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8680B1 -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 Google Patents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680B1
KR101068680B1 KR1020100010084A KR20100010084A KR101068680B1 KR 101068680 B1 KR101068680 B1 KR 101068680B1 KR 1020100010084 A KR1020100010084 A KR 1020100010084A KR 20100010084 A KR20100010084 A KR 20100010084A KR 101068680 B1 KR101068680 B1 KR 10106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ay
electron beam
high voltage
emission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357A (ko
Inventor
조성오
허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1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680B1/ko
Priority to US12/898,274 priority patent/US8295440B2/en
Publication of KR2011009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6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6Cathodes
    • H01J35/065Field emission, photo emission or secondary emission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4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focusing, or directing the cathode ray
    • H01J35/147Spot siz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45Electrodes for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cathode ray, e.g. control gr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6Cathodes
    • H01J35/064Details of the emitter, e.g.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6Cathodes
    • H01J35/066Details of electron optical components, e.g. cathode cu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8Anodes; Anti cathodes
    • H01J35/112Non-rotating anodes
    • H01J35/116Transmissive an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01J35/18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8Targets (anodes) and X-ray converters
    • H01J2235/081Targe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2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gases within the X-ray tube
    • H01J2235/205Gettering

Landscapes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엑스선관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출력을 향상하여 근접 암 치료 방사선원으로의 신체 삽입기술 접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편평한 일 단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이 형성되어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팁 형 음극 전극과, 중공 원통형상으로 상기 음극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되 일 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의 인출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과,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고전압 절연체와, 상기 고전압 절연체의 일 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음극 전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가속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고전압 절연체와 양극 전극 사이에 설치되되 가속 전기장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전자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기장 조정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전극은 일 측에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타 측에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SUPER MINIATURE X-RAY TUBE USING NANO MATERIAL FIELD EMITTER}
본 발명은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크기를 소형화하고 출력을 향상하여 근접 암 치료 방사선원으로의 신체 삽입기술 접목성을 향상시킨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암 치료기술은 외과적 수술(물리적 선택성)과 화학요법(생물학적 선택성)의 두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외과적 수술의 경우 목적부위의 암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시술 도중에 생긴 커다란 물리적 상처와 기능성 장기의 손실로 인한 신체의 침해가 불가결하며, 기계적으로 제거되지 못한 잔여 암에 의한 재발 가능성이 높다.
화학요법은 암세포에만 치사적으로 작용하는 물질을 투여하여 암을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대체적으로 암의 성장과 전이를 일시간 지연시킬 뿐 환자 신체에 부작용이 나타나고 완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암 치료기술은 방사선 에너지를 체내의 목적부위에 집중시켜 정상세포보다 세포분열 주기가 빠른 암세포치사를 유도하는 것이다.
기존 임상결과에 의하면 외과수술로 접근할 수 없는 신체부위에 적용되어 그 치료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동시에 인체 침해가 최소화되고 장기의 손실이 없어 신체 기능을 보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사선 암치료방법으로는 환자 외부에 설치된 비교적 대형의 가속기나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발생된 방사선을 인체 내부로 조사시키는 외부치료법(external radiotherapy;teletherapy)과 암 주위에 방사선 발생원을 설치하여 치료하는 근접치료법(brachytherapy)으로 구분된다.
외부치료법은 암 주위의 정상조직에도 방사선이 조사되므로, 정상세포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가 없으나, 근접치료의 경우에는 정상세포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근접치료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선량률을 조사할 수 있어 치료기간이 짧다는 이점도 있다.
일반적으로, 근접치료법을 위한 방사선원으로 대개 방사선 동위원소가 사용된다.
방사선 동위원소는 소형화에 유리하지만, 1)방사선이 항상 발생하므로 시술자도 방사선에 피폭될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며, 2)짧은 반감기로 인한 방사선원의 정기적인 공급, 동위원소의 보관 및 관리, 사용 후 방사선 폐기물의 처리 등 까다로운 작업이 필요하며, 3)발생하는 방사선의 에너지와 선량 조절이 어려워 암 주위의 선량분포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체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소형 엑스선관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엑스선관은 전기를 인가할 경우에만 엑스선이 발생하므로 환자나 시술자가 불필요한 방사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거의 없고, 발생하는 방사선의 에너지와 선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량분포를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으며, 전기만으로 방사선을 발생함으로 방사선 물질에 대한 생산, 유지, 관리, 폐기물 관리 등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현재 개발된 엑스선관의 경우, 텅스텐 등의 금속을 필라멘트 형태로 만들어 고온으로 가열할 때 발생하는 열전자를 빔형태로 만드는 열전자방출 방식을 전자빔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열전자빔원을 소형 엑스선관에 사용할 경우 발열에 의해 정상세포의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전자빔 전류밀도의 한계로 선원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최근 나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나노 전계방출원(nano field emitter)을 이용한 엑스선관에 대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 전계방출원은 전계인가 방식으로 전자빔을 인출하므로 열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구동 전원장치가 간단하고, 발생하는 전자빔의 전류밀도가 열전자방식에 비해 100배 이상 커서 고출력의 엑스선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음극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엑스선이 발생하는 시간구조 (time structure)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현재 개발된 근접 방사선치료 장치는 거의 모두 열전자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신기술을 이용할 경우 기존 장치보다 더 소형이면서 더 높은 선량을 가진 엑스선을 발생할 수 있어 기존 장치보다 월등한 근접 방사선 치료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팁 형 나노물질 음극 전극을 사용하여 종래의 필라멘트 음극 전극의 가열로 인한 전력 과소비 및 외부 냉각계의 과대화를 해소하고, 엑스선관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하고 출력을 향상하여 근접 암 치료 방사선원으로의 신체 삽입기술 접목성을 향상시키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편평한 일 단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이 형성되어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팁 형 음극 전극과, 중공 원통형상으로 상기 음극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되 일 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의 인출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과,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고전압 절연체와, 상기 고전압 절연체의 일 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음극 전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가속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고전압 절연체와 양극 전극 사이에 설치되되 가속 전기장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전자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기장 조정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전극은 일 측에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타 측에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 전극의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엑스선관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는 게터 타겟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발생부는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로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타겟 및 상기 엑스선 타겟의 외측면을 폐구시키며 상기 엑스선 타겟이 적층되되 상기 엑스선(X-RAY)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엑스선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타겟은 몰리브덴(Mo),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금(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투과창은 베릴륨(Be), 베릴륨동(BeCu), 알루미늄(Al), 탄소(C),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은 상기 전자빔을 집속시키거나 발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은 내주면에 상기 양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후방 돌출부 또는 상기 음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전방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돌출부 또는 후방 돌출부는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0도 내지 40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5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음극 전극이 고정되는 제 1단차부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전압 절연체의 일 측 개구부가 고정되는 제 2단차부가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절연체는 알루미나(Al2O3), 사파이어, 테프론, 파이렉스, 초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편평한 일 단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이 형성되어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팁 형 음극 전극과,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음극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제 1고전압 절연체와, 중공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되 일 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의 인출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과,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제 2고전압 절연체와,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의 일 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음극 전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가속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와 양극 전극 사이에 설치되되 가속 전기장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전자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기장 조정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전극은 일 측에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타 측에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양극 전극의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엑스선관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는 게터 타겟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발생부는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로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타겟 및 상기 엑스선 타겟의 외측면을 폐구시키며 상기 엑스선 타겟이 적층되되 상기 엑스선(X-RAY)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엑스선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엑스선 타겟은 몰리브덴(Mo),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금(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엑스선 투과창은 베릴륨(Be), 베릴륨동(BeCu), 알루미늄(Al), 탄소(C),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은 상기 전자빔을 집속시키거나 발산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은 내주면에 상기 양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후방 돌출부 또는 상기 음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전방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돌출부 또는 후방 돌출부는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0도 내지 40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5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가 고정되는 제 1단차부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의 일 측 개구부가 고정되는 제 2단차부가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 및 제 2고전압 절연체는 알루미나(Al2O3), 사파이어, 테프론, 파이렉스, 초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 의하면,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하여 종래 열전자 방출 구조가 지니고 있는 발생 전자빔의 선질 저하로 인한 엑스선 출력 한계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필라멘트 음극 기반의 엑스선관에 비해 전원 인가 구조가 단순하고 엑스선 발생에 있어서 열을 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엑스선관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 방사선 치료선원으로서 다양한 신체부위에 접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접 암치료 엑스선원 관련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방사선 의료 이외에도, 영상, 나노, 첨단 기계 산업에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팁 형 음극 전극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팁 형 음극 전극과 팁 형 음극 전극의 끝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확대 촬영한 사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엑스선 발생부를 이용한 엑스선관 내의 전기장 형성을 도시한 전산모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서 전기장 조정 전극을 이용한 전자빔의 유동 모식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서 엑스선 발생부와 전기장 조정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 형 음극 전극(100)과, 게이트 전극(200)과, 고전압 절연체(300)와, 양극 전극(400) 및 전기장 조정 전극(500)을 포함한다.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되 일 단에 편평한 면이 형성되며, 상기 편평한 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110)이 형성되어 전자빔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팁 형 음극 전극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은 나노물질 전계방출원 방울 코팅법을 이용하여 일 단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110)을 접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끝이 편평하게 다듬어진 금속 와이어의 편평한 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Nano Field Emitter)과 금속 나노입자 접착재료(Metal Nanoparticle Binder)가 용해된 혼합 용액(Solvent)의 소량 방울을 매달아 말린 후 가열함으로써 나노물질 전계방출원 음극 전극을 제작할 수 있다.
금속 나노입자 접착재료(Metal Nanoparticle Binder)가 용융되어 형성한 금속 접착층은 나노물질 전계방출원(Nano Field Emitter)을 강하게 고정하고,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낮은 진공환경에서도 장수명, 고출력 전자빔을 발생하는 안정된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팁 형 음극 전극과 팁 형 음극 전극의 끝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형태의 금속 팁과 상기 금속 팁의 끝에 조밀하게 설치된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팁 형 음극전극(100)은 지름이 0.1 내지 1mm의 금속 와이어 끝을 기계적 연마 또는 화학적으로 에칭하여 편평한 일 단면을 형성한 후, 상기 편평한 일 단면에 상기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설치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재는 텅스텐(W), 철(Fe), 니켈(Ni), 티타늄(Ti), 은(Ag), 구리(Cu)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은 유전영동법(Dielectrophoresis), 레이저증착법(Laser vaporization), 화학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프린팅기법 또는 도 5에 도시된 방울 코팅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00)은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빔 인출 전압이 인가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음극 전극(1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일 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퍼부(210)는 상기 게이트 전극(200)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5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00)은 팁 형 음극 전극(100)과 양극 전극(400)으로 이루어진 이극관형 엑스선관에서 나노물질 전계방출원(110)의 낮은 전자 인출 전기장 때문에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과 양극 전극(400)의 이격거리가 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 상에 설치되어 인가 전기장을 완화시킨다.
상기 게이트 전극(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진 제 1단차부(220)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진 제 2단차부(230)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단차부(220)에는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 2단차부(230)에는 상기 고전압 절연체(300)의 일 측 개구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절연체(30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게이트 전극(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다.
상기 고전압 절연체(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200)의 제 2단차부(230)에 일 측 개구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음극 전극(100)과 양극 전극(400)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절연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전압 절연체(300)는 알루미나(Al2O3), 사파이어, 테프론, 파이렉스, 초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 전극(400)은 상기 고전압 절연체(300)의 일 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음극 전극(100)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가속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양극 전극(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이 설치되는 개구부(410)가 구비되고, 타 측에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엑스선 발생부(420)는 엑스선 타겟(421)과 상기 엑스선 타겟(421)의 외측면을 폐구시키는 엑스선 투과창(422)을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 타겟(421)은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로 엑스선(X-RAY)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엑스선 타겟(421)은 몰리브덴(Mo),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금(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엑스선 타겟(421)은 투과형 엑스선 타겟과 반사형 엑스선 타겟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투과형 엑스선 타겟은 상기 엑스선 투과창(422) 위에 텅스텐(W) 박막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반사형 엑스선 타겟은 상기 엑스선 투과창(422) 위에 텅스텐(W) 덩어리가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투과창(422)은 상기 엑스선 타겟(421)의 외측면을 폐구시키고, 상기 엑스선 타겟(421)이 적층되며, 상기 엑스선(X-RAY)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엑스선 투과창(422)은 상기 엑스선 타겟(421)에서 발생된 엑스선(X-RAY)을 손실없이 통과시키기 위해 견고한 고체물질이면서 동시에 낮은 원자질량수를 가진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엑스선 투과창(422)은 베릴륨(Be), 베릴륨동(BeCu), 알루미늄(Al), 탄소(C),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전압 절연체(300)와 양극 전극(400) 사이에 설치되되 가속 전기장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전자빔의 크기를 조절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엑스선 발생부를 이용한 엑스선관 내의 전기장 형성을 도시한 전산모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상기 양극 전극(400) 방향으로 경사진 후방 돌출부(520)나 상기 음극 전극(100) 방향으로 경사진 전방 돌출부(510)를 구비하여 전자빔을 집속시키거나 발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이 편평한 전기장 조정 전극(500)에 의해 양극 전극(400)의 내면 상에 발산형 전기장이 형성되며, 평행 전자빔이 상기 발산형 전기장을 지나갈 경우, 중심 바깥 방향으로 가속되어 엑스선 타겟(421) 상에 넓은 면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극 전극(400) 방향으로 경사진 후방 돌출부(520)가 내주면에 구비된 전기장 조정 전극(500)에 의해 양극 전극(400)의 내면 상에 도 7a의 발산형 전기장보다 약한 발산형 전기장이 형성되며, 평행 전자빔이 약한 발산형 전기장을 지나갈 경우, 중심 바깥 방향으로 도 7a의 평행 전자빔보다 덜 가속되어 엑스선 타겟(421) 상에 충돌할 수 있다.
더불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 전극(100) 방향으로 경사진 전방 돌출부(510)가 내주면에 구비된 전기장 조정 전극(500)에 의해 양극 전극(400)의 내면 상에 거의 평행한 전기장이 형성되며, 평행 전자빔이 평형 전기장을 지나갈 경우 크기 변화 없이 엑스선 타겟(421) 상에 충돌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서 엑스선 발생부와 전기장 조정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극 전극(400)의 개구부(410)에 연결되며, 전자빔의 집속 크기에 따라 상기 전방 돌출부(510) 또는 후방 돌출부(520)가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0도 내지 40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도 1 및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터 타겟(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터 타겟(600)은 상기 양극 전극(400)의 개구부(410) 내측이나 전기장 조정 전극(500)의 내면에 설치되어 엑스선관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게터 타겟(600)은 기체화 혹은 비기체화되는 합금물질로, 진공내의 잔유 대기 기체를 흡수하는 바륨(Ba),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지르코늄(Zr), 바나듐(V), 코발트(Co), 티타튬(Ti), 팔라디움(Pd)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 형 음극 전극(100)과, 제 1고전압 절연체(310)와, 게이트 전극(200)과, 제 2고전압 절연체(320)와, 양극 전극(400) 및 전기장 조정 전극(500)을 포함한다.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팁 형 음극 전극과 그 구성 및 내용이 동일하다.
즉,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되 일 단에 편평한 면이 형성되고, 나노물질 전계방출원 방울 코팅법을 이용하여 상기 편평한 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110)을 접합시킴으로써 전자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31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음극 전극(1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 전극(100)은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310)의 내주면에 금속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310)는 알루미나(Al2O3), 사파이어, 테프론, 파이렉스, 초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00)은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빔 인출 전압이 인가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3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며, 일 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퍼부(210)는 상기 게이트 전극(200)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5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진 제 1단차부(220)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진 제 2단차부(230)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단차부(220)에는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3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 2단차부(230)에는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320)의 일 측 개구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과 게이트 전극(200)은 전계방출을 위해 서로 다른 전위가 인가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31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320)에 의해 상기 양극 전극(400)과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32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 전극(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되 상기 게이트 전극(200)의 제 2단차부(230)에 일 측 개구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게이트 전극(200)과 양극 전극(400)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절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320)는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310)와 동일하게 알루미나(Al2O3), 사파이어, 테프론, 파이렉스, 초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320)는 일 측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110)이 코팅된 팁 형 음극 전극(100)과, 게이트 전극(200) 및 상기 팁 형 음극 전극(100)과 게이트 전극(200)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 전자빔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고전압 절연체(310)가 연결되고, 타 측에 상기 양극 전극(4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전체적으로 삼극관을 절연시키며 전자빔을 발생 및 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양극 전극(400) 및 전기장 조정 전극(50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양극 전극 및 전기장 조정 전극과 그 구성 및 내용이 동일하다.
즉, 상기 양극 전극(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320)의 일 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음극 전극(100)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가속 전압이 인가되고, 일 측에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이 설치되는 개구부(410)가 구비되며, 타 측에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320)와 양극 전극(400) 사이에 설치되어 가속 전기장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전자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자빔의 집속 크기에 따라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0도 내지 40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 돌출부(510) 또는 후방 돌출부(520)가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에서 전기장 조정 전극을 이용한 전자빔의 유동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50 kV로 대전된 나노물질 전계방출원(110)과 게이트 전극(200)에서 인출된 전자빔은 접지된 양극 전극(400)으로 가속되며, 이후, 전방 돌출부(510)가 구비된 전기장 조정 전극(500)에 의해 형성된 발산이 억제된 전기장을 통과하여 엑스선 타겟(421)으로 평행하게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500)에 구비된 전방 돌출부(510) 또는 후방 돌출부(520)의 경사진 각도에 따라 상기 양극 전극(400)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크기가 최대 30% 이상 변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방 돌출부(510) 또는 후방 돌출부(520)는 특정 전자빔의 크기에 따라 상기 양극 전극(400)의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40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은 도 3 및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터 타겟(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터 타겟(60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의 게터 타겟과 그 구성 및 내용이 동일하다.
즉, 상기 게터 타겟(600)은 상기 양극 전극(400)의 개구부(410) 내측이나 전기장 조정 전극(500)의 내면에 설치되어 엑스선관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기체화 혹은 비기체화되는 합금물질로, 진공내의 잔유 대기 기체를 흡수하는 바륨(Ba),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지르코늄(Zr), 바나듐(V), 코발트(Co), 티타튬(Ti), 팔라디움(Pd)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음극 전극 110:나노물질 전계방출원
200:게이트 전극 210:테이퍼부
220:제 1단차부 230:제 2단차부
300:고전압 절연체 310:제 1고전압 절연체
320:제 2고전압 절연체 400:양극 전극
410:개구부 420:엑스선 발생부
421:엑스선 타겟 422:엑스선 투과창
500:전기장 조정 전극 510:전방 돌출부
520:후방 돌출부 600:게터 타겟
700:전자빔 유동선

Claims (13)

  1. 편평한 일 단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이 형성되어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팁 형 음극 전극;
    중공 원통형상으로 상기 음극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되 일 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의 인출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고전압 절연체;
    상기 고전압 절연체의 일 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음극 전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가속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고전압 절연체와 양극 전극 사이에 설치되되 가속 전기장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전자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기장 조정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전극은 일 측에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타 측에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은 내주면에 상기 양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후방 돌출부 또는 상기 음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전방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자빔을 집속시키거나 발산시키고,
    상기 엑스선 발생부는,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로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투과형 엑스선 타겟 및 상기 엑스선 타겟의 외측면을 폐구시키며 상기 엑스선 타겟이 적층되되 상기 엑스선(X-RAY)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엑스선 투과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2. 편평한 일 단면에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이 형성되어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팁 형 음극 전극;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음극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제 1고전압 절연체;
    중공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되 일 단에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의 인출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제 2고전압 절연체;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의 일 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음극 전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가속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와 양극 전극 사이에 설치되되 가속 전기장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전자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기장 조정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전극은 일 측에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타 측에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은 내주면에 상기 양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후방 돌출부 또는 상기 음극 전극 방향으로 경사진 전방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자빔을 집속시키거나 발산시키고,
    상기 엑스선 발생부는, 가속된 전자빔의 충돌로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투과형 엑스선 타겟 및 상기 엑스선 타겟의 외측면을 폐구시키며 상기 엑스선 타겟이 적층되되 상기 엑스선(X-RAY)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엑스선 투과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의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엑스선관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는 게터 타겟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형 엑스선 타겟은 몰리브덴(Mo),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금(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투과창은 베릴륨(Be), 베릴륨동(BeCu), 알루미늄(Al), 탄소(C),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돌출부 또는 후방 돌출부는 상기 전기장 조정 전극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0도 내지 40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5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음극 전극이 고정되는 제 1단차부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전압 절연체의 일 측 개구부가 고정되는 제 2단차부가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전압 절연체는 알루미나(Al2O3), 사파이어, 테프론, 파이렉스, 초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가 고정되는 제 1단차부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고전압 절연체의 일 측 개구부가 고정되는 제 2단차부가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고전압 절연체 및 제 2고전압 절연체는 알루미나(Al2O3), 사파이어, 테프론, 파이렉스, 초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13. 삭제
KR1020100010084A 2010-02-03 2010-02-03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Active KR10106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84A KR101068680B1 (ko) 2010-02-03 2010-02-03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US12/898,274 US8295440B2 (en) 2010-02-03 2010-10-05 Super miniature X-ray tube using NANO material field e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84A KR101068680B1 (ko) 2010-02-03 2010-02-03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57A KR20110090357A (ko) 2011-08-10
KR101068680B1 true KR101068680B1 (ko) 2011-09-29

Family

ID=4434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084A Active KR101068680B1 (ko) 2010-02-03 2010-02-03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95440B2 (ko)
KR (1) KR101068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1808A (zh) * 2012-12-18 2014-06-18 西门子公司 X射线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783A (ko) * 2010-12-10 2012-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 방출 엑스선원 및 그 구동 방법
KR101823876B1 (ko) * 2011-07-22 2018-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페이서를 이용한 적층형 엑스선관 장치
KR101818681B1 (ko) * 2011-07-25 2018-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터 내장형 전계방출 엑스선관 장치
WO2013154259A1 (ko) * 2012-04-13 2013-10-17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전자빔 에미터를 이용한 진공밀봉형 소형 엑스선 튜브
KR101325210B1 (ko) * 2012-04-13 2013-11-04 (주)파티클라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전자빔 에미터를 이용한 진공밀봉형 소형 엑스선 튜브
JP6230389B2 (ja) * 2013-06-05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発生管及びそれを用いたx線発生装置とx線撮影システム
US9530608B2 (en) 2013-10-04 2016-12-27 X-Illumina, Inc. X-ray generation from a super-critical field
WO2015152640A1 (ko) * 2014-04-01 2015-10-08 주식회사바텍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장치
KR20150114366A (ko) 2014-04-01 2015-10-12 주식회사바텍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엑스선 소스 장치 및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US9786466B2 (en) 2014-11-21 2017-10-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icro X-ray tube
RU2581833C1 (ru) * 2014-12-12 2016-04-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ади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нов с автоэлектронным эмиттером и рентгеновская трубка с таким источником электронов
US11101096B2 (en) * 2014-12-31 2021-08-24 Rad Source Technologies, Inc. High dose output, through transmission and relective target X-ray system and methods of use
US9818569B2 (en) * 2014-12-31 2017-11-14 Rad Source Technologies, Inc High dose output, through transmission target X-ray system and methods of use
US10418221B2 (en) * 2016-01-07 2019-09-17 Moxtek, Inc. X-ray source with tube-shaped field-emitter
FR3060964A1 (fr) 2016-12-23 2018-06-29 Samir Hamimed Dispositif de radiologie dentaire
EP3631834A4 (en) 2017-05-25 2021-02-24 Micro-X Limited DEVICE FOR GENERATING RADIO FREQUENCY MODULATED X-RADIATION
RU174736U1 (ru) * 2017-07-03 2017-10-3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По Релейной Технике" (Ао "Сктб Рт") Герметичный составной биметаллический токоведущий вывод
KR101966794B1 (ko) * 2017-07-12 2019-08-27 (주)선재하이테크 전자 집속 개선용 엑스선관
KR102288924B1 (ko) * 2017-07-28 2021-08-11 (주) 브이에스아이 원통형 엑스선 튜브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365363A1 (en) * 2017-08-04 2020-11-19 Xl Co., Ltd. Portable x-ray tube
US10566170B2 (en) * 2017-09-08 2020-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X-ray imag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618087B2 (en) * 2020-02-12 2023-04-04 Microcvd Corporation Additive manufacturing printhead with annular and refractory metal receptor tube
US12283448B2 (en) * 2022-01-12 2025-04-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icro focus X-ray tube using nano electric field emit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849A (ko) * 2005-10-07 2007-04-11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전계방출원으로 이용한 분해ㆍ조립이가능한 엑스선관
JP2008507811A (ja) * 2004-07-23 2008-03-13 ステンゼル、セキュリティ、リミテッド 電子装置
KR100867172B1 (ko) * 2006-12-18 2008-11-06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x-선관 구조
KR100906148B1 (ko) 2007-10-19 2009-07-03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포커스엑스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926A (en) 1990-09-05 1995-06-06 Photoelectron Corporation X-ray source with shaped radiation pattern
US5090043A (en) 1990-11-21 1992-02-18 Parker Micro-Tubes, Inc. X-ray micro-tube and method of use in radiation oncology
US7338487B2 (en) * 1995-08-24 2008-03-04 Medtronic Vascular, Inc. Device for delivering localized x-ray radi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AU4161899A (en) * 1998-06-04 1999-12-20 Uriel Halavee Radiotherapeutical device and use thereof
US6353658B1 (en) * 1999-09-08 2002-03-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niature x-ray source
US6438206B1 (en) * 2000-10-20 2002-08-20 X-Technologies, Ltd. Continuously pumped miniature X-ray emitting device and system for in-situ radiation treatment
US6546077B2 (en) 2001-01-17 2003-04-08 Medtronic Ave, Inc. Miniature X-ray devic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6661876B2 (en) * 2001-07-30 2003-12-09 Moxtek, Inc. Mobile miniature X-ray source
US7317278B2 (en) 2003-01-31 2008-01-08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nd process for fabricating an electron source
US7158612B2 (en) 2003-02-21 2007-01-02 Xoft, Inc. Anode assembly for an x-ray tube
US6914960B2 (en) * 2003-04-30 2005-07-05 Medtronic Vascular, Inc. Miniature x-ray emitter having independent current and voltage control
US7130380B2 (en) 2004-03-13 2006-10-31 Xoft, Inc. Extractor cup on a miniature x-ray tube
US7382857B2 (en) 2004-12-10 2008-06-03 Carl Zeiss Ag X-ray catheter assembly
US7428298B2 (en) 2005-03-31 2008-09-23 Moxtek, Inc. Magnetic head for X-ray source
US7382862B2 (en) 2005-09-30 2008-06-03 Moxtek, Inc. X-ray tube cathode with reduced unintended electrical field emission
KR100844562B1 (ko) 2006-12-13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그 방법
WO2009032860A1 (en) 2007-09-04 2009-03-12 Thermo Niton Analyzers Llc X-ray tube with enhanced small spot cathod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811A (ja) * 2004-07-23 2008-03-13 ステンゼル、セキュリティ、リミテッド 電子装置
KR20070038849A (ko) * 2005-10-07 2007-04-11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전계방출원으로 이용한 분해ㆍ조립이가능한 엑스선관
KR100867172B1 (ko) * 2006-12-18 2008-11-06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x-선관 구조
KR100906148B1 (ko) 2007-10-19 2009-07-03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포커스엑스선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1808A (zh) * 2012-12-18 2014-06-18 西门子公司 X射线管
US9673592B2 (en) 2012-12-18 2017-06-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57A (ko) 2011-08-10
US8295440B2 (en) 2012-10-23
US20110188635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680B1 (ko) 나노물질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KR101026863B1 (ko)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초소형 엑스선관
US10741353B2 (en) Electron emitting construct configured with ion bombardment resistant
US7965818B2 (en) Field emission X-ray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EP1494260B1 (en) Miniature X-ray source device
KR101341672B1 (ko) 디지털 엑스레이 소스
US20030002627A1 (en) Cold emitter x-ray tube incorporating a nanostructured carbon film electron emitter
KR101325210B1 (ko)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전자빔 에미터를 이용한 진공밀봉형 소형 엑스선 튜브
KR101250305B1 (ko) 인체삽입/근접치료용 초소형 엑스선관
KR20150114367A (ko) 카트리지형 엑스선 소스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방출 장치
KR101837599B1 (ko)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x-선 튜브를 이용한 켈로이드 및 피부암 치료용 x-선 근접 치료 장치에 사용되는 초소형 x-선 튜브 시스템
KR101837593B1 (ko)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x-선 튜브를 이용한 켈로이드 및 피부암 치료용 x-선 근접 치료 시스템
AU2004201134B2 (en) Solid state brachytherapy applicator
Filip et al. Miniature x-ray tubes: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WO2019126008A1 (en) Bipolar grid for controlling an electron beam in an x-ray tube
JP2005243331A (ja) X線管
KR20160102748A (ko) 전계 방출 엑스선 소스 장치
US10172223B2 (en) X-ray generation from a super-critical field
JP2009283169A (ja) 小型x線発生装置
JP2004335419A (ja) X線発生装置
KR101971653B1 (ko) 환부 삽입용 x-선 튜브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x-선 근접 치료 시스템
EP2850634B1 (en) Radiotherapy apparatus
CN119258414A (zh) 一种基于双能x射线能谱调制的术中放疗装置及能谱调制方法
Smith et al. A field-emission monochromatic micro-x-ray source
Alivov et al. Design of TiO nanotube based X-ray tube with single focusing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