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7721B1 -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21B1
KR101047721B1 KR20100020755A KR20100020755A KR101047721B1 KR 101047721 B1 KR101047721 B1 KR 101047721B1 KR 20100020755 A KR20100020755 A KR 20100020755A KR 20100020755 A KR20100020755 A KR 20100020755A KR 101047721 B1 KR101047721 B1 KR 10104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structure
emitting device
carbon nano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희
이상열
문지형
송준오
최광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2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21B1/ko
Priority to TW100103327A priority patent/TWI521737B/zh
Priority to US13/033,264 priority patent/US8963179B2/en
Priority to EP11156265.8A priority patent/EP2365547B1/en
Priority to CN201110051726.4A priority patent/CN102194948B/zh
Priority to JP2011050166A priority patent/JP591119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21B1/ko
Priority to US14/486,364 priority patent/US931245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10H20/833Transpa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6Bodies having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s,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s or current-blocking structures
    • H10H20/8162Current-block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H10H20/8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10H20/856Reflect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3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visible and non-visible spect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2Schottky di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4Coatings, e.g. passivation layers or antireflective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ed Devic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전도성 지지부재;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 상기 발광 구조물의 상면에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CNT : Carbon Nano Tube)층; 및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FABRICA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실시예는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전도성 지지부재;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 상기 발광 구조물의 상면에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CNT : Carbon Nano Tube)층; 및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전극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방법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하여 발광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전도성 지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 하면에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구조물 하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포위하는 몰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전도성 지지부재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과, 상기 발광 구조물의 상면에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CNT : Carbon Nano Tube)층과,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전극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측단면도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측단면도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는 전도성 지지부재(160)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 상에 접합층(158)과, 상기 접합층(158) 상에 반사층(157)과, 상기 반사층(157) 상면의 둘레 영역에 채널층(155)과, 상기 반사층(157) 상에 오믹층(156)과, 상기 오믹층(156) 및 상기 채널층(155) 상에 형성되어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145)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층(135)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측면에 패시베이션층(180)과,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 상에 전극(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는 상기 발광 구조물(145)을 지지하며, 상기 전극(170)과 함께 상기 발광 소자(10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는 예를 들어, 구리(Cu), 금(Au), 니켈(Ni), 몰리브덴(Mo), 구리-텅스텐(Cu-W), 캐리어 웨이퍼(예: Si, Ge, GaAs, ZnO, Sic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 상에는 상기 접합층(1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층(158)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와 상기 반사층(157) 사이의 계면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층(158)은 접착력이 좋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Ti, Au, Sn, Ni, Cr, Ga, In, Bi, Cu, Ag 또는 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를 본딩 방식이 아니라, 도금 또는 증착 방식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접합층(158)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접합층(158) 상에는 상기 반사층(1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57)은 상기 발광 구조물(145)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발광 소자(1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층(157)은 고 반사율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은(Ag), 알루미늄(Al), 팔라듐(Pd), 구리(Cu), 백금(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57)의 상면의 둘레 영역, 즉, 상기 반사층(157)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 사이의 둘레 영역에는 상기 채널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층(155)은 상기 발광 구조물(145)과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가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발광 구조물(145)과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 사이의 틈으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채널층(155)은 예를 들어, Si02, SixOy, Si3N4, SixNy, SiOxNy, Al2O3, TiO2, ITO, AZO, ZnO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57) 상에는 상기 오믹층(1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믹층(156)은 상기 반사층(157))와 상기 발광 구조물(145) 사이의 오믹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믹층(156)은 투광성 전도층과 금속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AZO(indium alumin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indium gallium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rOx, RuOx, Ni, Ag 또는 Au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층(157)이 상기 발광 구조물(145)가 오믹 접촉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오믹층(156)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오믹층(156)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 사이에는 전류차단층(1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차단층(154)은 상기 전극(170)과 적어도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차단층(154)은 상기 반사층(157) 또는 상기 접합층(158)보다 전기 전도성이 낮거나,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ZnO, SiO2, SiOx, SiOxNy, Si3N4, Al2O3 , TiOx, Ti, Al, 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차단층(154)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와 상기 전극(170)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전류가 편중되어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발광 소자(1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믹층(156) 및 상기 채널층(155) 상에는 상기 발광 구조물(1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45)은 다수의 화합물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상에 활성층(140), 상기 활성층(140)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은 예를 들어, p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p형 반도체층은 InxAlyGa1-x-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 예를 들어 InAlGaN, GaN, AlGaN, AlInN, InGaN, AlN, InN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Mg, Zn, Ca, Sr,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은 예를 들어, InxAlyGa1-x-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가지는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다중 양자 우물 구조(MQW : Multi Quantum Well), 양자점 구조 또는 양자선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recombination)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은 예를 들어,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n형 반도체층은 InxAlyGa1-x-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 예를 들어 InAlGaN, GaN, AlGaN, AlInN, InGaN, AlN, InN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Si, Ge, Sn 등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의 상면에는 광 추출 패턴(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32)은 랜덤한 러프니스(roughness) 형상이거나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추출 패턴(132)은 특정 파장대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하는 광 결정(photonic crystal)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50nm 내지 3000nm 의 주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아래에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이 P형 반도체층이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N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 구조물(145)은 N-P 접합, P-N 접합, N-P-N 접합 및 P-N-P 접합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면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CNT : Carbon Nano Tube)층(135)이 형성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나노 단위의 탄소 구조체로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이 높으며, 광학적으로 투명한 특징이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전기방전법(Arc-discharge), 레이저증착법(Laser vaporization),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화학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기상합성법(Vapor phase growth), 전기분해법, Flame 합성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다수의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상기 발광 구조물(145) 상에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발광 구조물(145) 상에 필름 형태로 준비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는 예를 들어, 10 nm 내지 10 μm 단위의 두께를 갖는 박막일 수 있으므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면에 형성된 상기 광 추출 패턴(132)의 형상을 따라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상기 발광 구조물(145) 상면에 형성되며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광 구조물(145)에 전류를 골고루 스프레딩시킴으로써 상기 전극(170) 및 그 주변으로만 전류가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상기 발광 소자(1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류 스프레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상기 발광 구조물(145) 상면의 적어도 70% 의 면적에 형성되거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광 구조물(145)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서, 그 굴절률이 상기 발광 구조물(145)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굴절률 차이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100)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반도체와 금속 모두에 전류를 원활히 흘리는 특징을 가지므로, 상기 전극(170)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적어도 측면에는 상기 패시베이션층(18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시베이션층(180)은 일단이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측면을 따라 타단이 상기 채널층(15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80)은 상기 발광 구조물(145)이 외부 전극 등과 전기적으로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iO2, SiOx, SiOxNy, Si3N4, Al2O3 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극(170)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170)은 예를 들어, Au, Ti, Cu, Ni, 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성장기판(110) 상에 상기 발광 구조물(14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성장기판(110)은 예를 들어, 사파이어(Al2O3), SiC, GaAs, GaN, ZnO, Si, GaP, InP, Ge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구조물(145)은 상기 성장기판(110) 상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활성층(140)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을 순차적으로 성장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구조물(145)은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 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ECVD;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BE; Molecular Beam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과 상기 성장기판(110) 사이에는 격자 상수 차이 완화를 위해 버퍼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구조물(145) 상면에 상기 채널층(155) 및 상기 전류차단층(15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채널층(155)은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개별 칩(1 chip)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 루프 형상, 프레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층(155)은 예를 들어, 전자빔(E-beam) 증착, 스퍼터링(Sputtering),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차단층(154)은 후에 형성될 상기 전극(170)과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증착 또는 도금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상에 상기 오믹층(156)을 형성하고, 상기 오믹층(156) 및 상기 채널층(155) 상에 상기 반사층(157)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층(157) 상에 상기 접합층(158)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층(158) 상에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는 상기 접합층(158)에 의해 견고히 본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가 증착 또는 도금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합층(158)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성장기판(110)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성장기판(110)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또는 에칭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리프트 오프(LLO)는 상기 성장기판(110)의 배면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성장기판(110)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사이의 계면을 박리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성장기판(110)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의 하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구조물(145)에 칩 경계 영역(105)을 따라 아이솔레이션 에칭(Isolation Etching)을 실시하여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개별 발광 소자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발광 구조물(145) 하면에 상기 광 추출 패턴(1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솔레이션 에칭은 예를 들어,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와 같은 건식 식각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32)은 습식 식각에 의해 랜덤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마스크 패턴을 따라 광 결정 구조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적어도 측면에 상기 패시베이션층(180)을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구조물(145), 즉,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의 하면에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스핀 코팅, 딥 코팅과 같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필름 형태로 준비되어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 영역에 형성되거나 적어도 70%의 면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 아래에 상기 전극(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170)은 도금 또는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칩 경계 영역(105)을 따라 칩 분리 공정을 실시하여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개별 발광 소자 단위로 분리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칩 분리 공정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blade) 등을 이용해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칩을 분리시키는 브레이킹 공정, 칩 경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칩을 분리시키는 레이저 스크리빙 공정, 습식 또는 건식 식각을 포함하는 에칭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A)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100A)는 도 1의 발광 소자(100)에 비해 전극 및 탄소나노튜브층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상기 발광 소자(100A)는 전도성 지지부재(160)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 상에 접합층(158)과, 상기 접합층(158) 상에 반사층(157)과, 상기 반사층(157) 상면의 둘레 영역에 채널층(155)과, 상기 반사층(157) 상에 오믹층(156)과, 상기 오믹층(156) 및 상기 채널층(155) 상에 형성되어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145)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탄소나노튜브층(135a)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측면에 패시베이션층(180)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 상에 전극(17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170a)은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a) 중 상기 전극(170a)이 형성될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a)을 마스크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B)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100B)는 도 1의 발광 소자(100)에 비해 탄소나노튜브층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상기 발광 소자(100B)는 전도성 지지부재(160)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60) 상에 접합층(158)과, 상기 접합층(158) 상에 반사층(157)과, 상기 반사층(157) 상면의 둘레 영역에 채널층(155)과, 상기 반사층(157) 상에 오믹층(156)과, 상기 오믹층(156) 및 상기 채널층(155) 상에 형성되어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145)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탄소나노튜브층(135b)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의 측면에 패시베이션층(180)과, 상기 발광 구조물(145) 상에 전극(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층(135b)은 상기 전극(170)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170)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사이의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설치된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과, 상기 몸체(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와, 상기 발광 소자(100)를 포위하는 몰딩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는 실리콘 재질,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100)의 주위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발광 소자(100)에 전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은 상기 발광 소자(10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10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는 상기 몸체(20) 상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1 전극층(31) 또는 제2 전극층(3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는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과 와이어 방식, 플립칩 방식 또는 다이 본딩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몰딩부재(40)는 상기 발광 소자(100)를 포위하여 상기 발광 소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재(40)에는 형광체가 포함되어 상기 발광 소자(100)에서 방출된 광의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전도성 지지부재;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
    상기 발광 구조물 및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사이의 둘레 영역에 채널층;
    상기 발광 구조물의 상면에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CNT : Carbon Nano Tube)층; 및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10 nm 내지 10 μm의 두께를 갖는 발광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상기 발광 구조물 상면의 적어도 70%의 면적에 형성된 발광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층 상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발광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접촉하는 발광 소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상기 전극과 상기 발광 구조물 사이에만 형성된 발광 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상기 발광 구조물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발광 소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 상면에는 광 추출 패턴이 형성된 발광 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상기 광 추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발광 소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및 상기 발광 구조물 사이에 반사층 및 오믹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및 상기 발광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과 적어도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전류차단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의 적어도 측면에 패시베이션층이 형성된 발광 소자.
  13. 삭제
  14.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하여 발광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전도성 지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 하면에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구조물 하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성장기판 상에 성장되며,
    상기 성장기판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를 형성한 후 제거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발광 구조물 하면에 광 추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 구조물 상면에 부착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9.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포위하는 몰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전도성 지지부재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 구조물과, 상기 발광 구조물 및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 사이의 둘레 영역에 채널층과, 상기 발광 구조물의 상면에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CNT : Carbon Nano Tube)층과, 상기 발광 구조물 상에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00020755A 2010-03-09 2010-03-09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4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0755A KR101047721B1 (ko) 2010-03-09 2010-03-09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TW100103327A TWI521737B (zh) 2010-03-09 2011-01-28 發光裝置
US13/033,264 US8963179B2 (en) 2010-03-09 2011-02-23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EP11156265.8A EP2365547B1 (en) 2010-03-09 2011-02-28 Light emitting device
CN201110051726.4A CN102194948B (zh) 2010-03-09 2011-03-02 发光器件和发光器件封装
JP2011050166A JP5911198B2 (ja) 2010-03-09 2011-03-08 発光素子
US14/486,364 US9312450B2 (en) 2010-03-09 2014-09-15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0755A KR101047721B1 (ko) 2010-03-09 2010-03-09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721B1 true KR101047721B1 (ko) 2011-07-08

Family

ID=4387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0755A KR101047721B1 (ko) 2010-03-09 2010-03-09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63179B2 (ko)
EP (1) EP2365547B1 (ko)
JP (1) JP5911198B2 (ko)
KR (1) KR101047721B1 (ko)
CN (1) CN102194948B (ko)
TW (1) TWI521737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3359A (zh) * 2011-08-09 2014-04-16 三星电子株式会社 半导体发光器件制造方法和以该方法制造的半导体发光器件
KR20140136213A (ko) * 2013-05-20 2014-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그 제조방법 및 조명시스템
KR101537192B1 (ko) * 2013-07-01 2015-07-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발광 소자
KR20170110005A (ko) * 2016-03-22 2017-10-10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KR101827977B1 (ko) * 2011-10-31 2018-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KR20190000089A (ko) * 2017-06-22 2019-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광원 장치
KR101946837B1 (ko) * 2011-12-26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9455B2 (en) * 2007-10-15 2012-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structures having improved contact resistance
JP2012231000A (ja) * 2011-04-26 2012-11-22 Toshiba Corp 半導体発光装置
KR101286211B1 (ko) * 2012-02-16 2013-07-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소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
KR20130120615A (ko) * 2012-04-26 2013-1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JP2014060294A (ja) * 2012-09-18 2014-04-03 Ushio Inc Led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2171B1 (ko) * 2012-10-15 2019-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US9000414B2 (en) * 2012-11-16 2015-04-07 Korea Photonics Technology Institu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eterogeneous protrusion structures
KR20140096722A (ko) * 2013-01-29 2014-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유닛
KR101504331B1 (ko) * 2013-03-04 2015-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JP6110217B2 (ja) * 2013-06-10 2017-04-0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03413878A (zh) * 2013-07-13 2013-11-27 北京工业大学 碳纳米管发光二极管
DE102014110622A1 (de) * 2014-07-28 2016-01-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eiterrahmen für ein strahlungsemittierendes Bauelement, Strahlungs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iterrahmens
KR101679502B1 (ko) * 2015-02-05 2016-11-25 울산과학기술원 나노 구조체가 삽입된 발광다이오드 소자
CN104795316A (zh) * 2015-04-17 2015-07-22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集成电阻的制造方法
JP2017005156A (ja) * 2015-06-12 2017-01-0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9705035B1 (en) * 2015-12-30 2017-07-11 Epistar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US10530603B2 (en) * 2017-01-11 2020-01-07 Smartiply, Inc. Intelligent multi-modal IOT gateway
TWI637481B (zh) * 2017-11-29 2018-10-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半導體結構、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DE102022102362A1 (de) * 2022-02-01 2023-08-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albleiteranordnung und halbleiter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582A (ja) 2001-04-17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KR20070026389A (ko) * 2004-02-20 2007-03-08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크. 반도체 장치 및 나노튜브 접촉부 이용 방법
KR20080018084A (ko) * 2006-08-23 200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구조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9283303A (ja) 2008-05-22 2009-12-03 Keio Gijuku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226A (en) * 1996-09-18 1998-02-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ight-emitting di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916011B2 (ja) 1997-02-21 2007-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61042A (ja) 1999-03-05 2000-09-22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053420B2 (en) * 2001-03-21 2006-05-30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GaN group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with concave and convex structures on the substrat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485128B1 (ko) 2002-11-20 2005-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 방출 소자 및 전계 방출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88470B1 (ko) * 2002-12-24 2009-03-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무기 전계발광소자
US7977694B2 (en) * 2006-11-15 2011-07-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LED) with emitters within structured materials
JP2006237574A (ja) 2005-01-31 2006-09-07 Mitsubishi Cable Ind Ltd GaN系発光ダイオード
TWI255055B (en) * 2005-06-29 2006-05-1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improving luminescence efficiency thereof
JP4841909B2 (ja) * 2005-09-14 2011-12-21 昭和電工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発光素子
JP4655920B2 (ja) * 2005-12-22 2011-03-23 日立電線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US7768019B2 (en) 2006-01-13 2010-08-03 Imec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ith field-effect enhanced mobility
US7915624B2 (en) * 2006-08-06 2011-03-29 Lightwave Photonics, Inc. III-nitride light-emitting devices with one or more resonance reflectors and reflective engineered growth templates for such devices, and methods
JP2008053685A (ja) * 2006-08-23 2008-03-06 Samsung Electro Mech Co Ltd 垂直構造窒化ガリウム系発光ダイオー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GB2447091B8 (en) * 2007-03-02 2010-01-13 Photonstar Led Ltd Vertical light emitting diodes
JP5198793B2 (ja) 2007-05-10 2013-05-15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451334B (en) * 2007-07-19 2011-07-13 Photonstar Led Ltd Vertical led with conductive vias
KR100941984B1 (ko) * 2007-09-28 2010-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웨이퍼를 패키징하는 방법
KR20090032631A (ko) 2007-09-28 2009-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소자
CN101458609B (zh) * 2007-12-14 2011-11-09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657710B (zh) 2007-10-29 2011-12-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呼气分析方法
TW200929601A (en) * 2007-12-26 2009-07-01 Epistar Corp Semiconductor device
JP2009206265A (ja) 2008-02-27 2009-09-10 Hitachi Cable Ltd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DE102008018928A1 (de) * 2008-04-15 2009-10-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Halbleiterbauelements
KR101446952B1 (ko) * 2008-06-10 2014-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34848B1 (ko) 2008-07-21 2015-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발광 소자 및 그발광 소자 제조방법
DE102008038725B4 (de) * 2008-08-12 2022-05-05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chip
JP5191837B2 (ja) * 2008-08-28 2013-05-0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582A (ja) 2001-04-17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KR20070026389A (ko) * 2004-02-20 2007-03-08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크. 반도체 장치 및 나노튜브 접촉부 이용 방법
KR20080018084A (ko) * 2006-08-23 200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구조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9283303A (ja) 2008-05-22 2009-12-03 Keio Gijuku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3359A (zh) * 2011-08-09 2014-04-16 三星电子株式会社 半导体发光器件制造方法和以该方法制造的半导体发光器件
KR101827977B1 (ko) * 2011-10-31 2018-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KR101946837B1 (ko) * 2011-12-26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40136213A (ko) * 2013-05-20 2014-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그 제조방법 및 조명시스템
KR102075574B1 (ko) 2013-05-20 202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그 제조방법 및 조명시스템
KR101537192B1 (ko) * 2013-07-01 2015-07-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발광 소자
KR20170110005A (ko) * 2016-03-22 2017-10-10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KR102694231B1 (ko) 2016-03-22 2024-08-09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KR20190000089A (ko) * 2017-06-22 2019-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광원 장치
KR102317413B1 (ko) 2017-06-22 2021-10-27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광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87961A (ja) 2011-09-22
CN102194948B (zh) 2014-12-31
CN102194948A (zh) 2011-09-21
US8963179B2 (en) 2015-02-24
US20110220944A1 (en) 2011-09-15
EP2365547A2 (en) 2011-09-14
US20150034988A1 (en) 2015-02-05
TWI521737B (zh) 2016-02-11
US9312450B2 (en) 2016-04-12
JP5911198B2 (ja) 2016-04-27
EP2365547A3 (en) 2014-10-01
EP2365547B1 (en) 2019-04-03
TW201143147A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721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81135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14155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20963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US7928464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JP5816243B2 (ja)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101039988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1834246A (zh) 发光器件、制造发光器件的方法以及发光装置
KR20130120615A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39904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20110096680A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20129449A (ko) 자외선 발광 소자
KR101047647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20110089701A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039982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384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53415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42171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745996B1 (ko) 발광소자
KR20110092728A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976446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237137B1 (ko)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KR101750207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643410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42540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