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2356B1 -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356B1
KR101082356B1 KR1020100025319A KR20100025319A KR101082356B1 KR 101082356 B1 KR101082356 B1 KR 101082356B1 KR 1020100025319 A KR1020100025319 A KR 1020100025319A KR 20100025319 A KR20100025319 A KR 20100025319A KR 101082356 B1 KR101082356 B1 KR 10108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latal
tooth
orthodontic
fix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091A (ko
Inventor
김진홍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김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김진홍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0002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356B1/ko
Priority to PCT/KR2011/001966 priority patent/WO2011118969A2/ko
Priority to PCT/KR2011/001967 priority patent/WO2011118970A2/ko
Publication of KR2011010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3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되 구개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개부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을 걸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기 구개골을 향한 면에 톱니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APPARATUS FOR ORTHODONTICS WITH SPIKE ON SIDE FACING PALATE}
본 발명은 치열 교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되 구개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개부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은 크게 순측 교정과 설측 교정으로 나눌 수 있다. 순측 교정이란 치아의 입술을 향한 면에 교정기구를 부착하는 것이고, 설측 교정은 그 반대로 치아의 혀를 향한 면에 교정기구를 부착하는 것이다.
순측 교정은 교정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므로, 이물감이 상대적으로 크고 발음하기 불편하며 비용도 비싸지만 설측 교정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단순한 치열 교정이 아니라 고도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설측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돌출된 앞니를 급속하게 교정하기 위해 피질골절제술(corticotomy)을 시행하는 경우, 앞니를 구개 후방으로 당겨주기 위해 미니스크류(miniscrew)나 미니플레이트(miniplate)를 이용하여 구개(palate)에 고정원(anchorage)을 형성하고 이 고정원과 치아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견인(retract)하여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설측 교정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 사용되고 있는 고정원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33783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원(20)은 고정편(21)과 지지편(23)을 포함한다. 고정편(21)은 구개를 절개하여 삽입되며, 나사구멍(22)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구개에 고정되는데, 절개 부분을 봉합하여 시술이 완료되면 고정편(21)은 구개 점막에 묻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반면 지지편(23)은 구개 점막 외부로 노출되며, 고정고리(24)에는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이 걸리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치아를 구개 측으로 견인하는 고정원이 된다.
이와 같은 고정원(20)은 구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협소한 구강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고정원(20)이 밀착될 구개 점막은 점액질에 의해 미끌거리기 때문에, 나사구멍(22)를 통해 나사를 구개골에 완전히 삽입하기 전까지 고정원(20)은 구개면에 대해 미끄러져 이동하기 쉽다. 이는 나사를 삽입하는 작업을 더욱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나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고정원(20)이 이동해버리면, 애초에 계획했던 위치에서 이탈한 지점에 고정원(20)이 고정된다면 치열 교정의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나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구개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음으로써 나사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는,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을 걸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기 구개골을 향한 면에 톱니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톱니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용 구멍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는,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을 걸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고정용 구멍의 내경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내측을 향해 절단선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는,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을 걸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외곽선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단선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로부터 구개면을 향해 톱니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구개면을 향해 압박하는 것만으로도 구개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톱니는 고정부에 절단선을 형성한 뒤 이 절단선에 의해 구획된 부분을 꺾어 내리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톱니에 의해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가 구개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훨씬 용이해지며,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설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으므로 치열 교정의 효과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실시예의 톱니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는 고정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110)는 4개의 고정용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 형상이다. 이들 고정용 구멍(111)에는 나사가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 나사는 구개골에 나사결합된다. 4개의 고정용 구멍(111)은 각각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갯수나 배치관계가 이런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10)에는 관통 구멍(112)도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고정부(110)가 구개면과 접할 때, 고정부(110)에 의해 가려지는 구개면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구개면의 조직괴사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연장되는 판재 형상으로서,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120)는 2개의 지지용 가지가 일렬로 접합된 형상으로서, 고정부(110)를 중심에 두고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지부(120)가 2개의 지지용 가지가, 그것도 일렬로 배열된 형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용 가지의 수나 배열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나아가서,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의 일단을 설치할 수만 있다면, 지지부(120)의 형상이 판재 형상일 필요도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고정부(110)에는 톱니(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140)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사용상태에서, 구개면과 접하게 될 고정부(110)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 및 2의 도면방향을 기준으로 본다면, 사용상태에서 각 도면의 하방에 구개면이 위치하게 되며, 톱니(140)는 이 구개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를 구개면에 위치시킨 후, 구개면 측으로 압박하면, 톱니(140)가 구개면에 대해 스파이크(spike)와 같이 작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가 구개면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특히 톱니(140)가 고정용 구멍(111)의 내경측 둘레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형성 위치는 고정부(110)의 어느 부분이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고정용 구멍(111)의 내경측 둘레 뿐만 아니라 고정용 구멍(111)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형상 부분의 외곽선 쪽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관통 구멍(112)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4개의 톱니(140)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는 있으나 그 수 역시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톱니(140)는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와 함께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즉,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를 주조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 주조 금형에 톱니(1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만들어 한번에 주조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가 특히 판재 형상인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톱니(140)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고정부(110)의 고정용 구멍(111)에서, 내경측 끝단으로부터 고정부(110) 내측을 향해, 즉, 고정용 구멍(111)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절단선(130)을 형성하되, 이 절단선(130)은 고정부(110)를 두께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가상의 접힘선(131,132)을 따라 절단선(130)에 의해 구획된 양측 부분을 하방으로 굽혀 내린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되며, 굽혀 내려진 부분이 바로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톱니(140)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선(130)을 이용하여 톱니(140)를 형성하는 경우, 절단선(130)에 의해 구획된 양측 부분을 하방으로 굽히는 과정은 구개면에 설치되기 전에만 수행되면 족하므로, 제조 과정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며, 절단선(130)만 형성된 상태에서는 포장, 보관, 운반 등의 과정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적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주조 등에 의해 고정부(110)와 톱니(140)가 일체로 성형된 경우에는 취급 부주의에 따른 톱니(140)의 손상이나, 취급자가 톱니(140)에 의해 다칠 수도 있으나, 절단선(130)만 형성한 상태에서는 이와 같은 우려도 없다. 절단선(130)에 의해 구획된 양쪽 부분이 구개면에 설치되는 현장에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도 3에 예시된 접힘선(131,132)을 따라 미리 홈을 형성해 둘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톱니(140) 또한 고정용 구멍(111)의 내경측 둘레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톱니(140)가 형성될 위치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선(130) 또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구멍(111)의 내경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도 3의 예에서 고정용 구멍(111)을 둘러싼 고정부(110)의 외곽선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고정용 구멍(111)를 향하여 연장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도 1의 예에서 고정부(110)의 관통 구멍(112)이 형성된 부분에 절단선(13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의 절단선은 당연히 고정부(110)의 외곽선으로부터 고정부(11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을 걸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기 구개골을 향한 면에 톱니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용 구멍의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3.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을 걸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고정용 구멍의 내경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내측을 향해 절단선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4.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을 걸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외곽선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단선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1020100025319A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08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19A KR101082356B1 (ko)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PCT/KR2011/001966 WO2011118969A2 (ko) 2010-03-22 2011-03-22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PCT/KR2011/001967 WO2011118970A2 (ko) 2010-03-22 2011-03-22 치열교정용 고정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19A KR101082356B1 (ko)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91A KR20110106091A (ko) 2011-09-28
KR101082356B1 true KR101082356B1 (ko) 2011-11-10

Family

ID=4495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2356B1 (ko)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22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엠씨티바이오 이중이탈방지형 치열교정용 고정구
KR20220158999A (ko) 2021-05-25 2022-12-0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 기구를 설계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0804876B1 (ko) 2004-09-24 2008-02-20 스트리커 라이빙거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카게 외과용 앵커 장치
WO2009097386A1 (en) 2008-02-01 2009-08-06 Synthes Usa, Llc Orthodontic bone anchor plate with mesh pa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0804876B1 (ko) 2004-09-24 2008-02-20 스트리커 라이빙거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카게 외과용 앵커 장치
WO2009097386A1 (en) 2008-02-01 2009-08-06 Synthes Usa, Llc Orthodontic bone anchor plate with mesh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91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511Y1 (ko) 치열교정용 고정장치
KR101539755B1 (ko)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RU24677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US3494034A (en) Buccal tube insert
JP2020108668A (ja) 歯移動器具
CN102365060A (zh) 正畸托槽和用于校正牙齿的不规则性的装置
KR20090077254A (ko) 치열교정용 장치
US20190175305A1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KR101082356B1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WO2005096984A3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KR100618556B1 (ko) 치열교정용 지지체
KR20110106087A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KR101897702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장치
KR200472514Y1 (ko) 의료용 드라이버
JP2018509214A (ja) 角度の付いた支持構造を有するパッケージ化された歯列矯正アセンブリ
TWI524882B (zh) 齒顎矯正器
JP2013141582A (ja) 歯列矯正用インプラント
KR101183999B1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20110009777U (ko) 치아교정 시술용 고정구
KR101183992B1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101410760B1 (ko) 치열 교정용 고정기기
KR101646504B1 (ko)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장치
KR20200022119A (ko)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