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3052B1 -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052B1
KR101053052B1 KR1020100055716A KR20100055716A KR101053052B1 KR 101053052 B1 KR101053052 B1 KR 101053052B1 KR 1020100055716 A KR1020100055716 A KR 1020100055716A KR 20100055716 A KR20100055716 A KR 20100055716A KR 101053052 B1 KR101053052 B1 KR 10105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protective film
suture
protection devic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익준
Original Assignee
임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익준 filed Critical 임익준
Priority to KR102010005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의 골유도재생술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봉합된 잇몸(판막) 부위가 터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치과적 기구에 관한 것으록, 본 발명의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는 상하를 가로질러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삽입되고, 상부는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위에 위치되어 봉합된 잇몸 부위를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과 힐링 어버트먼트의 각 관통공을 거쳐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을 잇몸 위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GBR 시술시 절개 부위의 양측 연조직 간의 장력이 없는 한편, 외부 자극에 의한 연조직 손상을 줄임으로써, 봉합 부위가 터지지 않고 수복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Device for protecting sutured gingiva}
본 발명은 절개된 잇몸의 봉합 부위를 보호하는 치과적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의 골유도재생술 시술시 봉합된 잇몸(판막) 부위가 터지지 않고, 잘 수복되도록 보호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치조골에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것을 말한다. 치아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서 충분한 치조골은 매우 중요한 선결조건이다. 치조골의 폭과 높이가 불충분하여 효과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에는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새로운 치조골을 형성시키는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이하 'GBR 시술'이라 약칭함)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GBR 시술은 임플란트 시술 전 또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1a는 임플란트 식립 전 GBR 시술에 따른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1a에 보이는 바와 같이, GBR 시술은 잇몸(판막)(1)을 절개하고 상거한 다음, 치조골(2)의 결손부위에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 골이식재(3)를 의도에 맞게 충전한 후,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차폐막(barrier membrane)(4)으로 빈틈없이 감싸고, 판막(flap)(1)을 봉합하여 이루어진다. 차폐막(4)은 골결손부 내로 상피조직이 침투, 성장하는 것을 차단하고, 골이 형성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다. 골아세포는 골결손부 내로 점차적으로 유입되어, 결손된 치조골로 성장한다. 충분한 치조골의 수복기간은 약 8~9개월 정도이다. 치조골이 충분히 수복되면, 그 때 비로소 임플란트 시술을 시행한다.
한편, 비교적 치조골 결손이 적을 경우에는 임플란트 시술과 동시에 GBR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수술법은 크게 2회법(Two-stage implant)과 1회법(One-stage implant)으로 구분된다.
도 1b는 임플란트 2회법에 따른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1b에 보이는 바와 같이, 2회법은 치조골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탭핑한 다음, 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 픽스쳐(fixture)(5)를 식립한다. 픽스쳐(5)는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티타늄 재질로서, 그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홈에는 최종적으로는 보철물용 어버트먼트(abutment)가 체결된다. 상기 픽스쳐의 나사홈에는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스크류(cover screw)(6)를 체결하고, 잇몸을 덮고 봉합하여 1차 수술을 완료한다. 일정기간(대략 3 ~ 6 개월)이 경과하여 치조골이 충분히 수복되면, 잇몸을 다시 절개하여 커버스크류(6)를 제거한 후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로 교체하고, 그 옆의 잇몸이 벌어지지 않도록 다시 봉합한다. 힐링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에 보철용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기 전에 픽스쳐 위로 잇몸이 깨끗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약 2 ~ 3주 후 이를 다시 제거한 다음 보철용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인공치의 본을 떠 상기 보철용 어버트먼트 상측에 인공치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2회법은 서브머지드 타입(submerged type) 시술이라 불린다.
도 1c는 임플란트 1회법에 따른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1c에 보이는 바와 같이, 1회법은 임플란트 픽스쳐(5) 식립 후,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7)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도록 체결한 후, 주변 잇몸을 봉합한다. 이때 힐링 어버트먼트는 1회법에서의 커버스크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잇몸 절개가 필요없다.
GBR 및 임플란트 시술은 일반적으로 시술자(치과의사)의 오랜 경험과 숙련도가 요구되는 상당히 어려운 외과적 수술이다. 성공적인 GBR 시술을 위해서는 환자의 전반적 치주 상태, 판막 설계, 골이식재 및 차폐막 선택, 안정한 판막 봉합 등 여러 요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 외과적 단순봉합과 달리 GBR 시술에서의 봉합은 쉽지 않다. 이는 주로 발치 또는 치조골 퇴축으로 봉합될 잇몸(연조직)이 부족한 데 기인한다.
판막(잇몸)의 봉합은 GBR 시술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연조직(잇몸)이 부족한 경우 양 판막 간에 장력(tension)없이 봉합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필요에 따라서는 판막(1) 안쪽으로 여러번 이완 절개(releasing incision)하여 연조직을 늘린 후 판막을 봉합하기도 하는 데, 여전히 연조직의 장력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연조직에는 많은 혈관이 분포하기 때문에 시술 후에 수복과정에서 심한 부종과 허혈을 일으킬 수 있고, 종국에는 봉합 부위의 열개(dehiscence, 터져 벌어짐)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시술 후 점진적인 외부 자극에 의하여 봉합사가 풀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또한, 봉합 부분에서의 자가 면역 반응으로 연조직이 약해지고, 종국에는 연조직이 찢겨 열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단 봉합 부분이 열개되면 차폐막이 노출되고, 시술부위가 감염되므로 수술의 실패 가능성이 커지고, 목적하는 양만큼의 충분한 치조골 증대도 기대하기 어렵다. 재시술에는 더욱 숙련된 시술이 요구되고, 많은 비용과 오랜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봉합된 잇몸이 수복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2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데, 그 동안 환자의 부주의, 예컨데, 음식물의 자극에 의해 봉합 부위가 터지는 경우도 GBR 시술의 주요 실패 요인 중 하나이다.
GBR 시술에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시술자의 숙련된 봉합술 외에 별다른 보호 수단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GBR 시술시 절개 부위의 양측 연조직 간의 장력이 없는 한편, 외부 자극에 의한 연조직 손상, 봉합사 풀림을 줄임으로써, 봉합 부위가 터지지 않고 수복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는 치과전문의로서 오랜기간 수많은 GBR 및 임플란트 시술을 시행하였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GBR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잇몸의 봉합 부위를 보호하여 잇몸을 효과적으로 수복시키는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하를 가로질러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삽입되고, 상부는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위에 위치되어 봉합된 잇몸 부위를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과 힐링 어버트먼트의 각 관통공을 거쳐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을 잇몸 위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체결되고, 상부는 잇몸 밖으로 노출되며, 상부 중앙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위에 위치되어 봉합된 잇몸 부위를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부의 체결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을 잇몸 위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조골의 골이식재생술(GBR) 시술시 봉합된 잇몸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을 입술측 잇몸과 혀쪽 잇몸에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에 연결된 고리형 바늘(hooked needle)을 포함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잇몸 모양에 맞게 구부려 질 수 있는 탄성 보호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제조시 U자형으로 이미 성형되어 있는 보호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2이상의 필름부재가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재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고리형 바늘을 모두 잇몸에 삽입고정 시킨 후 필름부재 간 접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재에는 다수개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필름부재에는 다수개의 결합 홈이 형성되어, 고리형 바늘을 모두 잇몸에 삽입고정 시킨 후 필름부재 간 결착시킬 수 있다.
고리형 바늘은 제한되지 않으나, 잇몸이 찢기지 않고 안정적인 삽입고정을 위하여 본 발명의 고리형 바늘은 납작한 형태 바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형 바늘은 상기 보호필름 단부에 직접 고정되거나, 신축성있는 끈이나 벨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있는 끈이나 벨트는 상기 보호필름을 잇몸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한편, 한쪽 고리형 바늘은 상기 보호필름 단부에 부착되고, 반대쪽 고리형 바늘은 신축성 끈이나 벨트로 보호필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필름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봉합사(16)를 이용한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보호기구는 상기 보호필름을 입술측 잇몸과 혀쪽 잇몸에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양단부에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일 단부에는 봉합사가 고정되어 있고, 대응되는 단부에는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일 단부에는 고리형 바늘이 고정되어 있고, 대응되는 단부에는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a는 임플란트 식립 전 GBR 시술에 따른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1b는 임플란트 2회법에 따른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임플란트 1회법에 따른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잇몸 봉합부위 보호기구의 체결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보호기구의 시술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b는 도 2의 보호기구가 적용된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잇몸 봉합부위 보호기구의 체결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보호기구가 적용된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위 보호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5의 보호필름 단부의 탄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b는 도5의 보호필름 능선의 탄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바늘의 구조 및 보호필름 부착을 나타낸 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A'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바늘의 구조 및 보호필름 부착을 나타낸 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B-B'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바늘의 구조 및 보호필름 부착을 나타낸 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C-C'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봉합 부위 보호기구가 설치된 시술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이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설치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2중 필름부재가 접착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중 필름부재가 접착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바늘이 신축성 끈으로 보호필름과 연결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바늘이 한쪽은 보호필름에 고정되고, 반대쪽은 신축성 끈으로 보호필름과 연결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보호필름의 설치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 단부에 2쌍의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부에 봉합사가 고정되어 있는 보호기구이 사시도이다.
도 18a는 GBR 시술시 입술쪽 판막과 혀쪽 판막을 봉합하지 않고 도 13a의 보호기구를 적용한 사진이다.
도 18b는 적용 10일 후 보호기구를 제거한 사진으로, 입술쪽 판막과 혀쪽 판막이 효과적으로 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GBR 시술시 봉합된 절개 부위의 양측 연조직 간의 장력이 없어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수복이 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섭취 등 외부 자극에 의해 연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봉합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잇몸(gingiva)은 용어 '판막'(flap), '연조직'(soft tissue), '치은'과도 동일한 의미로 혼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봉합 부위 보호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잇몸 봉합부위 보호기구를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 1의 보호기구는 임플란트 1회법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 1의 보호기구는 중앙부에 관통공(31)이 형성된 힐링 어버트먼트(30); 중앙부에 관통공(18)이 형성된 보호필름(10); 및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30)와 보호필름(10)을 픽스쳐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40)를 포함한다.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30)의 하부는 픽스쳐(5)의 내부 홈에 삽입되고, 상부는 시술시 잇몸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30)의 하부에는 픽스쳐(5)의 각형 홈(보통 6각형으로 이루어짐)에 삽입되도록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2)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시술시 힐링 어버트먼트(30)가 픽스쳐(5)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는 픽스쳐(5)의 각형 홈에 대응되는 각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3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30)를 픽스쳐(5)에 삽입한 후, 그 주위에 잇몸을 위치시키고 판막(잇몸)을 봉합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봉합시 이물질이 힐링 어버트먼트의 관통공(31)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 마개(미도시)가 관통공(31)에 끼워질 수 있다.
잇몸 봉합하고, 임시 마개를 제거한 후,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30) 위에 관통공(18)이 형성된 보호필름(10)을 위치시킨다. 상기 보호필름(10)은 잇몸 수복기간 중 외부 자극으로부터 봉합된 잇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시술되는 잇몸의 모양에 맞도록 U자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40)를 상기 보호필름과 힐링 어버트먼트의 관통공(18, 32)을 통과시키고, 픽스쳐(5)의 내부 홈에 체결시킨다.
실시예 2.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 2의 보호기구는 하부에는 픽스쳐의 내부 홈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스크류(40a)와 체결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힐링 어버트먼트(30a); 중앙부에 관통공(18)이 형성된 보호필름(10); 및 상기 보호필름(10)을힐링 어버트먼트(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4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2의 힐링 어버트먼트(30a)는 픽스쳐(5)에 체결되므로, 잇몸 봉합시 힐링 어버트먼트(30a)가 빠질 염려가 없어, 실시예 1에 비해 보다 원활한 시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GBR 시술, 임플란트 1회법 및 2회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봉합부위 보호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기구는 잇몸 봉합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10a)과, 상기 보호필름(10a)을 잇몸에 고정하기 위한 고리형 바늘(20)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10a)은 비교적 얇은 막(thin membrane)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금니 잇몸는 앞니 잇몸에 비해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 휘거나 탄성있는 재질의 판형(flat type) 보호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필름(10a)은 적용될 잇몸 구조에 맞게 U자 형태로 미리 성형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은 외력이 없을 때 본래 형태를 유지할 정도로 단단하나, 외력에 의해 어느 정도 휘거나 탄성이 있는 가요성(flexibility)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성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적절한 합성수지 필름(plastic film) 또는 비교적 단단한 고무재질 필름(rubber film)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은 기본적으로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적용될 여러 잇몸 모양에 맞게 다양한 U자 형태로 성형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필름의 U자 모양은 환자 치주의 폭, 높이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시술후 봉합부위의 지속적인 관찰을 위해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 바늘(20)은 상기 보호필름(10a)의 능선(ridge)를 기준으로 각각 양쪽 단부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쪽 고리형 바늘은 입술쪽 판막(순측 판막, labial flap)에 삽입 고정되고, 반대쪽 바늘은 혀쪽 판막(설측 판막, lingual flap)에 삽입 고정된다. 보호필름의 안정한 고정을 위하여 동일 단부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고리형 바늘(2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기구는 바늘에 의해 잇몸에 고정되어 잇몸이 아물때까지 오랜시간 견디어야 한다(약 2주). 따라서, 잇몸의 찢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늘 횡단면이 둥근 모양 보다는 도 7a, 7b와 같이 납작한 바늘(flat type needle)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형 바늘(20)은 보호필름(10a)의 단부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은 원칙적으로 종래 공지 기술에 따르고, 어떠한 방법으로 고정되더라도 상관없다. 예컨데,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거나, 바늘 단부가 보호필름 속에 삽입 성형될 수도 있다(도면 미도시).
도 7a 및 7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바늘 단부는 보호필름의 상부에 위치하며, 바늘 양 측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스테플러 방식으로 눌러 찍어 필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도 7a의 고정방식과 동일하나, 바늘(20a)이 보호필름(10a) 하부에 위치된 경우이다.
다른 예로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20b)과 보호필름(10a)은 별도의 바늘 체결구(21)를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 7a, 8a 및 9a에 도시된 것은 바늘이 보호필름에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 결합관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기술 수준을 바탕으로 당업자에 의해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및 응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보호기구가 적용된 시술부위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보호필름은 봉합 부위에 약간의 공간이 유지되도록 잇몸에 결착될 수 있다. 이는 봉합 부위의 치은 성장(gingival growth)를 보다 원활히 하고, 수복시 봉합 부위가 약간 부풀어 오르더라도 압박되지 않도록 한다. 시술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봉합 부위는 상기 보호필름에 천천히 밀착되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기구는 보호필름으로 양 판막을 커버하며, 판막 절개면의 연약한 연조직이 아닌 상대적으로 튼튼한 연조직에 바늘을 고정시키므로, 연조직이 부족하여 양 판막 간에 약간의 갭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치은 성장(gingival growth)을 유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양 판막을 봉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이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의 모양은 사각(10a)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부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양 판막에서의 장력 감소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이 모든 절개부를 덮을 필요는 없다. 다만, 절개부 전체를 덮는 모양(10f)은 외부 자극에 좀더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적용될 치아 구조에 맞게 보호필름을 잘라내고 시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치아 잇몸에 적용되도록 상기 보호필름은 넓은 형태(10g)로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는 고리형 바늘이 잇몸에 충분히 삽입되는 것이 중요하며, 안정한 고정을 위해 바늘 길이도 그만큼 길어져 잇몸 삽입이 수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 3의 보호기구에 비해 보다 수월하게 바늘을 삽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보호기구는 2개의 필름부재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양 모두의 필름부재의 일면에는 접착제(11)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름부재의 한쪽 단부에만 바늘이 고정되어 있다. 먼저 모든 바늘을 잇몸에 삽입 고정시킨 후 각 필름부재를 접착시켜 마무리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필름부재(10b)는 도 2의 단일 보호필름과 동일 재질이고, 다른 필름부재(10c)는 전혀 단단할 필요가 없다. 접착제 면에는 이형지(12)가 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13은 2개의 필름부재가 결합된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하나의 필름부재(10c)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13)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필름부재(10d)에는 상기 체결돌기(1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양 필름부재는 동일 재질이거나 이종 재질일 수 있다. 양 필름부재의 두께 안정된 체결을 위하여 체결홈이 형성된 필름부재(10e)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은 1개의 보호필름으로도 수월하게 바늘 삽입 고정이 가능한 또 다른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이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 바늘(20c)이 필름 단부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신축성(strechable) 끈(22)이나 벨트에 연결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신축성 끈(22) 또는 벨트는 탄성사(elastic thread) 또는 고무줄(rubber string)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된다. 상기 신축성 끈이나 벨트는 별도의 고정수단(23)에 의해 보호필름(10h)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3)은 신축성 끈이 보호필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따라서, 신축성 끈은 고정수단(23)에 완전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신축성 끈(22)은 고정수단 내에서 미끄러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3)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신축성 끈이 길수록 보다 용이한 바늘 삽입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신축성 끝 또는 벨트에 위해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바늘과 이에 대응되는 반대쪽 바늘 간에는 과도한 장력이 유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효과적인 잇몸 수복을 위해서는 봉합 부위의 입술쪽 판막과 혀쪽 판막 간에 장력이 없어야 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또 다른 보호기구는 보호필름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봉합사(16)를 이용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10i)의 양 단부에는 봉합사(16)가 통과되도록 한쌍 씩의 관통공(hole)(15)이 형성되어 있다. 봉합용 바늘(17)는 필름의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15)을 통과한 후 서로 매듭지어 진다. 도 16b는 도16a에 도시된 보호기구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봉합된 판막이 충분히 수복될 때가지 봉합사는 풀려져서는 안된다. 따라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필름의 일 단부에는 2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2쌍의 관통공은 1쌍에 비해 보다 안정하고, 잘 풀리지 않는 매듭을 가능케 한다.
실시예 7.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봉합사는 보호필름의 일 단부에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따른다. 예컨데, 도 16a의 보호필름에 봉합사를 매듭하거나, 스테플러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도 16a 및 도 17b와 달리 1번의 매듭만으로 보호필름을 잇몸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기구는 보호필름 일 단부에는 고리형 바늘이 구비되고, 대응되는 단부에는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 역시 1번의 매듭만만으로 보호필름을 잇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보호기구는 임플란트 2회법은 물론 1회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험예.
도 18a는 GBR 시술시 입술쪽 판막과 혀쪽 판막을 서로 봉합하지 않고 도 16a의 보호기구를 적용한 사진이고, 도 18b는 10일 후 보호기구를 제거한 사진이다.
도 18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양 판막(flap)을 봉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보호기구를 시술하더라도 판막이 오픈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붙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판막(잇몸) 2: 치조골
3: 골이식재 4: 차폐막
5: 픽스쳐 6: 커버스크류
7: 힐링 어버트먼트 10, 10a ~ 10i: 보호필름
11: 접착제 12: 이형지
13: 체결돌기 14: 체결홈
15: 봉합사 관통공 16: 봉합사
17: 봉합용 바늘 18: 커버스크류 관통공
20, 20a ~ 20d: 고리형 바늘 21: 바늘 체결구
22: 신축성 끈 23: 신축성 끈 고정수단
30, 30a: 힐링 어버트먼트 40: 스크류

Claims (15)

  1. 치조골의 골이식재생술(GBR)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봉합된 잇몸 부위를 보호하는 기구로서,
    상하를 가로질러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삽입되고, 상부는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위에 위치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잇몸의 봉합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과 힐링 어버트먼트의 각 관통공을 거쳐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을 잇몸 위에 고정시키는 스크류;
    를 포함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2. 치조골의 골이식재생술(GBR)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봉합된 잇몸 부위를 보호하는 기구로서,
    하부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내부 홈에 체결되고, 상부는 잇몸 밖으로 노출되며, 상부 중앙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위에 위치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잇몸의 봉합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부의 체결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을 잇몸 위에 고정시키는 스크류;
    를 포함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3. 치조골의 골이식재생술(GBR)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봉합된 잇몸 부위를 보호하는 기구로서,
    잇몸의 봉합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을 입술측 잇몸과 혀쪽 잇몸에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에 연결된 고리형 바늘(hooked needle)을 포함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잇몸 모양에 맞게 구부려 질 수 있는 탄성 보호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U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바늘은 잇몸이 찢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면이 납작형 바늘(flat type need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바늘은 상기 보호필름 단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2이상의 필름부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재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다른 필름부재와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2이상의 필름부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재에는 다수개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필름부재에는 다수개의 결합 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11.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바늘은 신축성 줄 또는 벨트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12.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고리형 바늘은 상기 보호필름 단부에 부착되고, 반대쪽 고리형 바늘은 탄성사에 의해 보호필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13. 치조골의 골이식재생술(GBR)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봉합된 잇몸 부위를 보호하는 기구로서,
    잇몸의 봉합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을 입술측 잇몸과 혀쪽 잇몸에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양단부에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14. 치조골의 골이식재생술(GBR)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봉합된 잇몸 부위를 보호하는 기구로서,
    잇몸의 봉합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을 입술측 잇몸과 혀쪽 잇몸에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일 단부에는 봉합사가 고정되어 있고, 대응되는 단부에는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15. 치조골의 골이식재생술(GBR) 또는 임플란트 시술시 봉합된 잇몸 부위를 보호하는 기구로서,
    잇몸의 봉합 부위를 커버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을 입술측 잇몸과 혀쪽 잇몸에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일 단부에는 고리형 바늘이 고정되어 있고, 대응되는 단부에는 봉합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1020100055716A 2010-06-12 2010-06-12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10105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16A KR101053052B1 (ko) 2010-06-12 2010-06-12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16A KR101053052B1 (ko) 2010-06-12 2010-06-12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052B1 true KR101053052B1 (ko) 2011-08-01

Family

ID=4493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716A KR101053052B1 (ko) 2010-06-12 2010-06-12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05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447A2 (en) * 2010-08-17 2012-02-23 Warsaw Orthopedic, Inc. Implant repair system and method
KR200465805Y1 (ko) 2011-08-17 2013-03-11 오해수 임플란트용 차단막
WO2013095077A1 (ko) * 2011-12-23 2013-06-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WO2013109018A1 (ko) * 2012-01-20 2013-07-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KR101375152B1 (ko) * 2012-07-16 2014-04-2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구치용 힐링 어버트먼트
WO2015157784A1 (de) * 2014-04-15 2015-10-22 Dietmar Sonnleitner Zahnimplantatsystem
KR101703802B1 (ko) * 2015-10-15 2017-02-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3d 치과용 차폐막 성형기구
CN107303203A (zh) * 2016-04-22 2017-10-31 合镒技研股份有限公司 齿槽膜
WO2018143547A1 (ko) * 2017-02-06 2018-08-09 강남원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102034418B1 (ko) * 2019-08-28 2019-10-18 김기수 치과용 어버트먼트 커버 스크류
KR102226712B1 (ko) * 2020-10-14 2021-03-10 한수일 치과용 봉합 밴드
WO2023121061A1 (ko) * 2021-12-20 2023-06-29 문천호 치과 임플란트용 스크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232A (ja) * 1993-03-26 1994-10-04 Yuichi Abe 歯槽骨再生用歯科治療材
JPH0796042A (ja) * 1993-05-07 1995-04-11 Hisatoshi Tanaka 圧電性高分子を用いた歯周組織および骨誘導再生法
KR20090110136A (ko)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힐링 커버를 갖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힐링 어버트먼트
KR20100025369A (ko) * 2008-08-27 2010-03-09 윤형의 임플란트용 골이식재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232A (ja) * 1993-03-26 1994-10-04 Yuichi Abe 歯槽骨再生用歯科治療材
JPH0796042A (ja) * 1993-05-07 1995-04-11 Hisatoshi Tanaka 圧電性高分子を用いた歯周組織および骨誘導再生法
KR20090110136A (ko)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힐링 커버를 갖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힐링 어버트먼트
KR20100025369A (ko) * 2008-08-27 2010-03-09 윤형의 임플란트용 골이식재 고정구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447A2 (en) * 2010-08-17 2012-02-23 Warsaw Orthopedic, Inc. Implant repair system and method
WO2012024447A3 (en) * 2010-08-17 2012-05-31 Warsaw Orthopedic, Inc. Implant repair system and method
KR200465805Y1 (ko) 2011-08-17 2013-03-11 오해수 임플란트용 차단막
WO2013095077A1 (ko) * 2011-12-23 2013-06-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CN104135963A (zh) * 2011-12-23 2014-11-05 奥齿泰有限责任公司 牙膜
US10105198B2 (en) 2011-12-23 2018-10-23 Osstemimplant Co., Ltd. Dental membrane
WO2013109018A1 (ko) * 2012-01-20 2013-07-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KR101375152B1 (ko) * 2012-07-16 2014-04-2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구치용 힐링 어버트먼트
CN106232054A (zh) * 2014-04-15 2016-12-14 迪特马尔·松莱特纳 牙齿植入系统
WO2015157784A1 (de) * 2014-04-15 2015-10-22 Dietmar Sonnleitner Zahnimplantatsystem
CN106232054B (zh) * 2014-04-15 2021-03-09 迪特马尔·松莱特纳 牙齿植入系统
KR101703802B1 (ko) * 2015-10-15 2017-02-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3d 치과용 차폐막 성형기구
CN107303203A (zh) * 2016-04-22 2017-10-31 合镒技研股份有限公司 齿槽膜
WO2018143547A1 (ko) * 2017-02-06 2018-08-09 강남원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20180091263A (ko) * 2017-02-06 2018-08-16 강남원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101928738B1 (ko) 2017-02-06 2019-03-12 강남원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102034418B1 (ko) * 2019-08-28 2019-10-18 김기수 치과용 어버트먼트 커버 스크류
KR102226712B1 (ko) * 2020-10-14 2021-03-10 한수일 치과용 봉합 밴드
WO2023121061A1 (ko) * 2021-12-20 2023-06-29 문천호 치과 임플란트용 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052B1 (ko)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US5360341A (en) Method and appliance for promoting the healing of oral tissues
US20240024079A1 (en) Devices for Tissue Augmentation
JP5891312B2 (ja) 歯科用メンブレン
AU2005286092A1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US6538171B2 (en) Biocompatible oral bandage, applic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4260871U (zh) 用于牙科补骨的赝复元件
JP6885566B2 (ja) 余剰セメントによる炎症防止シート
KR100894315B1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100743929B1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1521448B1 (ko) 발치와 보호장치
KR101037892B1 (ko)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KR102034418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커버 스크류
Heller et al. Soft tissue management techniques for implant dentistry: A clinical guide
Callan Guided tissue regeneration without a stage 2 surgical procedure.
KR101978322B1 (ko) 임플란트 크라운
KR20150033995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20200114338A (ko)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보조 장치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Landsberg Complete flap coverage in augmentation procedures around dental implants using the everted crestal flap
US20230285153A1 (en) Dental mesh for covering bone graft material
ES2874799T3 (es) Cubierta de implante dental
US20250017701A1 (en) Dental Implant
KR101072613B1 (ko) 차단막 고정 스크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