX를 보낼 수도 있고(예를 들면, 제로 이득을 갖는 DTX 프레임을 보낸다), RLP층에서 어떠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든 보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송기는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모든 데이터 프레임들에 첨부하나(단계 S310), DTX 프레임들에 대해선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첨부하거나 보내지 않는다. 프레임 시퀀스 번호 정보는 주 채널를 통해 보내지는 RLP 정보에 포함되는 반면, 데이터 프레임들은 부 채널들을 통해 보내진다(단계 S320). 전송에 응답하여 (갭이 검출되었음을 의미하는) NACK가 발부되면, 전송기에 의해 보내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에러로 수신된 것이다(예를 들면, 이레이저들로서). 따라서, 아웃터 루프는 문턱값을 증가시키고, 전송기는 이들 이레이저를 재전송하기 위해서, 인너 루프의 제어 하에 자신의 전송 전력 PTX를 증가시킬 것이다(단계 S350). 전술한 바와 같이, 인너 루프는 아웃터 루프에 의해 결정된 새로운 문턱값(증가된 목표 Eb/No설정점)을 충족시키려 한다.
아무 NACK도 발부되지 않으면(단계 S330의 출력이 NO), 전송기는 데이터 없이 DTX 프레임을 보냈으며 따라서 어떠한 프레임 시퀀스 번호도 프레임에 첨부되지 않았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전송을 계속 유지한다. 그러나, DTX 프레임은 CRC 에러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아웃터 루프는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DTX 포로토콜을 실행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는 DTX에 허용된 부 채널을 전력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주 채널들 및 부 채널들은 각각의 활성 채널 세트들의 일부이다. 주 채널의 활성 세트 및 부 채널의 활성 세트는 사용자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간에 형성된 통신들을 위해 특정의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들(혹은 셀의 섹터)은 활성 세트의 멤버들이다. 즉, 멤버들은 채널 접속들에 맵핑된다(즉, 접속된다).
부 채널은 주 채널보다는 신뢰성이 덜 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부 채널이 축소된 활성 세트에서 동작할 경우 그러할 수 있다. 축소된 활성 세트 상태는 부 채널의 활성 세트의 멤버가 주 채널의 활성 세트의 서브세트일 때 일어난다(예를 들면, 부 채널이 단일의 기지국에만 접속되는 반면, 주 채널이 복수의 기지국들과 소프트 핸드오프 중에 있을 때). 현재, 예를 들면, 부 채널을 통한 프레임이 채널에서의 페이드(fade)로 인해 이레이저로서 수신된다면, 통상은 양호한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갖는 양호한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만 재전송 요청이 발부될 것이다. 그러나, 페이드가 길면 "양호한" 프레임(CRC 에러들이 없는 것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에러 없이 전송 및 수신되는 프레임)에 도달하기 위해서 너무 많은 프레임들을 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많은 프레임들에 걸쳐 버스트 에러들로 바뀔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시퀀스 번호 갭이 너무 늦게 검출되면(즉, 아웃터 루프가 충분히 신속하게 이 정보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추가의 레이턴시(latency)가 아웃터 루프에 더해질 수 있어,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들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송기는 부 채널(secondary channel)에서 뿐만 아니라 주 채널(primary channel)에서 연관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과 함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보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채널을 통해 모든 프레임에서 신뢰성 있는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이는 최소의 레이턴스로 시퀀스 갭들의 검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은 주 채널 및 부 채널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데이터와 함께 보내진다.
따라서,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RLP층 기능은 주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RLP층에 포함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갭들을 찾고,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갭이 검출되고, 수신된 다음 "양호한" 프레임이 순서가 맞지 않으면", 아웃터 루프는 이레이저가 방금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고 NACK를 보낸다. 이레이저가 검출된 경우, 미싱 프레임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NACK가 전송기에 보내진다.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어떠한 갭도 검출되지 않으면, RLP층 기능은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이 RLP층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이 RLP층에 있을 경우, 그리고 어떠한 갭도 검출되지 않으면, 프레임은 만족스럽게 수신된 것이고, 어떠한 에러도 없으며, 알려진 바와 같이 ACK가 전송기에 보내질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도 1에 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DTX 프레임이 방금 수신되었으며, 수신기의 아웃터 루프는 DTX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현재의 문턱값을 유지하고, 시스템 전력 레벨에 수렴하고, 기준 문턱값으로 올리거나 낮추고, 현재의 문턱값을 유지하고 추가적인 DTX 프레임들이 전송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특정 시간량을 대기하는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RLP 정보 내 프레임 시퀀스 번호는 부 채널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아웃터 루프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서, 수신기가 버스트 이레이저를 수신한다면, 수신기는 주 채널 및 부 채널에서 전송된 프레임들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에서의 갭을 발생시킬 것이다. 주 채널이 신뢰성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시퀀스 번호에서의 갭이 최소의 지연을 갖으면서 검출될 것이고, 부 채널들의 전력 제어를 위해 아웃터 루프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주 채널의 속도는 중요하지 않으며, 주 채널의 신뢰도 및 레이턴시만이 중요하다. 주 채널 및/또는 부 채널에서 보내지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이 모두 주 채널들에서 보내지기 때문에, 부 채널에서의 버스트 이레이저들은 수신기에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갭들의 검출을 지연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기술하였는데, 이들 실시예는 많은 방법으로 다르게 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탈 및 범위로서 간주되지 않으며 이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모든 수정들은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 내 포함된다.
RLP 정보를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DTX 프레임 검출과 이레이저와의 구별, 및 효율적인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에서 DTX 프레임들의 블라인드 검출을 사용하는 알고리즘 혹은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필요성도 없게 한다.

Claims (10)

  1. 불연속 전송(DTX) 모드 기능을 갖는 부 채널들(secondary channel) 및 주 채널들(primary channel)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 채널에 대한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 채널을 통해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RLP 정보는 상기 주 채널들 및 상기 부 채널들 둘 다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 정보(sequence number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상기 RLP 정보 수신 단계;
    상기 RL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 채널에서 상기 RLP 정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이 이레이저(erasure)로서 수신되었는지 또는 DTX 프레임으로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determining)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부 채널의 전력 제어를 위한 특정 서비스 품질에 관련된 문턱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RLP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어떤 갭들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 수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검출 단계가 상기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서 갭을 검출한 경우, 이레이저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레이저는 에러를 갖고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문턱값을 조정하기 위해 미싱 프레임(missing frame)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갖는 부정응답(NACK)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정응답(NACK)은 상기 부 채널을 통한 전송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족되는 수정된 문턱값을 특정하는,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 수행 방법.
  4. 불연속 전송(DTX) 모드 기능을 갖는 부 채널들(secondary channel) 및 주 채널들(primary channel)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 채널을 통해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RLP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들이 전송되는 상기 부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 프레임에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첨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데이터 없이 전송되는 프레임은 프레임 시퀀스 번호 없이 전송되는 DTX 프레임이며,
    상기 조정 단계는 부정응답(NACK)이 수신된 경우 전송 전력을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정응답(NACK)은 검출된 이레이저의 경우(instance)를 나타내며, 이레이저는 에러들을 갖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나타내며, 상기 이레이저는 복수의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서 검출된 갭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부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6. 부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프레임들에서 불연속 전송(DTX)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 채널을 통해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RL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RLP 정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이 이레이저(erasure)로서 수신되었는지 또는 DTX 프레임으로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 채널을 통해 수신된 상기 RLP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의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frame sequence numbers)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수신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에 어떤 갭들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검출 단계가 상기 RLP 정보에 갭들이 없고 프레임 시퀀스 번호들이 없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DTX 프레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TX 프레임은 데이터 없이 전송된 프레임인, 불연속 전송(DTX)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방법.
  7. 불연속 전송(DTX) 모드 기능을 갖는 부 채널들 및 주 채널들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TX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부 채널에 대한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주 채널을 통해 프레임 시퀀스 번호 정보들을 포함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L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RLP 정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이 이레이저로서 수신되었는지 또는 DTX 프레임으로서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 채널에 대한 아웃터 루프 전력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40032270A 2003-05-15 2004-05-07 Dtx 프레임 검출에 의한 통신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092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38105 2003-05-15
US10/438,105 US7224993B2 (en) 2003-05-15 2003-05-15 Power control method with DTX frame detection for a communication cha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535A KR20040098535A (ko) 2004-11-20
KR101092870B1 true KR101092870B1 (ko) 2011-12-14

Family

ID=3302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270A KR101092870B1 (ko) 2003-05-15 2004-05-07 Dtx 프레임 검출에 의한 통신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24993B2 (ko)
EP (1) EP1478103B1 (ko)
JP (1) JP4463001B2 (ko)
KR (1) KR101092870B1 (ko)
DE (1) DE60200401114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8100B2 (en) * 2003-07-01 2008-07-08 Motorola,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i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AU2004262737B2 (en) * 2003-08-12 2008-12-1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ncoded messages
US7453821B2 (en) * 2004-05-26 2008-11-1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of detecting signal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94151B2 (en) * 2004-06-18 2009-09-22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an orthogonal system
US7197692B2 (en) 2004-06-18 2007-03-27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erasure detection and erasure-rate-based closed loop power control
US7536626B2 (en) * 2004-06-18 2009-05-1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using erasure techniques
US8452316B2 (en)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US7664523B2 (en) * 2004-07-22 2010-02-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obile apparatus
JP4590969B2 (ja) * 2004-07-28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57467A (ja) * 2004-11-30 2006-06-15 Nec Corp 無線通信装置、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74158B2 (en) * 2005-02-02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Erasure detection for a transport channel with an unknown format
US8848574B2 (en) 2005-03-1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2639B2 (en) 2005-03-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42444B2 (en) *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21965A1 (en) * 2005-03-31 2006-10-05 Peter Bosch Method of transferring data packet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750908B2 (en)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9055552B2 (en)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8094595B2 (en) * 2005-08-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communications in wireless systems
US20070097935A1 (en) * 2005-10-27 2007-05-03 Alexei Gorokhov In-band rate control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30938B2 (ja) 2005-10-27 2014-03-0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リンク・ローディングを推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923211B2 (en) 2005-10-2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an access grant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S2255887B1 (es) * 2006-03-16 2007-03-16 T.O.P. Optimized Technologies, S.L. Metodo y aparato de control de potencia por lazo externo para sistemas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00391120C (zh) * 2006-03-17 2008-05-28 凯明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缺省分配方式下的移位序列检测的方法
US8442572B2 (en) * 2006-09-08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s for delta-base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70777B2 (en) 2006-09-0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adjustment
JP2008118417A (ja) * 2006-11-06 2008-05-22 Fujitsu Ltd 移動無線装置
US7734308B2 (en) * 2006-12-27 2010-06-08 Alcatel-Lucent Usa Inc. Power reduction methods in enhanced transmitters and receivers
US7881742B2 (en) * 2007-01-31 2011-0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during DTX operation
US8094614B2 (en) * 2007-03-21 2012-01-10 Kapsch Tafficcom AG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queuing for discontinuous wireless channels
US8284706B2 (en) * 2007-09-20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Semi-connected opera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2223438B1 (en) * 2007-11-26 2014-11-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uter loop power control for e-dch
US8107989B2 (en) * 2008-07-31 2012-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 power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CN102316560A (zh) * 2010-07-06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配置不连续接收的装置及方法
US9001683B2 (en) 2012-11-30 2015-04-07 Electro-Motive Diesel, Inc. Selective routing of communications in locomotive consist
US9019918B2 (en) 2012-11-30 2015-04-28 Electro-Motive Diesel, Inc. Transmission spectrum selection for locomotive consist communications
US9078256B2 (en) 2012-11-30 2015-07-07 Electro-Motive Diesel, Inc. Data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comotive consists
US9071338B2 (en) 2012-11-30 2015-06-30 Electro-Motive Diesel, Inc. Reliable data transfer for locomotive consist communications
US8976678B2 (en) 2012-11-30 2015-03-10 Electro-Motive Diesel, Inc. Multiple line communications for locomotive consis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518A1 (en) * 2001-10-05 2003-04-1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outer loop for communication channels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13A (en) * 1868-09-08 Improvement in hoese-shoes
EP0562215A1 (en) * 1992-03-27 1993-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der preserving transmission of data streams
KR100651457B1 (ko) 1999-02-13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불연속 전송모드에서 연속적인 외부순환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32321B1 (ko) * 1999-05-21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블록 일련번호 생성 및 바이트 일련번호 확인 장치 및 방법
FR2797736B1 (fr) * 1999-08-19 2001-10-12 Mitsubishi Electric France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systeme de telecommunications
EP1177646B1 (en) 2000-03-10 2009-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59456B1 (en) * 2000-03-13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communicated data
US6654922B1 (en) 2000-04-10 2003-11-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laring correctness of reception of channels for us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678530B1 (en) * 2000-05-18 2004-01-13 Denso Corporation Dynamic power control of a channel signal
US6975868B2 (en) 2001-02-21 2005-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S-95B reverse link supplemental code channel frame validation and fundamental code channel rate decision improvement
US6840928B2 (en) 2001-03-01 2005-0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zones of differential stretch
US6400960B1 (en) 2001-07-13 2002-06-04 Lucent Technologies Inc. Power control of a communication traffic channel with discontinued transmission in the presence of a primary traffic channel
US6941500B2 (en) 2001-08-10 2005-09-06 Motorola, Inc. Method for implementing a modified radio link protocol
US6731606B2 (en) * 2002-01-31 2004-05-0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outer loop for communication channels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KR100850989B1 (ko) * 2002-01-05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반복 요청(arq)시스템에서응답정보(ack/nack)신호에 대한 전력제어 방법
US7352722B2 (en) * 2002-05-13 2008-04-01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link imbal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75905B2 (en) * 2002-09-11 2006-07-11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indicator bit (QIB) gen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054282B2 (en) * 2002-11-27 2006-05-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n a discontinuous transmission channel in a CDMA system
US20040165560A1 (en) * 2003-02-24 2004-08-26 Harris John M.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 frame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518A1 (en) * 2001-10-05 2003-04-1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outer loop for communication channels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8103A3 (en) 2005-04-13
DE602004011141T2 (de) 2009-01-02
EP1478103A2 (en) 2004-11-17
EP1478103B1 (en) 2008-01-09
US20040229639A1 (en) 2004-11-18
DE602004011141D1 (de) 2008-02-21
KR20040098535A (ko) 2004-11-20
US7224993B2 (en) 2007-05-29
JP4463001B2 (ja) 2010-05-12
JP2004343769A (ja)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870B1 (ko) Dtx 프레임 검출에 의한 통신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US7466666B2 (en) Forward ACK/NACK channel for CDMA system
US712434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078225B2 (en) Dynamic mobile power headroom threshold for determining rate increases in the reverse traffic channel of a CDMA network
US7346018B2 (en) Margin control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U20023590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 signals
EP1440525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130413B2 (ja) Arq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
US7920888B2 (en) Power control and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080719A1 (en) Scheduling transmission of data over a transmission channel based on signal quality of a receive channel
KR10094299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110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