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466B1 -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각성 상태 판정 장치, 경고 장치, 차량,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및 각성 상태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각성 상태 판정 장치, 경고 장치, 차량,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및 각성 상태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8466B1 KR101078466B1 KR1020097014860A KR20097014860A KR101078466B1 KR 101078466 B1 KR101078466 B1 KR 101078466B1 KR 1020097014860 A KR1020097014860 A KR 1020097014860A KR 20097014860 A KR20097014860 A KR 20097014860A KR 101078466 B1 KR101078466 B1 KR 101078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blinking
- awakening state
- feature variable
- wavefo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3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3179 statistical model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37007 arous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13075 data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5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1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537 electroencephal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0744 eyelid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557 luminan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08000032140 Sleep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321 sleep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279 safety data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26 alert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FFBHFFJDDLITSX-UHFFFAOYSA-N benzyl N-[2-hydroxy-4-(3-oxomorpholin-4-yl)phenyl]carbamate Chemical compound OC1=C(NC(=O)OCC2=CC=CC=C2)C=CC(=C1)N1CCOCC1=O FFBHFFJDDLIT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93 eyeblin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87 respiratory r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76 sede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18 wa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61B5/7267—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involving training the classification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3—Detecting muscular movement of the eye, e.g. eyelid move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at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3)
- 삭제
- 삭제
-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통계 모델을 생성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로서,각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깜빡임 데이터의 각 깜빡임에 대해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을 나타내는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를 부여한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를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 기억 수단과,상기 학습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통계 모델을 학습시켜,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에 대한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에 대한 우도(尤度, likelihood)를 출력으로 하는 제1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깜빡임 파형 패턴 모델 생성 수단과,상기 학습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 구간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마다의 생기(生起)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과,상기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분석 구간의 계열마다에 상기 각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나타내는 각성 상태 정보를 부여한 각성 상태 정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통계 모델을 학습시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에 대한 각성 상태 정보에 대한 우도를 출력으로 하는 제2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각성 상태 패턴 모델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깜빡임 데이터는,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 파형의 데이터 또는 눈의 동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는, 생기 비율의 시간 변화 또는 생기 횟수의 시간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통계 모델은 HMM(Hidden Markov Mod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각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상기 깜빡임 데이터를 기억하는 깜빡임 데이터 기억 수단과,상기 깜빡임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한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특징량 데이터 추출 수단과,상기 깜빡임 파형 패턴 모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1 패턴 모델을 기억하는 제1 패턴 모델 기억 수단과,상기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 기억 수단과,상기 각성 상태 패턴 모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제2 패턴 모델을 기억하는 제2 패턴 모델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각성 상태 판정 장치로서,상기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깜빡임 데이터를 취득하는 깜빡임 데이터 취득 수단과,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한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 패턴 모델과,상기 깜빡임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패턴 모델에 대응하는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특징량 데이터 추출 수단과,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한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제1 패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에 대응한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을 식별하는 깜빡임 파형 식별 수단과,분석 구간의 계열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대상자의 깜빡임 데이터에 대한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수단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마다의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과,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한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2 패턴 모델과,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제2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제2 패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각성 상태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깜빡임 데이터는, 안전도(EOG) 파형의 데이터 또는 눈의 동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는, 생기 비율의 시간 변화 또는 생기 횟수의 시간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패턴 모델과 상기 제2 패턴 모델은 HMM(Hidden Markov Mod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장치.
- 제8항에 기재한 각성 상태 판정 장치와,상기 각성 상태 판정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각성 상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에게 경고를 부여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장치.
- 제12항에 기재한 경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통계 모델을 생성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으로서,각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깜빡임 데이터의 각 깜빡임에 대해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을 나타내는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를 부여한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를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 기억 단계와,상기 학습 데이터 기억 단계에 기억된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통계 모델을 학습시켜,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에 대한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에 대한 우도를 출력으로 하는 제1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깜빡임 파형 패턴 모델 생성 단계와,상기 학습 데이터 기억 단계에 기억된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 구간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마다의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특징량 데이터 생성 단계 와,상기 특징량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분석 구간의 계열마다에 상기 각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나타내는 각성 상태 정보를 부여한 각성 상태 정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통계 모델을 학습시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에 대한 각성 상태 정보에 대한 우도를 출력으로 하는 제2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각성 상태 패턴 모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는, 생기 비율의 시간 변화 또는 생기 횟수의 시간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상기 각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상기 깜빡임 데이터를 깜빡임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깜빡임 데이터 기억 단계와,상기 깜빡임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특징량 데이터 추출 단계와,상기 깜빡임 파형 패턴 모델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제1 패턴 모델을 기억하는 제1 패턴 모델 기억 단계와,상기 특징량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 기억 단계와,상기 각성 상태 패턴 모델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제2 패턴 모델을 기억하는 제2 패턴 모델 기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
-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각성 상태 판정 방법으로서,상기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깜빡임 데이터를 취득하는 깜빡임 데이터 취득 단계와,상기 깜빡임 데이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제14항 또는 제15항에 기재한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제1 패턴 모델에 대응하는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특징량 데이터 추출 단계와,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제1 패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에 대응한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을 식별하는 깜빡임 파형 식별 단계와,분석 구간의 계열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대상자의 깜빡임 데이터에 대한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마다의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 생성 단계와,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제2 특징량 데이터와, 제14항 또는 제15항에 기재한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제2 패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각성 상태 판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는, 생기 비율의 시간 변화 또는 생기 횟수의 시간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방법.
-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통계 모델을 생성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컴퓨터를,각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깜빡임 데이터의 각 깜빡임에 대해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을 나타내는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를 부여한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를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 기억 수단,상기 학습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통계 모델을 학습시켜,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에 대한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에 대한 우도를 출력으로 하는 제1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깜빡임 파형 패턴 모델 생성 수단,상기 학습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 구간에서의 상기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마다의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 및상기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분석 구간의 계열마다에 상기 각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나타내는 각성 상태 정보를 부여하는 각성 상태 정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통계 모델을 학습시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에 대한 각성 상태 정보에 대한 우도를 출력으로 하는 제2 패턴 모델을 생성하는 각성 상태 패턴 모델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는, 생기 비율의 시간 변화 또는 생기 횟수의 시간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상기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은,컴퓨터를,상기 각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상기 깜빡임 데이터를 기억하는 깜빡임 데이터 기억 수단,상기 깜빡임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특징량 데이터 추출 수단,상기 깜빡임 파형 패턴 모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제1 패턴 모델을 기억하는 제1 패턴 모델 기억 수단,상기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 기억 수단, 및상기 각성 상태 패턴 모델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제2 패턴 모델을 기억하는 제2 패턴 모델 기억 수단으로서 더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각성 상태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컴퓨터를,상기 대상자의 깜빡임 시의 적어도 한쪽 눈의 깜빡임 데이터를 취득하는 깜빡임 데이터 취득 수단,상기 깜빡임 데이터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깜빡임 데이터로부터,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한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제1 패턴 모델에 대응하는 제1 특징량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특징량 데이터 추출 수단,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 추출 수단에서 추출한 제1 특징량 데이터와, 상기 제1 패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특징량 데이터에 대응한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을 식별하는 깜빡임 파형 식별 수단,분석 구간의 계열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대상자의 깜빡임 데이터에 대한 상기 깜빡임 파형 식별 수단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종류의 깜빡임 파형마다의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 및상기 제2 특징량 데이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제2 특징량 데이터와,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한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패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각성 상태를 판정하는 각성 상태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생기 비율에 관련된 데이터는, 생기 비율의 시간 변화 또는 생기 횟수의 시간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상태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9729 | 2007-01-19 | ||
JP2007009729 | 2007-01-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1335A KR20090091335A (ko) | 2009-08-27 |
KR101078466B1 true KR101078466B1 (ko) | 2011-10-31 |
Family
ID=3963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48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8466B1 (ko) | 2007-01-19 | 2008-01-21 |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각성 상태 판정 장치, 경고 장치, 차량,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및 각성 상태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400313B2 (ko) |
EP (2) | EP2111796B1 (ko) |
JP (1) | JP4805358B2 (ko) |
KR (1) | KR101078466B1 (ko) |
CN (1) | CN101583313B (ko) |
WO (1) | WO2008088070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6717B1 (ko) | 2011-12-01 | 2017-09-0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자동차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력검사 시스템 및 방법 |
KR20190120561A (ko) | 2018-04-16 | 2019-10-24 | (주) 이즈테크놀로지 |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기반 운전자와 상호 작용을 통한 운전자 졸음 예방 방법 및 시스템 |
WO2024053751A1 (ko) | 2022-09-06 | 2024-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의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
WO2024053752A1 (ko) | 2022-09-06 | 2024-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의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70415B2 (ja) * | 2009-03-19 | 2013-08-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眠気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5642945B2 (ja) * | 2009-05-29 | 2014-12-17 |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 瞬目計測装置 |
JP5516192B2 (ja) * | 2010-07-28 | 2014-06-11 | 富士通株式会社 | モデル作成装置、モデル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モデル作成方法 |
US9043042B2 (en) * | 2011-07-19 | 2015-05-2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ethod to map gaze position to information display in vehicle |
JP2013043044A (ja) * | 2011-08-26 | 2013-03-04 | Canon Inc | 瞬目計測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13215549A (ja) * | 2012-03-16 | 2013-10-24 | Fujitsu Ltd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
EP2885150B1 (en) | 2012-08-20 | 2019-01-02 | Veoneer Sweden AB | Eyelid movement processing for detection of drowsiness |
JP5888205B2 (ja) * | 2012-11-02 | 2016-03-16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並びに情報入力装置 |
KR102181927B1 (ko) * | 2012-12-11 | 2020-11-24 | 아미 클린 | 교감 및 지각된 자극 현저성의 표지로서 깜박임 억제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JP6118097B2 (ja) * | 2012-12-14 | 2017-04-19 |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 運転時生体状態判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8930269B2 (en) | 2012-12-17 | 2015-01-06 |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 System and method to adjust insurance rate based on real-time data about potential vehicle operator impairment |
US8981942B2 (en) * | 2012-12-17 | 2015-03-17 |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reduce vehicle operator impairment |
KR101519217B1 (ko) | 2013-09-13 | 2015-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부주의 운전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
CN104464192B (zh) * | 2013-09-18 | 2017-02-08 | 武汉理工大学 | 机动车驾驶人不稳定性驾驶状态检测预警装置与方法 |
DE102013224026A1 (de) * | 2013-11-25 | 2015-05-28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r Bewertung des Fahrerverhaltens in einem Fahrzeug |
DE102014220759B4 (de) * | 2014-10-14 | 2019-06-19 | Audi Ag | Überwachung eines Aufmerksamkeitsgrads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
US11039784B2 (en) * | 2014-12-05 | 2021-06-22 |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 Sleep profiling system with feature generation and auto-mapping |
US20170042461A1 (en) * | 2015-07-16 | 2017-02-16 | Battelle Memorial Institute | Techniques to evaluate and enhance cognitive performance |
DE102015225109A1 (de) * | 2015-12-14 | 2017-06-14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lassieren von Augenöffnungsdaten zumindest eines Auges eines Insassen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einer Schläfrigkeit und/oder eines Sekundenschlafes eines Insassen eines Fahrzeugs |
CN106974658B (zh) * | 2016-01-15 | 2021-03-02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信息终端装置的控制方法以及体动测定装置 |
CN105997094B (zh) * | 2016-05-09 | 2019-03-29 | 北京科技大学 | 一种姿态识别装置及方法 |
CN106446830B (zh) * | 2016-09-21 | 2019-06-11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智能辅助睡眠中的催眠状态识别方法和系统 |
CN106344008B (zh) * | 2016-09-21 | 2019-05-07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睡眠状态分析中清醒状态检测方法和系统 |
CN106175754B (zh) * | 2016-09-21 | 2019-04-09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睡眠状态分析中清醒状态检测装置 |
JP6535694B2 (ja) | 2017-02-22 | 2019-06-26 | 株式会社ジンズ |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102287315B1 (ko) * | 2017-04-14 | 2021-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피로도 기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TWI647666B (zh) * | 2017-08-28 | 2019-01-1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瞌睡偵測裝置及其瞌睡偵測方法 |
CN108245171B (zh) * | 2017-12-28 | 2020-12-25 |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 获取参数模型的方法、疲劳检测方法及装置、介质及设备 |
CN109191791B (zh) * | 2018-10-30 | 2021-02-09 | 罗普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融合多特征的疲劳检测方法以及装置 |
US11235776B2 (en) * | 2019-01-31 | 2022-02-01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vehicle based on driver engagement |
JP7334415B2 (ja) * | 2019-02-01 | 2023-08-29 | オムロ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CN111724651B (zh) * | 2019-03-19 | 2023-04-21 |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 一种飞行员错觉训练系统及方法 |
CN109907753B (zh) * | 2019-04-23 | 2022-07-26 | 杭州电子科技大学 | 一种多维度ecg信号智能诊断系统 |
US11786694B2 (en) | 2019-05-24 | 2023-10-17 | NeuroLight, Inc. | Device, method, and app for facilitating sleep |
CN110807351A (zh) * | 2019-08-28 | 2020-02-18 | 杭州勒格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人脸识别的智能化车载疲劳检测系统、方法及装置 |
US11033214B1 (en) * | 2020-05-19 | 2021-06-15 | 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 | Wearable eye tracking system |
WO2022016341A1 (zh) * | 2020-07-20 | 2022-01-27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
CN115067944B (zh) * | 2022-08-22 | 2022-11-11 |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 一种眼动状态评估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
KR102706297B1 (ko) * | 2022-08-23 | 2024-09-12 |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 문서 작성 중인 사용자의 눈 피로도를 낮추기 위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6801A (ja) * | 1997-08-22 | 1999-03-02 | Mitsuaki Yamamoto | 携帯型プログラマブル生体情報長期計測・記憶システム |
JPH11137530A (ja) * | 1997-11-14 | 1999-05-25 | Nec Corp | 特徴脳電磁波検出装置 |
JP2003331270A (ja) * | 2002-05-09 | 2003-11-21 | Sony Corp | 生体パターン検出方法及び生体パターン検出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53627A (ja) * | 1983-02-18 | 1984-09-01 | Nissan Motor Co Ltd | 居眠り運転警報装置 |
JPS60592A (ja) * | 1983-06-15 | 1985-01-0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いねむり防止装置 |
JP3369201B2 (ja) * | 1991-10-02 | 2003-01-20 | マツダ株式会社 | 覚醒度維持装置 |
JP3127760B2 (ja) * | 1995-02-20 | 2001-01-29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運転者の覚醒度検出装置 |
US5566067A (en) * | 1995-03-23 | 1996-10-15 |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 Eyelid vigilance detector system |
JPH09135826A (ja) | 1995-11-15 | 1997-05-27 | Omron Corp | 集中度判定方法、目の疲労度判定方法、及び難易度制御方法 |
JP3480483B2 (ja) * | 1997-03-31 | 2003-12-22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覚醒度推定装置 |
JP3413065B2 (ja) * | 1997-07-03 | 2003-06-0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番組情報処理装置 |
FR2773521B1 (fr) * | 1998-01-15 | 2000-03-31 | Carlus Magnus Limited | Procede et dispositif pour surveiller en continu l'etat de vigilance du conducteur d'un vehicule automobile, afin de detecter et prevenir une tendance eventuelle a l'endormissement de celui-ci |
US6496724B1 (en) * | 1998-12-31 | 2002-12-17 | Advanced Brain Monitoring, Inc. |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human alertness |
JP2002331850A (ja) | 2001-05-07 | 2002-11-19 | Nissan Motor Co Ltd | 運転行動意図検出装置 |
US7233933B2 (en) * | 2001-06-28 | 2007-06-19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s and architecture for cross-device activity monitoring, reasoning, and visualization for providing status and forecasts of a users' presence and availability |
US6927694B1 (en) * | 2001-08-20 | 2005-08-09 | Research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 Algorithm for monitoring head/eye motion for driver alertness with one camera |
JP3908583B2 (ja) * | 2002-04-10 | 2007-04-25 |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 眠気度検出装置及びそれと連動した覚醒装置 |
US20050180620A1 (en) | 2002-05-09 | 2005-08-18 | Kiyoaki Takiguchi | Method of detecting biological pattern, biological pattern detector, method of biological certificate and biological certificate apparatus |
JP4247656B2 (ja) | 2002-05-09 | 2009-04-02 | ソニー株式会社 | 生体パターン検出方法及び生体パターン検出装置 |
EP2322958A1 (en) | 2003-07-01 | 2011-05-18 | Transitions Optical, Inc. | Alignment facilities for optical dyes |
GB0326539D0 (en) * | 2003-11-14 | 2003-12-17 | Qinetiq Ltd | Dynamic blind signal separation |
WO2005114576A1 (ja) | 2004-05-21 | 2005-12-01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動作内容判定装置 |
FI117409B (fi) * | 2004-06-10 | 2006-09-29 | Abb Oy | Anturiresistanssin isoloitu mittauspiiri |
JP4622439B2 (ja) * | 2004-10-13 | 2011-02-0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覚醒度判定装置 |
US7403124B2 (en) * | 2005-05-10 | 2008-07-22 |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 Driving support equipment for vehicles |
US7689008B2 (en) * | 2005-06-10 | 2010-03-30 | Delph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ye |
JP4864541B2 (ja) * | 2006-05-23 | 2012-02-01 | 旭化成株式会社 | まばたきデータ種別装置、覚醒状態判定装置及び覚醒状態判断装置 |
US8062129B2 (en) * | 2006-09-29 | 2011-11-22 | Pope Alan T | Physiological user interface for a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 |
JP4985428B2 (ja) * | 2007-02-01 | 2012-07-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ドライバ管理装置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
JP4259585B2 (ja) * | 2007-03-08 | 2009-04-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眠気判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眠気判定方法 |
US8036736B2 (en) * | 2007-03-21 | 2011-10-11 | Neuro Vista Corporation | Implantable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contra-ictal condition in a subject |
-
2008
- 2008-01-21 KR KR1020097014860A patent/KR10107846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1-21 CN CN2008800025957A patent/CN10158331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1-21 EP EP08703580.4A patent/EP2111796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8-01-21 EP EP11168653.1A patent/EP2363067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8-01-21 JP JP2008554103A patent/JP480535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1-21 WO PCT/JP2008/050730 patent/WO200808807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1-21 US US12/522,505 patent/US840031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6801A (ja) * | 1997-08-22 | 1999-03-02 | Mitsuaki Yamamoto | 携帯型プログラマブル生体情報長期計測・記憶システム |
JPH11137530A (ja) * | 1997-11-14 | 1999-05-25 | Nec Corp | 特徴脳電磁波検出装置 |
JP2003331270A (ja) * | 2002-05-09 | 2003-11-21 | Sony Corp | 生体パターン検出方法及び生体パターン検出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6717B1 (ko) | 2011-12-01 | 2017-09-0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자동차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력검사 시스템 및 방법 |
KR20190120561A (ko) | 2018-04-16 | 2019-10-24 | (주) 이즈테크놀로지 |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기반 운전자와 상호 작용을 통한 운전자 졸음 예방 방법 및 시스템 |
WO2024053751A1 (ko) | 2022-09-06 | 2024-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의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
WO2024053752A1 (ko) | 2022-09-06 | 2024-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의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400313B2 (en) | 2013-03-19 |
CN101583313A (zh) | 2009-11-18 |
WO2008088070A1 (ja) | 2008-07-24 |
CN101583313B (zh) | 2011-04-13 |
JP4805358B2 (ja) | 2011-11-02 |
EP2363067B1 (en) | 2016-01-06 |
JPWO2008088070A1 (ja) | 2010-05-13 |
EP2111796A1 (en) | 2009-10-28 |
EP2111796B1 (en) | 2014-07-02 |
US20100036290A1 (en) | 2010-02-11 |
KR20090091335A (ko) | 2009-08-27 |
EP2363067A1 (en) | 2011-09-07 |
EP2111796A4 (en) | 2011-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8466B1 (ko) |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장치, 각성 상태 판정 장치, 경고 장치, 차량,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방법, 각성 상태 판정 모델 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및 각성 상태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
JP4864541B2 (ja) | まばたきデータ種別装置、覚醒状態判定装置及び覚醒状態判断装置 | |
Lu et al. | Detecting driver fatigue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A systematic review | |
Friedrichs et al. | Camera-based drowsiness reference for driver state classification under real driving conditions | |
US7948387B2 (en) | Drowsiness determinatio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 |
JP5326521B2 (ja) | 覚醒状態判断装置及び覚醒状態判断方法 | |
US7821409B2 (en) | Drowsiness alarm apparatus and program | |
Salzillo et al. | Evaluation of driver drowsiness based on real-time face analysis | |
Triyanti et al. | Challenges in detecting drowsiness based on driver’s behavior | |
CN117770821A (zh) | 人因智能座舱驾驶人疲劳检测方法、装置、车辆及介质 | |
Arefnezhad et al. | Driver drowsiness classification using data fusion of vehicle-based measures and ECG signals | |
JP3480483B2 (ja) | 覚醒度推定装置 | |
Pandey et al. | A survey on visual and non-visual features in Driver’s drowsiness detection | |
Liu et al. | Driver fatigue detection through pupil detection and yawing analysis | |
Thorslund | Electrooculogram analysis and development of a system for defining stages of drowsiness | |
JP4867215B2 (ja) | 生理・心理状態判定装置、生理・心理状態判定方法、リファレンスデータ生成装置、及びリファレンスデータ生成方法。 | |
Lee et al. | Development of three driver state detection models from driving information using vehicle simulator; normal, drowsy and drunk driving | |
CN113598773B (zh) | 数据处理装置以及用于评估用户不适的方法 | |
Antunes et al. | An intelligent system to detect drowsiness at the wheel | |
Dehankar et al. | Design of drowsiness and yawning detection system | |
CN117885743A (zh) | 一种驾驶员异常状态识别恢复方法及系统 | |
CN114399752B (zh) | 一种基于微眼跳特性的眼动多特征融合疲劳检测系统及检测方法 | |
JPH08332871A (ja) | 覚醒度検出装置 | |
Momin et al. | Current statu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monitoring vigilance of individual or mass audience in monotonous working environment | |
Murugan et al. | Analysis of different measures to detect driver states: A revie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7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