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3992B1 -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992B1
KR101183992B1 KR1020100025317A KR20100025317A KR101183992B1 KR 101183992 B1 KR101183992 B1 KR 101183992B1 KR 1020100025317 A KR1020100025317 A KR 1020100025317A KR 20100025317 A KR20100025317 A KR 20100025317A KR 101183992 B1 KR101183992 B1 KR 10118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latal
support ring
wire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089A (ko
Inventor
김진홍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김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김진홍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0002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992B1/ko
Priority to PCT/KR2011/001966 priority patent/WO2011118969A2/ko
Priority to PCT/KR2011/001967 priority patent/WO2011118970A2/ko
Publication of KR2011010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9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되 견인될 와이어나 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한 구개부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는,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판재 형상이고 말단에 나선형 지지고리가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APPARATUS FOR ORTHODONTICS WITH SPIRAL HOOK TO BE FIXED TO PALATE}
본 발명은 치열 교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되 견인될 와이어나 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한 구개부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은 크게 순측 교정과 설측 교정으로 나눌 수 있다. 순측 교정이란 치아의 입술을 향한 면에 교정기구를 부착하는 것이고, 설측 교정은 그 반대로 치아의 혀를 향한 면에 교정기구를 부착하는 것이다.
순측 교정은 교정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므로, 이물감이 상대적으로 크고 발음하기 불편하며 비용도 비싸지만 설측 교정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단순한 치열 교정이 아니라 고도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설측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돌출된 앞니를 급속하게 교정하기 위해 피질골절제술(corticotomy)을 시행하는 경우, 앞니를 구개 후방으로 당겨주기 위해 미니스크류(miniscrew)나 미니플레이트(miniplate)를 이용하여 구개(palate)에 고정원(anchorage)을 형성하고 이 고정원과 치아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견인(retract)하여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설측 교정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 사용되고 있는 고정원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33783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원(20)은 고정편(21)과 지지편(23)을 포함한다. 고정편(21)은 구개를 절개하여 삽입되며, 나사구멍(22)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구개에 고정되는데, 절개 부분을 봉합하여 시술이 완료되면 고정편(21)은 구개 점막에 묻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반면 지지편(23)은 구개 점막 외부로 노출되며, 고정고리(24)에는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이 걸리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치아를 구개 측으로 견인하는 고정원이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고정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용상태에서 구개부의 정중선(구개부의 중앙에서 앞뒤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원(20)이 정중선 상에 위치하는 것은 하나의 고정원(20)으로 활용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치열이 정중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편, 지지편(23)에 형성된 고정고리(24)는 완전한 원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 또한 고정고리(24)에 설치될 와이어나 스프링이 구강의 전방 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으로도 견인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고리(24)가 완전한 원형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고정고리(24)에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을 거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게 된다. 즉,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을 고정고리(24)에 감거나 꼬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대, 협소한 구강 내에서 이와 같은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충분히 감기거나 꼬이지 않으면 장기간 사용 중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이 고정고리(24)로부터 풀려나가는 문제가 생긴다.
반대로, 고정고리(24)가 원으로부터 일부가 절제된 부분원의 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을 고정고리(24)에 거는 작업이 수월해진다. 즉,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에 원형의 고리 등을 미리 형성하고 이 고리를 고정고리(24)의 절제된 부분으로 삽입하여 고정거리(24)에 거는 것으로 손쉽게 와이어 및 스프링의 끝단을 고정고리(24)에 대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고정고리(24)의 절제된 부분을 통해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이 이탈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역시 장기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해야하는 고정원(20)으로서는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열 교정을 위한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을 용이하게 걸어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된 와이어나 스프링이 쉽게 이탈하지 못함으로써 장기간 안정적인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는,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판재 형상이고 말단에 나선형 지지고리가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선형 지지고리의 끝단은 자유단으로서 지지고리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고리에 와이어나 스프링의 일단을 거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지지고리는, 1회전을 초과하여 꼬인 나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형 지지고리는, 끝단이 구개골 측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 경우 지지고리에 걸린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이 지지고리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고리가 나선형 고리 형태를 가지므로, 그 끝단은 자유단이 되며,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이 폐쇄형 고리일 지라도 이 자유단을 통해 지지고리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고리가 1회전을 초과하여 말려 있는 경우, 일단 지지고리에 삽입된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이 지지고리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와이어나 스프링을 용이하게 걸어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나 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점은, 이와 같은 작업이 협소한 구강 내에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활용도를 높이고 유용성을 재고시킨다는 점에서 중대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는 고정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110)는 4개의 고정용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 형상이다. 이들 고정용 구멍(111)에는 나사가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 나사는 구개골에 나사결합된다. 4개의 고정용 구멍(111)은 각각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갯수나 배치관계가 이런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연장되는 판재 형상으로서,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120)는 2개의 지지용 가지가 일렬로 접합된 형상으로서, 고정부(110)를 중심에 두고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지부(120)가 2개의 지지용 가지가, 그것도 일렬로 배열된 형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용 가지의 수나 배열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120)의 끝단에는 지지고리(121)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 지지고리(121)는 지지부(120)의 고정부(110)로부터 먼 쪽의 끝단에 형성되는데, 그 끝단을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말아서 형성한다. 이때 지지고리(121)의 끝단은 지지부(12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고리(121)는 1회전을 초과하여 말려 있는 상태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지지고리(121)에 걸려있는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이 지지고리(1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지고리(121)의 자유단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부(120)와는 일정한 간격(d)를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지고리(121)에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치아에 연결된 와이어나 스프링의 끝단이 완전한 원형고리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열쇠고리에 열쇠를 거는 것처럼, 지지고리(121)의 자유단 측으로부터 와이어나 스프링의 원형고리를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상태에서, 도 2의 도면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에 구개면이 위치하게 되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고리(121)의 자유단은 지지부(120)에 대해 구개면, 즉 구개골 측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 중 와이어나 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는 장력이 지지고리(121)에 전해질 경우, 그 장력의 방향이 주로 구개골 측에서 구강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이 되므로, 이러한 장력에 의해 지지고리(121)의 자유단이 지지부(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오히려 지지고리(121)가 완전한 폐쇄형 고리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지지고리(121)에서 와이어나 스프링이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구개골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도록 고정용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판재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판재 형상이고 말단에 나선형 지지고리가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지지고리는,
    1회전을 초과하여 꼬인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지지고리는,
    끝단이 구개골 측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1020100025317A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18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17A KR101183992B1 (ko)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PCT/KR2011/001966 WO2011118969A2 (ko) 2010-03-22 2011-03-22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PCT/KR2011/001967 WO2011118970A2 (ko) 2010-03-22 2011-03-22 치열교정용 고정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17A KR101183992B1 (ko)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89A KR20110106089A (ko) 2011-09-28
KR101183992B1 true KR101183992B1 (ko) 2012-09-18

Family

ID=4495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3992B1 (ko) 2010-03-22 2010-03-22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22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엠씨티바이오 이중이탈방지형 치열교정용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832B1 (ko) 2000-04-17 2002-05-27 정규림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0804876B1 (ko) 2004-09-24 2008-02-20 스트리커 라이빙거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카게 외과용 앵커 장치
KR100931256B1 (ko) 2008-01-10 2009-12-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832B1 (ko) 2000-04-17 2002-05-27 정규림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0804876B1 (ko) 2004-09-24 2008-02-20 스트리커 라이빙거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카게 외과용 앵커 장치
KR100931256B1 (ko) 2008-01-10 2009-12-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89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2560A1 (en) Implant for teeth orthodontics
KR100805752B1 (ko) 치아 교정기
US7500851B2 (en) Maxillary arch expander unbanded to teeth
US7033171B2 (en) Molar tube lock
JP2013532509A (ja) 歯列矯正用固定装置
US20060172251A1 (en) Orthopedic implant for mandibular advancer
US6733287B2 (en) Molar tube lock
US20130040260A1 (en) Orthodontic system
KR101539755B1 (ko)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US20060257813A1 (en) Orthodontic spring
KR102599385B1 (ko) 치과 교정 장치
JP2010535077A5 (ko)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KR102512893B1 (ko) 치아 이동 기구
KR101276780B1 (ko) 치열교정용 훅버튼
KR101183992B1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20110106087A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20150024149A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KR100618556B1 (ko) 치열교정용 지지체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KR200459306Y1 (ko) 치과교정 앵커용 나사
JP2007289346A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KR20160088032A (ko) 구개고정용장치
KR200183849Y1 (ko) 치열교정용 탄성체 고정나사
WO2008096937A1 (en) The support device of elastic body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