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3987B1 - 커넥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987B1
KR101083987B1 KR1020107000240A KR20107000240A KR101083987B1 KR 101083987 B1 KR101083987 B1 KR 101083987B1 KR 1020107000240 A KR1020107000240 A KR 1020107000240A KR 20107000240 A KR20107000240 A KR 20107000240A KR 101083987 B1 KR101083987 B1 KR 10108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ocket
connector
carrier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631A (ko
Inventor
시노부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0002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9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의 생산속도를 상승시켜, 콘택트의 낭비를 적게 하는 커넥터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커넥터(1)의 소켓(10)을 1차성형공정과 2차성형공정의 2공정으로 나눠서 성형한다. 1차성형공정으로 소켓바디기부(12)와 수지(樹脂)캐리어(25)를 1차성형한다. 수지캐리어(25)에 소켓콘택트(30)를 연결하고 있는 금속(金屬)캐리어(35)를 조립하는 것으로, 소켓바디기부(12)의 소망의 위치에 소켓콘택트(30)를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성형금형(70)에 조립된 부재를 세트하여 삽입(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2차성형금형(70)에 소켓콘택트(30)을 직접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하고, 커넥터의 생산속도가 상승한다. 또한, 소켓콘택트(30)은 종래와 같이 일부를 폐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콘택트의 낭비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의 제조방법{PROCESS FOR MANUFACTURING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커넥터, 예를 들면 경질(硬質)의 프린트배선기판과 연질(軟質)의 플랙시블프린트배선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개2004-55463호 공보에 있는 것과 같은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소켓과 헤더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소켓은, 수지제(樹脂製)의 소켓바디와 금속제(金屬製)의 소켓콘택트로부터 구성된다. 헤더는, 수지제의 헤더바디와 금속제의 헤더콘택트로부터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각 콘택트끼리의 간격(피치)가 0.4mm 정도로 매우 좁고, 더욱이 소켓과 헤더를 접속했을 때의 높이가 0.9mm정도로 매우 낮은 것으로 되고 있다.
한편, 수지재료와 금속재료로부터 이루어지는 커넥터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바디를 성형할 때에 콘택트를 삽입(인서트) 성형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2004-55463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에 있어서 해더는, 헤더콘택트와 헤더바디를 삽입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그렇지만, 각 콘택트 사이의 피치가 좁은 커넥터의 경우는, 성형을 행하는 금형 내에 복수의 콘택트군(群)을 위치 결정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커넥터의 생산속도를 올리는 것이 어려웠다. 거기에서, 종래는,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으로서, 도 11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척(長尺)의 금속판(80)으로부터 콘택트(81)를 펀칭하여 형성할 때에, 각 콘택트(81) 사이의 피치를 커넥터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피치와 동일(同一)의 피치로서, 각 콘택트(81)를 금속캐리어(82)에 일체로 한 콘택트군(群)을 이용하여, 삽입(인서트) 성형을 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금속캐리어(82)에 연결되어 있는 콘택트(81)군(群)의 내, 커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81a)는 그대로 금속캐리어에 남기고, 각 커넥터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위치하는 콘택트(81b)는 절단되어 폐기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콘택트는, 통상 금도금 등의 고가의 도금이 가해지는 것이 통례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미리 폐기되는 것을 알고 있는 콘택트(81b)에는 도금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요한 콘택트(81b)를 절단한 후에 각 콘택트에 도금을 가하면 좋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불요부분을 절단한 후는 각 콘택트(81) 사이의 간격이 다른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금을 가하는 경우, 도금에 얼룩이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거기서, 종래는, 이 도금 얼룩을 방지하기 위해서, 불요부분의 절단을 행하지 않고, 미리 폐기되는 것을 알고 있는 콘택트에도 도금을 가하는 방법을 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고가의 도금 부분도 쓸모없는 것이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품으로서의 커넥터의 코스트가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제조방법의 개량을 목적으로 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커넥터의 생산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콘택트의 낭비없이 사용 가능한 커넥터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수지제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콘택트취부부(取付部)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렬로 고정되는 금속제의 콘택트를 구비한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1차성형공정과 2차성형공정으로 나누어 성형이 행하여지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취부부에 고정될 때의 수 및 간격과 동일의 수 및 간격으로 복수 병렬로 금속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로 공급되고, 상기 1차성형공정에서는 복수의 바디기부(基部)와, 상기 바디기부의 근방(近傍)에 상기 콘택트가 상기 바디기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캐리어를 임시로 고정하는 콘택트가고정부를 가지는 수지캐리어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2차성형공정 이전에 상기 수지캐리어의 상기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금속캐리어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콘택트를 상기 바디기부의 소정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2차성형공정에서는, 상기 위치결정공정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바디기부와 상기 콘택트를 2차성형금형의 캐비티 내에 위치결정하고, 상기 캐비티 내에 용융수지를 사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바디기부와 일체로 되어 상기 바디로 되는 바디고착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바디는 1차성형공정과 2차성형공정으로 나누어 성형이 행하여 진다. 또한, 상기 1차성형공정에서는, 상기 바디기부와 함께 상기 수지캐리어가 성형된다. 그리고,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캐리어의 상기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금속캐리어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콘택트를 상기 바디기부의 소정위치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2차성형공정에서는, 상기 수지캐리어의 콘택트가고정부에서 상기 금속캐리어를 임시로 고정한 상태에서 2차성형금형내에 재치(載置)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기부와 일체로 성형된 상기 수지캐리어의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금속캐리어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콘택트가 상기 바디기부의 소정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2차성형금형 내에서 상기 콘택트를 소정 위치에 재치(載置)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상기 바디기부에 상기 콘택트를 조립할 때에는, 조립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람 손에 의해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2차성형금형이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취부부에 고정될 때의 수 및 간격과 동일의 수 및 간격으로 복수 병렬로 금속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로 공급된다. 즉, 각각의 커넥터에 필요한 수 별로 상기 금속캐리어에 연결되어 공급된다. 이 때문에, 금속판으로부터 상기 콘택트를 양각(embossed work) 가공하여 도금을 행한 후에, 필요한 수 별로 상기 금속캐리어를 절단하면 좋기 때문에, 도금이 끝난 콘택트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캐리어는 상기 수지캐리어의 콘택트가고정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계지조(係止爪)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캐리어의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계지조가 계지되는 피계지부(被係止部)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 상기 계지조와 상기 피계지부를 계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계지조와 상기 피계지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캐리어를 상기 수지캐리어의 소정 위치에 재치(載置)할 때에 작업이 용이해져,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캐리어는 표리(表裏)를 관통하는 관통공(貫通孔)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캐리어는 상기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금속캐리어의 관통공에 감합(嵌合)하는 감합돌기(嵌合突起)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상기 감합돌기를 감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공과 상기 감합돌기를 구비한 경우도, 상기 금속캐리어를 상기 수지캐리어의 소정위치에 재치(載置)할 때에 작업이 용이해져,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콘택트형성공정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도금을 가한 콘택트를 폐기하는 것 없이, 모든 콘택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비해서, 제조코스트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용 소켓의 소켓바디기부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용 소켓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켓콘택트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콘택트형성공정에 있어서 콘택트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1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성형품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 각 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2차성형금형의 상형을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2차성형금형의 하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성형품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종래의 콘택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 제조방법의 실시 형태의 일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용 소켓의 소켓바디기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용 소켓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넥터용 소켓의 소켓콘택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콘택트성형공정에 있어서 콘택트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1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성형품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 각 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2차성형금형의 상형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9는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2차성형금형의 하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성형품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낸 소켓(10)과 헤더(40)로부터 구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배선기판과 플랙시블배선기판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 커넥터(1)의 소켓(10)을 예로 하여 그 제조방법의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41은 수지제의 헤더바디이고, 부호 60은 금속제의 헤더콘택트이다.
소켓(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소켓바디(11)와, 금속제의 소켓콘택트(30)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바디(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소켓바디기부(12)와, 도 3에 도시한 소켓바디고착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소켓바디기부(12)와 소켓바디고착부(13)의 소재는, 모두 동일(同一)의 수지(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폴리머)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소켓바디고착부(13)는, 후술하는 1차성형공정에서 미리 성형된 소켓바디기부(12)에, 위치결정공정에서 소켓콘택트(30)가 소켓바디기부(12)에 임시로 고정되어,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2차성형금형 내에서 삽입(인서트) 성형이 행하여져 형성되고 있다.
소켓바디기부(12)는, 도 2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편평한 직사각형(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바디기부(12)는 도 2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판 형상의 저판부(14)와, 이 저판부(14)의 중앙부로부터 기립한 기립부(15)와, 이 기립부(15)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판 형상의 규제부(1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저판부(14)와 기립부(15)와 규제부(16)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이 소켓콘택트(30)의 도망홈(17)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저판부(14)의 폭 방향 외측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계지공(18)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계지공(18)은, 도 2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裏面側)이 장(長) 방향으로 돌출하는 피계지부(19)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켓바디기부(12)의 장(長) 방향의 측변(側邊)에, 각각 12개의 소켓콘택트(30)가 병설되도록, 소켓콘택트위치결정홈(20)이 구비되어 있다.
소켓바디고착부(13)은, 도 3 (d) 내지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바디기부(12)의 주위를 둘러싸고 두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바디고착부(13)의 일부는, 도 3 (a)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콘택트(30)의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부(21)로 되어 있다. 또한, 소켓바디고착부(13)는, 도 3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콘택트(30)와 일체로 삽입(인서트) 성형되어, 소켓콘택트(30)의 일부를 고착하여 유지하는 콘택트취부부(2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소켓바디고착부(13)는, 도 3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바디기부(12)에 구비되는 피계지부(19) 내에 용융수지가 사출되어 고화(固化)된 계지부(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소켓바디고착부(13)는, 도 3 (a)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40)가 장착될 때에 헤더바디(41)를 안내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안내벽(24)을 가지고 있다.
소켓콘택트(30)는, 도 3 (d)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콘택트(60, 도 1 참조)와 접촉하는 접촉부(31)와, 소켓바디고착부(13)의 콘택트취부부(22)에 유지되는 피고착부(32)와, 도시하지 않은 배선기판의 랜드에 납땜되는 납땜부(33)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31)는,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31a)가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가공되어 있다. 피고착부(32)는,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역 U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납땜부(33)는,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고착부(32)로부터 소켓바디(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31)의 선단측(소켓바디(11)의 중심측)에는, 비스듬하게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압압부(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압압부(34)의 선단측은, 도 3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바디기부(12)의 도망홈(17) 내에 연장되어 있고, 이 선단부가 소켓바디기부(12)의 저판부(14)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납땜부(33)는, 도 4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이 8각형이 되도록 각부(角部)가 모따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 (a)에 있어서 복수의 소켓콘택트(30) 사이의 피치는, 0.4mm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소켓콘택트(30)의 접촉부(31)와 납땜부(33)의 표면(表面)에는 금도금이 가해져 있다.
소켓콘택트(30)는, 소켓바디(11)에 장착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도 4 (f) 및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금속캐리어(35)에 복수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금속캐리어(35)에 대해서 12개의 소켓콘택트(30)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소켓바디(11)의 측변에 배설된 소켓콘택트(30)의 수와 동수(同數)이다. 또한, 각 소켓콘택트(30) 사이의 간격은, 완성품인 소켓(10)의 각 소켓콘택트(30)의 간격과 동일(同一)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캐리어(35)에는, 표리(表裏)를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36)이 소켓콘택트(30)의 배열 방향으로 6개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금속캐리어(35)에는, 도 4 (g)에 있어서 아래방향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계합조(37)가 소켓콘택트(30)의 배열방향으로 6개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켓(1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소켓(10)의 제조방법은, 소켓콘택트(30)를 형성하는 소켓콘택트형성공정과, 소켓바디기부(12)를 형성하는 1차성형공정과, 소켓바디기부(12)에 소켓콘택트(30)를 조립하는 조립공정과, 조립된 소켓바디기부(12) 및 소켓콘택트(30)를 금형 내에 위치결정하여 고정하고, 금형 내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소켓바디고착부(13)을 성형하는 2차성형공정과, 2차성형이 된 소켓(10)으로부터 불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공정으로부터 된다.
소켓콘택트형성공정은, 금속판(38)으로부터 소켓콘택트(30) 및 금속캐리어(35)를 펀칭하여 소켓콘택트(30)의 형상을 프레스에서 형성하는 프레스공정과, 소켓콘택트(30)의 필요 부분에 금도금을 가하는 도금공정과, 장척(長尺)의 소켓콘택트(30)군(群) 및 금속캐리어(35)로부터, 소정 단위의 소켓콘택트(30)군(群) 및 금속캐리어(35)를 분단(分斷)하는 분단공정을 포함한다.
먼저, 프레스공정에서는, 도 5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척(長尺)의 금속판(38)에 펀칭 가공을 행하여, 소켓콘택트(30)로 되는 부분과 금속캐리어(35)로 되는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한다. 복수의 소켓콘택트(30)는,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간격이 소켓(10)에 끼워 넣어질 때의 각각의 소켓콘택트(30)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소켓콘택트(30)의 간격은 0.4mm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레스가공에 의해, 오려낸 부분이 소켓콘택트(30)의 형상으로 되도록 구부리는 가공을 행한다.
다음으로, 도금공정에 있어서, 소켓콘택트(30)의 필요 개소에 금도금이 가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소켓콘택트(30)의 접촉부(31)와 납땜부(33)에 도금이 가해지도록 도금가공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캐리어(35)에 소켓콘택트(30)가 일정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금도금이 행하여지므로, 도금 얼룩을 발생시키는 것 없이 균일하게 도금처리가 행하여진다.
다음으로, 도 5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캐리어(35)에 의해 서로 접속된 복수의 소켓콘택트(30)는, 분단공정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커터에 의해 소정의 수로 분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켓(10)에는 양 측변에 1열씩, 합계 2열로 소켓콘택트(30)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각열에 있어서 소켓콘택트(30)의 개수는 12개로 되어 있어, 합계 24개의 소켓콘택트(30)가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열의 개수에 맞춰서 1개의 금속캐리어(35)에 12개의 소켓콘택트(30)가 연결된 상태로 되도록 금속캐리어(35)를 분단하고 있다.
다음으로, 소켓바디기부(12)를 성형하는 1차성형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1차성형공정에서는, 1차성형금형(도시생략)에 용융수지를 사출하는 것에 의해, 도 6 (a) 및 (b)에 도시한 소켓바디기부(12)와 수지캐리어(25)를 성형한다. 도 6 (b)는, 도 6 (a)에 도시한 소켓바디기부(12) 및 수지캐리어(25)의 일점쇄선(一點鎖線)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일부확대도이다. 수지캐리어(25)에는, 도 6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 금속캐리어(35)를 임시로 고정하게 되는 콘택트가고정부(25a)가, 각 소켓바디기부(12)의 좌우양측(도 6에 있어서는 상하)에 한 쌍씩 구비되어 있다. 소켓바디기부(12)는, 단(短) 방향의 양측면이 1차런너(25b)에 의해 수지캐리어(25)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수지캐리어(25)에 덧붙여져 있는 부호 25c는, 소켓콘택트(30) 금속캐리어(35)의 관통공(36)이 감합되는 위치결정돌기이다. 이 위치결정돌기(25c)는, 각 소켓바디기부(12)의 측 방향으로 대향하는 콘택트가고정부(25a)에 2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25d는 금속캐리어(35)의 계합조(37)가 계합되는 계합공(係合孔)이다. 이 계합공(25d)은, 각 소켓바디기부(12)의 측 방향으로 각 6개씩 한 쌍 구비되어 있다. 또한, 부호 25e는, 수지캐리어(25)를 후술하는 2차성형금형(70)의 위치결정핀(77)에 감합시키는 2차감합공(25e, 2次嵌合孔)이다. 이 2차감합공(25e)은, 도 6 (a)에 있어서 상방(上方)으로 9개, 하방(下方)으로 8개 구비되어 있어, 같은 도면에 있어서 왼쪽 하단부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부호 25f는, 용융수지가 사출되는 1차게이트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조립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조립공정에서는, 소켓콘택트형성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소켓콘택트(30) 및 금속캐리어(35)와, 1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성형되는 소켓바디기부(12) 및 수지캐리어(25)를 조립하는 공정이다.
이 조립공정에서는, 도 7 (b)에 도시한 소켓바디기부(12)의 콘택트가고정부(25a)에 금속캐리어(35)를 임시로 고정한다. 이 때, 콘택트가고정부(25a)에 구비된 위치결정돌기(25c)에 금속캐리어(35)의 관통공(36)을 감합시키고, 게다가, 콘택트가고정부(25a)의 계합공(25d)에 금속캐리어(35)의 계합조(37)를 계합시킨다. 이와 같이, 콘택트가고정부(25a)에 금속캐리어(35)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소켓바디기부(12)에 구비된 소켓콘택트위치결정홈(20)에 소켓콘택트(30)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다음으로, 2차성형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2차성형공정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2차성형금형(70)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2차성형금형(70)은, 도 8에 도시한 2차상형(71)과, 도 9에 도시한 2차하형(72)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상형(71)에는, 소켓바디고착부(13)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를 캐비티(73) 내에 유도하는 2차런너(74)가 구비되어 있다. 이 2차런너(74)는, 도 8에 있어서 캐비티(73)의 양측에 2개소씩 구비되어 있다. 도 8 (b)에 있어서 부호 75는, 소켓바디기부(12)와 수지캐리어(25)를 연결하는 1차런너(25b)가 감합되는 홈이다. 또한, 부호 76은, 2차성형금형(70)에 있어서 용융수지가 사출된 2차게이트이다. 또한, 도 9 (b)에 있어서 부호 77은, 수지캐리어(25)의 2차감합공(25e)를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결정핀이다.
2차성형공정에서는, 조립공정에 있어서 조립된 소켓바디기부(12) 및 소켓콘택트(30)를, 수지캐리어(25) 및 금속캐리어(35)와 함께 2차성형금형(70) 내에 위치결정하여 고정한다. 이 때, 수지캐리어(25)의 2차감합공(25e)을 2차성형금형(70)의 위치결정핀(77)에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수지캐리어(25)가 2차성형금형(70) 내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소켓바디기부(12) 및 소켓콘택트(30)가 캐비티(73) 내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때, 위치결정핀(77)은, 도 9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캐리어(25)의 2차감합공(25e)과 마찬가지로 도면에 있어서 왼쪽 하단부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지캐리어(25)의 위치결정일 잘못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2차상형(71)과 2차하형(72)을 닫고 캐비티(73)를 형성하고, 이 캐비티(73) 내에 2차게이트(76)으로부터 용융수지를 사출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0)이 수지캐리어(25) 및 금속캐리어(35)에 연결된 상태에서 성형된다. 다음으로, 도 10의 상태의 소켓(10), 수지캐리어(25) 및 금속캐리어(35)를, 도 10 (b)의 파선(破線)으로 나타낸 개소에서 절단한다. 이것에 의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소켓(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콘택트형성공정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도금을 가한 콘택트를 폐기하는 것 없이, 모든 콘택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비해서, 제조코스트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1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소켓바디기부(12)와 함께 수지캐리어(25)를 성형하고 있어, 소켓바디기부(12)와 소켓콘택트(30)를 2차성형금형(70) 내에 재치하기 전에 미리 소켓바디기부(12)와 소켓콘택트(30)를 조립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소켓바디기부(12)와 소켓콘택트(30)와의 조립을 2차성형금형(70)의 제약없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조립을 자동화하는 경우는, 도시하지 않은 조립장치의 설계에 대해서도 2차성형금형(70)의 틀 열기의 크기 등에 좌우되지 않게 설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조립장치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당해 조립을 사람의 손 작업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도, 2차성형금형(70)이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2차성형공정과는 별개로 소켓바디기부(12)와 소켓콘택트(30)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2차성형금형(70)이 고장난 경우 등이라도, 1차성형공정 및 조립공정을 사전에 행하여 재고를 모아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2차성형금형(70)이 복구된 때에는, 당해 재고된 소켓바디기부(12) 및 소켓콘택트(30)를 사용하여 2차성형금형(70)에 의해 신속하게 소켓(10)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10)의 제조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헤더(4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1차성형공정과 2차성형공정으로 나누어서 성형을 행하여, 1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수지캐리어를 형성하고, 조립공정에 있어서 당해 수지캐리어에 금속캐리어를 조립하고, 2차성형공정에 있어서 삽입(인서트) 성형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만이 아니라, 기판과 배선을 접속하는 커넥터 등, 넓게 다른 커넥터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치수 등은 일예이고, 이들의 치수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캐리어(25)에 소켓콘택트(30)를 삽입(인서트) 성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수지캐리어(25)에 타의 부재(예를 들면, 소켓(10)을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금구 등)를 장착하여 삽입(인서트) 성형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바디기부(12)와 소켓바디고착부(13)와는 동일의 소재를 사용하여 성형을 행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에서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삽입(인서트) 성형해도 좋다.
1 : 커넥터 10 : 소켓
11 : 소켓바디(바디) 12 : 소켓바디기부(바디기부)
13 : 소켓바디고착부(바디고착부) 22 : 콘택트취부부
25 : 수지캐리어 25a : 콘택트가고정부
30 : 소켓콘택트(콘택트) 35 : 금속캐리어
70 : 2차성형금형 73 : 캐비티

Claims (3)

  1. 수지제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콘택트취부부(取付部)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렬로 고정되는 금속제의 콘택트를 구비한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1차성형공정과 2차성형공정으로 나눠서 성형이 행하여지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취부부에 고정될 때의 수 및 간격과 동일(同一)의 수 및 간격으로 복수 병렬로 금속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로 공급되고,
    상기 1차성형공정에서는, 복수의 바디기부(基部)와, 상기 바디기부의 근방(近傍)에 상기 콘택트가 상기 바디기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캐리어를 임시로 고정하는 콘택트가고정부를 가지는 수지캐리어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2차성형공정 이전에 상기 수지캐리어의 상기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금속캐리어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콘택트를 상기 바디기부의 소정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2차성형공정에서는, 상기 위치결정공정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바디기부와 상기 콘택트를 2차성형금형의 캐비티 내에 위치결정하고, 상기 캐비티 내에 용융수지를 사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바디기부와 일체로 되어 상기 바디로 되는 바디고착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캐리어는 상기 수지캐리어의 콘택트가고정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계지조(係止爪)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캐리어의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계지조가 계지되는 피계지부(被係止部)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 상기 계지조와 상기 피계지부를 계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캐리어는 표리(表裏)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캐리어는 상기 콘택트가고정부에 상기 금속캐리어의 관통공에 감합하는 감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공정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상기 감합돌기를 감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107000240A 2007-06-26 2007-06-26 커넥터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2797 WO2009001436A1 (ja) 2007-06-26 2007-06-26 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31A KR20100028631A (ko) 2010-03-12
KR101083987B1 true KR101083987B1 (ko) 2011-11-16

Family

ID=4018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2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987B1 (ko) 2007-06-26 2007-06-26 커넥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39492B2 (ko)
KR (1) KR101083987B1 (ko)
CN (1) CN101689742B (ko)
WO (1) WO2009001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07A (ko) * 2017-11-28 2019-06-05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3443B2 (ja) * 2013-10-08 2017-06-28 Jx金属株式会社 端子列付き帯状部材の製造方法、端子列付き帯状部材及び金型
JP6105019B1 (ja) * 2015-10-06 2017-03-29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7359494A (zh) * 2017-07-14 2017-11-17 东莞市进茂电子有限公司 一种高密度的高速连接器制造方法
TWI694916B (zh) * 2018-05-04 2020-06-01 于國基 輔助埋入射出成形的金屬料帶
KR102208598B1 (ko) * 2018-12-27 2021-01-2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JP7566610B2 (ja) 2020-12-11 2024-10-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
JP7623219B2 (ja) 2021-05-28 2025-0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644A (ja) * 2005-01-21 2006-08-03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用シェル、電気コネクタ及び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1286A (ja) * 1982-12-15 1984-06-27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FR2647468B1 (fr) * 1989-05-29 1992-03-13 Solvay Chassis pour electrolyseur du type filtre-presse et electrolyseurs du type filtre-presse
US5915976A (en) * 1997-02-06 1999-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speed connector
JP2000058166A (ja) * 1998-07-31 2000-02-25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35571A (ja) * 1999-07-16 2001-02-09 Meio Kasei:Kk 狭ピッチ端子コネクタ及びその成形方法
JP3493379B2 (ja) * 2000-04-14 2004-0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Smt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69229B2 (ja) * 2002-07-23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511180B1 (ko) * 2003-02-19 2005-08-30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644A (ja) * 2005-01-21 2006-08-03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用シェル、電気コネクタ及びこ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07A (ko) * 2017-11-28 2019-06-05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KR102077162B1 (ko) * 2017-11-28 2020-02-13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9742A (zh) 2010-03-31
JP4839492B2 (ja) 2011-12-21
JPWO2009001436A1 (ja) 2010-08-26
CN101689742B (zh) 2011-11-30
KR20100028631A (ko) 2010-03-12
WO2009001436A1 (ja)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987B1 (ko) 커넥터의 제조방법
US604848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EP1356550B1 (en) Connector moulding method and shielded waferized connector made therefrom
US10355382B2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8292639B2 (en) Compliant pin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72286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of varying lengths
KR101131594B1 (ko) 커넥터용 소켓 및 헤더와 이들의 삽입 성형방법
JPH10189203A (ja) インサートモールドで電気コネクタを製造する方法
US100382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0966075B1 (en) Appliance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H07235361A (ja) テープキャリア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7369830B2 (ja) 遮蔽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US7896657B2 (en) Circuit device, circuit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connecting member
JP2011167915A (ja) コネクター端子のインサート成形法
JPH10264163A (ja) インサート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4197388B2 (ja) インサート成形部品の生産方法
US647190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onnector for an electronic circuit by terminal insert molding
JP4322633B2 (ja) 電子回路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2006011254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s
JP7287832B2 (ja) 可動コネクタ
US20230283006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48852B2 (ja) 樹脂成形用金型
JP2003142191A (ja)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8181A (ja) 位置決め装置
JPH065294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