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710B1 - Eight-legged walking robot - Google Patents
Eight-legged walking rob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6710B1 KR101046710B1 KR1020090018819A KR20090018819A KR101046710B1 KR 101046710 B1 KR101046710 B1 KR 101046710B1 KR 1020090018819 A KR1020090018819 A KR 1020090018819A KR 20090018819 A KR20090018819 A KR 20090018819A KR 101046710 B1 KR101046710 B1 KR 101046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
- walking robot
- crank pin
- pin mounting
- dr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25—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8—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63H13/04—Mechanical figures imitating the movement of players or workers
- A63H13/12—Gymnastic or acrobatic toy fig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3—Manipulators for entertain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좌우의 족부를 각각 1쌍식으로 구성된 4개의 구동구조를 이용하여 8족 보행로봇을 구성하고, 특히 보행시 각 구동구조에서 쌍으로 이루어진 족부가 엇갈리면서 전후좌우에 구비된 4개의 족부가 항상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링크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행자세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율동감을 더 부가할 수 있는 8족 보행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으로 나가는 족부가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진 상태로 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단과 같은 장해물이 있더라도 이를 넘을 수 있게 되어 장해물에 상관없이 보행이 가능한 8족 보행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n eight-legged walking robot using four driving structures each having a pair of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feet, and in particular, four foot feet provid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while staggering pairs in each driving structure when walking. The goal is to provide an eight-legged walking robot that can not only take a more stable pedestrian path but also add rhythm by connecting the link so that it can always reach the grou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eight-legged walking robot that is able to walk regardless of obstacles, because the foot can be walking in the state at the same time apart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even if there are obstacles such as stairs. There is a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8족 보행로봇은, 감속기(210)를 포함하는 구동수단(200)이 구비된 본체프레임(1000); 및 본체프레임(1000)의 좌우측 전부와 후부에 각각 한쌍씩 설치되어 구동수단(200)에 의해 동작하는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 및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 및 각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는 각각,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 두개의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이 구비되도록 조립가능한 회전축(110); 각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에 길이 중간 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족부(120a,120b); 및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각각 제1 및 제2족부(120a,120b)의 상부에 각각 힌지고정되고, 타단이 본체프레임(1000)의 측면에 그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힌지고정된 한쌍의 제1 및 제2링크(130a,1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8 group walk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frame 1000 is provided with a drive means 200 including a reducer 210; And a pair of right foot drive structures 100a and 100b and a left foot drive structure 100c and 100d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frame 1000 and operated by the driving means 200. Each of the right foot drive structures 100a and 100b and the left foot drive structures 100c and 100d are assembled such that two first and second crank pin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Possible axis of rotation 110; A pair of first and second foot portions 120a and 120b install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rank pin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such that a middle portion thereof is rotatable; And a pair of first ends having the same length,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ot portions 120a and 120b,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00 in the width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links 130a and 130b.
8족 보행로봇, 한쌍의 족부, 족구동구조 8-foot walking robot, pair of foot, foot drive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8족 보행로봇에 관한 것으로 크랭크 형상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쌍으로 이루어진 각 족부가 안정적인 움직일 수 있도록 한 8족 보행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ight-leg walking robot, which relates to an eight-leg walking robot that allows each pair of foot to move stably using a crank-shaped rotation shaft.
일반적으로 보행로봇은 취미생활이라든가 어린이들의 완구 또는 두뇌개발용으로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보행로봇은 보행용으로서 2족, 4족 또는 6족 보행로봇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In general, walking robots are developed for hobby and toys or brain development of children. In particular, such a walking robot is mainly composed of a two-foot, four-foot or six-foot walking robot.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보행로봇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1A to 1C are photographs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alking robot.
도 1a는 종래의 2족 보행로봇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2족 보행로봇은 하나의 구동모터가 구비된 감속기(11)를 본체(10)에 구비하고, 특히 이 감속기(11)에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2)에 각각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된 크랭크핀부(12a)에 족부(13)를 힌지연결하여 구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2족 보행로봇은 전체 중량에 의해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2족 보행로봇이 뒤뚱거리는 자세로 보행을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Figure 1a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ventional biped walking robot. The biped walking robot includes a
도 1b는 4족 보행로봇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4족 보행로봇은 2족 보행로봇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한쌍의 족부(13)와 그 후부에 설치되는 다른 족부(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한쌍의 족부(13,14)는 한쌍의 링크(15)로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4족 보행로봇은 한쌍의 전족의 작동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특히 전족과 후족의 작동방향 또한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2족보행로봇에 비해 안정감은 있으나, 4족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잡는데 한계가 있어 이 또한 2족 보행로봇과 같이 안정적인 보행에 어려움이 있다.1B is a photograph showing a quadruped walking robot. The four-legged walking robot includes a pair of
도 1c는 6족 보행로봇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6족 보행로봇은 상술한 2족 보행로봇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족부(13)의 전후에 각각 한쌍의 전족부(16)와 한쌍의 후족부(17)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족부(13)를 중심으로 한쌍의 전족부(16) 및 한쌍의 후족부(17)과는 각각의 링크(18,19,20)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6족 보행로봇은 좌우측 족부가 서로 대응하는 족부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6족 보행로봇 또한 중심 위치가 흔들리기 때문에 안정적인 보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다.Figure 1c is a photograph showing a six-foot walking robot. The six-foot walking robot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above-described two-foot walking robot, so that a pair of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후 좌우의 족부를 각각 1쌍식으로 구성된 4개의 구동구조를 이용하여 8족 보행로봇을 구성하고, 특히 보행시 각 구동구조에서 쌍으로 이루어진 족부가 엇갈리면서 전후좌우에 구비된 4개의 족부가 항상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링크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행자세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율동감을 더 부가할 수 있는 8족 보행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the eight-legged walking robot is constructed using four driving structures each having a pair of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feet, and in particular, each pair of foot portions in each driving structure are alternated when walking. In addition, the four feet provid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are always connected to the ground by the link,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ight-leg walking robot that can not only take a more stable gait, but also add a sense of movement.
또한, 본 발명은 앞으로 나가는 족부가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진 상태로 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단과 같은 장해물이 있더라도 이를 넘을 수 있게 되어 장해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보행 가능한 8족 보행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walk in front of the foot at the same tim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so that even if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staircase to provide an eight-legged walking robot that can walk regardless of the type of obstacle. The purpose i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8족 보행로봇은,Eight-leg walk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감속기(210)를 포함하는 구동수단(200)이 구비된 본체프레임(1000); 및 본체프레임(1000)의 좌우측 전부와 후부에 각각 한쌍씩 설치되어 구동수단(200)에 의해 동작하는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 및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 및 각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는 각각,Each right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와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축(110);A rotating
길이 중심이 각각 상기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와 제2크랭크핀장착부(111b)에 끼워져서 여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족부(120a,120b); 및 A pair of first and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각각 제1 및 제2족부(120a,120b)의 상부에 각각 힌지고정되고, 타단이 본체프레임(1000)의 측면에 그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힌지고정된 한쌍의 제1 및 제2링크(130a,1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first pairs having the same length,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특히,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의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와 상기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의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는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이들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는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180°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의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와 상기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의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는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이들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는 상기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0°의 각도로서 동일연장선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회전축(110)은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간 거리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first crank
In addition, the
삭제delete
또한, 각 제1 및 제2링크(130a,130b)는 제1 및 제2족부(120a,120b)에 힌지고정된 단부가 회전축(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130a, 130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foot portion (120a, 120b)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rotation shaft (110).
뿐만 아니라, 구동수단(200)은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과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을 각각 별도로 구동시켜 주기 위하여 각각의 제1 및 제2감속기(210a,210b)를 갖는 2개의 구동수단(200a,200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이때의 2개의 구동수단(200a,200b)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00)가 더 포 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제1 및 제2감속기(210a,210b)는 각각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 및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를 구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200 has the first and
마지막으로, 감속기(210)는 전족과 후족을 동시에 각각 구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쌍의 전방 및 후방구동축(211a,211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각 족부가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 쌍으로 구성된 족이 동시에 지면에 닿기 때문에 4개의 족부가 동시에 지면에 닿는 효과를 통해 8족 보행로봇의 보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1) Each foot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 pair consisting of the pair touches the grou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tability of four-leg walking robot can be ensured through the effect of the four foot touching the ground at the same time.
2) 앞으로 나가는 족부가 지면으로부터 항상 일정한 간격만큼 들린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이 고르지 않거나 언덕 또는 계단과 같은 장해물이 있더라도 보행할 수 있게 된다.2) Because the walking foot is always lift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walk even if the ground is uneven or there are obstacles such as hills or stairs.
3) 각 족부를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을 1쌍 구비함으로써, 방향조절을 통해 로봇의 주행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게임이라든가 보행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3) By providing a pair of drive means for driving each foot,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obot through the direction control. By controlling this driving means,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games or walking direction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more detail.
(구성)(Configura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8족 보행로봇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8족 보행로봇의 평면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p 8 walking robot manufactur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lan view of a group 8 walking robot manufactur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000)과, 여기에 설치된 구동수단(200)과, 구동수단(200)에 의해 구동되는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 및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1000), drive means (200) installed therein, right foot drive structures (100a, 100b) and left foot drive structures (100c, 100d) driven by the drive means (200). It is done by
여기서,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와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는 각각 후술하게 될 감속기(210)에 구비된 전방구동축(211a)와 후방구동축(211b)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특히, 이들 4개의 구동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의 족구동구조(100a)로 용어를 통일하여 설명한다. 즉,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와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는 각각 한쌍의 족구동구조(100a)로 구성되게 된다.Here, the right foot drive structure (100a, 100b) and the left foot drive structure (100c, 100d)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100a)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가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foot drive structure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body frame.
족구동구조(100a)는, 크랭크축 형상의 회전축(110)과, 이 회전축(110)에 장착되는 2개의 제1 및 제2족부(120a,120b)와,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1 및 제2족부(120a,120b)에 각각 일단이 힌지고정되는 제1 및 제2링크(130a,130b)를 포 함하여 이루어진다.The
특히, 회전축(110)에는 각각 2개의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에는 각각 제1 및 제2족부(120a,120b)의 길이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 및 제2족부(120a,120b)의 상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링크(130a,130b)가 각각 힌지고정되게 된다.In particular, two first and second cran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축(110)은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에 각각 제1 및 제2족부(120a,120b)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관절부분을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축(110)을 분한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완구용으로 조립을 통한 두뇌개발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회전축(110)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작하여 후술하게 될 감속기(210)의 전방 또는 후방구동축(211a,211b)의 중심축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축(110)은 전방 또는 후방구동축(211a,211b)으로 대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3에서는 회전축(110)이 전방구동축(211a)과 일체로 구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회전축(110)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111a,111b)간 거리(L)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축(110)의 회전시 제1 및 제2족부(120a,120b)가 동일한 행정을 가지고 보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otating
이와 같이 이루어진 족구동구조(100a)는,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축(110)이 전방 또는 후방구동축(211a,211b)의 중심선 상에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링크(130a,130b)는 타단이 본체프레임(100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링크(130a,130b)는 하나의 힌지축(131)에 힌지고정되게 된다.Foot drive structure (100a) made in this way, as shown in Figure 4, the
따라서, 족구동구조(100a)는 구동수단(200)의 구동으로 감속기(210)에 의해 감속된 출력을 받아 회전축(110)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족부(120a,120b)가 서로 엇갈려서 좌우로 요동하는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Therefore, the
구동수단(200)은 직렬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220)와, 구동모터(2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감속시켜 주기 위한 감속기(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감속기(210)는 전방족 구동구조(100a,100c)와 후방족 구동구조(100b,100d)를 각각 동시에 구동시켜 주기 위하여, 도 2b에서와 같이, 2개의 출력축인 전방구동축(211a)와 후방구동축(211b)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족 구동구조(100a,100c)는 전방구동축(211a)의 양단에 장착된 2개의 족구동구조(100a)를, 후방족 구동구조(100b,100d)는 후방구동축(211b)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2개의 족구동구조(100a)를 각각 의미한다.The driving means 200 includes a
감속기(210)는, 도 2b에서와 같이 하나의 구동모터(220)에 의해 전후부에 각각 나란하게 2개의 전방구동축(211a)와 후방구동축(211b)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전방구동축(211a)와 후방구동축(211b)은 각각 양단이 본체프레임(1000) 외부로 돌출되어 그 단부에 족구동구조(100a)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8족보행로봇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4개의 족구동구조(100a)의 조합에 의해 다음과 같이 장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ight-foot walk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s follows by a combination of the four foot drive structure (100a) made as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d으로, 도 5(a)는 족구동구조의 장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족구동구조의 장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foot drive structure, Figure 5 (b) shows the mounting state of the foot drive structure. Front view.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의 장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는, 도 5(a)에서와 같이, 각 족구동구조의 제1족부(120a)가 지면에 닿도록 전방 및 후방구동축(211a,211b)의 일단에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우측족 구동수단(100a,100d)는, 도 5(b)와 같이 각 족구동구조의 제2족부(120b)가 지면에 맞닿도록 전방 및 후방구동축(211a,211b)의 타단에 각각 연결한다.Mounting of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ade as follows. First, the left
그리고, 우측족 구동수단(100a,100d)의 각 제1 및 제2링크(130a,130b)는 본체프레임(1000)의 힌지축(13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힌지축(131)은 회전축(110)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성위치는 제1 및 제2링크(130a,130b)의 단부가 회전축(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곳에 형성하게 된다. 이는 제1 및 제2링크(130a,130b)가 너무 길게 되면, 제1 및 제2족부(120a,120b)의 폭이 너무 좁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first and
이에 따라,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와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는 각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가, 도 5(b)에서와 같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180°각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 및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의 각 제1족부(120a)가 지면에 닿게 되고, 각 제2족부(120b)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구동수단(200)이 구동으로 전방 및 후방구동축(211a,211b)이 회전하게 되면, 제1족부(120a)와 제2족부(120b)가 서로 엇갈리게 회전하면서 보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crank
(( 족구동구조의Foot structure 설치에 따른 According to installation 변형예Variant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의 장착상태에 따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of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는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와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의 각 제1족부(120a)가 동시에 지면에 맞닿도록 각 족구동구조를 본체프레임(1000)에 설치하게 된다.In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foot drive structure includes a
즉,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와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에 각각 구비되는 4개의 제1족부(120a)가 동시에 지면에 맞닿도록 4개의 족구동구조의 회전축(110)을 전방 및 후방구동축(211a,211b)의 각 단부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our
이에 따라,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와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를 구성하는 2개의 제1크랭크핀장착부(111a)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0°의 각도를 이루면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two first crank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과 달리 바깥쪽에 설치된 4개의 제1족부(120a)가 동시에 지면에 닿게 되고, 나머지 4개의 제2족부(120b)가 회전하면서 보행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ur first foot portion (120a) installed on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ouches the ground, while the remaining four second foot portion (120b) is a walking operation is made.
(구동수단의 Of driving means 변형예Variant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수단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8족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oup 8 robot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수단(200)의 변형예로서,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과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를 각각 별도로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2개의 구동수단(200a,200b)을 구비할 수 있다.As a modification of the drive mean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drive means (200a, 200b) to rotate the right foot drive structure (100a, 100b) and the left foot drive structure (100c, 100d) separately, respectively. It may be provided.
즉, 각 구동수단(200a,200b)은 각각 구동모터(220a,220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동모터(220a,220b)에는 각각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과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감속기(210a,210b)가 구비되어 있다.That is, each driving means 200a, 200b is provided with driving
특히, 이러한 변형된 구동수단에는 구동모터(220a,220b)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기(300)는 8족보행로봇이 직진보행일 경우 2개의 구동모터(220a,220b)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방향전환이 필요한 경우 어느 하나의 구동모터(220a,220b)만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우측족 구동구조(100a,100b)과 좌측족 구동구조(100c,100d)는 어느 하나가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되고, 나머지 구동구조의 제1족부 및 제2족부(120a,120b)의 엇갈림 동작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modified drive means further comprises a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4개의 족구동구조를 구비하고 있되, 각 족구동구조에는 각각 한쌍의 족부를 구비함으로써, 이 한쌍의 족부가 엇갈리게 움직이면서 8족 보행로봇의 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provided with four foot drive structure, each foot driv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pair of foot respectively, so that the pair of foot movements to ensure the walking stability of the 8-foot walking robot You can do i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보행로봇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1a to 1c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alking robot.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8족 보행로봇의 사시도.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p 8 walking robot manufactur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8족 보행로봇의 평면도.Figure 2b is a plan view of a group 8 walking robot manufactur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가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body fram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족구동구조의 장착상태에 따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of the foot dr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수단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8족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Figure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oup 8 robot to explain a modification of the driv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족구동구조 100a : 우측족 구동구조100:
100b : 좌측족 구동구조 110 : 회전축100b: left leg drive structure 110: rotating shaft
111a, 111b : 제1 및 제2크랭크핀장착부 120a, 120b : 제1 및 제2족부111a, 111b: First and second crank
130a, 130b : 제1 및 제2링크 131 : 힌지축130a, 130b: first and second link 131: hinge axis
200, 200a, 200b : 구동수단 210 : 감속기200, 200a, 200b: drive means 210: reducer
210a, 210b : 제1 및 제2감속기 211a, 211b : 전방, 후방구동축210a, 210b: first and
220, 220a, 220b : 구동수단 300 : 제어기220, 220a, 220b: driving means 300: controller
1000 : 본체프레임 H : 높이1000: main frame H: height
L : 크랭크핀장착부 사이의 거리L: Distance between crank pin mounting parts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8819A KR101046710B1 (en) | 2009-03-05 | 2009-03-05 | Eight-legged walking rob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8819A KR101046710B1 (en) | 2009-03-05 | 2009-03-05 | Eight-legged walking rob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0119A KR20100100119A (en) | 2010-09-15 |
KR101046710B1 true KR101046710B1 (en) | 2011-07-05 |
Family
ID=4300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8819A Active KR101046710B1 (en) | 2009-03-05 | 2009-03-05 | Eight-legged walking rob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6710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9581B1 (en) * | 2013-06-10 | 2014-12-05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Six-legged Walking Robot |
KR20160054122A (en) * | 2014-11-05 | 2016-05-16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limbing robot |
KR20160100509A (en) | 2015-02-16 | 2016-08-24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rticulated robot using link structure |
US12097609B2 (en) | 2016-01-25 | 2024-09-24 | Boston Dynamics, Inc. | Continuous slip recovery |
US12128570B2 (en) | 2014-08-25 | 2024-10-29 | Boston Dynamics, Inc. | Handling gait disturbances with asynchronous timing |
US12365407B2 (en) | 2023-04-12 | 2025-07-22 | Boston Dynamics, Inc. | Mechanically-timed footsteps for a robot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16265A (en) * | 2011-09-09 | 2012-04-18 | 周剑 | Transformers robot toy and method |
US9618937B1 (en) | 2014-08-25 | 2017-04-11 | Google Inc. | Slip detection using robotic limbs |
WO2017039409A1 (en) * | 2015-09-04 | 2017-03-09 | 주식회사 짐월드 | Connecting member for self-assembly toy |
KR101764357B1 (en) | 2015-09-04 | 2017-08-03 | (주)짐월드 | Toy block |
CN107902008B (en) * | 2017-10-25 | 2020-02-18 | 天津大学 | A mobile robot with a reversible body |
CN108945145B (en) * | 2018-06-25 | 2024-01-16 | 武汉科技大学 | Mode-variable hexapod robot |
CN109644813B (en) * | 2019-02-03 | 2024-06-18 | 南京林业大学 | Self-propelled self-balancing felling robot for hills |
CN110217310B (en) * | 2019-05-20 | 2024-03-08 | 广西机电职业技术学院 | Six-foot robot |
CN113696993B (en) * | 2021-08-30 | 2022-06-17 | 浙江大学 | An assembled multi-legged robot with variable foot end trajectory and control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95U (en) * | 1992-06-25 | 1994-01-18 | 株式会社学習研究社 | Walking toys |
KR19990022173U (en) * | 1999-03-11 | 1999-06-25 | 황란자 | Operation Structure of Walking Toy Robot |
KR200290990Y1 (en) | 2002-05-30 | 2002-10-04 | 주식회사 에이아이쎌 | The walking apparatus with six legs |
JP2005144582A (en) | 2003-11-13 | 2005-06-09 | Avice:Kk | Tetrapodal traveling machine |
-
2009
- 2009-03-05 KR KR1020090018819A patent/KR1010467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95U (en) * | 1992-06-25 | 1994-01-18 | 株式会社学習研究社 | Walking toys |
KR19990022173U (en) * | 1999-03-11 | 1999-06-25 | 황란자 | Operation Structure of Walking Toy Robot |
KR200290990Y1 (en) | 2002-05-30 | 2002-10-04 | 주식회사 에이아이쎌 | The walking apparatus with six legs |
JP2005144582A (en) | 2003-11-13 | 2005-06-09 | Avice:Kk | Tetrapodal traveling machin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9581B1 (en) * | 2013-06-10 | 2014-12-05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Six-legged Walking Robot |
US12128570B2 (en) | 2014-08-25 | 2024-10-29 | Boston Dynamics, Inc. | Handling gait disturbances with asynchronous timing |
KR20160054122A (en) * | 2014-11-05 | 2016-05-16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limbing robot |
KR101660119B1 (en) | 2014-11-05 | 2016-09-2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limbing robot |
KR20160100509A (en) | 2015-02-16 | 2016-08-24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rticulated robot using link structure |
US12097609B2 (en) | 2016-01-25 | 2024-09-24 | Boston Dynamics, Inc. | Continuous slip recovery |
US12365407B2 (en) | 2023-04-12 | 2025-07-22 | Boston Dynamics, Inc. | Mechanically-timed footsteps for a robot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0119A (en) | 2010-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6710B1 (en) | Eight-legged walking robot | |
KR101386011B1 (en) | Passive transformable wheel and robot having the wheel | |
US20190091592A1 (en) | Physical device simulating the appearance and movement of a two-legged creature | |
CN201291928Y (en) | Six-foot walking robot device | |
TW202039271A (en) | Obstacle crossing device of robot providing robot with climbing function to prevent from idling or being trapped | |
CN107554637A (en) | A kind of six sufficient barrier-surpassing robots | |
CN103273985A (en) | Quadruped stair climbing robot mechanism | |
CN203228864U (en) | Connecting-bar type four-footed crawling robot | |
KR101748424B1 (en) | Junction Member of Assembly Toys | |
CN112849295A (en) | Multiphase three-dimensional cam type bionic foot type robot | |
JP2013119136A (en) | Legged robot | |
KR20120126293A (en) | walking robot for toy | |
CN111532354B (en) | Walking device with multiple movement modes | |
KR20160100509A (en) | articulated robot using link structure | |
CN114620161B (en) | A multi-terrain adaptable centipede-like robot with a leg structure with few degrees of freedom | |
KR101068123B1 (en) | Biped lower body robot for amusement park | |
JP5856724B2 (en) | Vehicle with crank wheels | |
JP2003080476A (en) | Legged moving robot and movable leg for the robot | |
JP3683508B2 (en) | Walking robot toy | |
JP2005288561A (en) | Humanoid robot | |
WO2014144901A2 (en) | Simulated walking toy | |
CN113911229A (en) | Hexapod robot suitable for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s can become cell | |
CN107235089A (en) | A kind of ten five degree of freedom bionic 6-leg climbing robots | |
CN211308784U (en) | Four-foot wheeled robot | |
JP4483035B2 (en) | Posture variable type craw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