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934B1 - 박막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공 경사 구조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공 경사 구조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1934B1 KR101041934B1 KR1020090023390A KR20090023390A KR101041934B1 KR 101041934 B1 KR101041934 B1 KR 101041934B1 KR 1020090023390 A KR1020090023390 A KR 1020090023390A KR 20090023390 A KR20090023390 A KR 20090023390A KR 101041934 B1 KR101041934 B1 KR 101041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oxide
- thin film
- layer
- fuel cell
- nanoporous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01M4/861—Porous electrodes with a gradient in the poros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01M4/8621—Porous electrodes containing only metallic or ceramic material, e.g. made by sintering or sputte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2—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as mix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42—Coating using a catalyst salt precursor in solution followed by evaporation and reduction of the precurs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H01M4/8885—Sintering or fi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H01M4/9025—Oxide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수 ㎛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와;두께가 1 ㎛ 이하인 치밀질 전해질 박막과;상기 다공성 지지체와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 사이에 형성되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이 분산되어 있는 금속산화물 졸의 도포막으로서,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과 맞닿는 표면에서의 기공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크기 및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의 두께보다 작은 나노 크기를 갖는 나노기공성 층을 포함하고;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은 제1 금속산화물과, 상기 제1 금속산화물과 이종(異種)인 제2 금속산화물의 복합 나노분말들이고, 상기 나노기공성 층은 상기 제1 금속산화물과,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이 환원된 금속의 서멧 (cermet) 복합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고,상기 제1 금속산화물은, 상기 금속의 응집을 방지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구조적 지지체로서의 골격 (skeleton)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과 맞닿는 상기 나노기공성 층 표면에서의 평균 기공 크기는 2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산화물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yittria stabilized zirconia; YSZ),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scandia-stabilized zirconia; ScSZ), 가돌리아 도핑 세리아 (gadolia-doped ceria; GDC), 사마리아 도핑 세리아 (samaria-doped ceria; SDC), 스트론튬 망간 도핑 란타늄 갈레이트 (strontium manganese-doped lanthanum galate; LSGM) 및 은 이트리아 도핑 비스무스 산화물 (silver yttria-doped bismuth oxide; YD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상기 제2 금속산화물이 환원된 상기 금속은 니켈 (Ni), 루테늄 (Ru), 팔라듐 (Pd), 로듐 (Rd), 플래티넘 (Pt) 및 이들 각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층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산화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졸은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 전구체들이 용해되어 있는 염 용액에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층은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의 소결 입자들과, 상기 금속산화물 전구체들의 석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소결 입자들보다 미세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소결 입자들과 동종 또는 이종의 금속산화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들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yittria stabilized zirconia; YSZ),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scandia-stabilized zirconia; ScSZ), 가돌리아 도핑 세리아 (gadolia-doped ceria; GDC), 사마리아 도핑 세리아 (samaria-doped ceria; SDC), 스트론튬 망간 도핑 란타늄 갈레이트 (strontium manganese-doped lanthanum galate; LSGM) 및 은 이트리아 도핑 비스무스 산화물 (silver yttria-doped bismuth oxide; YD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층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혹은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 쪽으로 갈수록 층별로 기공 크기가 작아지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혹은 상기 나노기공성 층 쪽으로 갈수록 층별로 기공 크기가 작아지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층은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 쪽으로 갈수록 층별로 기공 크기가 작아지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지며,상기 다층 구조 중 적어도 상기 다공성 지지체와 접촉하는 층은 금속과 이온 전도성 금속산화물의 서멧 (cermet) 복합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다층 구조 중 적어도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과 접촉하는 층은 이온 전도성 금속산화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이 분산되어 있는 금속산화물 졸을 준비하는 단계와;다공성 지지체 위에 상기 금속산화물 졸을 도포하여 나노기공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나노기공성 층 위에 치밀질 전해질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나노기공성 층 및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과 맞닿는 상기 나노기공성 층 표면에서의 기공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크기 및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의 두께보다 작은 나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과 맞닿는 상기 나노기공성 층 표면에서의 평균 기공 크기는 2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공성 층은 정전 분무법 (electrostatic spray deposition; ESD), 가압 분무법 (pressurized spray deposition; PSD), 분무 열 분해법 (spray pyrolysis)과 같은 분무법, 스핀 코팅법 및 딥핑법 (dipping) 중 어느 한 방법 또는 둘 이상 방법의 조합에 의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은 이온 전도성 제1 금속산화물과, 상기 제1 금속산화물과 이종(異種)인 제2 금속산화물의 복합 나노분말들이며,상기 소결 단계 이후에 상기 나노기공성 층을 환원 처리하여, 상기 제2 금속산화물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은, 글리신-나이트레이트 법으로 합성한 상기 제1 금속산화물과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의 복합 분말들을 고에너지 밀로 분쇄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졸은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 전구체들이 용해되어 있는 염 용액에 이온 전도성을 갖는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을 분산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졸의 총 중량 대비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의 중량 비율이 다른 복수의 금속산화물 졸을 준비하고,상기 다공성 지지체 위에 상기 복수의 금속산화물 졸 각각을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분말들의 중량 비율이 큰 순서대로 도포 및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3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 전구체들이 용해되어 있는 전해질용 염 용액을 준비하고,상기 나노기공성 층 위에 상기 전해질용 염 용액을 도포하여 상기 치밀질 전해질 박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온도는 1000~1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3390A KR101041934B1 (ko) | 2009-03-19 | 2009-03-19 | 박막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공 경사 구조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PCT/KR2010/001620 WO2010107228A2 (ko) | 2009-03-16 | 2010-03-16 | 기공 경사 구조의 나노 기공성 층을 포함하는 연료극 지지형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US13/256,769 US9209473B2 (en) | 2009-03-16 | 2010-03-16 | Anode-supported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a nanoporous layer having a pore gradient structur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
JP2012500713A JP5398904B2 (ja) | 2009-03-16 | 2010-03-16 | 気孔傾斜構造のナノ気孔性層を含む燃料極支持型固体酸化物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3390A KR101041934B1 (ko) | 2009-03-19 | 2009-03-19 | 박막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공 경사 구조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4761A KR20100104761A (ko) | 2010-09-29 |
KR101041934B1 true KR101041934B1 (ko) | 2011-06-16 |
Family
ID=4300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33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1934B1 (ko) | 2009-03-16 | 2009-03-19 | 박막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공 경사 구조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19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4024A (ko) | 2020-11-27 | 2022-06-03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롤-투-롤 연속공정 기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해질 층 중첩코팅방법 및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7560B1 (ko) * | 2011-11-11 | 2013-09-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스핀 코팅 공정과 저온 소결에 의한 중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구조 및 그 제조공정 |
JP6667238B2 (ja) * | 2015-09-18 | 2020-03-18 | 大阪瓦斯株式会社 | 金属支持型電気化学素子、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および金属支持型電気化学素子の製造方法 |
WO2017048047A1 (ko) * | 2015-09-18 | 2017-03-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 슬러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용 그린시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의 제조방법 |
KR102750899B1 (ko) * | 2021-12-20 | 2025-01-09 | 주식회사 넥스트이앤엠 | 이온 다이오드 멤브레인 및 그의 제조방법 |
CN115863718A (zh) * | 2022-12-07 | 2023-03-28 | 北京思伟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多层共流延方法制备的金属支撑单体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6180A (ko) * | 2002-09-23 | 2004-03-3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초소형 전기화학 장치를 위한 다공성 전극 및 박막 전해질제조 방법 |
KR20070019868A (ko) * | 2005-08-11 | 2007-02-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제조방법 |
KR20070037254A (ko) * | 2005-09-30 | 2007-04-0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페이스트, 이를 이용한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US20080131752A1 (en) * | 2006-11-30 | 2008-06-05 | Changsing Hwang | Nanostructured composite anode with nano gas channels and atmosphere plasma spr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09
- 2009-03-19 KR KR1020090023390A patent/KR10104193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6180A (ko) * | 2002-09-23 | 2004-03-3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초소형 전기화학 장치를 위한 다공성 전극 및 박막 전해질제조 방법 |
KR20070019868A (ko) * | 2005-08-11 | 2007-02-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제조방법 |
KR20070037254A (ko) * | 2005-09-30 | 2007-04-0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페이스트, 이를 이용한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US20080131752A1 (en) * | 2006-11-30 | 2008-06-05 | Changsing Hwang | Nanostructured composite anode with nano gas channels and atmosphere plasma spr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4024A (ko) | 2020-11-27 | 2022-06-03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롤-투-롤 연속공정 기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해질 층 중첩코팅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4761A (ko) | 2010-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98904B2 (ja) | 気孔傾斜構造のナノ気孔性層を含む燃料極支持型固体酸化物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US8383286B2 (en) | Method for preparing metal oxide sol, method for preparing metal oxide thin film using said sol, and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said thin film | |
JP5539417B2 (ja) | ナノ構造複合体空気極を含む固体酸化物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2505820A5 (ko) | ||
JP5762295B2 (ja) | 低温sofc用の新素材および構造 | |
KR101041933B1 (ko) | 박막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공 경사 구조를 갖는 연료극 지지형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041934B1 (ko) | 박막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기공 경사 구조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186929B1 (ko) |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금속 산화물 박막의 저온 무수축 제조 방법 | |
US20100203421A1 (en) | Nano-porous nano-composi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solid oxide fuel cell including the nano-porous nano-composite | |
US20140106259A1 (en) | Positive electrode composite for solid oxide fuel cel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solid oxide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 |
CA3165823C (en) | Interlayer for solid oxide cell | |
Kong et al. | One-dimensional CuCo2O4–Er0. 4Bi1. 6O3 composite fiber as cathode of intermediate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 |
JP5546559B2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および該燃料電池のカソード形成用材料 | |
US20140141358A1 (en) |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post heat-treated composite catho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
KR101307560B1 (ko) | 스핀 코팅 공정과 저온 소결에 의한 중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구조 및 그 제조공정 | |
Chen et al. | Facile approach for improving the interfacial adhesion of nanofiber air electrodes of reversible solid oxide cells | |
Shin et al. | A highly activated and integrated nanoscale interlayer of cathodes in low-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via precursor-solution electrospray method | |
Kamlungsua et al. | Inkjet-printed Ag@ SDC core-shell nanoparticles as a high-performance cathode for low-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 |
WO2006135594A2 (en) | Method of electrode deposition for solid oxide fuel cells | |
Kim et al. | Interface engineering of an electrospun nanofiber-based composite cathode for intermediate-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 |
Abarzua et al. | A feasible strategy for tailoring stable spray‐coated electrolyte layer in micro‐tubular solid oxide fuel cells | |
JP5655032B2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および該燃料電池のカソード形成用材料 | |
He | Thin coat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in high-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 |
Ghaemi | Developing ceria-based nanocomposite materials for low/intermediate-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 |
KR20240000287A (ko) | 초음파 분무법을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공기극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