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9729B1 -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 Google Patents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729B1
KR101089729B1 KR1020080128564A KR20080128564A KR101089729B1 KR 101089729 B1 KR101089729 B1 KR 101089729B1 KR 1020080128564 A KR1020080128564 A KR 1020080128564A KR 20080128564 A KR20080128564 A KR 20080128564A KR 101089729 B1 KR101089729 B1 KR 10108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er
foundation construction
excavation
slo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986A (ko
Inventor
김태흥
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to KR102008012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7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7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면에 교각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시공에 있어서, 교각이 설치될 비탈면 일부에 원형형상으로 굴착부가 굴착되고, 굴착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만큼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며 벽체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교각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교각 설치부위의 상측부를 굴착하여 옹벽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을 감소시키고,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다.
교각, 기초시공, 비탈면, 굴착, 벽체

Description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The wall for the bridge post foundation construction}
본 발명은 기초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이 설치될 비탈면 일부에 원형형상으로 굴착부가 굴착되고, 굴착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만큼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는 벽체를 구비하여 교각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교각 설치부위의 상측부를 굴착하여 옹벽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을 감소시키고,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 및 고가도로 등을 건설하기 위해 다수의 교각이 구비되고, 이 교각은 설치되는 지형에 기초공사를 통해 지반을 형성 후,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교각 설치를 위한 비탈면 기초시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3)이 설치될 비탈면(1)에 굴착부(2)를 형성하고, 이 굴착부(2)에 교각(3)을 설치하게 된다.
굴착부(2)는 교각(3)이 설치되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저면의 상측 일부를 경사지게 굴착한 후 다짐으로써 굴착부(2) 상측에 위치된 흙이나 바위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다져진 경사면에서 흙이나 바위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망이나 옹벽(미 도시) 등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굴착부(2)는 교각(3)이 설치되는 부분 외에 상측 일부의 비탈면(1)을 굴착하여야 함으로, 작업부위가 증가되고, 이에 따른 작업 비용이 발생되어 전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각(3) 설치부분 외에 굴착된 굴착부(2)에 의해 산악지형 환경의 광범위한 파괴를 초래하여 흙이나 돌 등이 떨어지거나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물망이나 옹벽 등을 더 구비하게 되는데, 이 대비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에 따라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건설은 자연환경 파괴라는 부정적인 사회인식이 저변에 깔려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교각이 설치될 비탈면 일부에 원형형상으로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고, 이 굴착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만큼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는 벽체를 설치하여 종래 교각설치 부위를 비롯한 상측 비탈면을 굴착하는 공정과 굴착된 면을 보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벽체를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벽체를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고, 비탈면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비탈면 상측에 위치된 벽체 면의 상단부가 비탈면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비탈면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비탈면에 교각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시공에 있어서, 상기 교각이 설치될 비탈면 일부에 원기둥형상으로 굴착부가 굴착되고, 상기 굴착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만큼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는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상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벽체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강판이나 파형강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층을 이루는 벽체의 높이는 1 ~ 1.5m이다.
그리고 상기 교각이 설치된 벽체의 내측부에는 마감재가 채워진다.
또한, 상기 벽체는 보강지지구가 더 구비되어 굴착부와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강지지구는 앵커이다.
또한, 상기 벽체는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긴 지름을 갖는 방향을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비탈면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에 의하면, 교각이 설치된 비탈면 부위만 원형으로 굴착하고, 굴착된 부위에 상단에서 하측으로 벽체를 단계별로 형성함에 따라 교각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교각 설치부위의 상측부를 굴착하여 옹벽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을 감소시키고,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를 이용한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의 보강지지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타원형 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200)는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교각(3)이 설치된 비탈면(1)에 원기둥형상으로 굴착된 굴착부(100)에 설치된다.
벽체(200)는 굴착된 비탈면(1) 굴착부(10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단계별로 형성되어 완성되는 것으로, 굴착부(100)의 굴착시, 일정깊이 굴착한 다음, 굴착한 깊이만큼 벽체(200)를 형성하고, 벽체(200)가 형성된 굴착부(100)의 하측을 다시 굴착한 후, 먼저 설치된 벽체(200) 하측에 다른 벽체(200)를 형성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벽체(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교각(3)이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200)가 형성된 굴착부(100)의 저면에 교각(3)을 설치하고, 설치된 교각(3)과 벽체(200) 사이에 마감재(300)가 충진되어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때, 한 번의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굴착깊이는 1 ~ 1.5m이고, 각 벽체(200)는 이에 대응되도록 높이(ℓ)가 1 ~ 1.5m로 형성되어 굴착부(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벽체(200)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강판이나 파형강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굴착된 비탈면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마감재(300)는 굴착부(100)에서 굴착한 흙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철근과 큰크리트를 사용하여 벽체(200) 내측을 충진 함에 따라 교각(3)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200)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형성 두께가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상측이나 비탈면(1)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벽체(200)의 형성 면 중 비탈면(1)의 상단측에 형성된 면이 비탈면(1)의 하단측에 형성된 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비탈면(1) 상단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용이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벽체(200)의 내측에는 굴착된 흙이나 철근 및 콘크리트로 형성된 마감재(300)가 충진되어 교각(3)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벽체(2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서 상단측으로 갈수 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비탈면(1)에 굴착된 굴착부(100)로 하중이나 외부적인 힘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교각(3) 설치부 상측을 경사지게 굴착하고, 그물망이나 옹벽 등을 설치하여 산사태나 함몰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이러한, 벽체(200)를 설치하기 위해 굴착부(100)를 저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굴착시키고, 이 굴착부(100)에 벽체(200)를 설치함에 따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벽체(200)는 비탈면(1)의 상측에 위치된 면의 경사각이 다른 면의 경사각보다 더욱 경사지게 형성하여 가해지는 하중이 높은 면을 더욱 용이하게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벽체(2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면을 따라 다수의 보강지지구(40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굴착부(100)와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보강지지구(400)는 앵커 및 쏘일 네일(Soil Nail)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되며, 벽체(200)를 통과하여 굴착부(10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보강지지구(400)는 굴착부(100)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며, 굴착부(100) 주변 지역이 암석으로 형성될 경우, 암석에 일정길이로 고정시키고, 토사일 경우, 그 고정길이를 증가시켜 벽체(200)를 용이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200)는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 타원형 벽체(200)는 긴 지름을 갖는 방향을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비탈면(1)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비탈면을 따라 하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교각 설치를 위한 비탈면 기초시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를 이용한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의 보강지지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기초시공용 타원형 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비탈면 3 : 교각
100 : 굴착부 200 : 벽체
300 : 마감재 400 : 보강지지구
ℓ : 각 벽체 높이

Claims (10)

  1. 비탈면에 교각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시공에 있어서,
    상기 교각이 설치될 비탈면 일부에 원기둥형상으로 굴착부가 굴착되고, 상기 굴착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만큼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도록 벽체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는 보강지지구가 더 구비되어 굴착부와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3. 제1항에 이어서,
    상기 벽체는 상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 공용 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강판이나 파형강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층을 이루는 벽체의 높이는 1 ~ 1.5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이 설치된 벽체의 내측부에는 마감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구는 앵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긴 지름을 갖는 방향을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비탈면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KR1020080128564A 2008-12-17 2008-12-17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Active KR10108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564A KR101089729B1 (ko) 2008-12-17 2008-12-17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564A KR101089729B1 (ko) 2008-12-17 2008-12-17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986A KR20100069986A (ko) 2010-06-25
KR101089729B1 true KR101089729B1 (ko) 2011-12-07

Family

ID=4236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564A Active KR101089729B1 (ko) 2008-12-17 2008-12-17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834B (zh) * 2022-03-23 2024-06-28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斜坡地形下桥墩大直径圆形基础体系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479A (ja) 2003-01-08 2004-07-29 Nippon Hume Corp Pcウェルを使用した変断面構造物の結合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479A (ja) 2003-01-08 2004-07-29 Nippon Hume Corp Pcウェルを使用した変断面構造物の結合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986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21452A (ja) 橋梁の構築工法およびその橋梁構造物
JP4281567B2 (ja) 既設橋脚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既設橋脚基礎の補強方法
CN102031760A (zh) 岩堆地段路基的防落石方法
JP2019510909A (ja) 傾斜面または拘束されていない地表などを安定させるための連動安定化システム
CN107059882A (zh) 拱形锚网与桩锚联合支护结构
CN109024662A (zh) 锚杆静压桩托换无地下室建筑地下空间增层的方法
CN114319143A (zh) 一种适用于深厚软土地层中的桥梁顶推临时墩结构
KR101653606B1 (ko) 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JP2021063404A (ja) 既存岸壁の改良構造及び改良方法
CN211200426U (zh) 一种微型钢管桩挡墙抗滑支挡结构
KR100447331B1 (ko) 발파석을 이용한 절개지의 조경시설물 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경 시설물
KR101089729B1 (ko) 교각 기초시공용 벽체
JP7338119B2 (ja) 浮上り抑制構造、及び逆打ち工法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1032408B1 (ko) 선 보강칼럼 및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1677235B1 (ko) 연약지반 상에 부유식 말뚝을 이용하여 조성되는 성토체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KR101140787B1 (ko) 교각 기초시공 방법
KR100346947B1 (ko)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JP2004211502A (ja) 基礎の補強構造
JP7674847B2 (ja) 建築方法
JP7193065B2 (ja) 逆打ち工法
KR101058628B1 (ko) 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구조
JP5945167B2 (ja) 基礎施工方法、太陽光発電パネル施工方法及び建物施工方法
KR102376019B1 (ko) 파형 강판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