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9789B1 -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이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및 톱 시트의 선택,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이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및 톱 시트의 선택,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789B1
KR101069789B1 KR1020057000942A KR20057000942A KR101069789B1 KR 101069789 B1 KR101069789 B1 KR 101069789B1 KR 1020057000942 A KR1020057000942 A KR 1020057000942A KR 20057000942 A KR20057000942 A KR 20057000942A KR 101069789 B1 KR101069789 B1 KR 10106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sheet
max value
contact
ski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438A (ko
Inventor
구라타유리
사토쥰코
구라타노부히로
야마다요조
히사나카다카유키
이시마루소노코
니시나카히사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한 느낌이 개선된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제공하는 것, 및 건조한 느낌이 개선된 톱 시트를 평가 및/또는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톱 시트에 있어서, 최대 열 전달량(q-max값)으로 측정한 웨트일 때의 접촉 냉온감이,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에서 1.1 kw/㎡ 이하이며, 또한,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q-max값보다 크고, 차가 0.5 kw/㎡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웨트일 때의 q-max값을 지표로 하여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선택 및/또는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이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 및 톱 시트의 선택, 평가 방법{TOP SHEET OF HYGROSCOPIC ARTICLE, HYGROSCOPIC ARTICLE USING THE TOP SHEET, AND SELECTION AND EVALUATION METHOD FOR TOP SHEET}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이 톱 시트를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 및 이들의 선택,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톱 시트에서, 건조한 느낌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은 통상, 고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와, 이 코어를 사이에 두고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액체 투과성 톱 시트와, 반대측의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로 이루어진다.
그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서는, 우선 흡수성 코어의 흡수량, 흡수 속도, 역류량이 적을 것 등, 흡수성 코어의 흡수 성능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착용자의 장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톱 시트의 성능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흡수성 코어의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종래 다수 이루어져 왔지만, 톱 시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로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등의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투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이들 부직포 표면을 계면활성제나 발수재로 처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4-1538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1-15192호 공보 참조).
또한, 최근,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에 있어서, 톱 시트의 투수성만이 아니라, 그 구배 흐름 시간을 평가함으로써 흡수 속도를 빨리, 또한 역류량을 적게 하여 톱 시트의 건조한 느낌을 얻고자 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0-333991호 공보).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톱 시트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의 구배 흐름 시간을 0∼2.5초, 다른 쪽 면의 구배 흐름 시간을 2.5∼10초로 함으로써, 흡수 속도를 빨리, 또 역류량을 적게 하여 톱 시트의 건조한 느낌을 양호하게 하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구배 흐름 시간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친수화제의 도공을 밸런스 좋게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을 장착할 때 느끼는 건조한 느낌은 체액이 배설되어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투과할 때까지의 시간과, 체액이 톱 시트를 투과한 후에 피부와 흡수성 물품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량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0-333991호 공보 등의 종래 기술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투과할 때까지의 시간에 상당하는 투수성이나 흡수 속도의 개량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투과후의 수분량은 개선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건조한 느낌이 개선된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은 건조한 느낌이 개선된 톱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흡수성 물품을 평가,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인간의 피부가 물체에 접촉할 때에 느끼는 접촉 냉온감을 지표로 하면 톱 시트의 건조한 느낌을 평가할 수 있지는 않을까라고 착상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접촉 냉온감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로서, 열 이동 특성에 관한 최대 열 전달량(q-max값)을 도입하여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톱 시트를 선택 및/또는 평가했다.
즉,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톱 시트에서, 접촉 냉온감으로서의 웨트(wet)일 때의 최대 열 전달량(q-max값)을 측정했는데,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에서 1.1 kw/㎡ 이하이고, 또한,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보다 0.5 kw/㎡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웨트일 때의 톱 시트의 q-max값에 대해,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을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면보다 작게 하고, 또한 양자 사이의 q-max값에 차를 둠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끈끈한 느낌을 없애고, 또한 체액의 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톱 시트의 건조한 느낌을 개선할 수 있었다. 여기서 말하는 q-max값의 차는 톱 시트의 두께 방향에서의 값이 단계적으로 다른 것, 연속적으로 있는 구배를 갖고 있는 것, 또는 표면과 이면에서 다른 것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톱 시트는 상기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냉온감으로서 측정한 웨트일 때의 최대 열 전달량(q-max값)을 지표로 하여,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선택 및/또는 평가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웨트일 때의 q-max값이,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쪽의 면에서 1.1 kw/㎡ 이하이며, 또한,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보다 0.5 kw/㎡ 이상 큰 것을 기준으로 하여,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선택 및/또는 평가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웨트일 때의 최대 열 전달량(q-max값)을 지표로 함으로써, 톱 시트의 건조한 느낌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 톱 시트의 생산 현장에서도, 착용자의 장착감에 합치된 톱 시트를 선택 및/또는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q-max값 측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순동판
2 : T-BOX
3 : Water box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흡수성 물품에는 종이기저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모유 패드를 들 수 있는데, 그외, 본 발명은 실금용 쇼츠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의 건조한 느낌을 평가하기 위해서, q-max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저귀의 감촉 평가의 하나로서, 열 이동 특성(최대 열 전달량) q-max값을 사용하는 것이 제29회 섬유공학연구토론회 발표 논문요지집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A NONWOVEN FABRIC COMPOSITES FOR WATER-ABSORBING HYGIENE PRODUCTS」에 기재되어 있다. 기저귀 자체가 부드러움이나 미끄럼성과 같은 감촉의 값이나 수분·열의 이동 특성은 인간이 느끼는 쾌적성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고들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q-max값과 흡수성 물품의 수분률, 수분 함유율과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하고 있다. 즉, 1세 아이의 평균 체중에 상당하는 4.5 kPa의 하중을 부하한 기저귀에 수분을 적하하여 그 q-max값 등의 열 이동 특성과 액체의 역류량 등의 흡수 성능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 발표는 기저귀의 흡수성 코어의 특성에 관한 것으로, 톱 시트의 특성에 관한 것도 아니며, 또한, 건조한 느낌에 관한 것도 아니다.
q-max값은 열 이동을 시뮬레이트하는 측정치이지만, 흡수성 물품과 같은 물품이 인간의 피부에 접촉할 때에 느끼는 접촉 냉온감에 관계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q-max값(kw/㎡)는 정밀 신속 열물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최대 열 전달량이다. 정밀 신속 열물성 측정 장치에는, 예컨대 카토테크사 제조 THERMO LABO II(KES-F7)가 있다. q값이란, 단열재 상에 장착된 순동판에 열을 저장하고, 이것이 시료 표면에 접촉한 직후, 저장된 열량이 저온측인 시료 물체로 이동하는 열류를 측정한 값이다. 열류 신호는 접촉후, 약 0.2 초에서 피크에 달하기 때문에, 이 피크치를 q-max값라 정의한다. q-max값은 인간의 피부가 시료 물체에 접촉할 때에 느끼는 냉온감과 관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웨트일 때의 톱 시트의 q-max값을 측정한다. 측정은 실온 20℃, 습도 65% RH로 설정된 항온항습실 내에서 실시한다.
도 1에는 q-max값의 측정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KES-F7의 온도 제어 계통은 단열재에 장착된 순동판(1) (면적 9 ㎠, 질량 9.79 g), 시료에 온도차를 부여하는 열원인 T-BOX(2), 시료를 상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온대인 Water box(3)로 이루어진다. 순동판(1)은 저열판(貯熱板)이며 정밀 온도 센서를 내장하고 있다. Water box(3)는 내부에 정온(定溫)의 물을 흘림으로써 열 용량을 무한대로 하고 있다.
q-max값을 측정하는 시료(톱 시트)는 미리 항온항습실 (실온 20℃, 습도 65% RH)에 일주일 이상 방치해 둔다. 면적 25 ㎠의 순동판(1)의 온도는 30℃, Water box(3)의 온도는 20℃로 설정한다. 시료인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6.5 cm×6.5 cm을, 10 cm×10 cm의 여과지 (JIS P3801 여과지의 제2종에 상당)를 10장 겹친 유사 흡수체 위에 중첩해 둔다. 이 상태에서 Water box(3) 위에 두고, 20℃의 생리식염수 (0.9% NaCl) 0.085 g/㎠를 톱 시트 위에서부터 남김없이 적하한다. 적하한 후 1분간 그대로 방치한다. 1분간 방치하면, 생리식염수는 통상 전부 투과된다. 그 후 30℃로 설정된 순동판(1)을 Water box(3)의 톱 시트 상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최대 열 전달량 q-max값 (kw/㎡)를 읽어낸다. q-max값은 저열판인 순동판(1)에서 시료로의 열 전달량 q을 동판 온도 T로 미분하여 시간의 함수로서 나타낸다. 최대 열 전달량 (q-max값)은 값이 커질수록 닿았을 때의 차가운 느낌이 크다. 문헌 [纖維機械學會誌 Vol. 37 No. 8(1984) pp. 130-141 참조].
본 발명에서는, 웨트일 때의 q-max값을 지표로 하는데, 이 「웨트일 때」의 값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톱 시트를 지닌 모의 흡수체에 생리식염수를 적하하여 생리식염수를 투과시킨 뒤의 측정치를 말하는 것이다.
한편, 이 q-max값을 측정할 때, 톱 시트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을 위로 하여 Water box 위에 놓고 측정을 하면, 톱 시트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q-max값을 측정할 수 있고, 반대로 톱 시트의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면을 위로 하여 Water box 위에 놓고 측정을 하면, 톱 시트의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q-max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톱 시트의 q-max값은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에서 1.1 kw/㎡ 이하이며, 또한, 흡수체 접촉하는 쪽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q-max값보다 크고, 차가 0.5 kw/㎡ 이상이다.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q-max값이 1.1 kw/㎡를 넘으면 닿았을 때의 끈끈한 느낌이 생긴다.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과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과의 q-max값에는 0.5 kw/㎡ 이상의 차를 가져옴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면에서부터 흡수체측의 면으로의 액체의 이행을 원활하게 한다.
q-max값은 상기한 바와 같으므로, 톱 시트 및/혹은 흡수성 코어에 잔존하는 수분량에 관계되는 값이며, 잔존하는 수분량이 적으면 q-max값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피부 측의 q-max값이 작고, 흡수체 측의 q-max값이 크게 함으로써, 피부 측에 잔존하는 수분량을 적게 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본 발명에서의 톱 시트로서 사용하는 부직포는 1∼5 d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펄프, 코튼 등의 천연 섬유 등으로 구성된다.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써멀본드, 스펀본드, 에어레이드, 케미컬본드, 스펀레이스 등의 건식법과 습식법이 있지만,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에는 일반적으로 건식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강도와 감촉의 밸런스가 좋은 써멀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톱 시트는 부직포에 한하지 않고, 개공 필름이라도 좋다. 개공 필름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압출한 후, 열침, 엠보스, 열풍 등으로 개공한 액체 투과성의 개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개공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공 필름은 동종 혹은 이종의 것을 조합시켜 다층으로 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는 내수성 및 통기성의 요구도 만족해야 한다. 내수성은 JIS L1092 「섬유 제품의 방수성 시험 방법」 내수도 시험 A법(저수압법)에 의한 내수성이 적어도 0∼300 ㎜H2O 필요하다. 통기성(기상수의 유통성)은 JIS L1096 「일반 직물 시험 방법」 통기성 A법 [프라질 타입(Frazil-type)법]에 의한 통기도가 적어도 5∼700 ㎤/㎠/초 필요하다.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톱 시트라면, 섬유의 교점에는 수분이 남기 쉽기 때문에, 섬유 밀도가 높으면 잔존 수분이 많아져, q-max값이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톱 시트는 단위면적당 섬유 무게, 즉 섬유 밀도에 구배를 붙임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종래에도, 밀도 구배를 두고 있는 톱 시트는 있었지만,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밀도 쪽이 높거나, 혹은 밀도 구배가 본 발명보다 적고,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과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의 차가 0.5 kw/㎡ 이상으로 되는 밀도 구배를 갖는 톱 시트는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또한, 톱 시트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과 흡수체 측의 면의 섬도에 구배를 붙임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면의 q-max값을 내려, 반대측의 면과의 차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은 본 발명의 톱 시트와, 액체 불투 과성의 백 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된 고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한다. 백 시트는 액체 불투과성의 폴리에틸렌 시트이며, 흡수성 코어는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면형 펄프, 레이온 등의 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혹은 흡수성 시트가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에어스루 접착 방식에 의해 써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여 톱 시트로 했다. 평균 섬도가 2.2 d, 평균 섬유 길이가 4.4 ㎜, 심(芯)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0/초가 폴리에틸렌 50으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섬유를 피부면 측에 사용하고, 평균 섬도가 1.9 d, 평균 섬유 길이가 4.4 ㎜, 심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0/초가 폴리에틸렌 50으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섬유를 흡수체 측에 사용했다. 피부면 측이 단위 중량 11 g/㎡, 흡수체 측이 단위 중량 11 g/㎡가 되도록 양자를 적층했다. 에어스루 융착 온도는 140℃였다. JIS L 1906에 준하여 측정한 두께는 0.55 ㎜였다. 한편, 두께의 측정은 JIS L 1906을 하중 0.3 Pa (3 gf/㎠), 측정자 면적 15 ㎠로 변경하여 실시했다.
마찬가지로 표 1에 나타내는 특성의 부직포를 제조하여, 비교예 1∼5로 했다. 한편, 비교예 5는 섬도 2.0 d의 장섬유를 포인트본드에 의해서 접착하여 얻은 부직포이다.
섬도(d)×섬유길이(㎜) 섬유 배합과 용적 비율
피부면측층 흡수체측층 피부면측층 흡수체측층
실시예 1 2.2×44 1.9×44 심 PET50/초 PE50 심 PET50/초 PE50


비교예
1 3.0×55 2.0×51 심 PET50/초 PE50 심 PET50/초 PE50
2 2.0×44 2.0×44 심 PET50/초 PE50 심 PET50/초 PE50
3 2.0×55 2.5×55 심 PET50/초 PE50 심 PET50/초 PE50
4 2.4×44 1.9×44 심 PET50/초 PE50 심 PET50/초 PE50
5 2.0 - PP100 -
단위 중량(g/㎡) 두께
(㎜)
제법
피부면측층 흡수체측층 융착 온도(℃)
실시예 1 11 14 0.55 써멀 (스루에어) 140


비교예
1 11 14 0.46 써멀 (스루에어) 140
2 11 14 0.66 써멀 (스루에어) 140
3 11 6.75 0.55 써멀 (스루에어) 140
4 7 14 0.43 써멀 (스루에어) 140
5 23 - 0.26 써멀 (포인트본드) 150

이어서, 이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톱 시트의 관능 평가를 했다. 관능 평가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실시했다. 6.5 cm×6.5 cm의 톱 시트를 피부에 접촉하는 쪽을 위로 하여, 10 cm×10 cm의 여과지(JIS P3801 여과지의 제2종에 상당)를 10장 겹친 유사 흡수체 위에 겹쳐 놓는다. 그 상태에서 20℃의 생리식염수(0.9% NaCl) 0.085 g/㎠를 톱 시트 위에서 남김없이 적하한다. 적하 1분후의 상기 톱 시트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을 손에 대어 건조한 느낌과 차가운 느낌을 하기의 7 단계의 수치로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냈다. 표 2 중의 수치는 5명의 여성이 손에 대어 얻은 평가의 평균치이다.
건조한 느낌
7 : 매우 건조해져 있다.
6 : 건조해 있다.
5 : 약간 건조해 있다.
4 : 어딘지 모르게 건조해 있다.
3 : 약간 끈끈하다.
2 : 끈끈하다.
1 : 매우 끈끈하다.
차가운 느낌
7 : 매우 따뜻하다.
6 : 따뜻하다.
5 : 약간 따뜻하다.
4 : 어딘지 모르게 따뜻하다.
3 : 약간 차갑다.
2 : 차갑다.
1 : 매우 차갑다.
접촉 냉온감 (q-max값) 건조한 느낌 차가운 느낌
피부면측층 흡수체측층
실시예 1 102 186 6.4 4.2
비교예 1 104 146 5.8 3.8
2 137 104 3.0 2.6
3 155 112 3.2 3.0
4 133 184 3.0 3.0
5 180 187 2.0 2.0

이 결과로부터, 웨트일 때의 q-max값이, 피부에 접촉하는 면에서 1.1 이하, 피부에 접촉하는 면과 흡수체에 접촉하는 면의 차가 0.5 이상인 실시예 1에서는, 건조한 느낌 및 차가운 느낌이 우수한 데 대하여, 그것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비교예 1∼5에서는, 건조한 느낌도 차가운 느낌도 뒤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을 실제로 착용했을 때의 관능 평가를 했다.
흡수성 물품으로서,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3의 톱 시트에,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 흡수성 코어를 조합시켜 팬츠형 기저귀를 제작했다. 건강한 성인 남녀 7명에게, 이들 팬츠형 기저귀를 착용시켜 26℃ 60% RH의 항온항습실에서 안정 착석시키고, 37℃의 생리식염수 (0.9% NaCl) 80 ㎖를 실리콘 튜브로 주입하여 10 분 후에 하기의 5단계 지표로 관능 평가를 했다.
표 3에는 7명의 관능 평가의 평균치를 나타냈다. 여기서, 건조한 느낌은 다음의 5단계로 평가했다.
건조한 느낌
5 : 매우 건조해 있다.
4 : 약간 건조해 있다.
3: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약간 끈끈하다.
1 : 매우 끈끈하다.
건조한 느낌
실시예 1 2.48
비교예 3 2.00

표 3의 결과와 표 1 및 표 2의 결과를 대비하여 볼 때, q-max값이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톱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실시예 1), 흡수성 물품에서도 건조한 느낌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웨트일 때의 q-max값이,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에서 1.1 kw/㎡ 이하이며, 또한,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보다 0.5 kw/㎡ 이상 클 때에 톱 시트의 건조한 느낌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역으로 말하면, 웨트일 때의 q-max값을 지표로 하여, 더욱 상세히 말하면,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에서 1.1 kw/㎡ 이하이고, 또한, 흡수체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보다 0.5 kw/㎡ 이상 큰 것을 기준으로 하여,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톱 시트를 선택 및/또는 평가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톱 시트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과 흡수체에 접촉하는 면의 섬도에 차를 붙임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면의 q-max값을 내리고, 또한 반대측의 면의 q-max값와의 차를 크게 함으로써, 건조한 느낌이 양호하게 되는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층의 섬유 밀도에 구배를 붙임에 의해서도, 피부에 접하는 면의 q-max값을 내리고, 또한 반대측의 면의 q-max값와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섬유 밀도의 구배는 톱 시트를 구성하는 각 섬유층의 두께에 구배를 붙임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일정한 섬유 밀도를 갖는 섬유층을 제작하여, 섬유 층의 두께에 대소를 붙이면, 섬유층의 두께가 큰 부분은 섬유 밀도가 작은 부분이 된다. 톱 시트 중,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두께를 a로 하고, 흡수체 측의 두께를 b로 하여, a와 b의 사이에 a>b의 관계가 있을 때, 피부에 접촉하는 면의 q-max값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a>b의 차가 큰 쪽이 보다 큰 구배를 생기게 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흡수체 측의 면의 q-max값와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의 q-max값와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건조한 느낌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는 써멀본드의 에어스루에 의한 예를 들었지만, 포인트본드의 두께에 구배를 갖게 함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포인트본드의 두께에 구배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열권축성 섬유를 사용하여, 열엠보스로 열융착시킨 후, 재차 가열하여, 열권축시키는 방법이나, 엠보스의 도트 피치를 넓히는 방법 등이 있다.
산업상 사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건조한 느낌이 양호한 톱 시트를 선택 및/또는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생산하는 현장에서 응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수요에 맞는 톱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톱 시트에서,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과 흡수체에 접촉하는 측에 섬도 구배를 붙이고, 최대 열 전달량(q-max값)으로 측정한 웨트일 때의 접촉 냉온감이,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1.1 kw/㎡ 이하이고, 흡수체에 접촉하는 측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의 q-max값보다 크고, 차가 0.5 kw/㎡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톱 시트.
  2. 제1항에 기재한 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최대 열 전달량(q-max값)으로 측정한 웨트일 때의 접촉 냉온감이, 톱 시트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에서 1.1 kw/㎡ 이하이고, 흡수체에 접촉하는 측의 q-max값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의 q-max값보다 크며, 차가 0.5 kw/㎡ 이상인 것을 건조한 느낌의 기준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를 선택, 평가, 또는 선택 및 평가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7000942A 2002-07-25 2003-07-24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이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및 톱 시트의 선택, 평가 방법 KR101069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6077 2002-07-25
JP2002216077A JP4486300B2 (ja) 2002-07-25 2002-07-25 吸収性物品のトップ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438A KR20050023438A (ko) 2005-03-09
KR101069789B1 true KR101069789B1 (ko) 2011-10-05

Family

ID=3118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942A KR101069789B1 (ko) 2002-07-25 2003-07-24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이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및 톱 시트의 선택,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88642A1 (ko)
EP (1) EP1525866A4 (ko)
JP (1) JP4486300B2 (ko)
KR (1) KR101069789B1 (ko)
CN (1) CN1671341A (ko)
TW (1) TW200405807A (ko)
WO (1) WO2004010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411A (ja) * 2008-01-31 2009-08-13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WO2011104275A1 (en) 2010-02-23 2011-09-01 Da Volterra Formulations for oral delivery of adsorbents in the gut
US9922686B2 (en) 2016-05-19 2018-03-2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intra-module databus inversion operations
JP6786883B2 (ja) * 2016-05-31 2020-11-18 東レ株式会社 透湿防水フィルム
US10146719B2 (en) 2017-03-24 2018-12-04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layered device with data bus
JP6920142B2 (ja) * 2017-09-06 2021-08-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CN109718012A (zh) * 2017-10-27 2019-05-07 捷恩智株式会社 吸收性物品
US10664432B2 (en) 2018-05-23 2020-05-26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layered device with data bus inversion
CN109142182A (zh) * 2018-07-27 2019-01-04 广州市汉氏卫生用品有限公司 吸收性卫生制品的吸收速度、扩散长度、渗漏量和反渗量的测试方法
US10964702B2 (en) 2018-10-17 2021-03-30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first-in-first-out circuit
US11052906B2 (en) * 2019-04-26 2021-07-06 Caterpillar Inc. Dynamic roll over control system for machin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460A (ja) * 2000-09-01 2002-06-0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の評価及び選択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3447A (en) * 1972-09-06 1976-10-20 Kimberly Clark Co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US3871378A (en) * 1973-03-22 1975-03-18 Procter & Gamble Absorbent bandage
US3949130A (en) * 1974-01-04 1976-04-06 Tuff Spun Products, Inc. Spun bonded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S5756562A (en) * 1980-09-20 1982-04-05 Uni Charm Corp Nonwoven fabric and production thereof
JPS60215835A (ja) * 1984-04-07 1985-10-29 株式会社 サカシタ コアヤ−ンの布地
US4761322A (en) * 1985-10-07 1988-08-02 Kimberly-Clark Corporation Laminated fibrous web comprising differentially bonded lay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5797894A (en) * 1988-09-12 1998-08-25 Johnson & Johnson, Inc. Unitized sanitary napkin
US5382245A (en) * 1991-07-23 1995-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especially catamenials, having improved fluid directionality
CA2076416A1 (en) * 1991-12-19 1993-06-20 Randy Emil Meirowitz Absorbent structure for masking and distributing a liquid
US5342334A (en) * 1993-04-02 1994-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extruded three-dimensional fluid-pervious plastic web
US5500270A (en) * 1994-03-14 1996-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pillary laminate material
JP3091361B2 (ja) * 1994-06-07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US5505719A (en) * 1994-06-30 1996-04-09 Mcneil-Ppc, Inc. Multilayered absorbent structures
USH1698H (en) * 1994-10-21 1997-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having thermally bonded resilient web for improved fit and comfort
US5658639A (en) * 1995-09-29 1997-08-19 The Proctor & Gamble Company Method for selectively aperturing a nonwoven web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US5885265A (en) * 1995-11-22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JP3258909B2 (ja) * 1996-06-28 2002-02-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JP3008181B2 (ja) * 1997-01-31 2000-02-14 小林製薬株式会社 吸水材用表面材及びそれを用いた体液吸収材
US6599612B1 (en) * 1997-12-15 2003-07-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of forming a perforated web
JP3587677B2 (ja) * 1998-03-26 2004-11-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USH1969H1 (en) * 1999-05-14 2001-06-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s with microporous films having zoned breathability
US20020090875A1 (en) * 1999-06-18 2002-07-11 Vincent P. Lasko Unitized cover and absorbent transfer layer
US6600086B1 (en) * 2000-05-31 2003-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diaper outer cover with foam dampness inhibitor
US20030105442A1 (en) * 2001-11-30 2003-06-05 Johnston Lee W. Convection of absorbent cores providing enhanced thermal transmitt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460A (ja) * 2000-09-01 2002-06-0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の評価及び選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57254A (ja) 2004-02-26
WO2004010917A1 (ja) 2004-02-05
US20050288642A1 (en) 2005-12-29
JP4486300B2 (ja) 2010-06-23
TW200405807A (en) 2004-04-16
CN1671341A (zh) 2005-09-21
KR20050023438A (ko) 2005-03-09
EP1525866A1 (en) 2005-04-27
EP1525866A4 (en)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8196B1 (en) Porous composite shee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460477B1 (ko) 흡수성제품용의,투과도가조화된라이너/흡수성구조체복합체
US5728083A (en) Multilayered absorbent structures
JP3631520B2 (ja) 日常吸収製品等の改良されたサージ処理繊維不織ウェブ
JP3265308B2 (ja) 使い拾ておむつ
DK2673010T3 (en) Liquid control layer for an absorbent body care article
KR20020097289A (ko) 흡수 용품용 상부시트 및 전송층
KR940008962B1 (ko) 표면 재료
US7118639B2 (en) Structured material having apertur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069789B1 (ko)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이 톱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및 톱 시트의 선택, 평가 방법
MXPA06013103A (es) Articulos y estructuras compuestas absorbentes y permeables que comprenden una capa de barrera a liquidos permeable al vapor con capacidades de espesamiento.
WO2001045609A1 (en) Disposable garment comprising meltblown nonwoven backsheet
KR100639727B1 (ko) 천공된 서지층을 가지는 흡수 제품
JPS6373958A (ja) 複合材料カバ−を備えた生理用ナプキン
HUT71667A (en) Multilayer material made through non-woven technology and absorbent hygienic article involving such material
JP2006524112A (ja) 高められた冷却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20040230184A1 (en) Multiple layer absorbent system
RU2757191C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неткан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компонента одноразовых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JPH0436703B2 (ko)
JP2017524473A (ja) 被吸収液体用吸収兼分散層及び被吸収液体用吸収兼分散層から製造される製品
WO1999060975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bm containment
KR100714344B1 (ko) 개인 위생용품용 다층 라이너
WO1996010381A1 (en) Polyvinyl alcohol-treated liner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JP2020065853A (ja) 褥瘡予防用の使い捨て補助パッド
TWM633739U (zh) 吸收性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