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1738B1 -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738B1
KR101071738B1 KR1020090059368A KR20090059368A KR101071738B1 KR 101071738 B1 KR101071738 B1 KR 101071738B1 KR 1020090059368 A KR1020090059368 A KR 1020090059368A KR 20090059368 A KR20090059368 A KR 20090059368A KR 101071738 B1 KR101071738 B1 KR 10107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le
slit hole
coupling end
sl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707A (ko
Inventor
안용덕
박창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7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7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서로 접합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 조인트 어셈블리는 돌기편(121)이 마련되어 제1패널(100)에 형성된 결합단부(120)와, 결합단부(120)가 결합되도록 제2패널(200)에 형성된 슬릿홀(210)을 포함하고, 슬릿홀(210)은 돌기편(121)이 최초 삽입되는 확공홀부(211)와, 슬릿홀(210)의 폭이 좁아지도록 확공홀부(211)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홀부(212)와, 경사홀부(212)에 연장되어 결합단부(12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슬릿홀부(213)를 포함한다.
슬릿홈, 포밍부, 패널

Description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JOINT ASSEMGLY FOR BODY OF VEHICLES}
본 발명은 두 개의 패널이 서로 접합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로서, 두 개의 패널간 결합시 이들 사이의 조립공차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패널들은 수많은 이음부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품질은 금속 이음부의 이음수단, 이음부 평가방법, 이음부의 물성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종래 차량 금속간 접합 방법으로는, 볼트를 이용한 볼트접합과, 두 강판을 용접시키는 스폿 용접, 및 레이저 용접이 있다.
이 중에서 스폿 용접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사용되는 패널을 접합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 스폿 용접은 플랜지부(11)가 형성된 제1패널(10)과 평판 형태의 제2패널(20)이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스폿 용접은 양방향 용접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므로 면공차에 대하여 둔감한 특성이 있으며, 저항 용접이므로 용접간 거리를 좁힐 수 없어 강성증대를 위해 원하는 만큼 용접을 많이 할 수 없고 열영향이 레이저 용접에 비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두 패널 간의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들 패널간 갭발생으로 인해 용접 품질이 저하되고, 스폿 용접을 위해 별도의 플랜지부가 필요하므로 중량 및 재료비가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패널 간의 접합을 위해 레이저 용접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 레이저 용접은 패널 간에 갭이 "Z"방향으로 0.5mm 이상의 공차가 발생되면 레이저 용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패널간의 결합시 이들 사이의 조립공차 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서로 결합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로서, 돌기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된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된 슬릿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홀은 상기 돌기편이 최초 삽입되는 확공홀부와, 상기 슬릿홀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확공홀부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홀부와, 상기 경사홀부에 연장되어 상기 결합단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슬릿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편에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의 결합단부와 제2패널의 슬릿홀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서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편은 상기 제1패널의 결합단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확공홀부는 상기 제2패널의 슬릿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홀부는 슬릿홀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홀부는 상기 확공홀부와 슬릿홀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편은 상기 제1패널의 결합단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확공홀부는 상기 제2패널의 슬릿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홀부는 슬릿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홀부는 상기 확공홀부와 슬릿홀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패널은 'ㄷ' 단면 형태를 갖는 플랜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단부는 제1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에는 상기 결합단부에 대응되는 슬릿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패널의 돌기편이 제2패널의 확공홀부에 삽입되는 경우 돌기편은 "Z"방향인 종방향 뿐만 아니라, "X" 및 "Y"방향인 횡방향 조립공차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패널간의 결합시 이들 사이의 조립공차 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어셈블리는,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와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간의 결합시 Z방향 뿐만 아니라 X,Y방향에 대한 조립공차에도 효과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인트 어셈블리는 돌기편(121)이 마련된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와, 돌기편(121)이 최초 삽입되는 확공홀부(211)가 형성된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을 포함한다.
결합단부(120)는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에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1패널(100)에서 돌출되는 구성으로, 제1패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제1패널(100)은 'ㄷ' 단면 형태를 갖는 플랜지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 제1패널(100)은 평판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결합단부(120)에는 슬릿홀(210)의 확공홀부(211)에 최초 삽입되는 돌기편(121)이 마련된다. 이 돌기편(121)은 결합단부(120)에서 더 돌출되는 구조로,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와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돌기편(121)은 슬릿홀(210)에 확공홀부(211)에 최초 삽입되어 슬릿홀(210)에 의해 결합단부(120)의 삽입 경로가 안내된다. 이때, 확공홀부(211)는 슬릿홀(210)의 폭보다 넓은 폭을 제공하므로, 돌기편(121)이 "Z"방향인 종방향 뿐만 아니라, "X" 및 "Y"방향인 횡방향 조립공차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돌기편(121)은 최초 삽입점에서 길이방향으로 점차 경사지는 경사면(1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기편(121)이 확공홀부(211)에 최초 삽입된 후, 결합단부(120)는 경사면(122)을 통해 슬릿홀(210)에 삽입되므로, 슬릿홀(210)에 대한 결합단부(12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슬릿홀(210)은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가 끼워 조립되도록 제2패널(200)에서 장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술한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에 대응 되도록 제2패널(200)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홀(210)은 확공홀부(211)와, 확공홀부(211)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홀부(212)와, 경사홀부(212)에 연속하여 연장되면서 결합단부(12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슬릿홀부(213)를 포함한다.
확공홀부(211)는 결합단부(120)의 돌기편(121)이 최초 삽입되는 부분으로, 원형의 입구 공간을 제공한다. 즉, 확공홀부(211)에는 "X"방향(좌우방향) 또는 "Y"방향(전후방향)으로 확개공간이 형성되므로, 돌기편(121)이 확공홀부(211)를 통해 슬릿홀(210)에 조립되는 경우 결합단부(120)와 슬릿홀(210) 사이의 조립공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확공홀부(211)의 일측에는 경사홀부(212)가 연속되게 형성된다. 이 경사홀부(212)에는 해당 폭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122)이 형성되므로, 돌기편(121)이 확공홀부(211)의 일측에 치우쳐서 삽입되더라도 결합단부(120)가 경사면(1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릿홀부(213)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슬릿홀부(213)는 경사홀부(212)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결합단부(12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따라서, 슬릿홀부(213)는 경사홀부(212)를 통해 안내된 돌기편(121)과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최종적으로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와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의 결합부위는, 레이저를 통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간에 레이저를 이용해 용접이 이루어지면 이들 간에 긴밀한 결합이 이루 어질 수 있다.
한편, 이들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와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편(121')은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확공홀부(211')는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확공홀부(211')는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 중앙에 형성되고, 슬릿홀부(213')는 슬릿홀(21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경사홀부(212')는 확공홀부(211')와 슬릿홀부(213') 사이에 형성된다. 이로써, 돌기편(121')이 확공홀부(211')를 통해 최초 삽입된 후, 결합단부(120)는 경사홀부(212')를 통해 슬릿홀(210')에 삽입되므로, 슬릿홀(210')에 대한 결합단부(12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편(121")은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 양단에 형성되고, 확공홀부(211")는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확공홀부(211")는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 양단에 형성되고, 슬릿홀부(213")는 슬릿홀(210")의 중앙에 형성되며, 경사홀부(212")는 확공홀부(211")와 슬릿홀부(213") 사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돌기편(121")이 확공홀부(211")를 통해 최초 삽입된 후, 결합단부(120)는 경사홀부(212")를 통해 슬릿홀(210")에 삽입되므로, 슬릿홀(210")에 대한 결합단부(12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 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라 제1패널과 제2패널에 스폿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1b는 도 1a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패널과 제2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제1패널 120 :결합단부
200 :제2패널 210 :슬릿홀

Claims (6)

  1.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서로 결합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로서,
    돌기편(121)이 구비되어 제1패널(100)에 형성된 결합단부(120)와, 상기 결합단부(120)가 끼워지도록 제2패널(200)에 형성된 슬릿홀(210)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홀(210)은 상기 돌기편(121)이 최초 삽입되는 확공홀부(211)와, 상기 슬릿홀(210)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확공홀부(211)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홀부(212)와, 상기 경사홀부(212)에 연장되어 상기 결합단부(12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슬릿홀부(213)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편(121)에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2)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와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편(121)은 상기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확공홀부(211)는 상기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홀부(213)는 슬릿홀(21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홀부(212)는 상기 확공홀부(211)와 슬릿홀부(213)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편(121)은 상기 제1패널(100)의 결합단부(120)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확공홀부(211)는 상기 제2패널(200)의 슬릿홀(210)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홀부(213)는 슬릿홀(210)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홀부(212)는 상기 확공홀부(211)와 슬릿홀부(213)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100)은 'ㄷ' 단면 형태를 갖는 플랜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단부(120)는 제1패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200)에는 상기 결합단부(120)에 대응되는 슬릿홀(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KR1020090059368A 2009-06-30 2009-06-30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107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368A KR101071738B1 (ko) 2009-06-30 2009-06-30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368A KR101071738B1 (ko) 2009-06-30 2009-06-30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07A KR20110001707A (ko) 2011-01-06
KR101071738B1 true KR101071738B1 (ko) 2011-10-11

Family

ID=4361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3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1738B1 (ko) 2009-06-30 2009-06-30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7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525A (ja) * 1998-01-23 1999-08-03 Isuzu Motors Ltd パネルの補強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525A (ja) * 1998-01-23 1999-08-03 Isuzu Motors Ltd パネルの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07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7927B2 (ja) 車体構造
WO2015159852A1 (ja) 金属板積層体のレーザ溶接方法、及び金属板積層体のレーザ溶接方法を用いた車両用ドア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5975058B2 (ja) ピラー構造及び車両側部構造
CN106458122A (zh) 车身部件
US10336369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US20110175400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PH12017550088A1 (en) Welded structure
US20060017305A1 (en) Low-profile high-strength vehicle door beam
KR101569825B1 (ko) 마찰교반용접을 적용한 자동차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JP2010110793A (ja) 線状溶接部応力緩和構造
KR101071738B1 (ko)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JPH03133582A (ja) 接合および鋼製閉鎖断面の片側溶接および自己固定方法
KR101488211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KR101020556B1 (ko) 차체의 조인트 어셈블리
KR101689573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JP4771060B2 (ja) トラック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11219971B2 (en) Method for joining an element of metal material to an element of plastic material, and a hybrid component obtained by this method
JP6794837B2 (ja) 車体側部構造
JP5246443B2 (ja) 筒状鋼材端部接合金具及びその接合構造
KR101729504B1 (ko) 이종 소재 접합체 및 접합방법
JP4578985B2 (ja) 押出し中空形材及びその形材によって形成された鉄道車両構体
JP4626987B2 (ja) 接合用部材
JP2010221235A (ja) 作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の溶接方法
JP2013066923A (ja) 第1の長尺部材と第2の長尺部材の接合部材及び長尺部材間の接合方法
KR100610188B1 (ko) 차량의 휠하우스 상측 접합부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0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