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0924B1 -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 Google Patents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924B1
KR101060924B1 KR1020090089706A KR20090089706A KR101060924B1 KR 101060924 B1 KR101060924 B1 KR 101060924B1 KR 1020090089706 A KR1020090089706 A KR 1020090089706A KR 20090089706 A KR20090089706 A KR 20090089706A KR 101060924 B1 KR101060924 B1 KR 10106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substrate
flange portion
pin
round
lead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966A (ko
Inventor
최진원
문승진
이기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924B1/ko
Priority to US12/805,413 priority patent/US8420955B2/en
Publication of KR2011003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9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은 외부의 기판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하기 위한 접속핀;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패키지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솔더 페이스트가 상기 접속핀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라운드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Lead pin for package substrate}
본 발명은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집적회로가 실장된 패키지 기판을 주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에 관한 것이다.
전자산업의 발달에 의해 다양한 형식의 반도체 패키지가 제작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도체 패키지의 고배선 고밀도화됨에 따라 집적회로(IC)가 실장된 패키지 기판을 주기판(Main Board)에 연결하는 기판으로 다수의 T형 리드핀이 장착된 PGA(Pin Grid Array) 방식의 반도체 패키지 기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패키지 기판은 통공을 통해 핀이 삽입되는 삽입형 핀의 형태와 납땜에 의해 패키지 기판에 부착되는 T형 리드핀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삽입형 핀에 비해 패키지 기판의 회로 구성에 제약이 작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T형 리드핀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땜납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납의 사용이 제한됨에 따라 납을 사용하지 않는 땜납(Sn-Ag-Cu, Sn-Sb)을 사용함으로써, 땜납의 용융 온도가 높게 형성된다.
이때, 땜납의 용융 온도가 높아짐에 의해서 패키지 기판에 IC 칩을 탑재하기 위한 리플로우 공정 시 리플로우 열에 의해 리드핀을 지지하고 있는 리드핀 접속용 땜납이 용해되어 리드핀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리플로우 공정 시 땜납이 리드핀의 상부로 넘쳐 흘러서 접속핀 등으로 번지는 불량 등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솔더 페이스트로 인한 접속 핀의 오염을 방지하는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은 외부의 기판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하기 위한 접속핀;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패키지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솔더 페이스트가 상기 접속핀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라운드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반지름의 1/10~ 1/2 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은 상기 오목부를 차고 넘치는 솔더 페이스트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와 이웃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접속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은, 상기 라운드부에서 중앙 부분의 곡률(R1)이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와 연결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곡률(R2)과 같거나 또는 상기 곡률(R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은 상기 플랜지부의 높이보다 상기 라운드부의 중앙부 높이가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은 헤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므로 패키지 기판의 탑재하는 리플로우 공정 시에 솔더 페이스트가 상기 헤드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접속핀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이 패키지 기판(1)에 실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100)은 접속핀(110), 헤드부(120) 및 유동 방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핀(110)은 리드핀(100)이 패키지 기판에 실장 시 소켓 등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패키지 기판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드핀(100)의 실장 시 패키지 기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접속핀(110)은 헤드부(120)의 단부에 연결되는 데, 헤드부(120)의 중심과 접속핀(11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속핀(110)과 헤드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금속인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접속핀(110)과 헤드부(1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부(1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속핀(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패키지 기판의 패드부(20)가 노출된 부분에서 솔더 페이스트(1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헤드부(120)는 접속핀(110)의 일단부에 원반형의 플랜지부(122)와 반구형의 라운드부(124)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반구형의 라운드부(124)가 패키지 기판(1)의 패드부(20) 상에 접촉되도록 실장된다.
이때, 플랜지부(122)의 직경은 그 하면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라운드부(1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20)를 패드부(20)에 접합 시 솔더 페이스트(10)가 플랜지부(122)의 하면과 라운드부(124)의 외주면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며, 플랜지부(122)의 상면으로 유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직경의 차이로 인해서 상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라운드부(124)는 접속핀(110)의 직경에 대응하는 부분(R1)의 곡률이 라운드부(124)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의 곡률(R2)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라운드부(124)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라운드부(124)의 중앙부가 그 주변부보다 더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 으며, 라운드부(124)에 의해서 리드핀(100)이 기울어지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라운드부(124)의 구조는 솔더 페이스트(10) 내에 발생되는 기포의 인출을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부(120)를 구성하는 플랜지부(122)와 라운드부(124)는 서로 다른 높이(t, T)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122)의 높이(t)에 비해 소정 곡률로 형성된 라운드부(124)의 중앙부 높이(T)를 더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라운드부(124)의 중앙부 높이(T)를 더 크게 형성하는 이유는 헤드부(120)의 패키지 기판(1) 실장시 헤드부(120)의 설계 범위 내에서 헤드부(120)를 감싸는 솔더 페이스트(10)가 라운드부(124)의 곡면에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접속핀(110)이 패키지 기판(1) 상에 기울어짐 없이 수직 설치가 가능함과 아울러 접촉 면적의 확대에 의해서 접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솔더 페이스트(10)는 납과 아연 및 은의 합금으로 구성된 것으로 열을 가함에 의해 점성이 있는 액상 형태로 용융되고, 상온 냉각에 의해서 용융된 상태의 형상으로 경화되며, 경화 상태에서 접합 대상의 상호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유동 방지부(130)는 헤드부(12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32)를 포함하며,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유동 방지부(130)의 단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원형, 삼각형, 반원형, 육 각형, 팔각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유동 방지부(130)는 플랜지부(122)의 가장자리로부터 플랜지부(122)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반지름의 1/10 ~ 1/2 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유동 방지부(130)가 접속핀(110)에 가깝게 형성되게 되면, 솔더 페이스트(10)가 유동 방지부(130)를 넘어서 접속핀(110)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의 범위 안에서 유동 방지부(130)가 헤드부(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로우 공정 시에 솔더 페이스트(10)가 플랜지부(122)의 상면을 덮도록 이동하게 된다.
종래의 유동 방지부(130)가 없는 경우에는 솔더 페이스트(10)가 헤드부(120)의 상면을 덮도록 유동하게 되면, 접속핀(110)까지 오염시키게 된다.
그러나, 헤드부(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동 방지부(130)가 솔더 페이스트(10)가 접속핀(110)을 향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접속핀(1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100)은 헤드부(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동 방지부(130)를 포함하므로 패키지 기판(1)의 탑재하는 리플로우 공정 시에 솔더 페이스트(10)가 상기 헤드부(120)의 상부를 덮어 접속핀(11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유동 방지부에 의해서 방지하며, 이에 따라 접속핀(11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헤드부(220)는 접속핀(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패키지 기판의 패드부가 노출된 부분에서 솔더 페이스트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헤드부(220)는 원반형의 플랜지부(222)와 상기 플랜지부(22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라운드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동 방지부(230)는 헤드부(22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헤드부(320)는 원반형의 플랜지부(322)가 형성되며, 반구형의 라운드부가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리플로우 공정 시에 헤드부(32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동 방지부(330)는 헤드부(32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은 헤드부(220, 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동 방지부(230, 330)를 포함하므로 유동 방지부(230, 330)에 의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속핀(210, 31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400)은 접속핀(410), 헤드부(420) 및 유동 방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핀(410) 및 헤드부(420)은 실질적으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유동 방지부(430)는 헤드부(420)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패인 오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목부(432)는 원반형의 플랜지부(422)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20)의 상면으로 솔더 페이스트(10)가 유동된 이후에 접속핀(41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그러한 이동 경로 상에 오목부(432)가 형성되므로 솔더 페이스트(10)가 오목부(432)의 내부 공간으로 도피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목부(432)로 이동되는 솔더 페이스트(10)에 의해서 리드핀(400)과 패키지 기판(1) 간의 접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동 방지부(530)는 헤드부(520)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출부(532) 및 돌출부(532)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헤드부(520)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패인 오목부(5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목부(534)는 접속핀(51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직부(534a) 및, 상기 수직부(534a)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53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솔더 페이스트가 헤드부(520)의 상면으로 넘어오는 경우에는 오목부(534)로 도피하게 되는데, 오목부(534)로 들어가지 않고 흐르는 나머지 솔더 페이스트가 돌출부(532)에 의해서 접속핀(510)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오목부(534)의 형상을 따라 솔더 페이스트가 이동하면, 수직부(534a) 및 수평부(534b)에 의해서 그 접착 면적이 증가하며, 외부의 충격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생되어도 수직부(534a) 및 수평부(534b)에 충진된 솔더 페이스트에 의해서 리드핀을 지지하기 때문에 접착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이 패키지 기판(1)에 실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310, 410, 510.... 접속핀
120, 220, 320, 420, 520.... 헤드부
130, 230, 330, 430, 530.... 유동 방지부

Claims (8)

  1. 외부의 기판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하기 위한 접속핀;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패키지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솔더 페이스트가 상기 접속핀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라운드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반지름의 1/10 ~ 1/2 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차고 넘치는 솔더 페이스트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와 이웃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접속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에서 중앙 부분의 곡률(R1)은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와 연결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곡률(R2)과 같거나 또는 상기 곡률(R2)보다 큰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높이보다 상기 라운드부의 중앙부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되는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KR1020090089706A 2009-09-22 2009-09-22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Expired - Fee Related KR10106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06A KR101060924B1 (ko) 2009-09-22 2009-09-22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US12/805,413 US8420955B2 (en) 2009-09-22 2010-07-29 Lead pin for package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06A KR101060924B1 (ko) 2009-09-22 2009-09-22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966A KR20110033966A (ko) 2011-04-04
KR101060924B1 true KR101060924B1 (ko) 2011-08-30

Family

ID=4375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0924B1 (ko) 2009-09-22 2009-09-22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0955B2 (ko)
KR (1) KR101060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3900B2 (en) * 2007-08-30 2012-04-10 Shinko Electric Industries Co., Ltd. Wiring substrate with lead pin and lead pin
US20110014826A1 (en) * 2009-07-20 2011-01-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ad pin for package substrate
KR100959866B1 (ko) * 2009-07-20 2010-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KR20110058938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용 리드핀 및 반도체 패키지
JP2012164965A (ja) * 2011-01-21 2012-08-30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69591A (ja) * 2011-01-24 2012-09-06 Ngk Spark Plug Co Ltd 多層配線基板
JP6327933B2 (ja) * 2013-06-28 2018-05-23 株式会社クレハ ダウンホールツール用ゴム部材、及びダウンホールツール、並びに炭化水素資源の回収方法
US20170149155A1 (en) 2015-11-25 2017-05-25 Mercury Systems, Inc. Soldered interconnec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angular radial fea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6361A1 (en) * 2000-04-10 2002-07-25 Hajime Saiki Pin standing resin-made substrate, method of making pin standing resin-made substrate, pin and method of making pi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9867B (en) * 1987-09-16 1990-12-19 Advanced Semiconductor Package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carrier
JPH07320800A (ja) * 1994-05-18 1995-12-08 Star Micronics Co Ltd 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074456B2 (ja) 1995-08-15 2000-08-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用端子
US6300678B1 (en) * 1997-10-03 2001-10-09 Fujitsu Limited I/O pin having solder dam for connecting substrates
JP3378550B2 (ja) * 2000-02-03 2003-02-17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リードピン付き配線基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6361A1 (en) * 2000-04-10 2002-07-25 Hajime Saiki Pin standing resin-made substrate, method of making pin standing resin-made substrate, pin and method of making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20955B2 (en) 2013-04-16
US20110067899A1 (en) 2011-03-24
KR20110033966A (ko) 2011-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924B1 (ko)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KR100959866B1 (ko)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US6734557B2 (en) Semiconductor device
JP4441545B2 (ja) 半導体装置
US8766450B2 (en) Lead pin for package substrate
KR101003684B1 (ko)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KR101054440B1 (ko) 전자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139970A1 (en) Wiring board having lead pin, and lead pin
KR20110058938A (ko) 반도체 패키지용 리드핀 및 반도체 패키지
CN205177808U (zh) 芯片封装结构
CN103295989A (zh) 倒装芯片封装
US20110014826A1 (en) Lead pin for package substrate
KR100690999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실장방법
JP6352149B2 (ja) 電子部品の実装構造
KR100691443B1 (ko) 플립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958B1 (ko)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JP4312616B2 (ja) 半導体装置
CN101236934A (zh) 平面栅格阵列封装构造
KR101141386B1 (ko) 반도체 패키지용 리드핀 및 반도체 패키지
KR20110009017A (ko) 패키지 기판용 리드핀
KR20090052576A (ko) 반도체 패키지
KR101101513B1 (ko) 반도체 패키지용 리드핀 및 반도체 패키지
KR101101672B1 (ko) 반도체 패키지용 리드핀 및 반도체 패키지
KR101179406B1 (ko) 리드핀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JP2010080732A (ja) 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