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4005B1 -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 Google Patents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005B1
KR101054005B1 KR1020090027115A KR20090027115A KR101054005B1 KR 101054005 B1 KR101054005 B1 KR 101054005B1 KR 1020090027115 A KR1020090027115 A KR 1020090027115A KR 20090027115 A KR20090027115 A KR 20090027115A KR 101054005 B1 KR101054005 B1 KR 10105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lno
conductive oxide
electrical conductivity
steel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851A (ko
Inventor
최종진
박동수
최준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2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00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0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 coating with specific electr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8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05D2202/15Stainless ste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a2O3 또는 La(CH3COO)3·6H2O의 La를 포함하는 원료분말과 NiO, Ni(CH3COO)4·4H2O 또는 Ni(NO3)4·6H2O의 Ni를 포함하는 원료분말을 1 : 1의 몰비로 볼밀 혼합한 후, 하소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볼밀로 밀링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에어로졸 증착법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증착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는 열처리를 통해 입성장이 이루어져 결정성이 향상되고, 평균입자 크기가 증가하여 향상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므로, 고온의 산화 및 환원에서도 안정한 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Stainless steel Metal interconnector coated with LNO conductivity oxide compound and improved phase stability and electric conductivity}
본 발명은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연료 전지로 불리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산소 또는 수소 이온전도성을 띄는 고체 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 전지로서 1937년에 Bauer와 Preis에 의해 처음으로 작동되었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현존하는 연료 전지 중 가장 고온(700 ℃ - 1000 ℃)에서 작동하며, 모든 구성 요소가 고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연료 전지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전해질의 손실 및 보충과, 부식의 문제가 없으며, 귀금속 촉매가 필요 없고 직접 내부 개질을 통한 연료 공급이 용이하다. 또한, 고온의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폐열을 이용한 열 복합 발전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 때문에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에 관한 연구는 21세기 초 상업화를 목표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산소 이온전도성 전해질과 그 양면에 위치한 캐소드(cathode) 및 애노드(anode)의 3층 셀(cell)로 이루어져 있다. 작동 원리는 캐소드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에 의해 생성된 산소이온이 전해질을 통해 애노드로 이동하여 다시 애노드에 공급된 수소와 반응함으로써 물을 생성하게 되고, 이때, 애노드에서는 전자가 생성되고 캐소드에서는 전자가 소모되므로 두 전극을 서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애노드과 캐소드의 가스를 분리하기 위해 접속자(interconnector)가 요구된다.
상기 접속자는 고온 및 산화분위기의 캐소드과 환원 분위기의 애노드에서 모두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하고, 전기전도도, 내열성, 내산화성, 기계적 강도, 열팽창 계수 등이 우수해야 한다. 이러한 접속자 재료로 처음에는 LaSrCrO3 등의 전도성 산화물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전도성 산화물은 가공성이 좋지 않으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가 원통형에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평판형을 중심으로 개발되며, 전해질의 두께 감소, 구성 요소의 특성 향상 등으로 인하여 800 ℃ 이하의 중저온에서도 높은 전력 밀도의 전지 성능이 가능해짐에 따라 가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접속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접속자로서 적합한 전기전도도 및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금속 재료로는 대표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작동 환경과 같은 고온에서 산화되어 표면에 전기전도도가 낮은 산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전기전도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형성되는 Cr2O3 계 산화물로부터 Cr이 휘발된 후 양극(兩極)에 증착되어 전극 특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스틸 표면에 전도성 산화물층을 코팅하여 산화를 방지하고 있으며, 종래 사용되는 코팅 방법으로는 슬러리 코팅(slurry coating)법, 플라즈마 코팅(plasma coating)법, 졸-겔 코팅(sol-gel coating)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로 형성된 산화막은 상이 치밀하지 못하여 산화 방지의 기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84892호에서는 감/가압식 슬러리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치밀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다공성 지지체 양단에 압력차를 유발시켜 세라믹 고상 입자가 분산된 슬러리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코팅층을 지지체 위해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코팅법을 이용한 치밀막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유럽 등록특허 제0974564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La,Sr)MnO3 (LSM) 코팅, 또는 (La,Sr)(Co,Fe)O3 (LSCF) 코팅을 고속 화염용사(high-Velocity Oxygen Fuel Spraying, HVOF)로 코팅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속 화염용사 코팅의 경우에는, 화염의 온도가 낮아 전도성 산화물이 충분히 용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런 방법들로 스테인레스 스틸에 전도성 산화물층을 코팅할 때, 형성된 산화막의 치밀성은 여전히 요구하는 정도보다 낮아 산화 방지가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LSM계 또는 LSCF계 코팅은 희토류 원소인 La 및 상대적 고가인 Sr, Mn 등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코팅 원료 분말의 가격이 비싸며, 중저온형 SOFC의 작동온도인 650 - 800 ℃ 부근에서 스테인레스 스틸과 반응하여 Mn-Cr 스피넬 계열의 산화물 반응층을 형성하여 전기 전도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LaNiO3 (이하 LNO)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형 복합화합물로 3d궤도를 갖는 천이금속인 Ni의 가전자가 +2가에서 +3가로 변화함에 따라서 전기적 또는 자기적 성질이 변화하는 금속적 전기전도성 산화물이다. 상기 물질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내열성, 내산화성 및 내부식성이 뛰어나고, 산화-환원의 변환특성이 우수하므로 가스센서용 재료나 메탄과 휘발성 유기 성분의 산화촉매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LNO 산화물은 약 1000 ℃ 이상의 소결온도에서 La2NiO4 상 등으로 분해가 일어나 LNO 단일상의 벌크 형태의 치밀한 세라믹스를 얻기는 매우 힘들고, 필름 형태의 경우에도 졸겔(sol-gel)법 등을 이용한 수백 나노 두께의 박막 형태로만 제조가 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를 연구하던 중, Ni을 포함하는 LNO 전도성 산화물을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에어로졸 방법으로 코팅시키고,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La2O3 또는 La(CH3COO)3·6H2O의 La를 포함하는 원료분말과 NiO, Ni(CH3COO)4·4H2O 또는 Ni(NO3)4·6H2O의 Ni를 포함하는 원료분말을 1 : 1의 몰비로 볼밀 혼합한 후, 하소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볼밀로 밀링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에어로졸 증착법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증착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는 열처리를 통해 입성장이 이루어져 결정성이 향상되고, 평균입자 크기가 증가하여 향상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므로, 고온의 산화 및 환원에서도 안정한 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증착법을 이용하여 Ni을 포함하는 LNO 전도성 산화물을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코팅시켜 제조되는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는 La2O3 또는 La(CH3COO)3·6H2O의 La를 포함하는 원료분말과 NiO, Ni(CH3COO)4·4H2O 또는 Ni(NO3)4·6H2O의 Ni를 포함하는 원료분말을 1 : 1의 몰비로 볼밀 혼합한 후, 하소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볼밀로 밀링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에어로졸 증착법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증착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코팅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La2O3 또는 La(CH3COO)3·6H2O의 La를 포함하는 원료분말과 NiO, Ni(CH3COO)4·4H2O 또는 Ni(NO3)4·6H2O의 Ni를 포함하는 원 료분말을 1 : 1의 몰비로 볼밀 혼합한 후, 하소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의 전도성 산화물 원료분말은 La2O3 또는 La(CH3COO)3·6H2O 등의 La를 포함하는 원료분말과 NiO, Ni(CH3COO)4·4H2O 또는 Ni(NO3)4·6H2O 등의 Ni를 포함하는 원료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1의 원료분말은 몰비가 1 : 1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원료분말의 몰비가 1 : 1인 범위를 벗어나면 전도성 막을 이루는 LNO 상의 수율이 저하되어 막의 전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원료분말의 하소는 600 - 90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하소 온도가 600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이 완료되지 않아 원료물질이 잔존하는 문제가 있고, 9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료분말의 분해로 인해 단일상의 LNO를 얻기 힘든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하소는 12 - 2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볼밀로 밀링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의 밀링은 100 - 300 rpm에서 1 -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의 밀링 후 얻어지는 전도성 산화물 분말의 평균 입경은 0.5 -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의 평균 입경이 0.5 ㎛ 미만인 경우에는 치밀한 막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막형성 속도가 느려지고 막의 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에어로졸 증착법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증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의 에어로졸 증착법은 100 - 500 m/s의 속도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분말을 가속시켜 기판에 충돌시킴으로써 단단한 성형체 막을 증착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금속기판은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니켈, 니켈 합금 등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4의 열처리는 250 - 10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시간은 1시간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처리에 요구되는 에너지 대비 열처리효과를 고려할 때, 8시간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LNO 후막은 결정성 및 평균입자 크기가 증가하여 향상된 전기전도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는 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의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고온의 열처리에서도 안정한 상이 나타났으며,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한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비교예 1 보다 저항값이 1/4 작은 것으로 나타나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는 열처리를 통해 입성장이 이루어져 결정성이 향상되고, 평균입자 크기가 증가하여 향상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므로, 고온의 산화 및 환원에서도 안정한 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i을 포함하는 전도성 산화물 박막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의 제조 1
단계 1 및 단계 2: Ni을 포함하는 전도성 산화물 분말의 제조
La2O3 및 Ni(CH3COO)4·H2O의 원료분말을 각각 44.68 g 및 68.71 g을 볼밀로 24시간 동안 혼합한 후, 900 ℃에서 16 시간 동안 하소하여 LNO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LNO 분말을 밀링하여 평균 입경이 2.02 ㎛인 Ni을 포함한 전도성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 위에 Ni을 포함한 전도성 산화물 분말의 증착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Ni을 포함한 전도성 산화물 분말을 에어로졸 증착법으로 300 m/s로 가속시켜 스테인레스 스틸(STS 444) 기판상에 5 ㎛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상기 에어로졸 증착을 위한 장비는 에어로졸실(aerosol chamber) 및 증착실(deposition chamber)을 포함하고 있으며, 펌프를 통해 증착실의 진공도를 낮추어 에어로졸실에서 형성된 분말과 수송가스 혼합체가 증착실로 이동하면서 기판과 충돌하여 막을 코팅시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를 제조하였다.
단계 4: 열처리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Ni을 포함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을 800 ℃에서 1 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실시예 2> Ni을 포함하는 전도성 산화물 막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의 제조 2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열처리 시간을 1,000 시간 동안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Ni을 포함하는 전도성 산화물 막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Li이 포함되지 않은 기존 전도성 산화물 박막(LSM)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의 제조
실시예 1의 전도성 산화물 LNO 분말 대신에 전도성 산화물 LSM((La,Sr)MnO3)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LSM 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및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상분석과 미세구조 분석
1.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및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상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및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상분석을 위해, X-선 회절분석기(XRD, Rigku co., D-MAX 2200)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X-선 회절분석 그래프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LNO 분말이 제조되었음 을 알 수 있고(도 1(b) 참조),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은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 위에 증착 후에도 대부분 동일한 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도 1(a) 참조). 또한, X-선 회절분석 피크의 강도가 작아지고 넓어진 것으로 보아 증착막 내의 결정상의 입도가 출발 분말에 비해 크게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2.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및 스테인레스 스틸에 코팅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미세구조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및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JEOL, JSM-6700F)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은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균일한 분포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고(도 2(a) 참조),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은 약 5 ㎛ 두께의 치밀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도 2(b) 참조). 또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단면을 통해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이 스테인레스 스틸에 고르게 증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2(c)).
<실험예 2>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미세구조 및 조성 분석
1.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상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인 LNO 전도성 산화물 막과 실시예 2인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상분석을 위해, X-선 회절분석(XRD)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LNO 전도성 산화물 막(도 3(b))의 X-선 회절분석 피크의 크기가 열처리 전 LNO 전도성 산화물 막(도 3(a))에 비해 증가한 것을 통해 입성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2의 LNO 전도성 산화물 막(도 3(c))에 이차상이 관찰됨을 통해 계면에 산화크롬(Cr2O3) 및 스피넬 구조의 반응층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미세구조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인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표면 및 단면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 후에도 스테인레스 스틸의 산화에 의한 큰 미세구조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도 4(b) 참조), 막과 스테인레스 스틸 간의 접합도 건전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도 4(a)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복합 산화물 코팅이 고온에서의 열처리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조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LNO 전도성 산화물 막 및 계면반응층의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TEM, JEOL, JEM-2100F) 및 X-선 분광분석(EDS, JEOL, JEM 2100F) 맵핑(mapping)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각각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EDS 조성 정량 분석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LNO 전도성 산화물층(D)과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A) 사이의 계면 스피넬 반응층(C) 및 크롬 산화물 층(B)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계면 스피넬 반응층(C)에 Ni 원소가 11.7%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LNO 전도성 산화물층(D)부터 계면 스피넬 산화물 반응층(C)까지 Ni 원소가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A)에 포함된 Mn 원소가 표면으로 확산되어 스피넬 산화물층(C)을 형성하고, LNO 전도성 산화물층(D)으로도 확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도 5 참조). 도 6의 La, Ni, Mn, Cr 및 Fe 원소의 분포를 X-선 분광분석장치로 맵핑한 사진에서도 La의 확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Ni은 스피넬 층을 통해 확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에 코팅되는 LNO 전도성 산화물의 전기적 특성의 장기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LNO 전도성 산화물이 증착된 스테인레스 스틸(STS 444) 전기적 특성(전기전도도)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DC 4-프로브법으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접속자와 비교예 1의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접속자의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인 LSM 산화물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은 250시간 후에 13.3 mΩ·㎠의 면적비저항(ASR) 값을 가지고 실시예 1인 LNO 산화물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은 동일 온도 및 시간에서 3.6 mΩ·㎠의 면적비저항 값을 가져, 약 1/4의 저항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인 LNO 전도성 산화물이 증착된 스테인레스 스틸의 면적비저항 값은 7.3 mΩ·㎠으로 매우 낮아 매우 뛰어나 전기전도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동일 온도에서 20,000시간 열처리 후에도 허용치인 100 mΩ·㎠보다 낮은 면적비저항 값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및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X-선 회절분석(XRD) 결과이고(도 1(a): LNO 전도성 산화물 막, 도 1(b):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및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제조된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도 2(a):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도 2(b): LNO 전도성 산화물 막, 도 2(c):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단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단계 3인 열처리 전 LNO 전도성 산화물 막, 실시예 1인 LNO 전도성 산화물 막 및 실시예 2인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X-선 회절분석 결과이고(도 3(a): 실시예 2, 도 3(b): 실시예 1, 도 3(c): LNO 전도성 산화물 분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표면 및 단면을 분석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도 4(a): 실시예 2의 LNO 전도성 산화물 막의 단면, 도 4(b): 실시예 2의 LNO 전도성 산화물 막);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미세구조 및 조성을 분석한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 및 정량분석 결과이고(도 5(a):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도 5(b): 정량분석결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계면 반응층의 미세구조 및 La, Ni, Mn, Cr, Fe 원소들의 분포를 분석한 X-선 분광분석 맵핑(mapping) 결과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의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LSM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Claims (3)

  1. La2O3 또는 La(CH3COO)3·6H2O의 La를 포함하는 원료분말과 NiO, Ni(CH3COO)4·4H2O 또는 Ni(NO3)4·6H2O의 Ni를 포함하는 원료분말을 1 : 1의 몰비로 볼밀 혼합한 후, 하소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볼밀로 밀링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LNO 분말을 에어로졸 증착법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증착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코팅방법을 이용하여 Ni을 포함하는 LNO 전도성 산화물을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상에 코팅시켜 제조되는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는 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KR1020090027115A 2009-03-30 2009-03-30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Expired - Fee Related KR10105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115A KR101054005B1 (ko) 2009-03-30 2009-03-30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115A KR101054005B1 (ko) 2009-03-30 2009-03-30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851A KR20100108851A (ko) 2010-10-08
KR101054005B1 true KR101054005B1 (ko) 2011-08-04

Family

ID=4313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1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4005B1 (ko) 2009-03-30 2009-03-30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3A (ko) * 2016-11-07 2018-05-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희토류 산화물 입자가 분산된 철 기저 합금 금속 분리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3046A (zh) * 2021-12-14 2022-03-2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金属表面涂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541A (ko) * 2007-12-14 2009-06-18 한국기계연구원 에어로졸 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치밀한 상온 전도성후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541A (ko) * 2007-12-14 2009-06-18 한국기계연구원 에어로졸 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치밀한 상온 전도성후막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논문2
논문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3A (ko) * 2016-11-07 2018-05-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희토류 산화물 입자가 분산된 철 기저 합금 금속 분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851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2733B2 (ja) 燃料電池インタコネクタデバイス
RU2403655C9 (ru) Инфильтрация исх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покрытия
JP5762295B2 (ja) 低温sofc用の新素材および構造
EP1611632A4 (en) POROUS ELETRODE,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U2008282747A1 (en) Protective oxide coatings for SOFC interconnections
Du et al. A SmBaCo 2 O 5+ δ double perovskite with epitaxially grown Sm 0.2 Ce 0.8 O 2− δ nanoparticles as a promising cathode for solid oxide fuel cells
JP6947295B2 (ja) 固体酸化物燃料電池用連結材、その製造方法及び固体酸化物燃料電池
Lee et al. Evaluation of Ag-doped (MnCo) 3O4 spinel as a solid oxide fuel cell metallic interconnect coating material
Huang et al. Evaluation of Ba0. 6Sr0. 4Co0. 9Nb0. 1O3− δ mixed conductor as a cathode for intermediate-temperature oxygen-ionic solid-oxide fuel cells
Seo et al. Nanoscale interface engineering for solid oxide fuel cells using atomic layer deposition
KR101429944B1 (ko) 후열처리된 복합체 공기극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Ju et al. Phase transition of doped LaFeO3 anode in reducing atmosphere and their power generation property in intermediate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
KR101079248B1 (ko) 전도성 산화물과 비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치밀한 구조의 복합 산화물의 박막, 이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금속 접속자
Zheng et al. Enhanced anti-chromium poisoning ability of high entropy La0. 2Nd0. 2Sm0. 2Sr0. 2Ba0. 2Co0. 2Fe0. 8O3-δ cathodes for solid oxide fuel cells
Liang et al. Fabrication of Gd2O3-doped CeO2 thin films through DC reactive sputtering and their application in solid oxide fuel cells
Lee et al. Electrochemical study on the effect of catalytic current collecting layer on thin film La0. 6Sr0. 4Co0. 8Fe0. 2O3− δ (LSCF) cathode
US7468218B2 (en) Composite solid oxide fuel cell anode based on ceria and strontium titanate
Khandale et al. Nd1. 8Sr0. 2NiO4− δ: Ce0. 9Gd0. 1O2− δ composite cathode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KR101054005B1 (ko) Lno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상안정성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접속자
KR100960270B1 (ko) 치밀한 구조를 갖는 스피넬계 전도성 박막,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금속 접속자
Yang et al. Influences of feedstock and plasma spraying parameters on the fabrication of 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anodes
JP6947297B2 (ja) 固体酸化物燃料電池用連結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固体酸化物燃料電池
Zhang et al. 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itanate perovskite with in situ exsolution as a ceramic electrode material
CN1144310C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堆用的复合连接板
EP2722920B1 (en) Solid electrolyte, solid electrolyte membrane, fuel battery cell, and fuel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