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4984B1 - 복수 램프 조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램프 조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984B1
KR101074984B1 KR1020067018419A KR20067018419A KR101074984B1 KR 101074984 B1 KR101074984 B1 KR 101074984B1 KR 1020067018419 A KR1020067018419 A KR 1020067018419A KR 20067018419 A KR20067018419 A KR 20067018419A KR 101074984 B1 KR101074984 B1 KR 101074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ipe
polarizing beam
beam splitter
conden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595A (ko
Inventor
발떼르 드라지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12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98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8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non-coherent light sources and/or radiation detectors, e.g. lamps, incandescent bulbs, scintillation cha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17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reflective element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2 이상의 광원(13,14)을 결합하는 조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복수의 광원은 랜덤하게 편광된 광(1,5)을 방사한다. 복수의 집광 파이프(11,12)는 복수의 광원에 대응한다. 각각의 집광 파이프는 각각의 광원을 향하여 위치하는 진입 단부(11a,12a)를 가진다. 집광 파이프는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그들 각각의 진입 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중첩한다. 광 결합 파이프(16)는 상기 집광 파이프에 수직하여 위치한다. 편광 빔 스플리터(20,21) 및 미러(22,23)는 본질적으로 진입 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각각의 집광 파이프 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제1 편광된 광(2,6) 및 제2 편광된 광(4,8)을 각각 상기 결합 파이프를 향하여 위쪽으로 향하게 한다. 상기 광 결합 파이프는 각각의 편광 빔 스플리터 및 미러로부터의 광을 집광하여 결합하도록 각각의 집광 파이프의 편광 빔 스플리터 및 미러 위에 놓이는 진입 단부(16a)를 가진다.
조사 시스템, 광 파이프 시스템, 편광

Description

복수 램프 조사 시스템{MULTIPLE LAMP ILLUMINATION SYSTEM WITH POLARIZATION RECOVERY AND INTEGRA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4년 3월 11일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서 전체로서 참조로 인용되는 "Multiple Lamp Illumination System with Polarization Recovery and Integration"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0/552,284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마이크로디스플레이에서 이용하는 광 투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광 투사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최적의 밝기와 램프 수명 사이에 상충관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한가지 접근 방식은 시스템에 2개의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이 마이크로디스플레이에 이용하기 위하여 적응되는 경우에는 균일한 조사 및 편광 복원을 위한 적절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2개의 램프에 한정되어 2개의 중계 렌즈를 요구하여 비용이 증가되고 공간 요구조건이 강화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광원을 결합하는 조사 시스 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사 시스템은 랜덤하게 편광된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광원 및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결합하고 높은 휘도의 균일한 조사를 제공하는 광 파이프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 파이프 시스템은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집광 파이프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집광 파이프는 각각의 광원을 향하여 위치한 진입 단부를 가진다. 집광 파이프는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그들의 각각의 진입 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중첩된다. 광 결합 파이프는 집광 파이프에 수직하게 위치한다. 편광 빔 스플리터(splitter) 및 미러는 진입 단부에 본질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각각의 집광 파이프 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제1 편광된 광 및 제2 편광된 광을 각각 광 결합 파이프를 향해 위쪽으로 보낸다. 광 결합 파이프는 각각의 집광 파이프의 편광 빔 스플리터 및 미러 위에 놓이는 진입 단부를 가져 각각의 편광 빔 스플리터 및 미러로부터의 광을 집광하고 결합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도 1에 도시된 조사 시스템의 서로 반대 방향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예컨대, 디지털 영화와 같은 매우 높은 휘도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광 처리량을 상당히 높이기 위하여 조사 시스템 내에 하나 이상의 램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는 편광을 복원하고 광 빔을 통합하여 높은 휘도의 균일한 조사를 제공하는 장점 또한 가지는 구조를 기술한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은 낮은 비용 및 보다 컴팩트한 시스템을 위하여 감소된 수의 렌즈를 필요로 한다.
도 1 내지 2c는 이중 램프 시스템(1)을 도시하지만, 아래의 논의는 4개의 램프 시스템에서도 적용가능하다. 이중 램프 구성에서, 버너(burner, 도시되지 않음)가 각각의 2개의 서로 반대 방향의 램프(13,14)에 대한 집광기/광 반사기(9,10) 내에 배치되며, 광 파이프 시스템(15)이 램프(13,14) 사이에 위치한다. 타원형 반사기는 집광기로서 적절하지만, 집광 수단은 상이할 수 있다. 광이 포커싱되는 각각의 집광기(9,10)의 제2 초점에서 진입 단부(11a,12a)를 가지는 집광 파이프(11,12)가 존재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램프(14) 및 광 파이프(11)는 제1 램프(13) 및 광 파이프(12)로부터 광 파이프의 폭만큼 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각각의 광 파이프는 진입 단부(11a,12a)에 서로 반대 방향인 종료 단부(11b,12b)를 가지며, 이 종료 단부(11b,12b)는 집광 파이프(11,12)의 축 방향으로 중첩한다.
각각의 버너로부터 랜덤하게 편광된 광(1,5)은 집광기/반사기(9,10)에 의해서 대응하는 광 파이프(11,12)로 진입 단부(11a,12a)에서 주입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하게 편광된 광(1,5)은 제1 및 제2 집광 파이프(11,12) 내부의 반사에 의해서 혼합된다. 집광 파이프(11,1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고, 제1 및 제2 집광 파이프(11,12)로부터의 광을 결합하는 광 결합 파이프(16)가 존재할 것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집광 파이프(11,12)는 길이가 매우 길 필요가 없다. 각각의 집광 파이프(11,12)에서, 진입부(11a,12a)에 서로 반대 방향의 단부 근처에 s-편광 광(2,6)을 위쪽으로 반사하고 p-편광 광(3,7)을 통과시키는 45°편광 빔 스플리터(PBS,20,21)가 존재한다. 그 후에, p-편광 광(3,7)은 PBS(20,21)에 인접하여 위치한 미러(22,23)에 의해서 위쪽으로 반사되고, 미러 위의 반사광의 경로에 수직한 반파 플레이트(HWP,26,27)에 의해서 s-편광 광(4,8)으로 변환된다. 이리하여, 광 파이프 시스템(15)은 2개의 램프(13,14)로부터의 광을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반대의 편광 광(즉, p-편광된 광(3,7))을 복원한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BS(20,21) 및 미러(22,23)/HWP(26,27)는 s-편광된 광을 광 결합 파이프(16)를 향하여 위쪽으로 방사하는 4개의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한다. 광 결합 파이프(16)는, 본질적으로 위쪽을 향하는 모든 광을 광 결합 파이프(16)로 진입하도록 4개의 직사각형 영역 위에 놓이는 진입 단부(16a)를 가진다. 광 결합 파이프(16)는 반사에 의해서 광을 결합하여 공간 및 스펙트럼에 있어서 균일한 조사를 그 출력에서 획득한다. 그 후에, 광 결합 파이프(16)로부터의 출력은 중계 렌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 상에 이미징될 준비가 된다. 이리하여, 2개의 램프(13,14)는 2개의 별도의 중계 렌즈가 아닌 단지 하나의 중계 렌즈만을 필요로 한다.
조사될 시스템이 "2 내의 1(one in two)" 이미저 시스템인 경우에는, 편광 복원이 요구되지 않으며, 상방향 폴딩 시스템은 PBS 및 미러 조합을 대신하여 45°미러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집광 파이프(11,12)의 단면은 광 결합 파이프(16)의 최종 단면이 이미저의 종횡비를 가지게 하는 종횡비를 가지도록 선택된 치수를 가지는 직사각형이다. 통상적으로, 광 결합 파이프(16)는 4/3 또는 16/9의 종횡비를 가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높은 휘도의 광 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3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즉, (1) 마이크로디스플레이에 조사하기에 보다 적절하도록 원형 빔을 직사각형 균일 빔으로 변환하며, (2) 조사가 액정 기반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소실될 광의 하나의 편광된 광을 복원하며, (3) 2개 이상의 램프로부터의 광을 결합한다.

Claims (16)

  1. 조사(illumination)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광 파이프 시스템으로서,
    서로 반대 방향의 진입 단부들 및 중첩하는 종료 단부들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집광 파이프와,
    각각의 집광 파이프의 종료 단부에 근접하고, 제1 직사각형 영역에 걸쳐서, 상기 집광 파이프에 수직한 방향으로 원하는 편광된 광을 보내는 편광 빔 스플리터와,
    각각의 집광 파이프에서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인접하고,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를 통과하는 광을 제2 직사각형 영역에 걸쳐서, 집광 파이프에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하는 미러 - 한 쌍의 집광 파이프는, 상기 한 쌍의 집광 파이프 중 하나의 제1 및 제2 직사각형 영역들이 상기 한 쌍의 집광 파이프 중 다른 하나의 제2 및 제1 직사각형 영역들에 각각 인접하도록 측방향으로(laterally) 오프셋됨 -와,
    상기 집광 파이프들에 수직하며,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 위에 놓이는 진입 단부를 가지는 광 결합 파이프
    를 포함하는 광 파이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직사각형 영역이 동일한 편광의 광을 방사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편광 빔 스플리터를 통과하는 광을 반대로 편광된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반파 플레이트(half-wave plate)를 더 포함하는 광 파이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4/3의 종횡비를 가지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광 파이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16/9의 종횡비를 가지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광 파이프 시스템.
  5. 조사 시스템으로서,
    랜덤하게 편광된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집광 파이프 - 각각의 집광 파이프는 상기 각각의 광원을 향하여 배치되는 진입 단부를 가지며, 상기 집광 파이프들은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그들 각각의 진입 단부들의 반대편에서 중첩됨 -와,
    상기 집광 파이프들에 수직한 광 결합 파이프와,
    실질적으로 상기 진입 단부의 반대편에 각각의 집광 파이프에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제1 편광된 광 및 제2 편광된 광을 각각 상기 광 결합 파이프를 향하여 위쪽으로 보내는 편광 빔 스플리터 및 미러 - 상기 광 결합 파이프는 각각의 집광 파이프의 편광 빔 스플리터 및 미러 위에 놓이고 각각의 편광 빔 스플리터 및 미러로부터의 광을 집광하고 결합하기 위한 진입 단부를 가짐 -
    를 포함하는 조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광원은 광을 제2 초점에 포커싱하는 집광기(collector)를 가지며, 각각의 집광 파이프의 진입 단부는 대응하는 집광기의 상기 제2 초점에 배치되는 조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들 및 상기 미러들은 상기 광 결합 파이프를 향하여 광을 방사하는 4개의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상기 광 결합 파이프의 진입 단부에 대응하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조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4/3의 종횡비를 가지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조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16/9의 종횡비를 가지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조사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직사각형 영역이 동일한 편광의 광을 방사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편광 빔 스플리터를 통과하는 광을 반대로 편광된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반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사 시스템.
  11. 조사 시스템으로서,
    랜덤하게 편광된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집광 파이프 - 각각의 집광 파이프는 각각의 광원을 향하여 배치되는 진입 단부를 가짐 -와,
    상기 집광 파이프들에 수직한 광 결합 파이프와,
    실질적으로 상기 진입 단부의 반대편에 각각의 집광 파이프에 배치되고, 제1 편광된 광을 상기 광 결합 파이프를 향하여 위쪽으로 보내는 편광 빔 스플리터와,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인접하는 각각의 광 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를 통과하는 광을 상기 광 결합 파이프로 반사하는 미러
    를 포함하는 조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광원은 상기 광을 제2 초점으로 보내는 집광기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집광 파이프의 진입 단부는 상기 대응하는 광원의 상기 집광기의 제2 초점에 배치되는 조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들 및 상기 미러들은 상기 광 결합 파이프를 향하여 광을 방사하는 4개의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상기 광 결합 파이프의 진입 단부에 대응하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조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4/3의 종횡비를 가지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조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들은 결합하여 16/9의 종횡비를 가지는 보다 큰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조사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직사각형 영역이 동일한 편광의 광을 방사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편광 빔 스플리터를 통과하는 광을 반대로 편광된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반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사 시스템.
KR1020067018419A 2004-03-11 2005-03-10 복수 램프 조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074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228404P 2004-03-11 2004-03-11
US60/552,284 2004-03-11
PCT/EP2005/051093 WO2005088365A1 (en) 2004-03-11 2005-03-10 Multiple lamp illumination system with polarization recovery and integ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595A KR20060126595A (ko) 2006-12-07
KR101074984B1 true KR101074984B1 (ko) 2011-10-18

Family

ID=3496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4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4984B1 (ko) 2004-03-11 2005-03-10 복수 램프 조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17578B2 (ko)
EP (1) EP1723454B1 (ko)
JP (1) JP2007537461A (ko)
KR (1) KR101074984B1 (ko)
CN (1) CN100417959C (ko)
DE (1) DE602005008394D1 (ko)
WO (1) WO2005088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7578B2 (en) * 2004-03-11 2010-05-18 Thomson Licensing Multiple lamp illumination system with polarization recovery and integration
EP1955107B1 (en) * 2006-07-18 2012-02-22 RealD Inc. Light collectors for projection systems
KR100885172B1 (ko) 2006-11-01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화된 터널 구조를 이용한 투사광학 장치
KR100908430B1 (ko) 2006-11-01 2009-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화된 구조를 이용한 투사광학 장치
JP2010032944A (ja) * 2008-07-31 2010-02-12 Panasonic Corp 投写型表示装置
JP5509827B2 (ja) * 2009-12-11 2014-06-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照明光学系及び投影装置
US8134132B2 (en) * 2010-04-28 2012-03-13 Dymax Corporation Exposure device having an array of light emitting dio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6436A (en) 1983-01-31 1986-03-18 Maurice Daniel Light distribution and coll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US6332693B1 (en) 1998-09-10 2001-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nsifying illumination brightness by time-superposing multiple pulsed light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545A (en) * 1994-10-18 2000-08-15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5995284A (en) * 1996-03-29 1999-1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arized illumination system for LCD projector
US6587269B2 (en) * 2000-08-24 2003-07-01 Cogent Light Technologies Inc. Polarization recovery system for projection displays
JP2002341291A (ja) * 2001-05-16 2002-11-27 Nagano Kogaku Kenkyusho:Kk 偏光光源装置
JP4200266B2 (ja) * 2002-04-01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ダイクロイックミラー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2004021094A (ja) * 2002-06-19 2004-01-22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FR2841659A1 (fr) * 2002-06-28 2004-01-02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d'illumination a lumiere polarisee
JP2004053655A (ja) * 2002-07-16 2004-02-19 Tamron Co Ltd 偏光光学系及び投影装置
CN1261814C (zh) * 2003-03-24 2006-06-28 上海春晓光电科技有限公司 光棒型光学引擎照明系统
JP4514440B2 (ja) * 2003-12-01 2010-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7717578B2 (en) * 2004-03-11 2010-05-18 Thomson Licensing Multiple lamp illumination system with polarization recovery and integ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6436A (en) 1983-01-31 1986-03-18 Maurice Daniel Light distribution and coll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US6332693B1 (en) 1998-09-10 2001-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nsifying illumination brightness by time-superposing multiple pulsed light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8394D1 (de) 2008-09-04
EP1723454A1 (en) 2006-11-22
US7717578B2 (en) 2010-05-18
JP2007537461A (ja) 2007-12-20
US20080019009A1 (en) 2008-01-24
CN1934473A (zh) 2007-03-21
CN100417959C (zh) 2008-09-10
KR20060126595A (ko) 2006-12-07
EP1723454B1 (en) 2008-07-23
WO2005088365A1 (en)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4561B2 (ja) 投影ディスプレイ用偏光回復システム
US6969177B2 (en) Polarization recovery system using redirection
CN107436526B (zh) 一种光源装置以及投影显示装置
KR20090115973A (ko) 고체 광원용 컬러 결합기
NL9001610A (nl) Beeldprojektie-inrichting.
KR101074984B1 (ko) 복수 램프 조사 시스템
US7387388B2 (en) Illumination system using polarization conversion
JP6186786B2 (ja)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4464118B2 (ja) 照明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
KR100201996B1 (ko) 엘씨디 프로젝터
JPH1164788A (ja) 照明光学装置および投影光学装置
JP2004185033A5 (ko)
JP3976720B2 (ja) 映像光生成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H10288757A (ja) 照明装置及び投影装置
JP4043723B2 (ja) 照明装置
JP3631865B2 (ja) 偏光照明装置
JP2003016802A (ja) 照明光学系統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2004078202A (ja) 集光、光集積及び光リダイレクト装置
JP3658404B2 (ja) 投影装置
JP3372942B2 (ja) 画像投影装置
JP2004534962A (ja) 画像投射又は表示システム
JP2003059303A (ja) 照明光学系統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3492356B2 (ja) 画像投影装置
JP3492355B2 (ja) 画像投影装置
JP2006518486A (ja) リダイレクションを使用する偏光リカバ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