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7998B1 -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998B1
KR101057998B1 KR1020030088169A KR20030088169A KR101057998B1 KR 101057998 B1 KR101057998 B1 KR 101057998B1 KR 1020030088169 A KR1020030088169 A KR 1020030088169A KR 20030088169 A KR20030088169 A KR 20030088169A KR 101057998 B1 KR101057998 B1 KR 10105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storage medium
information storage
recor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660A (ko
Inventor
황성희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998B1/ko
Priority to MYPI20045023A priority patent/MY137493A/en
Priority to US11/002,989 priority patent/US20050169135A1/en
Priority to CN2004800361199A priority patent/CN1890718B/zh
Priority to JP2006542504A priority patent/JP2007513454A/ja
Priority to PCT/KR2004/003178 priority patent/WO2005055210A1/en
Priority to HK07107094.3A priority patent/HK1100049B/xx
Priority to TW093137594A priority patent/TWI273563B/zh
Publication of KR2005005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9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DVDs belonging to the plus family, i.e. +R, +RW, +V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광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는,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호스트로부터의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따라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 파일 시스템 데이터 등을 고정된 논리적 주소에서 갱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thod, a recording apparatus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implement the recording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의 파일 시스템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록/재생 장치 구성의 세부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따른 기록 동작에 따른 디스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기록을 하는 경우 디스크 영역의 사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한 기록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이용한 데이터 추가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스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방법 및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write once media)는 1회만 기록한다는 기록 매체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overwrite)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Disc at once 또는 트랙 단위의 순차적인 기록 등과 같은 특별한 방법의 기록만이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의 파일 시스템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즉, 초기에는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100)에 맨 처음 위치에 파일 시스템(110)이 기록되고, 다음 제 1 데이터(120)가 기록된 경우에 그 기록된 사항을 반영한 수정된 파일 시스템(130)이 제 1 데이터(120) 다음 위치에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데이터(140)가 파일 시스템(130) 다음 위치에 기록된 경우에 다시 그 사항을 반영한 수정된 파일 시스템(150)이 제 2 데이터(140)의 다 음 위치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는 파일 시스템의 정보가 디스크의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있어 재생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명령은 일반적으로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단순한 데이터의 기록 커맨드(write command)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하여 기록후 검증을 요구하는 기록후 검증 커맨드(verify after write command)이다. 후자는 파일 시스템 데이터와 같이 데이터의 신뢰성이 고도로 요구되는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데이터는 결함 발생시 파일 단위로 파손되는 것으로 그치지만, 파일 시스템 파일의 경우에는 파일 시스템 파일을 재생할 수 없으면, 매체 전체를 재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록후 검증을 통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이 저하된다고 판단되면 결함 관리 방식에 의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명령이다.
그러나, 호스트가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상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두가지 명령 만으로는 호스트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의 데이터 갱신을 마치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와 같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디스크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상기 기록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호스트로부터의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따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상기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따라 갱신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갱신될 데이터가 최초에 기록되어 있던 물리적 주소 정보와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갱신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리스트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갱신될 데이터를 상기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영역중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제외한 스페어 영역에 기록하도록 더 제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어 영역은 확장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갱신될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 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와 함께 갱신될 데이터 및 상기 갱신될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더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커맨드에 따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상기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1) 갱신될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와, b2) 상기 갱신될 데이터가 최초에 기록되어 있던 물리적 주소 정보와 상기 b1) 단계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리스트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a)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커맨드에 따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상기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200)는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장치로서, 기록/독출부(22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인 디스크(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소정 기록 단위 블럭으로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220)를 제어하거나 기록/독출부(220)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효한 데이터를 얻어낸다.
기록시, 제어부(210)는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호스트(240)로부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Replacement Enforcement Writing command)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220)를 제어한다. 상기 호스트로부터 전송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는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에 의해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다.
디스크 결함 관리 방법은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진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디스크상에 발생한 결함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에서 발견된 결함을 처리하는 건너뛰기 치환(slipping replacement) 방법과 디스크 사용중에 발생한 결함에 대해 결함이 있는 섹터를 포함한 ECC 블록단위를 스페어 영역에 있는 결함이 없는 ECC 블록으로 대치하는 선형 치환(linear replacement) 방법이 있다.
건너뛰기 치환방법이란 디스크를 초기화할 때 디스크의 결함을 검사하는 검증과정에서 발견된 결함이 있는 섹터는 논리 섹터 번호를 부여하지 않고 건너뛰어 결함 섹터의 다음 섹터에 결함 섹터에 부여될 논리 섹터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기록이나 재생시 결함이 발생한 섹터를 무시하고 건너뛰어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함으로써 결함에 의한 기록 또는 재생 속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디스크를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한 결함인 경우에는 건너뛰기 치환 방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는 결함이 있는 부분을 무시하고 뛰어넘을 경우 논리섹터 번호에 불연속이 발생하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 규약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디스크를 사용하는 도중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는 선형 치환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결함이 발생한 섹터가 포함된 ECC 블록을 스페어 영역에 있는 ECC 블록으로 치환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호스트로부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 위와 같은 결함 관리 방식중 어느 방법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재생시, 제어부(210)는 디스크에 사용된 파일 시스템 기록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읽어내도록 기록/독출부(2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10)는 디스크의 소정 부분에 저장된 결함 리스트 정보를 읽어내어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적 위치를 찾아내고, 그 찾아내진 물리적 위치에서 데이터를 읽어내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록/재생 장치 구성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는 기록/독출부(220)로서 픽업(250)을 구비한다. 디스크(230)는 픽업(25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제어부(210)로서 호스트 I/F(211), DSP(212), RF AMP(213), 서보(214) 및 시스템 제어기(215)를 구비한다.
기록시, 호스트 I/F(211)는 호스트(240)로부터 갱신할 데이터와, 상기 갱신할 데이터의 논리적 주소 정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수신하고, 이를 시스템 제어기(215)로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215)는 상기 호스트 I/F(211)로부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수신하여, 기록에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제어기(215)는 수신된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커맨드 내용에 따라 기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시스템 제어기(215)는 수신된 명령이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인 경우에, 먼저 상기 갱신할 데이터를 기록할 영역 즉, 사용되지 않는 영역의 주소를 찾아보고, 이러한 주소에 상기 전송된 갱신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DSP(212)와 서보(214)를 제어하고,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갱신될 데이터가 처음에 기록되어 있던 물리적 주소 정보(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여러 번 갱신된 경우에도 처음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던 물리적 주소 정보)와 상기 갱신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함리스트를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하면, 데이터를 갱신하는데 있어, 데이터의 논리적 주소는 변경시키지 않고, 변경된 물리적 주소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마련함으로써, 마치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위치에서 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DSP(212)는 호스트 I/F(211)로부터 받은 기록할 데이터를 에러 정정을 위해 패리티 등 부가 데이터를 첨가하고 ECC 인코딩을 수행하여, 에러 정정 블록인 ECC 블록을 생성한 다음 이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변조한다. RF AMP(213)는 DSP(21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RF 신호로 바꾼다. 픽업(250)은 RF AMP(213)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디스크(230)에 기록한다. 서보(214)는 시스템 제어기(215)로부터 서보 제어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아 픽업(250)을 서보 제어한다.
재생시, 호스트 I/F(211)는 호스트(240)로부터 재생 명령을 받는다. 시스템 제어기(215)는 재생에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시 스템 제어기(215)는 먼저 결함 리스트가 기록된 디스크의 소정 영역을 읽도록 제어하고, 결함 리스트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 위치 정보를 얻어내고, 얻어낸 물리 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픽업(250)은 디스크(23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디스크(23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여 얻어진 광 신호를 출력한다. RF AMP(213)는 픽업(250)으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를 RF 신호로 바꾸고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변조된 데이터를 DSP(212)로 제공하는 한편,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제어를 위한 서보 신호를 서보(214)로 제공한다. DSP(212)는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ECC 에러 정정을 거쳐 얻어진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서보(214)는 RF AMP(213)로부터 받은 서보 신호와 시스템 제어기(215)로부터 받은 서보 제어에 필요한 명령을 받아 픽업(250)에 대한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호스트 I/F(211)는 DSP(212)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호스트(240)로 보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 구조(400)는 리드인 영역(410)과, 데이터 영역(420)과, 리드아웃 영역(430)을 포함한다.
리드인 영역(410)은 디스크 관리 영역(411)과,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TDMA)(4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412)은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관리를 위한 임시 결함 관리와 임시 디스크 관리를 위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말한다.
이러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412)은 임시 결함 정보(Temporary Difect List:TDFL)(440),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TDDS)(450), 스페이스 비트 맵(Space Bit Map:SBM)(460), 레코드 맵(Record Map)(470)을 포함한다.
상기 임시 결함 정보(440)는 결함의 상태 정보, 결함 섹터의 위치 정보 및 대체 섹터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결함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결함 섹터의 위치 정보는 갱신되기 전의 데이터가 최초에 기록된 물리적 위치를 나타내고, 대체 섹터의 위치 정보는 갱신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적 위치를 나타낸다.
임시 결함 관리 정보(450)는 상기 임시 결함 정보, SBM, 레코드 맵, 드라이브 영역의 위치 포인터들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초기화시 할당되는 스페어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 기록방지 정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임시결함 관리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대한 정보, 각각의 스페어 영역에서 대체 가능한 위치 정보, 사용자 영역의 마지막 기록주소 등이 기록된다.
스페이스 비트 맵(460)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각각의 클러스터에 대한 기록 유무를 비트 값으로 나타낸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기록 유무를 나타내는 맵을 말한다.
레코드 맵(470)은 스페이스 비트 맵과 유사하게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엔트리 정보로써 나타내는데, 엔트리 정 보는 상태정보, 시작 주소 정보, 끝 주소 정보로 이루어져 그 엔트리가 지정하는 영역의 정보는 그 영역의 상태 정보로 나타난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기록 상태 맵을 말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이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아닌지, 사용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파일 시스템 데이터에 적용한 기록 동작에 따른 디스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사용자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510)을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처음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여 초기 파일 시스템을 기록한 도면이다.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520)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고 나서, 파일 시스템이 변경되므로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때 호스트는 상기 갱신된 파일 시스템 데이터의 기록을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이용하여 명령한다. 그러면, 갱신된 파일 시스템(530)은 이 파일 시스템이 마치 결함에 의해 대체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디스크 결함 관리 방식의 일종인 선형 치환 방법에 의해 스페어 영역 2에 기록한다. 이 때 결함리스트에는 파일시스템(510)의 위치 정보와 파일시스템(530)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데이터(540)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고 나서,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이용하여 갱신된 파일 시스템(550)은 선형 치환 방법에 의해 스페어 영역 2에 기록한다. 이때 결함리스트에는 파일시스템(510)의 위치 정보와 파일시스템(550)의 위치 정보만이 기록된다.
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이터의 갱신된 데이터(560)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고 나서,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이용하여 갱신된 파일 시스템(570)은 선형 치환 방법에 의해 스페어 영역 1에 기록한다. 이때 결함리스트에는 파일시스템(510)의 위치 정보와 파일시스템(570)의 위치 정보만이 기록된다. 결함 리스트에 대해 이하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기록되는 결함 리스트의 일 예를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논리 섹터 번호 00h-FFh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물리 섹터 번호가 100h-1FFh(도 5a에서 파일 시스템(510) 기록 영역)라고 하고, 상기와 같은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논리 섹터 번호 00h-FFh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스페어 영역의 물리 섹터 번호 11FFh-11F00h(파일 시스템(530) 기록 영역)에 갱신되었다면 그 때 결함 섹터 정보와 대체 섹터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리스트(61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첫 번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결함 리스트가 만들어진 이후, 동일한 논리 섹터 번호 00h-FFh에 두 번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스페어 영역의 물리섹터 번호 11EFFh-11E00h에 갱신되었다고 하면, 그때 결함리스트의 결함 섹터 정보와 대체 섹터 정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논리 섹터 번호를 이용하여 그 논리 섹터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섹터 번호가 포함된 최종 결함 리스트(620)만 찾아보면 파일 시스템을 고정된 논리 섹터 번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갱신할 때, 디스크 결함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파일 시 스템을 갱신하는 것에 의해, 파일 시스템 데이터의 논리 섹터 번호를 고정시킴으로써 파일 시스템의 주소를 고정된 위치에서 얻을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기록을 하는 경우 하나의 층으로 된 디스크 영역의 사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b는 두 개의 층으로 된 디스크 영역의 사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의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드라이브 장치가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스페어 영역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스페어 영역을 초기화 시점에 미리 확보하거나 아니면 사용도중 필요시 스페어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라이브 장치는 호스트로부터 얼마나 많은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받을 지 알 수 없으므로 정보 저장 매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페어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를 참조하면, 기록 매체의 사용이 리드인 영역 0에서 리드아웃 영역 0의 방향으로 사용되어 질 경우 스페어 영역2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페어 영역 2에서는 리드아웃 영역에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사용한다.
그리고, 도 7b를 참조하면, 기록 매체의 사용이 리드인 영역 0에서 리드아웃 영역 0으로, 그리고 리드아웃 영역 1을 통해 리드아웃 영역 1의 방향으로 사용되어 질 경우 스페어 영역 4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사용방향은 리드인 영역 1에서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사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한 기록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드라이브 장치는 호스트로부터 대체 강요 기록 명령 및 기록 데이터를 수신한다(810). 즉, 드라이브 장치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호스트로부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와 함께 갱신할 데이터 및 상기 갱신할 데이터의 논리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커맨드와 논리 주소 정보를 시스템 제어기로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는 관리하는 결함 리스트를 찾아보고 그 결함리스트로부터 스페어 영역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을 찾는다. 그리고 그 사용되지 않는 영역의 물리 주소 정보를 서보로 전송하여 서보가 상기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제어하고, DSP로 상기 갱신할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록하도록 제어한다(820).
다음, 시스템 제어기는 마치 이러한 데이터의 갱신이 결함 발생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과 같이 결함리스트를 생성한다. 결함리스트에는 결함 섹터 번호와 대체 섹터 번호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결함 섹터 정보로는 상기 갱신된 데이터의 최초 기록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넣고, 대체 섹터 정보로는 현재 갱신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사용하여 결함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기는 생성된 결함 리스트를 리드인 영역의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83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추가 기록에 따른 파일 시스템 갱신을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수행하는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호스트는 기록 명령과 함께 추가 기록하려는 데이터 및 그 데이터가 추가 기록되는 주소 정보를 드라이브 장치로 전송한다(910).
드라이브 장치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기록 명령 및 주소 정보를 시스템 제어기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시스템 제어기는 상기 주소 정보에 따른 물리적 위치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DSP 및 서보를 제어한다(920).
다음, 시스템 제어기는 기록 종료 신호를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호스트로 전송한다(930).
이를 수신한 호스트는 상기 데이터 추가 기록에 의해 파일 시스템이 변경되었으므로, 파일 시스템 데이터에 대한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드라이브로 전송한다(940).
드라이브 장치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호스트로부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와 함께 갱신할 파일 시스템 데이터 및 상기 갱신할 파일 시스템 데이터의 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와 상기 논리적 주소 정보를 시스템 제어기로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먼저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결함 리스트를 찾아보고 그 결함리스트로부터 스페어 영역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을 찾는다. 그리고 그 사용되지 않는 영역의 물리 주소 정보를 서보로 전송하여 서보가 상기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제어하고, DSP로 상기 갱신할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록하도록 제어한다(950).
다음, 시스템 제어기는 마치 이러한 데이터의 갱신이 결함 발생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과 같이 결함리스트를 생성한다. 결함리스트에는 결함 섹터 번호와 대체 섹터 번호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결함 섹터 정보로는 상기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최조로 기록되었던 물리적 주소 정보(이러한 물리적 주소 정보는 상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와 함께 전송된 논리적 주소 정보를 변환하여 얻을 수 있다)를 넣고, 대체 섹터 정보로는 상기 갱신된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기록된 주소 정보를 사용하여 결함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기는 상기 생성된 결함 리스트를 리드인 영역의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960). 즉,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상기 리드인 영역의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결함 리스트가 기록될 위치 정보를 서보로 전송하고, 상기 결함 리스트 데이터를 DSP 로 전송하여 상기 결함 리스트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라 할지라도 그 재기록이 거듭될수록 매체의 특성이 악화되어 데이터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재기록 회수가 일정한 정도로 한정되어 있다. 이 경우 일정 정도의 회수 이후에는, 물론 이를 위해서는 재기록 회수 카운터같은 구성이 요구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사용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의한 설명에서는 갱신되는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기록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의 갱신을 결함관리 방식에 의해 수행하는 것에 의해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마치 재기록 정보 저장 매체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의해 DVD-R/DVD+R과 같은 1회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서도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찾는 번거로움 을 해소할 수 있어 시스템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15)

  1.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호스트로부터의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따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상기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에 따라 갱신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갱신될 데이터가 최초에 기록되어 있던 물리적 주소 정보와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갱신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리스트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갱신될 데이터를 상기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영역 중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제외한 스페어 영역에 기록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은 확장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될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7.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호스트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생성된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와 함께 갱신될 데이터 및 상기 갱신될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더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9.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커맨드에 따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상기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갱신될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와,
    b2) 상기 갱신될 데이터가 최초에 기록되어 있던 물리적 주소 정보와 상기 b1) 단계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리스트를 기록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갱신될 데이터는 상기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영역중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제외한 스페어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은 확장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될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4.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호스트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생성된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a)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디스크에 발생된 결함을 관리하는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대체 강요 기록 커맨드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커맨드에 따라 상기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갱신을 상기 결함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30088169A 2003-12-05 2003-12-05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05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69A KR101057998B1 (ko) 2003-12-05 2003-12-05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1/002,989 US20050169135A1 (en) 2003-12-05 2004-12-03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YPI20045023A MY137493A (en) 2003-12-05 2004-12-03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2006542504A JP2007513454A (ja) 2003-12-05 2004-12-04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CN2004800361199A CN1890718B (zh) 2003-12-05 2004-12-04 记录设备和记录方法
PCT/KR2004/003178 WO2005055210A1 (en) 2003-12-05 2004-12-04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K07107094.3A HK1100049B (en) 2003-12-05 2004-12-04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TW093137594A TWI273563B (en) 2003-12-05 2004-12-06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69A KR101057998B1 (ko) 2003-12-05 2003-12-05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660A KR20050054660A (ko) 2005-06-10
KR101057998B1 true KR101057998B1 (ko) 2011-08-19

Family

ID=3465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7998B1 (ko) 2003-12-05 2003-12-05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69135A1 (ko)
JP (1) JP2007513454A (ko)
KR (1) KR101057998B1 (ko)
CN (1) CN1890718B (ko)
MY (1) MY137493A (ko)
TW (1) TWI273563B (ko)
WO (1) WO2005055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1804A1 (en) * 2005-03-29 2006-10-05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defec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439843B1 (ko) * 2007-09-21 2014-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JP2009080895A (ja) * 2007-09-26 2009-04-16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この媒体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6429124B2 (ja) * 2015-03-27 2018-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530615B (zh) * 2019-09-18 2024-05-14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核电站设备的变量强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006A (ja) * 1996-10-18 1998-05-15 Sony Corp 信号記録装置および信号記録方法
JPH10222316A (ja) * 1997-02-12 1998-08-21 Sony Corp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方法
SG103868A1 (en) * 1998-04-20 2004-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method of recording data
KR100382639B1 (ko) * 1998-05-01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기록/재생정보를저장하는기록매체,실시간기록재생방법과장치및이정보를이용한파일조작방법
KR100437756B1 (ko) * 1998-07-14 2004-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및그결함영역관리방법과그포맷팅방법
KR100407931B1 (ko) * 1998-07-29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시간기록/재생시의파일관리방법및실시간데이터기록방법및그광기록/재생매체
KR100667729B1 (ko) * 1998-11-1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관리를 위한 여유 공간과 그 관리 정보를 갖는 디스크, 여유 공간 할당 방법과 결함 관리 방법
JP2000298936A (ja) * 1999-04-09 2000-10-24 Sanyo Electric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716965B1 (ko) * 2002-08-1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정보 저장매체 및 그 기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5210A1 (en) 2005-06-16
KR20050054660A (ko) 2005-06-10
CN1890718A (zh) 2007-01-03
JP2007513454A (ja) 2007-05-24
TWI273563B (en) 2007-02-11
MY137493A (en) 2009-02-27
US20050169135A1 (en) 2005-08-04
CN1890718B (zh) 2010-05-26
TW200519850A (en) 2005-06-16
HK1100049A1 (zh)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602B2 (ja)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初期化方法及び再初期化方法
KR101036473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중첩기록 관리방법 및관리정보 기록방법
US8068390B2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JP2008181650A (ja)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RU2343567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KR20060010431A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1057998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677120B1 (ko)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기록/재생방법, 초기화 방법 및 재초기화 방법
KR101009343B1 (ko) 기록 방법, 호스트 장치, 기록/재생 장치, 광 기록 정보저장 매체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5914885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US20050122870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100739679B1 (ko)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 및 결함 관리 장치
KR20060011075A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1306265B1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TWI384464B (zh) 非臨時性的資訊記錄媒體、記錄/再生裝置以及記錄/再生方法
KR100619030B1 (ko)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기록/재생 방법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HK1100049B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KR20050075125A (ko) 광 기록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기록/재생 방법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050121540A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