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6412B1 -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412B1
KR101086412B1 KR1020050028077A KR20050028077A KR101086412B1 KR 101086412 B1 KR101086412 B1 KR 101086412B1 KR 1020050028077 A KR1020050028077 A KR 1020050028077A KR 20050028077 A KR20050028077 A KR 20050028077A KR 101086412 B1 KR101086412 B1 KR 10108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arization
image
screen
incident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351A (ko
Inventor
차경훈
세르게이 세스닥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412B1/ko
Priority to CNB2006100660172A priority patent/CN100378507C/zh
Priority to DE602006020519T priority patent/DE602006020519D1/de
Priority to EP06251660A priority patent/EP1711022B1/en
Priority to JP2006091933A priority patent/JP4925702B2/ja
Priority to US11/396,559 priority patent/US7697203B2/en
Publication of KR2006010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4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2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사용하여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2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D 모드에서는 입사광을 전부 투과시키고 3D 모드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기 위한 배리어를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꾸는 2 종류의 복굴절소자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며 2차원 배열된 격자패턴을 갖고,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의 격자패턴은 격자패턴의 각 라인별로 소정의 거리만큼 시프트 되어 있는 계단형 격자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2D/3D image}
도 1a은 종래의 안경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격자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2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원리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원리를 도시한다.
도 4c는 두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서로에 대해 좌우로 이동한 경우에 발생하는 계단형 패럴렉스 배리어 패턴을 도시한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지 장치에서 3차원 영상의 구현시 화소의 구성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디스플레이 패널 11,12..편광격자 스크린
13,14...편광판 15....백라이트
20....배리어 21....개구
본 발명은 2차원(2D) 영상 모드와 3차원(3D) 영상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사용하여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은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가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의료영상, 게임, 광고, 교육, 군사 등 여러 분야에서 이러한 양안시차의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의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해상도 TV가 점차 대중화됨에 따라, 장래에는 입체로 TV를 시청할 수 있는 입체형 TV의 대중화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는 안경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와 무안경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편광 성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LCD 장치(100)와, 상기 LCD 장치(100)의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별로 편광방향을 바꾸 는 마이크로폴 스크린(110)과, 좌안과 우안에 대해 서로 다른 편광을 투과시키는 편광안경(120)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마이크로폴 스크린(110)은 0°지연자(retarder)와 90 °지연자(100a, 100b)를 서로 교호하도록 접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편광안경(120)은 서로 다른 편광을 투과시키는 두 개의 편광판(120a, 120b)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폴 스크린(110)에 의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편광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며, 편광안경(120)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투과시키므로 시청자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방식은 3차원 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반드시 편광안경을 착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3차원 영상을 얻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안경 방식에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parallax barrier)과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이 있다.
예컨대,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은 좌우 양안이 각각 보아야 할 화상을 교대로 세로 무늬 모양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이를 극히 가느다란 세로 격자열 즉, 배리어를 이용하여 보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좌안에 들어올 세로 무늬 화상과 우안에 들어올 세로 무늬 화상이 배리어에 의해 배분되어 좌안과 우안으로 각각 다른 시점(view point)의 화상이 보임으로써 입체 영상으로 보이는 것이다.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에 의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의 좌안(LE)과 우안(RE)에 대응하는 좌안 화상 정보(L) 및 우안 화상 정보(R)를 가진 액정 패널(53) 앞에 세로 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55)와 마스크(57)를 갖는 패럴렉스 배리어(50)를 배치하고,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50)의 개구(55)를 통해 영상을 분리한다. 상기 액정 패널(53)에는 좌안에 입력될 화상정보(L)와 우안에 입력될 화상정보(R)가 수평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2차원 영상 모드와 3차원 영상 모드 사이의 스위칭 동작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스위칭 가능한 입체 디스플레이가 알려진 바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출원 제2004-0109115호에 의하면, 복수의 줄무늬가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마이크로 지연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영상이 전부 투과되어 2차원 영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빛이 투과되는 않는 세로 방향의 패럴렉스 배리어를 형성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에서는, 영상을 제공하는 개구 부분이 세로 방향의 일직선으로 좁게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제공되는 3차원 영상의 해상도가 저하되고,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색감 및 밝기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2차원 모드와 3차원 영상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한 동시에, 해상도가 높고 시청자의 위치에 관계 없이 비교적 일정한 색감 및 밝기를 갖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2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D 모드에서는 입사광을 전부 투과시키고 3D 모드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기 위한 배리어를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꾸는 2 종류의 복굴절소자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며 2차원 배열된 격자패턴을 갖고,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의 격자패턴은 격자패턴의 각 라인별로 소정의 거리만큼 시프트 되어 있는 계단형 격자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사된 중에서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을 일 방향으로 바꾸는 제 1 복굴절소자와 다른 방향으로 바꾸는 제 2 복굴절소자가 서로 교번하며 상기 계단형 격자패턴을 형성도록 배열되어 있는 제 1 편광격자 스크린;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을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을 일 방향으로 재차 바꾸는 제 3 복굴절소자와 다른 방향으로 재차 바꾸는 제 4 복굴절소자가 서로 교번하며 상기 계단형 격자패턴을 형성도록 배열되어 있는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및 상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을 투과한 광 중에서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제 2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2D 영상과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의 투과를 막아 좌우시차를 발생시키는 배리어와 광이 투과되어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제공하는 다수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리어와 개구는 계단식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의 격자패턴의 각 라인별 시프트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하나의 서브화소의 폭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나의 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적색(R), 녹색(G), 청색(B) 서브화소들 중 하나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세 개의 개구가 하나의 3D 영상용 화소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시차를 발생시키는 가로 방향의 3D 영상용 배리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편광판과 제 2 편광판은 편광방향이 상호 평행하거나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광하는 2차원 배열의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와 시청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광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 조명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배면 편광판; 입사된 광을 화소단위로 편광 변환시켜 영상을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과한 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전면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시청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전면 편광판은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1 편광판이 된다. 반대로,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면 편광판은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2 편광판이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의 구조를 각각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은 각각 회전자(rotator) 또는 지연자(retarder)로 구성되는 복굴절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11)은 소정의 폭을 갖는 사각형 형태의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며 2차원 배열된 격자패턴의 구조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은 소정의 폭을 갖는 사각형 형태의 복수개의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며 2차원 배열된 격자패턴의 구조를 이룬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의 격자패턴은 격자패턴의 각각의 라인별로 소정의 거리만큼 시프트(shift) 되어 있는 계단형 격자패턴을 이룬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편광격자 스크린(11)의 가장 위의 라인은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가 서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로 아래의 두 번째 라인은 제 2 및 제 1 복굴절소자(11b, 11a)가 서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번째 라인은 바로 위의 라인 보다 왼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시프트 되어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세 번째 라인은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가 서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두 번째 라인 보다 왼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시프트 되어 있다. 이렇 게 해서, 전체적으로 편광격자 스크린의 격자패턴은 계단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상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가 환형 복굴절 소자인 회전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각각은 입사광을 +45°와 -45°회전시킨다. 또한,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가 회전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각각은 입사광을 -45°와 +45°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는 선형 복굴절 소자인 지연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그 각각은 입사광을 +λ/4와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킨다. 여기서, λ는 입사광의 파장을 의미한다. 또한,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가 지연자인 경우에, 그 각각은 입사광을 -λ/4와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킨다.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이 +λ/4 또는 -λ/4 만큼 위상 지연되는 경우, 입사광의 편광방향은 +45°또는 -45°만큼 바뀌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복구절소자(11a, 11b, 12a, 12b)가 회전자이든 지연자인든, 결과적으로는,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각각 고유한 방향으로 바꾸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2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은 서로 완전하게 겹쳐진 상태가 되며, 따라서 상 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는 그와 각각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와 서로 일치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제 1 복굴절소자(11a)를 투과한 광은 제 3 복굴절소자(12a)에 입사하며, 제 2 복굴절소자(11b)를 투과한 광은 제 4 복굴절소자(12b)에 입사하게 된다. 만약 제 1 편광격자 스크린(11)에 입사하는 광의 편광방향이 90°라고 가정하면, 제 1 복굴절소자(11a)를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은 +45°더 회전되어 135°가 되며, 제 2 복굴절소자(11b)를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은 -45°회전되어 45°가 된다. 그런 후, 상기 제 1 복굴절소자(11a)를 투과한 광은 제 3 복굴절소자(12a)에 입사하면서 편광방향이 -45°만큼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 3 복굴절소자(12a)를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은 90°가 된다. 또한, 상기 제 2 복굴절소자(11b)를 투과한 광은 제 4 복굴절소자(12b)에 입사하면서 편광방향이 +45°만큼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 4 복굴절소자(12b)를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 역시 90°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이 완전히 겹쳐지는 경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들의 편광방향은 모두 동일하게 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2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보다 완전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소자(10),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13), 앞서 설명한 구조의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 및 상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을 투과 한 광 중에서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제 2 편광판(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편광판(13),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 및 제 2 편광판(14)은, 2차원(2D) 모드에서는 입사광을 전부 투과시키고 3차원(3D) 모드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기 위한 배리어를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을 구성한다. 2차원 모드의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은 서로 완전하게 겹쳐져 있으며, 따라서 제 1 편광격자 스크린(11)의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는 그와 각각 대응하는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의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와 서로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디스플레이 소자(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제 1 편광판(13)에 먼저 입사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편광판(13)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로부터 입사하는 광 중에서 편광방향이 90°인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 1 편광판(13)을 통과한 후, 광의 일부는 제 1 복굴절소자(11a)와 제 3 복굴절소자(12a)를 연속으로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 2 복굴절소자(11b)와 제 4 복굴절소자(12b)를 연속으로 통과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모두 90°의 편광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편광판(13)과 같이 편광방향이 90°인 광만을 투과시키는 편광판을 제 2 편광판(14)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소자(10)의 영상 전체가 그대로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는 일반적인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시청자는 2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각각 +45°와 -45°만큼 회전시키고,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각각 -45°와 +45°만큼 회전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각각 +45°와 -45°만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90°의 편광방향을 갖는 입사광이 제 1 및 제 3 복굴절소자(11a, 12a)를 연속으로 통과하면 180°의 편광방향을 갖게 되며, 제 2 및 제 4 복굴절소자(11b, 12b)를 연속으로 통과하면 0°의 편광방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제 1 편광판(13)이 90°의 편광방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킨다면, 제 2 편광판(14)은 상기 제 1 편광판(13)에 수직한 편광방향(즉, 0° 및 180°)을 갖는 광을 투과시키는 편광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디스플레이 소자(10)로서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소자(10)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11, 12, 13, 14)은 디스플레이 소자(10)와 시청자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대신에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소자(1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는, 광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15)(도 3c 참조), 조명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배면 편광판(16), 입사된 광을 화소단위로 편광 변환시켜 영상을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7),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 널(17)을 투과한 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전면 편광판(1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 자체에 편광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시청자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사이에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을 배치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의 전면 편광판(18)을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1 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의 백라이트 유닛(15)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7) 사이에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면 편광판(16)을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2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3D)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3차원 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1 편광격자 스크린(11)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제 1 편광격자 스크린(11)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 중 어느 것을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그러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11)의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와 제 2 편광격자 스크린(12)의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1 복굴절소자(11a)를 투과한 광의 일부는 제 3 복굴절소자(12a)를, 나머지 일부는 제 4 복굴절소자(12b)를 투과하게 된다. 또한, 제 2 복굴절소자(11b)를 투과한 광의 일부는 제 3 복굴절소자(12a)를, 나머지 일부는 제 4 복굴절소자(12b)를 투과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11a, 11b)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각각 +45°와 -45°만큼 회전시키고,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12a, 12b)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각각 -45°와 +45°만큼 회전시키며, 제 1 편광판(13)과 제 2 편광판(14)이 90°의 편광방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키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먼저, 디스플레이 소자(10)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 1 편광판(13)을 투과하면서 90°의 편광방향을 갖게 된다. 그런 후, 제 1 편광판(13)을 투과한 광의 일부는 제 1 복굴절소자(11a)를 투과하여 135°의 편광방향을 갖게 되고, 다른 일부는 제 2 복굴절소자(11b)를 투과하여 45°의 편광방향을 갖게 된다. 상기 제 1 복굴절소자(11a)를 투과한 광의 일부는 다시 제 3 복굴절소자(12a)를 투과하면서 편광방향이 90°로 바뀌며, 다른 일부는 제 4 복굴절소자(12b)를 투과하면서 편광방향이 180°로 바뀐다. 또한, 제 2 복굴절소자(11b)를 투과한 광의 일부는 제 3 복굴절소자(12a)를 투과하면서 편광방향이 0°로 바뀌며, 다른 일부는 제 4 복굴절소자(12b)를 투과하면서 편광방향이 90°로 바뀌게 된다. 이때, 제 2 편광판(14)은 90°의 편광방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제 1 복굴절소자(11a)와 제 3 복굴절소자(12a)를 연속으로 투과한 광과 제 2 복굴절소자(11b)와 제 4 복굴절소자(12b)를 연속으로 투과한 광만이 상기 제 2 편광판(14)을 투과하며, 그 외의 다른 경로로 진행한 광은 차단된다.
그 결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투과하는 투과영역과 광이 투과하지 못하는 블랙영역이 교대로 나타나게 된다.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에서, 상기 투 과영역은 개구(aperture)에 대응하며, 상기 블랙영역은 패럴렉스 배리어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하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교대로 투과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이를 위해, 시청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0)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화소들이 2차원으로 배열된 구성을 하고 있으며, 좌안에 입력될 영상과 우안에 입력될 영상을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가 발생하기 때문에, 입체감 있는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에서 비투과영역과 투과영역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배리어 및 개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은 계단형의 격자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좌우로 이동시켜 형성된 배리어(20)와 개구(21)는 계단식으로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좌안용 또는 우안용 영상을 형성하는 개구(21)들은 대각선 방향의 꼭지점들끼리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두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의 상대적인 좌우 이동거리는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의 격자패턴의 각 라인별 시프트 거리와 같은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한 줄의 개구(21)들은 좌안용 영상 또는 우안용 영상 중 어느 한 쪽의 영상을 형성하며, 인접한 줄의 개구들은 다른 쪽의 영상을 형성한다.
종래의 2D/3D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D 영상을 제공할 경우, 다수의 개구들이 세로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하나의 개 구가 디스플레이 소자의 하나의 화소와 대응되었다. 이로 인해, 영상을 제공하는 개구 부분이 세로 방향의 일직선으로 좁게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3차원 영상의 해상도가 저하되고, 특히,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색감 및 밝기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2D/3D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계단형 격자패턴을 갖는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구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또한, 종래와 달리, 하나의 개구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적색(R), 녹색(G), 청색(B) 서브화소들 중 하나와 대응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세 개의 개구가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1R)는 적색의 서브화소와 대응하고, 개구(21G)는 녹색의 서브화소와 대응하며, 개구(21B)는 청색의 서브화소와 대응한다. 도 4d는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화소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서브화소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하나의 화소(P)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세 개의 서브화소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의 격자패턴의 각 라인별 시프트 거리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하나의 서브화소의 폭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소를 배치할 경우, RGB 서브화소가 특정 지점에 밀집되지 않아 시청자의 위치에 따른 색감 및 밝기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소자(10)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b는 도 3c와 마찬가지로, 디스플 레이 소자(10)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하고, 패럴렉스 배리어를 발생시키는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을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의 백라이트 유닛(15)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7) 사이에 배치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면 편광판(16)을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2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2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으나,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가로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인 배리어 및 개구가 세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상하 방향의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2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11, 12)을 서로에 대해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소정의 거리 만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좌우 방향의 시차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시차까지 발생시킬 수 있어서, 보다 완전한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D/3D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2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2차원(2D) 영상 모드와 3차원(3D) 영상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스크린은 계단형의 편광격자를 갖기 때문에, 3차원 영상 구현시, 개구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세 개의 개구가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달리 시청자의 위치에 따른 색감 및 밝기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멀티뷰(multi-view)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영상 모드에서, 좌우시차 뿐만 아니라 상하시차까지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2D/3D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 비해, 보다 완전한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7)

  1.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2 장의 편광격자 스크린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D 모드에서는 입사광을 전부 투과시키고 3D 모드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기 위한 배리어를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은 입사광의 편광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꾸는 2 종류의 복굴절소자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며 2차원 배열된 격자패턴을 갖고,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의 격자패턴은 격자패턴의 각 라인별로 소정의 거리만큼 시프트 되어 있는 계단형 격자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사된 중에서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을 일 방향으로 바꾸는 제 1 복굴절소자와 다른 방향으로 바꾸는 제 2 복굴절소자가 서로 교번하며 상기 계단형 격자패턴을 형성도록 배열되어 있는 제 1 편광격자 스크린;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편광격 자 스크린을 투과한 광의 편광방향을 일 방향으로 재차 바꾸는 제 3 복굴절소자와 다른 방향으로 재차 바꾸는 제 4 복굴절소자가 서로 교번하며 상기 계단형 격자패턴을 형성도록 배열되어 있는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및
    상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편광격자 스크린을 투과한 광 중에서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제 2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2D 영상과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의 투과를 막아 좌우시차를 발생시키는 배리어(barrier)와 광이 투과되어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제공하는 다수의 개구(aperture)를 형성하며, 상기 배리어와 개구는 계단식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격자 스크린의 격자패턴의 각 라인별 시프트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하나의 서브화소의 폭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의 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적색(R), 녹색(G), 청색(B) 서브화소들 중 하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세 개의 개구가 하나의 3D 영상용 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격자 스크린과 제 2 편광격자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시차를 발생시키는 가로 방향의 3D 영상용 배리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45°회전시키는 회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복굴절소자 중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이며 다른 하나는 입사광을 -λ/4 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지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판과 제 2 편광판은 편광방향이 상호 평행하거나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광하는 2차원 배열의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와 시청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광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 조명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배면 편광판; 입사된 광을 화소단위로 편광 변환시켜 영상을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과한 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전면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시청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전면 편광판은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1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광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 조명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배면 편광판; 입사된 광을 화소단위로 편광 변환시켜 영상을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과한 광 중 특정 편광 방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전면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면 편광판은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유닛의 제 2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28077A 2005-04-04 2005-04-04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108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77A KR101086412B1 (ko) 2005-04-04 2005-04-04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B2006100660172A CN100378507C (zh) 2005-04-04 2006-03-21 用偏振光栅屏幕在2维/3维图像间切换的显示器及方法
DE602006020519T DE602006020519D1 (de) 2005-04-04 2006-03-28 Stereoskopische Anzeigevorrichtung mit der Möglichkeit zwischen 2D und 3D Darstellung mit Hilfe eines Polarisationsgitters umzuschalten
EP06251660A EP1711022B1 (en) 2005-04-04 2006-03-28 Stereoscopic display switching between 2D/3D images using polarization grating screen
JP2006091933A JP4925702B2 (ja) 2005-04-04 2006-03-29 偏光格子スクリーンを利用した2次元/3次元映像互換用の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
US11/396,559 US7697203B2 (en) 2005-04-04 2006-04-04 Stereoscopic display switching between 2D/3D images using polarization grating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77A KR101086412B1 (ko) 2005-04-04 2005-04-04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51A KR20060105351A (ko) 2006-10-11
KR101086412B1 true KR101086412B1 (ko) 2011-11-25

Family

ID=3669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077A Expired - Lifetime KR101086412B1 (ko) 2005-04-04 2005-04-04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97203B2 (ko)
EP (1) EP1711022B1 (ko)
JP (1) JP4925702B2 (ko)
KR (1) KR101086412B1 (ko)
CN (1) CN100378507C (ko)
DE (1) DE60200602051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11B1 (ko) * 2005-04-04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6412B1 (ko) 2005-04-04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06116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완전시차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94170A (ko) * 2006-03-16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입체영상 구현장치
KR101299728B1 (ko) * 2007-01-24 201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효율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79550A (ko) * 2007-02-27 2008-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효율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9414B1 (ko) * 2007-04-1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CN101131501B (zh) * 2007-09-20 2012-07-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形成显示装置的方法及呈现立体影像的方法
KR20100033067A (ko) 2008-09-19 2010-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과 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1494800B (zh) * 2009-02-27 2012-04-04 福建华映显示科技有限公司 影像处理方法及影像处理装置
TWI419124B (zh) 2009-03-06 2013-12-11 Au Optronics Corp 二維/三維影像顯示裝置
IL201110A (en) * 2009-09-22 2014-08-31 Vorotec Ltd Device and method of navigation
KR101256936B1 (ko) * 2009-12-11 2013-04-2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시스템
EP2355526A3 (en) 2010-01-14 2012-10-31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WO2011104714A1 (en) 2010-02-25 2011-09-01 Shlomo Vorovitchik Light filter with varying polarization angles and processing algorithm
KR20110113457A (ko) * 2010-04-09 2011-10-17 차형경 나안방식 대형 3d 디스플레이 기술
TWI417866B (zh) * 2010-04-22 2013-12-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立體畫面顯示方法及其立體顯示裝置
WO2011136814A1 (en) * 2010-04-30 2011-1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viewing systems with dynamically reconfigurable screens for three-dimensional viewing
JP5872185B2 (ja) * 2010-05-27 2016-03-01 任天堂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9693039B2 (en) 2010-05-27 2017-06-27 Nintendo Co.,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753801B1 (ko) * 2010-06-10 2017-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TWI439730B (zh) * 2010-07-16 2014-06-01 Au Optronics Corp 視差控制元件及其應用
KR101174076B1 (ko) * 2010-08-31 2012-08-16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사선 방향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
CN102081238B (zh) * 2010-12-17 2013-04-24 电子科技大学 一种光控的光栅式自由立体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CN102096228B (zh) * 2010-12-17 2012-07-04 湖南创图视维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和显示方法
KR101239230B1 (ko) * 2010-12-17 2013-03-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541329B (zh) * 2010-12-27 2016-01-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式面板以及包括该面板的显示装置
JP5608569B2 (ja) * 2011-01-05 2014-10-15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TW201232039A (en) * 2011-01-28 2012-08-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 changeable barrier patterns
US8587751B2 (en) 2011-02-14 2013-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487530B1 (en) * 2011-02-14 2015-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comprising metal grid color selective polarizer
US8964012B2 (en) 2011-02-14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having a polarizing lay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019924A (ja) * 2011-06-17 2013-01-31 Sony Corp 偏光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2176445A1 (ja) * 2011-06-20 2012-12-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9338445B2 (en) 2011-08-04 2016-05-1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 resolution 3D display
TW201307897A (zh) * 2011-08-04 2013-02-16 Benq Materials Corp 立體效果顯示面板及其相位差膜
KR101472180B1 (ko) 2011-08-09 2014-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
WO2013022258A2 (ko) * 2011-08-09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
US20140285639A1 (en) * 2011-10-27 2014-09-25 Neoview Kolon Co., Ltd. Transparent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841619B1 (ko) * 2011-11-14 2018-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선 격자 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76407A1 (en) * 2012-01-05 2013-07-11 Reald Inc. Beam scann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583158B2 (ja) * 2012-02-29 2014-09-03 株式会社東芝 液晶光学素子、駆動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9071833B1 (en) 2012-07-10 2015-06-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Two-dimensional supplementary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image
KR20140011574A (ko) 2012-07-17 2014-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3018940B (zh) * 2012-12-14 2015-04-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3d显示控制方法、控制装置及显示设备
CN103246071B (zh) * 2013-04-28 2015-10-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显示装置
US9551878B2 (en) * 2013-12-17 2017-01-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atterned retard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US10409079B2 (en) 2014-01-06 2019-09-10 Avegant Cor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plate
US10303242B2 (en) 2014-01-06 2019-05-28 Avegant Corp. Media chai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594521B1 (ko) * 2014-05-30 2016-02-26 주식회사 레드로버 패럴랙스 베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CN104020573B (zh) * 2014-06-04 2016-03-23 四川大学 一种基于正交偏振方向性背光源的多视点3d显示装置
CN104656304B (zh) 2015-02-13 2018-05-0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制作方法
US9823474B2 (en) 2015-04-02 2017-11-21 Avegant Cor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a wider field of view
US9995857B2 (en) 2015-04-03 2018-06-12 Avegant Cor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focal modulation
CN108732749A (zh) * 2017-04-13 2018-11-02 印正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113596B (zh) * 2018-02-01 2021-04-27 上海济丽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切换光栅式裸眼3d显示系统及显示方法
CN108663818B (zh) * 2018-08-13 2023-11-14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自由立体双视显示装置及方法
CN109298536B (zh) * 2018-11-20 2023-09-12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一维双视3d显示装置
CA3133742C (en) * 2019-04-15 2024-01-23 Leia Inc. Static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having diagonal parallax
CN112014971B (zh) * 2019-05-31 2025-05-16 杭州光粒科技有限公司 增强现实显示组件及具有该组件的增强现实显示设备
CN113805351B (zh) * 2021-10-26 2024-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电子设备以及3d成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3285A (en) * 1990-09-28 1992-05-12 Honeywell Inc. Full color three-dimensional flat panel display
US5264964A (en) * 1991-12-18 1993-11-23 Sades Faris Multi-mode stereoscopic imaging system
JPH08240790A (ja) * 1994-12-16 1996-09-17 Sharp Corp 自動立体表示装置および空間光変調器
JP2778543B2 (ja) * 1995-07-27 199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H09113862A (ja) * 1995-10-24 199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
DE69732820T2 (de) * 1996-09-12 2006-04-13 Sharp K.K. Parallaxeschranke und Anzeigevorrichtung
JP2882393B2 (ja) * 1997-01-27 1999-04-12 日本電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H11285031A (ja) 1998-03-26 1999-10-15 Mr System Kenkyusho:Kk 立体画像表示装置
KR100625028B1 (ko) 1999-05-28 2006-09-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멀티모드용 입체화상 표시장치
JP2002296540A (ja) 2001-03-29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眼鏡無し立体映像表示装置
KR100783358B1 (ko) 2001-04-27 2007-12-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JP2003202517A (ja) 2001-12-28 2003-07-18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3337390A (ja) * 2002-05-17 2003-11-28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GB2390172A (en) * 2002-06-28 2003-12-31 Sharp Kk Polarising optical element and display
JP4088878B2 (ja) * 2002-09-06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KR100785982B1 (ko) * 2002-11-07 2007-12-1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입체 영상 처리 방법 및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I236279B (en) 2002-12-05 2005-07-11 Ind Tech Res Inst A display device being able to automatieally convert a 2D image to a 3D image
JP4098612B2 (ja) * 2002-12-10 2008-06-11 株式会社東芝 三次元画像表示装置
CN1243272C (zh) * 2002-12-10 2006-02-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2d-3d切换式自动立体显示装置
KR100580633B1 (ko) * 2003-12-10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113235B1 (ko) * 2004-11-29 2012-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6412B1 (ko) 2005-04-04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6411B1 (ko) * 2005-04-04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06116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완전시차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1022B1 (en) 2011-03-09
CN1847927A (zh) 2006-10-18
EP1711022A3 (en) 2010-01-20
EP1711022A2 (en) 2006-10-11
DE602006020519D1 (de) 2011-04-21
CN100378507C (zh) 2008-04-02
JP2006285247A (ja) 2006-10-19
US20060227420A1 (en) 2006-10-12
KR20060105351A (ko) 2006-10-11
JP4925702B2 (ja) 2012-05-09
US7697203B2 (en) 201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412B1 (ko) 편광격자 스크린을 이용한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6411B1 (ko)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1893674B (zh) 提供全视差图像的2d/3d可转换立体显示器
JP4400172B2 (ja) 画像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方法
KR100728777B1 (ko) 패럴랙스 베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222975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759393B1 (ko) 패럴랙스 배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101750748B (zh) 立体影像显示装置
KR100658545B1 (ko) 입체 화상 재생 장치
TWI407772B (zh) 自動立體顯示裝置及其濾色器
KR101001627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
KR20050002587A (ko) 다중 뷰 디스플레이
CN101196615A (zh) 偏振光栅立体显示器
JP2012189885A (ja) 表示装置
US20120113510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2011257619A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EP1447996A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4170693A (ja) 立体映像表示装置用位相差フィルタ
JP200303588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10114017A (ko) 다중 화상 구현 시스템
KR10187971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40141947A (ko) 무안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59415A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JPWO2004046789A1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12123129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