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4934B1 -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934B1
KR101064934B1 KR1020100009333A KR20100009333A KR101064934B1 KR 101064934 B1 KR101064934 B1 KR 101064934B1 KR 1020100009333 A KR1020100009333 A KR 1020100009333A KR 20100009333 A KR20100009333 A KR 20100009333A KR 101064934 B1 KR101064934 B1 KR 10106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skin
kiwi
cosmetic composition
actinid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786A (ko
Inventor
우윤택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10000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9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Actinidin)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미백효과가 우수한 비타민 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이 피부 바깥쪽에 있는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여 자극없이 피부의 미백효과를 증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C and Actinidin derived from Kiwifruit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비타민 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Actinidin)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미백효과가 우수한 비타민 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이 피부 바깥쪽에 있는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여 자극없이 피부의 미백효과를 증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카로틴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Melanin)은 피부의 표피층에 존재하는 색소로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며,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유해산소 및 프리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수행한다.
멜라닌의 합성 과정을 살펴보면,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의 멜라노좀(Melanosome)이라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하고, 도파퀴논이 자동 산화반응을 거쳐 도파크롬(DOPAchrome)이 된다. 다시 도파크롬은 효소 반응에 의해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을 통해 각질세포로 옮겨지고 여기에서 약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 표면으로 나와 각질과 함께 소실된다.
피부 조직에서는 자외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을 합성하지만 멜라닌은 외부의 여러 요인에 의해 합성이 촉진되며, 스트레스, 피부 노화 등에 의해 각질층의 탈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노후화된 각질이 정상적으로 탈락되지 않게 되면 피부가 활성을 잃고, 피부표면에 남아 기미, 주근께 등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 피부톤이 어두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묵은 각질층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기작은 여러 가지 존재한다. 대표적인 합성 저해 과정은 멜라닌 합성의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를 저해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것으로는 코직산(kojic acid), 비타민 C(Vitamin C), 알부틴(Arbutin)등의 물질이 있다. 그리고 노화된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AHA (α-hydroxy acid)를 활용하여 피부의 각질층을 제거하거나, 스크럽제 및 연마제 등을 활용해서 마찰을 통해 각질세포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피부 미백 효과를 얻기 위해 한 과정만 저해하여 효과를 얻고자 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아직 뛰어난 미백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충분한 미백효과를 얻기 위하여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하며 동시에 묵은 각질의 탈락을 촉진하는 방법이 필요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미백 효과가 우수한 비타민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사용할 경우, 묵은 각질층을 제거하여 미백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타민 C와 키위 유래의 악티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타민C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 ~ 1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티니딘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비타민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이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여 피부의 자극없이 피부 미백효과의 상승작용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와 키위 유래의 악티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더욱 상승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타민 C는 화장품 원료로서 종래부터 사용되던 것으로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 색소 침착의 개선 등의 미백효과와 항산화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등의 주름개선 효과 그리고 보습효과 등의 기능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악티니딘은 키위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로서, 이미 잘 알려진 식물성 단백질분해효소인 파파인(Papain), 브로멜라인(Bromelain), 피신(Ficin), 키모파파인(Chymopapain)과 같은 군에 속한다. 이들은 -SH기를 가지는 thiol계의 단백질분해효소로서 맥주의 혼탁방지제, 연육용, 소화제, 제빵 등 식품공업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키위(Actinidia chinensis)는 중국 양자강 부근에서 서식하던 아열대성 식물로, 뉴질랜드에서 개량되어 전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키위는 다래나무과의 낙엽덩굴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둥근 모양이거나 둥근 달걀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팼고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가 빽빽이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8∼10월에 익고 둥근 달걀 모양 또는 원기둥 모양이며 표면에 갈색 털이 빽빽이 있다. 열매가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키위 새처럼 생겼다고 하여 영어 이름이 키위이다. 한국에서는 1977년에 뉴질랜드에서 도입해 남해안에서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키위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인 악티니딘을 분리정제하기 위하여 Cho. et al,;Korean J. Food & Nutrition., Vol 7, No2, pp87-94, 1994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였다.
본 발명의 키위로부터 악티니딘을 분리하는 방법은
1) 키위로부터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2) 아세톤 분획을 하는 단계
3) 상기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활성분획을 용출하는 단계
4) 상기 용출액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전기영동을 통해 정제여부를 확인
상기 단계 3의 크로마토그래피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후에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칼럼에 상기 단계2의 분획을 부가한 후 활성 분획을 용출하였다. 다음으로 겔여과 칼럼에 상기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은 분획을 칼럼에 부가하여 활성분획을 용출하고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단백질분해효소가 순수분리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용출액을 사용하여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리 정제하였다.
한편, 상기 비타민C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1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타민C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미백효과의 효과가 미미하며,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부 자극의 위험이 있다.
상기 악티니딘의 함량은 0.001 ~ 1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악티니딘의 함량이 0.001중량%미만일 경우 각질 박리 촉진 효과가 미미하며 1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비타민C와 악티니딘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함유제 등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키위로부터 악티니딘의 분리 정제
시중에서 1kg의 제주도산 키위를 구입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인산염 완충용액(5mM cystein과 2mM EDTA를 함유한 20mM 인산염 완충용액, pH 7.0)을 분쇄물의 2배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한 후 균질기로 5분간 균질화시켰다. 이것을 원심분리(12,000rpm, 30분)하여 상등액을 조효소로 사용하였다.
조효소액 300ml에 동량의 아세톤을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 후 침전물을 얻었다. 이것을 다시 원심분리(4000rpm, 10분)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감압건조하여 아세톤파우더를 얻었다.
아세톤파우더를 인산염 완충용액(pH 7.0)에 녹여 DEAE-Toyopearl 650C column(2.5×28cm, Torsoh, Japan)에 주입한 후 인산염 완충용액(pH 7.0)으로 세척한 다음, 200mM NaCl를 이용하여 1ml/min 속도로 용출한 다음, 한외여과(Amicon Co. PM-10)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Sephadex G-100 column(1.8×60cm, Pharmacia LKB Biotechnology, Sweden)에 농축된 효소액을 주입하여 인산염 완충용액(pH 7.0)으로 9ml/h의 속도로 용출 분획하고 활성도를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용출액을 회수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완충용액(pH 7.0)에 최종 농도가 1.2%가 되게 카제인(casein)을 녹인 기질 용액 3.0 ㎖에 효소 용액 0.1 ㎖을 가하여 잘 섞어준 후 35℃ 에서 10 분간 반응시키고 10% 트리클로르 아세트산(TCA) 0.5 ㎖를 가하여 10 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반응액을 원심 분리(2800rpm, 10분)하여 275 nm에서 생성된 티로신 양을 측정하였다. 이 때, 단백질분해효소 1 유니트(Unit)는 1분 동안에 1 마이크로그람(㎍)의 티로신 생성에 필요한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의 정제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7.5% 폴리아크릴아마이드젤을 이용하여 0.15M Tris-glycine완충용액(pH 6.8)에서 전기영동을 한 다음, 젤은 0.025%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용액으로 염색하여 단일 밴드임을 확인하였다.
단계 단백질분해효소 활성(unit)
DEAE-Toyopearl 650C 2450
Sephadex G-100 1987
[제조예 2]
하기표 1 조성비를 가지는 크림 형태로 비타민 C와 키위에서 얻은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실시예 3
(중량%)
비교예
(중량%)
비타민 C 3.0 3.0
악티니딘 1.0 1.0
글리세린 5.0 5.0 5.0 5.0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폴리솔베이트60 2.0 2.0 2.0 2.0
솔비탄세스퀴롤올레이트 1.0 1.0 1.0 1.0
스쿠알란 5.0 5.0 5.0 5.0
밀납 10.0 10.0 10.0 10.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프로필렌 글리콜 1.0 1.0 1.0 1.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실험예 2] 피부첩포시험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피부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피부 첩포시험을 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씩 핀챔버 (Finn chamber, 100x10, EPITEST, 핀란드)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표시 후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고, 수학식 1에 따라 평균피부반응도(mean response rate)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제시된다.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Figure 112010007005311-pat00001
Figure 112010007005311-pat00002
시험물질 1 시간 후 24 시간 후 반응도 (%)
(n=20)
± + ++ ± + ++
실시예 1 - - - - - - 0.00
실시예 2 - - - - - - 0.00
실시예 3 - - - - - - 0.00
비교예 - - - - - - 0.00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피부첩포실험에서 비타민 C와 악티니딘을 함유한 화장료에서 피부자극이 나타나지 않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피부 미백 효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2,3 및 비교예의 피부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0-40대의 피부톤이 검은 여성을 대상으로 10명씩 4개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안면 전체에 고르게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한 후 피부색의 밝기 정도를 크로마미터(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이 미백효과가 있는 경우는 △ L값(도포 후 피부밝기 -도포전의 피부밝기)이 증가되어 나타나며, 그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나 있다.
피부색 변화 (△L)
1주 2주 3주 4주
실시예 1 1.2 2.5 3.6 5.3
실시예 2 0.6 1.2 1.9 2.2
실시예 3 0.4 0.8 1.4 1.7
비교예 1 0.2 0.3 0.4 0.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유효성분이 함유된 실시예 1,2,3에서 피부색의 밝기 변화가 나타남을 보였다. 특히 비타민C와 악티니딘이 함유된 실시예 1의 경우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피부 미백효과가 매우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예로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타민C와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크림, 로션, 에센스, 팩 및 보디 클린저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크림
상기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비타민C 3.0
악티니딘 1.0
글리세린 4.0
바세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5
유동파라핀 24.0
스쿠알란 3.0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로션
상기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비타민C 3.0
악티니딘 1.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3
폴리솔베이트 60 1.0
미네랄오일 5.0
사이크로메치콘 3.0
디메치콘 0.5
알란토인 0.1
글리세린 5.0
알코올 2
프로필렌글리콜 3.0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에센스
상기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비타민C 3.0
악티니딘 1.0
1,3-부틸렌글리콜 4.0
글리세린 3.0
알란토인 0.5
판테놀 0.1
EDTA-2Na 0.01
에탄올 5.0
트리에탄올아민 1.5
스쿠알란 2.0
밀납 2.5
폴리솔베이트60 3.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팩
상기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비타민C 3.0
악티니딘 1.0
에틸알코올 3.0
EDTA-2Na 0.05
프로필렌 글리콜 5.0
글리세린 4.5
카보폴 1.5
폴리옥사이드 0.2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바디 클렌저
상기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바디 클렌저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비타민C 3.0
악티니딘 1.0
알킬에텔당산염 (30%) 30.0
알킬에텔설포석신산염 (30%) 20.0
알킬아미도베타인 (3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베타인 5.0
라우라미드디이에이 4.0
셀룰로스검 0.05
가수분해단백질 0.1
구연산 미량
NaCl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Claims (4)

  1. 비타민C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비타민C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 ~ 1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악티니딘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09333A 2010-02-01 2010-02-01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06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333A KR101064934B1 (ko) 2010-02-01 2010-02-01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333A KR101064934B1 (ko) 2010-02-01 2010-02-01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86A KR20110089786A (ko) 2011-08-09
KR101064934B1 true KR101064934B1 (ko) 2011-09-16

Family

ID=4492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333A Active KR101064934B1 (ko) 2010-02-01 2010-02-01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75B1 (ko) * 2011-11-22 2013-10-08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696A (ja) 1999-11-22 2001-06-05 Keiko Tanaka アクチニジンから造る腫瘍の増殖ならびに転移抑制酵素と異質なたんぱく細胞の除去剤
JP2001206836A (ja) 2000-01-27 2001-07-31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3040769A (ja) 2001-07-26 2003-02-13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US20070110682A1 (en) 2005-11-17 2007-05-17 Chantal Bergeron Non-peroxide preparation for whitening natural and manufactured tee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696A (ja) 1999-11-22 2001-06-05 Keiko Tanaka アクチニジンから造る腫瘍の増殖ならびに転移抑制酵素と異質なたんぱく細胞の除去剤
JP2001206836A (ja) 2000-01-27 2001-07-31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3040769A (ja) 2001-07-26 2003-02-13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US20070110682A1 (en) 2005-11-17 2007-05-17 Chantal Bergeron Non-peroxide preparation for whitening natural and manufactured tee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75B1 (ko) * 2011-11-22 2013-10-08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효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86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KR102304419B1 (ko) 모링가 종자 유래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유지 및 향상, 피부 주름 방지에 유효한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77460B1 (ko)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5609B1 (ko) 미백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1545B1 (ko)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909B1 (ko)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5166A (ko) 바다수선화 추출물과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4934B1 (ko) 비타민 c 와 키위에서 유래된 악티니딘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38078B1 (ko) 산삼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948661B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하여 저온 숙성된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784518B1 (ko) 독새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746298B1 (ko) 루시놀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7368B1 (ko) 월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