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6569B1 -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569B1
KR101066569B1 KR1020100031234A KR20100031234A KR101066569B1 KR 101066569 B1 KR101066569 B1 KR 101066569B1 KR 1020100031234 A KR1020100031234 A KR 1020100031234A KR 20100031234 A KR20100031234 A KR 20100031234A KR 101066569 B1 KR101066569 B1 KR 10106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air
polymer
leaflets
leaf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구
이정찬
원용순
김화룡
신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브라하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브라하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브라하트
Priority to KR102010003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569B1/ko
Priority to US12/964,180 priority patent/US20110245916A1/en
Priority to PCT/KR2011/002414 priority patent/WO2011126302A2/ko
Priority to JP2013503676A priority patent/JP2013523310A/ja
Priority to EP11766153.8A priority patent/EP2556807A4/en
Priority to CN2011800279141A priority patent/CN10293317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569B1/ko
Priority to US13/957,524 priority patent/US20130317604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12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with soft flexible valve members, e.g. tissue valves shaped like natural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12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with soft flexible valve members, e.g. tissue valves shaped like natural valves
    • A61F2/2415Manufactur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75Venous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2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 A61M60/148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in line with a blood vessel using resection or like techniques, e.g. permanent endovascular heart assis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20Type thereof
    • A61M60/247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253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displacement member directly acting on the blood
    • A61M60/268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displacement member directly acting on the blood the displacement member being flexible, e.g. membranes, diaphragms or b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61M60/465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 A61M60/468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the force acting on the actuation means being hydraulic or pneu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9Valves
    • A61M60/894Passive valves, i.e. valves actuated by the blood
    • A61M60/896Passive valves, i.e. valves actuated by the blood having flexible or resilient parts, e.g. flap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9Valves
    • A61M60/898Valves the blood pump being a membrane blood pump and the membrane acting as inlet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폴리머 밸브와 이를 이용한 심실보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는, 혈액이 제1 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있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역류는 방지하는 폴리머 밸브로서, 혈액이 통과하는 양단으로 개방된 중공을 가지고, 양측으로 한 쌍의 절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절개면 상에 씌워지는 막 형상의 한 쌍의 리플렛;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리플렛은 연결부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리플렛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렛은 혈액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구멍이 개방되도록 서로 떨어지는 개방 위치와, 혈액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동하려 할 때 상기 구멍이 폐쇄되도록 상기 구멍 부근에서 서로 밀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Polymer valve and pulsatile conduit-type V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수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인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을 일정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고 역류를 방지하는 인체 내 조직을 판막(valve)라고 하며, 심장에는 삼첨판(우심방과 우심실 사이), 반월판(우심실과 허파동맥 사이), 이첨판(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반월판(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4개의 판막이 있고, 정맥과 림프관에도 판막이 있다. 제 기능을 상실한 판막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 판막이 개발되고 있으며, 인공 심장 판막의 종류는 크게 기계, 조직, 고분자 판막으로 구분된다.
기계 판막은 혈액에 해를 적게 입히는 특수 합금을 이용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문이 열리게 만든 장치이다. 그러나, 혈액이 표면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피가 엉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항응고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해야 했고, 또한 판막이 열리고 닫힐 때 들리는 소음도 문제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등장한 것이 조직 판막이다. 생체 판막을 가운데 두고 주변을 지지대로 연결한 형태이다. 1969년 돼지 판막을 이용한 조직 판막이 인간에게 성공적으로 이식된 후 다양한 제품들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생체 조직을 사용하다보니 기계식 판막 보다 내구성이 떨어져 10~15년 후에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최근에는 고분자로 만든 판막, 즉 폴리머 밸브가 선보이고 있다. 이는 기계 판막과 조직 판막에 비해 값이 저렴하고 원하는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폴리머 밸브는 이엽식 밸브(bi-leaflet valve)와 삼엽식 밸브(tri-leaflet valve)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엽식 폴리머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폴리머 밸브는 한 쌍의 지지대(5)를 가진 지지부재(4)와, 지지부재(4)를 감싸고 있는 폴리머 재질의 리플렛(6)으로 구성되며, 리플렛(6)의 단부는 일자로 분리되어 슬릿(7)을 형성하고 있다. 혈액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리플렛(6)은 서로 떨어지게 되어 슬릿(7)이 벌어지며,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경우에는 리플렛(6) 외측에 압력이 가해져 슬릿(7)이 막히게 된다.
한편, 심실보조장치(Ventricular Assist Device; VAD)는 일반적으로 심부전 환자에게 내과적인 치료의 효과가 없거나 외과적인 개심술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 사용된다. 심장을 이식하기 전까지 심실의 기능을 대체하도록 시술되거나, 심장의 부하를 줄여 회복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심실보조장치는 이식되는 부위에 따라 이식형(implantable type) 심실보조장치와 체외형(extracoporeal type) 심실보조장치로 구분되며, 보조하는 심장 부위에 따라 좌심실보조장치(LVAD)와 우심실보조장치(RVAD), 양심실 보조장치(BiVAD)로 구분된다. 주로 좌심실 보조장치가 많이 쓰인다. 또한, 다른 분류 방법으로 동력원을 공급하는 방식의 차이에 따라 공기압력식(pneumatic type)과 전기식(electric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타입은 전기유압식(electrohydraulic type)과 전기기계식(electromechanical type)으로 세분된다. 또한, 구동방식에 따라 혈액을 박출할 때 박동(맥동)성의 존재여부에 따라 박동형(pulsatile type)과 비박동형(nonpulsatil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경우 인공심장으로 볼 수 있으나, 자연심장을 제거하고 인공심장에 의해서만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완전이식형 인공심장과는 구분된다.
여러 가지 형태의 심실보조장치 중에서 로터리 혈액펌프나 임펠러를 이용한 축류혈액펌프(Axial blood pump)를 이용한 것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펌프는 혈액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부품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여 혈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펌프가 고장 등을 이유로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혈액이 통과할 수 없어 교체를 하지 않는다면 심실보조장치로서 기능할 수가 없고, 비교적 고가로서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구동원으로 공압을 이용하고, 인공 밸브를 2개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구현한 박동형 펌프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은 미국등록특허 US6,579,223B2(발명의 명칭: BLOOD PUMP)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머 밸브에 있어서는, 리플렛 사이의 슬릿으로 혈액이 유동해야 하므로, 단위 시간당 충분한 양의 혈액을 통과시키기 어려우며, 리플렛이 서로 떨어지거나 붙으면서 지지대에 밸브 내측과 외측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힘이 반복적으로 지지대에 집중되어 작용되면, 지지대는 피로파괴가 발생하거나 리플렛이 지지대로부터 분리될 확률이 증가하며, 이는 의료 기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폴리머 밸브를 이용한 심실보조장치에 있어서는, 필수적으로 최소한 2개 이상의 폴리머 밸브를 사용해야 하는데, 특히 이러한 심실보조장치에 사용되는 폴리머 밸브는 강한 역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내구성이 뛰어나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폴리머 밸브를 사용하면, 강한 역압이 가해질 경우에 지지대에 모든 힘이 집중되고, 반복 사용에 따라 결국에는 리플렛과 지지대가 분리되거나 리플렛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크다. 그러므로, 오랜 기간 사용하기가 쉽지 않고, 정기적으로 밸브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플렛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작용되는 힘을 분산시켜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폴리머 밸브와 이를 이용한 심실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는, 혈액이 제1 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있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역류는 방지하는 폴리머 밸브로서, 혈액이 통과하는 양단으로 개방된 중공을 가지고, 양측으로 한 쌍의 절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절개면 상에 씌워지는 막 형상의 한 쌍의 리플렛;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리플렛은 연결부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리플렛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렛은 혈액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구멍이 개방되도록 서로 떨어지는 개방 위치와, 혈액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동하려 할 때 상기 구멍이 폐쇄되도록 상기 구멍 부근에서 서로 밀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플렛과 상기 연결부에 모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 구멍은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리플렛에 형성된 구멍은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실보조장치는, 도관; 혈액이 제1 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있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역류는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관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폴리머 밸브; 및 상기 도관의 외측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밸브는, 혈액이 통과하는 양단으로 개방된 중공을 가지고, 양측으로 한 쌍의 절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절개면 상에 씌워지는 막 형상의 한 쌍의 리플렛;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리플렛은 연결부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리플렛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렛은 혈액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구멍이 개방되도록 서로 떨어지는 개방 위치와, 혈액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동하려 할 때 상기 구멍이 폐쇄되도록 상기 구멍 부근에서 서로 밀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혈액을 펌핑한다.
또한, 상기 도관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플렛과 상기 연결부에 모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 구멍은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리플렛에 형성된 구멍은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는 단위시간당 더 큰 유량의 혈액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구멍이 열리거나 닫힐 때 가해지는 힘이 리플렛 전체 면으로 분산되어 뛰어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실보조장치는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머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 면에서 뛰어나고, 공압펌프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우회도관으로 기능하여 심부전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공압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치료법을 선택하여 다양한 심부전의 치료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엽식 폴리머 밸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형태의 구멍을 가진 폴리머 밸브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를 이용한 심실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심실보조장치의 펌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다른 형태의 구멍을 가진 폴리머 밸브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10)는 지지부재(11)와, 한 쌍의 리플렛(13)을 구비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1)는 혈액이 통과하는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지지대(12)를 구비한다. 지지대(12)는 양측으로 한 쌍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1)에는 파이프를 양측으로 비스듬히 잘라낸 듯한 형상의 절개선(13)으로 둘러싸인 한 쌍의 절개면이 형성된다. 지지대(12)가 대칭으로 형성된다면, 절개면도 지지대(12)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재(11)는 리플렛(1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경질의 생체적합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의료용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플렛(14)은 휘어질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도 2와 같이, 지지부재(11)의 절개면을 외측에서 감싸며 형성된다. 리플렛(14)은 혈액 적합성이 있는 생체 폴리머 재질, 예를 들어 의료용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플렛(14)은 도 2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혈액이 통과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혈류가 형성될 때 역압을 받아 역류를 방지할 때, 서로 압착되거나 떨어지게 되며, 양 절개면의 외측으로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10)는 2개의 리플렛(14)을 가진 2엽 폴리머 밸브라 할 수 있다. 양 리플렛(14)은 연결부(18)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양 리플렛(14)과 연결부(18)에는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5)의 형상은 도 2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태를 지님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라 함은, 도 2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보았을 때이다. 구멍(15)이 U자 형상을 지님으로써, 단위시간당 더 큰 유량의 혈액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구멍(15)이 열리거나 닫힐 때 가해지는 힘이 리플렛(14) 전체 면으로 분산된다. 그래서, 이러한 힘이 지지대로 집중되는 기존의 폴리머 밸브에 비해 뛰어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15)의 형상을 U자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V자형의 구멍(16)이나 T자형의 슬릿(17)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구멍이나 슬릿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1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혈액이 유동하는 경우에는 혈액이 리플렛(14)을 외측으로 밀어내므로, 구멍(15)이 개방되어 혈액이 구멍(15)을 통해 b 방향으로 흐른다. 이렇게 양 리플렛(14)이 서로 떨어져 구멍(15)이 개방되는 리플렛(14)의 위치를 개방위치라 한다.
또한, 도 2의 화살표 b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혈액이 유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혈액이 리플렛(14)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구멍(15)은 폐쇄되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렇게 양 리플렛(14)의 일부가 서로 붙어 구멍(15)이 폐쇄되는 리플렛(14)의 위치를 폐쇄위치라 한다.
리플렛(14)은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10)의 경우, 리플렛(14)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걸리는 힘이 구멍(15) 주변의 리플렛(14) 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지지대(12)에 힘이 집중되어 걸리지 않도록 방지한다. 그러므로, 오랜 사용에 의해 지지대(12)와 리플렛(14)이 서로 분리되거나, 지지대(12)가 피로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10)의 제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몰드(1)를 제작하여, 지지부재(11)의 중공에 틈이 생기지 않게 끼운다. 몰드(1)에는 지지부재(11)의 절개면을 내측에서 감싸도록 양측에 절개면과 대응되는 면(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b)와 같이, 몰드(1)에 지지부재(11)를 끼운 상태로 액상 폴리머(3)에 담근 후 꺼내어 굳히는 방식의 딥 캐스팅(dip casting)을 실시하여 몰드(1)와 지지부재(11)의 표면에 폴리머를 얇게 입힌다. 한 번의 딥 캐스팅 공정으로 폴리머를 입힐 수도 있으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차를 두고 여러 번 딥 캐스팅을 실시하여 폴리머를 입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c)와 같이, 몰드(1)를 지지부재(11)에서 분리시키고,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해 리플렛(14)에 구멍을 만들어 도 5(d)와 같이 완성한다. 이로써, 폴리머 밸브를 간단한 제작 공정으로 완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폴리머 밸브(10)는 구멍이 열리고 닫힐 때 걸리게 되는 힘이 어느 한 점에 집중되지 않고, 리플렛(14)의 면에 고르게 분산되어 걸리게 되므로, 내구성에서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은 밸브를 필수적으로 2개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심실보조장치에서도 그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폴리머 밸브(10)를 이용한 심실보조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를 이용한 심실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심실보조장치의 펌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실보조장치(20)는 도관(21)과, 한 쌍의 폴리머 밸브(10)와, 케이스(22)와, 공압펌프(23)를 구비한다.
도관(21)은 혈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긴 관을 말한다. 도관(21)은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어도 상관없으나, 심실보조장치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심장의 부하를 줄여주는 우회도관(Apico Aortic Conduit; AAC)으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축팽창이 가능한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도관(21)은 혈액 적합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우수한 생체 고분자 물질, 예를 들어 의료용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21)의 입구와 출구에는 상술한 폴리머 밸브(10)가 각각 배치되어 혈액을 한 방향으로만 유동하게끔 한다.
도관(21)의 외측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스(22)가 위치한다. 케이스(22)는 경질의 생체 적합성이 있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체외형 심실보조장치로 사용될 경우 도관(21)의 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펌프(23)는 케이스(22)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펌프로서, 케이스(22)와 연결된다. 공압펌프(23)는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심실보조장치(2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심실보조장치(20)의 입구(24)는 관에 의해 심장의 심실과 연통되고, 출구(25)는 관에 의해 대동맥과 연통된다. 먼저, 도 7(a)와 같이 공압펌프(23)를 이용해 케이스(22) 내부의 공기를 빼낸다. 공기가 빠져나가면 케이스(22) 내부에 음압이 형성됨에 따라 도관(21)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도관(21)은 팽창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입구측으로부터 혈액이 폴리머 밸브(10)를 통해 도관(21) 내부로 유입되는 반면에, 출구측에서는 폴리머 밸브(10)에 의해 역류가 방지된다.
이후, 도 7(b)와 같이, 공압펌프(23)를 이용해 케이스(22)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케이스(22) 내부의 압력이 도관(21) 내부의 압력보다 높아져서 도관(21)은 수축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관(21) 내부의 혈액은 폴리머 밸브(10)를 통해 출구측으로 배출되며, 입구측으로는 폴리머 밸브(10)에 의해 역류가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압펌프(23)를 이용해 케이스(22)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주입하는 한 싸이클의 과정을 거치면, 혈액은 입구측으로 유입되어 출구측으로 유출되게 된다. 이러한 펌핑 작용에 의해 심실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어, 심부전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의 심실보조장치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밸브를 상술한 구성의 폴리머 밸브(10)로 사용하면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기존 심실보조장치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공압펌프(23)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도관(21) 자체가 우회도관(AAC)으로 기능할 수 있다. 심실에서 혈액을 분출하면 도관(21) 내부로 혈액이 유입되며, 입구측의 폴리머 밸브(10)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면서 출구측으로 혈액이 유출되어 혈액은 대동맥으로 우회하여 유동할 수 있다. 그래서, 심실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주여 심부전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도관(21)을 탄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하면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압펌프(23)를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심실 내의 혈액을 대동맥으로 유동시켜 심실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공압펌프(23)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소극적으로 심실 내부의 혈액을 대동맥으로 우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임펠러나 로터리를 이용한 혈액펌프는 작동이 멈추면 혈액이 통과할 수 없게 되어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심실보조장치(20)는 공압펌프(23)가 작동을 멈추더라도 혈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우회도관으로서 기능하여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체내형으로 구성할 경우, 수면시나 가정에서 생활시에는 체외에서 공압펌프(23)를 케이스(22)와 연결하여 심실보조장치로서 사용하며, 외출시에는 공압펌프(23)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활동할 수 있어 활동상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심부전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몰드 10...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밸브
11...지지부재 12...지지대
14...리플렛 15,16...구멍
17...슬릿 18...연결부
20...심실보조장치 21...도관
22...케이스 23...공압펌프

Claims (7)

  1. 혈액이 제1 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있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역류는 방지하는 폴리머 밸브로서,
    혈액이 통과하는 양단으로 개방된 중공을 가지고, 양측으로 한 쌍의 절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절개면 상에 씌워지는 막 형상의 한 쌍의 리플렛;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리플렛은 연결부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리플렛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렛은 혈액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구멍이 개방되도록 서로 떨어지는 개방 위치와, 혈액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동하려 할 때 상기 구멍이 폐쇄되도록 상기 구멍 부근에서 서로 밀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밸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플렛과 상기 연결부에 서로 직접 연결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밸브.
  3. 제2 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리플렛에 형성된 구멍은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밸브.
  4. 도관;
    혈액이 제1 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있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역류는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관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폴리머 밸브; 및
    상기 도관의 외측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밸브는,
    혈액이 통과하는 양단으로 개방된 중공을 가지고, 양측으로 한 쌍의 절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절개면 상에 씌워지는 막 형상의 한 쌍의 리플렛;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리플렛은 연결부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리플렛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렛은 혈액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구멍이 개방되도록 서로 떨어지는 개방 위치와, 혈액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유동하려 할 때 상기 구멍이 폐쇄되도록 상기 구멍 부근에서 서로 밀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혈액을 펌핑하는 심실보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실보조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플렛과 상기 연결부에 서로 직접 연결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실보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리플렛에 형성된 구멍은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실보조장치.
KR1020100031234A 2010-04-06 2010-04-06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6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34A KR101066569B1 (ko) 2010-04-06 2010-04-06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US12/964,180 US20110245916A1 (en) 2010-04-06 2010-12-09 Polymer valve and pulsatile conduit-type vad using the same
PCT/KR2011/002414 WO2011126302A2 (ko) 2010-04-06 2011-04-06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JP2013503676A JP2013523310A (ja) 2010-04-06 2011-04-06 ポリマー弁及びこれを用いた拍動型導管型心室補助装置
EP11766153.8A EP2556807A4 (en) 2010-04-06 2011-04-06 POLYMER VALVE AND PULSATING VENTRICULAR ASSISTANCE DEVICE THEREFOR AND WITH A CATHETER
CN2011800279141A CN102933176A (zh) 2010-04-06 2011-04-06 聚合物阀及利用了它的搏动型导管式心室辅助装置
US13/957,524 US20130317604A1 (en) 2010-04-06 2013-08-02 Polymer valve and pulsatile catheter-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34A KR101066569B1 (ko) 2010-04-06 2010-04-06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569B1 true KR101066569B1 (ko) 2011-09-21

Family

ID=4471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2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6569B1 (ko) 2010-04-06 2010-04-06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10245916A1 (ko)
EP (1) EP2556807A4 (ko)
JP (1) JP2013523310A (ko)
KR (1) KR101066569B1 (ko)
CN (1) CN102933176A (ko)
WO (1) WO201112630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79B1 (ko) 2017-03-0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전 및 역류 방지가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KR101882467B1 (ko) 2017-03-0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WO2021251737A1 (ko) * 2020-06-09 2021-12-1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혈액을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혈액펌프 및 이를 구비한 혈액 산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0841B2 (en) * 2013-06-21 2016-04-26 Corvivo, Inc. Ventricular assist device
WO2016057981A1 (en) 2014-10-10 2016-04-14 Nxstage Medical, Inc. Pinch clamp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0143554B2 (en) 2015-12-03 2018-12-04 Medtronic Vascular, Inc. Venous valve prostheses
CA3066361A1 (en) 2017-06-07 2018-12-13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fluid mov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7319266B2 (ja) 2017-11-13 2023-08-01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血管内流体移動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WO2019152875A1 (en) 2018-02-01 2019-08-08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CN108310497B (zh) * 2018-02-12 2023-12-15 安徽通灵仿生科技有限公司 微创导管式同步心脏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US12023478B2 (en) 2018-04-25 2024-07-0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Dual lumen cannula system
US12023479B2 (en) * 2018-06-12 2024-07-0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US12161857B2 (en) 2018-07-31 2024-12-10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use
US12220570B2 (en) 2018-10-05 2025-02-11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use
US11964145B2 (en) 2019-07-12 2024-04-23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WO2021016372A1 (en) 2019-07-22 2021-01-28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with strut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2121713B2 (en) 2019-09-25 2024-10-22 Shifamed Holdings, Llc Catheter blood pumps and collapsible blood conduits
US11724089B2 (en) 2019-09-25 2023-08-15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control thereof
EP4501393A3 (en) 2019-09-25 2025-04-09 Shifamed Holdings, LLC Catheter blood pumps and collapsible pump housin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7894A1 (en) 2001-04-16 2002-11-28 Acosta George M. Implantable venous valve
US20050149181A1 (en) 2004-01-07 2005-07-07 Medtronic, Inc. Bileaflet prosthetic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996A (en) * 1976-06-30 1978-01-12 Tokyo Shibaura Electric Co Device for pumping blood
GB8300636D0 (en) * 1983-01-11 1983-02-09 Black M M Heart valve replacements
IL118149A0 (en) * 1996-05-05 1996-09-12 Rdc Rafael Dev Corp Method for producing heart valves and heart valves produced by the method
US7452371B2 (en) * 1999-06-02 2008-11-18 Cook Incorporated Implantable vascular device
US6283995B1 (en) * 1999-04-15 2001-09-04 Sulzer Carbomedics Inc. Heart valve leaflet with scalloped free margin
US6468305B1 (en) * 2000-05-16 2002-10-22 St. Jude Medical, Inc. Two piece valve
US7798147B2 (en) * 2001-03-02 2010-09-21 Pulmonx Corporation Bronchial flow control devices with membrane seal
US6579223B2 (en) * 2001-08-13 2003-06-17 Arthur Palmer Blood pump
US6893460B2 (en) * 2001-10-11 2005-05-17 Percutaneous Valve Technologies Inc. Implantable prosthetic valve
US7160320B2 (en) * 2002-04-16 2007-01-09 The International Heart Institute Of Montana Foundation Reed valve for implantation into mammalian blood vessels and heart with optional temporary or permanent support
WO2004080352A1 (en) * 2003-03-12 2004-09-23 Cook Incorporated Prosthetic valve that permits retrograde flow
US7153324B2 (en) * 2003-07-31 2006-12-26 Cook Incorporated Prosthetic valve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such devices
US8128681B2 (en) * 2003-12-19 2012-03-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Venous valv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07016251A2 (en) * 2005-07-28 2007-02-08 Cook Incorporated Implantable thromboresistant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7894A1 (en) 2001-04-16 2002-11-28 Acosta George M. Implantable venous valve
US20050149181A1 (en) 2004-01-07 2005-07-07 Medtronic, Inc. Bileaflet prosthetic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79B1 (ko) 2017-03-0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전 및 역류 방지가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KR101882467B1 (ko) 2017-03-0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WO2021251737A1 (ko) * 2020-06-09 2021-12-1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혈액을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혈액펌프 및 이를 구비한 혈액 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6807A2 (en) 2013-02-13
WO2011126302A2 (ko) 2011-10-13
JP2013523310A (ja) 2013-06-17
CN102933176A (zh) 2013-02-13
US20130317604A1 (en) 2013-11-28
US20110245916A1 (en) 2011-10-06
EP2556807A4 (en) 2016-03-16
WO2011126302A3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569B1 (ko)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
US11179557B2 (en) Modular mammalian body implantable fluid flow influenc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1058865B2 (en) Catheter pump
US9504774B2 (en) Intraatrial ventricular assist device
US20210154464A1 (en) Heart failure recovery device and method of treatment
US20160008531A1 (en) Dual lumen cannula for artificial lung and right ventricular assist device
CN109789289A (zh) 管道尖端及使用系统和方法
WO1998053864A1 (en) Ventricular assist device comprising an enclosed-impeller axial flow blood pump
JP2021533962A (ja) 身体的な排出または注入を介した治療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566791B (zh) 引流淋巴液至靜脈之裝置
WO2021062566A1 (en) Modular impeller system for fluid circulation
US20110040241A1 (en) Blood access assembly for artificial lung and right ventricular assist device
TWI768541B (zh) 引流淋巴液至靜脈之設備
US20220280768A1 (en) Cannula for Endovascular Blood Circuit Support, Corresponding Assembly, Method and Cannula System
KR101070809B1 (ko) 심실구획장치
EP3380183B1 (en) A device for easy vascular access
KR20140139861A (ko) 심실 보조 장치
KR101037077B1 (ko) 심실보조장치의 착탈이 가능한 연결관 및 그 사용방법
JP2022540406A (ja) 心腔プロテーゼ、および、これに関連する心臓補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