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9896B1 -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896B1
KR101039896B1 KR20090118901A KR20090118901A KR101039896B1 KR 101039896 B1 KR101039896 B1 KR 101039896B1 KR 20090118901 A KR20090118901 A KR 20090118901A KR 20090118901 A KR20090118901 A KR 20090118901A KR 101039896 B1 KR101039896 B1 KR 10103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light emitting
layer
conductive semiconducto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9011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1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896B1/ko
Priority to EP10191104.8A priority patent/EP2330638B1/en
Priority to US12/945,283 priority patent/US8294182B2/en
Priority to CN201510148249.1A priority patent/CN104868030B/zh
Priority to CN201010579288.4A priority patent/CN10210410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896B1/ko
Priority to US13/625,567 priority patent/US8884336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05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 H01L2224/49107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2Schottky di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10H20/831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bodi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 및 일단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와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연결보호부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

Description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실시예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이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는 휘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용 광원, 자동차용 광원 및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우수한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도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는 정전기 방전 현상(ESD : Electro Static Discharge)이나 서어지(Surge) 현상 등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정전기 방전 현상(ESD)에 대한 보호 구조를 가지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 및 일단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와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연결보호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방법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제1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홈을 따라, 일단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와는 쇼트키 접촉을 하는 연결보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정전기 방전 현상(ESD)에 대한 보호 구조를 가지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발광 소자(1)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1)는 전도성 지지부재(170), 반사층(160), 보호층(158), 오믹층(155),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활성층(140),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제1 전극(180), 연결보호부(185) 및 절연부재(145)를 포함 한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활성층(140),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은 예를 들어, 3족-5족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발광 구조물을 이룬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티탄(Ti), 크롬(Cr), 니켈(Ni),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텅스텐(W), 구리(Cu), 몰리브덴(Mo) 또는 불순물이 주입된 반도체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상기 발광 구조물 아래에 도금 또는/및 증착되거나, 시트(sheet)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는 상기 발광 구조물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전극(180)과 함께 상기 발광 소자(1)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 상에는 상기 반사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은 반사율이 높은 은(Ag), 은(Ag)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합금, 백금(Pt) 또는 백금(Pt)을 포함하는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은 상기 발광 구조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발광 소자(1)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층(160)과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 사이에는 두 층 사이의 계면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니켈(Ni),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층(160) 상면의 둘레에는 상기 보호층(1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 기 보호층(158)은 Si02, SixOy, Si3N4, SixNy, SiOxNy, Al2O3, TiO2, ITO, AZO, ZnO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8)은 상기 발광 구조물이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 등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쇼트(Short)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의 상면 및 상기 보호층(158)의 내측에는 상기 오믹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믹층(155)은 ITO, Ni, Pt, Ir, Rh, 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오믹층(155)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 상기 반사층(160) 사이의 오믹 접촉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믹층(155)은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 소자(1)의 전류 스프레딩(Current Spreading)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오믹층(155) 및 상기 보호층(158) 상에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은 예를 들어, p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p형 반도체층은 InxAlyGa1 -x- 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 예를 들어 InAlGaN, GaN, AlGaN, InGaN, AlN, InN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Mg, Zn, Ca, Sr,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상에는 상기 활성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또는 정공)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또는 전자)이 서로 만나서, 상기 활성층(140)의 형성 물질에 따른 에너지 밴드(Energy Band)의 밴드갭(Band Gap) 차이에 의해서 빛을 방출하는 층이다.
상기 활성층(140)은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다중 양자 우물 구조(MQW : Multi Quantum Well), 양자선 구조 또는 양자점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성층(140)이 상기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형성된 경우, 상기 활성층(140)은 복수의 우물층과 복수의 장벽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nGaN 우물층/GaN 장벽층의 주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의 위 및/또는 아래에는 n형 또는 p형 도펀트가 도핑된 클래드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클래드층(미도시)은 AlGaN층 또는 InAlGaN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 상에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은 예를 들어,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n형 반도체층은 InxAlyGa1 -x- 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 예를 들어 InAlGaN, GaN, AlGaN, InGaN, AlN, InN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Si, Ge, Sn 등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은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은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에는 제3 도전형 반도체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발광 소자(1)는 np, pn, npn, pnp 접합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으 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의 상면에는 제1 전극(1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80)은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와 함께 상기 발광 소자(1)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전극(18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티타늄(Ti), 크롬(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의 상면에는 러프니스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1)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은 제1 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135)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홈(135)은 에칭이나 레이저 드릴링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및 상기 활성층(140)을 관통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일부 제거되어, 상기 제1 홈(135)에 의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홈(135)의 제조방법이나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상기 제1 홈(135)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일단(186)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에 접촉하고, 타단(187)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일단(186)은 상기 제1 전극(180)과도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도금 또는 증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 접촉하여, 둘 중 어느 하나와는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와는 오믹 접촉을 형성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보호부(185)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과는 오믹 접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는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티타늄(Ti), 크롬(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보호부(185)가 상기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일단(186)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과 접촉하여 오믹 접촉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타단(187)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 접촉하여 쇼트키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타단(187)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접촉하는 접촉계면(138)에는 상기 쇼트키 접촉에 의해 높은 저항이 발생하여 전위 장벽이 생길 수 있다. 즉, 상기 접촉계면(138)에는 상기 전위 장벽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어야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전위 장벽은 상기 발광 소자(1)가 발광하기 위한 동작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V 내지 6V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위 장벽은 상기 발광 소자(1)의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 는다.
상기 전위 장벽은 상기 발광 소자(1)의 동작 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발광 소자(1)에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계면(138)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고 상기 발광 구조물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상기 발광 소자(1)는 발광하게 된다.
반면, 상기 발광 소자(1)에 상기 전위 장벽 이상의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계면(138)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상기 발광 구조물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발광 소자(1)에 정전기 방전(ESD : Electro Static Discharge) 현상 또는 서어지(Surge) 현상 등에 의해, 역방향으로 상기 전위 장벽 이상의 과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계면(138)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발광 구조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홈(135)의 내벽과 상기 연결보호부(185)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재(1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145)는 상기 연결보호부(185)와 상기 발광 구조물의 각 층들이 전기적으로 쇼트(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절연부재(145)는 상기 접촉계면(135)을 제외한 상기 제1 홈(135)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절연부재(145)는 예를 들어, Si02, SixOy, Si3N4, SixNy, SiOxNy, Al2O3, TiO2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보호부(185)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제1 홈(135)의 영역 및 상기 발광 구조물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A)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은 상기 연결보호부(185)를 형성함에 따라 발광에 기여하지 못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발광 소자(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발광 구조물이 기판(110)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10) 아래에 상기 발광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10) 아래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아래에 상기 활성층(140), 상기 활성층(140) 아래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0) 및 상기 기판(110) 사이에는 2족 내지 6족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비전도성 반도체층 또는/및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기판(110)은 사파이어(Al2O3), SiC, Si, GaAs, GaN, ZnO, GaP, InP, G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하면의 둘레에 상기 보호층(15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8)은 증착(Deposition)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보호층(158)은 Si02, SixOy, Si3N4, SixNy, SiOxNy, Al2O3, TiO2, ITO, AZO, ZnO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하면과 상기 보호층(158)의 내측에는 상기 오믹층(155)이 형성되고, 상기 오믹층(155) 및 상기 보호층(158) 아래에는 상기 반사층(160)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층(160) 아래에는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반사층(160)이 오믹 접촉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믹층(155)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에서 상기 기판(110)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LLO : Laser Lift Off) 공정 또는/및 에칭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기판(110)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의 표면을 에칭 공정에 의해 일부 제거하거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의 버퍼층(미도시) 또는/및 비전도성 반도체층(미도시)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구조물에 메사 에칭(Mesa Etching)을 실시하고, 상기 발광 구조물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홈(1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135)은 에칭 공정 또는/및 레이저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 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홈(135)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및 상기 활성층(140)을 관통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일부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홈(135)의 내벽에 상기 접촉계면(138)을 제외하고 상기 절연부재(1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145)는 상기 발광 구조물과 후에 형성될 상기 연결보호부(185)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145)는 증착(Deposition)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절연부재(145)는 Si02, SixOy, Si3N4, SixNy, SiOxNy, Al2O3, TiO2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에는 상기 제1 전극(18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홈(135)을 따라 상기 연결보호부(18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일단(186)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에 접촉하고, 타단(187)은 상기 접촉계면(138)에 의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상기 제1 전극(180)과 접촉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도금 또는 증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 접촉하여, 둘 중 어느 하나와는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와 는 오믹 접촉을 형성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티타늄(Ti), 크롬(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접촉계면(138)에는 상기 쇼트키 접촉에 의해 높은 저항이 발생하여 전위 장벽이 생길 수 있다. 즉, 상기 접촉계면(138)에는 상기 전위 장벽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소자(1)에 정전기 방전(ESD : Electro Static Discharge) 현상 또는 서어지(Surge) 현상 등에 의해, 역방향으로 상기 전위 장벽 이상의 과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계면(138)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발광 구조물, 즉, 상기 발광 소자(1)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9 및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발광 소자(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상기 발광 소자(1)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2)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소자(2)는 제1 전극(180)과 연결보호부(185)가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와 유사하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2)는 전도성 지지부재(170), 반사층(160), 보호층(158), 오믹층(155),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활성층(140),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제1 전극(180), 연결보호부(185) 및 절연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180)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제1 홈(135)을 따라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일단(186)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에 접촉하고, 타단(187)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180)과 상기 연결보호부(185)의 일단(186)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80)과 상기 연결보호부(185)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이 도전성을 가지므로, 상기 연결보호부(185)는 상기 발광 소자(2)를 정전기 방전(ESD) 현상 및 서어지(Surge) 현상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소자(3)는 발광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연결보호부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와 유사하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3)는 전도성 지지부재(미도시), 반사층(미도시), 보호층(158), 오믹층(미도시),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활성층(140),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제1 전극(180), 연결보호부(185a) 및 절연부재(145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활성층(140),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은 최소한의 발광 구조물을 이룬다.
상기 발광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제1 홈(13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135a)은 에칭이나 레이저 드릴링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및 상기 활성층(140)을 관통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일부 제거되어, 상기 제1 홈(135a)에 의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은 상기 연결보호부(185a)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이 접촉하는 접촉계면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접촉계면은 상기 발광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연결보호부(185a)는 제1 홈(135a)을 따라 상기 연결보호부(185a)의 일단(186a)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에 접촉하고, 타단(187a)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에 상기 접촉계면에 의해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계면이 제1 실시예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상기 연결보호부(185a)는 상기 발광 소자(3)에 정전기 방전(ESD : Electro Static Discharge) 현 상 또는 서어지(Surge) 현상 등에 의해, 역방향으로 상기 전위 장벽 이상의 과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상기 발광 소자(3)를 보호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4)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소자(4)는 오믹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전류차단층을 포함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와 유사하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4)는 전도성 지지부재(170), 반사층(160), 보호층(158), 오믹층(155), 전류차단층(153),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활성층(140),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제1 전극(180), 연결보호부(185) 및 절연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차단층(153)은 상기 오믹층(155)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차단층(153)은 상기 제1 전극(180)과 적어도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차단층(153)은 상기 제1 전극(180)과 상기 전도성 지지부재(170)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전류가 편중되어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발광 소자(4)의 발광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전류차단층(153)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과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차단층(153)은 ZnO, SiO2, SiOx, SiOxNy, Si3N4, Al2O3 , TiOx, Ti, Al, 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5 실시예>
이하, 제5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5)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소자(5)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 구조물의 적어도 측면에 패시베이션층(190)이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와 유사하다.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5)는 전도성 지지부재(170), 반사층(160), 보호층(158), 오믹층(155),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 활성층(140),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제1 전극(180), 연결보호부(185), 절연부재(145) 및 패시베이션층(190)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구조물은 적어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0), 활성층(140)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0)으로 이루어져 빛을 생성하는 복수의 3족 내지 5족 화합물 반도체층 일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90)은 상기 발광 구조물의 적어도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시베이션층(190)의 일단은 상기 발광 구조물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구조물의 측면을 따라 타단은 상기 보호층(15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90)은 상기 발광 구조물이 외부 전극 등과 전기적으로 쇼트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발광 소자(5)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90)은 예를 들어, ZnO, SiO2, SiOx, SiOxNy, Si3N4, Al2O3 , TiOx, Ti, Al, 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시베이션층(190)은 상기 발광 구조물에 열화학적 산화 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패시베이션층(190)의 재질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 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발광 소자의 상면도
도 3 내지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

Claims (18)

  1.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 및
    일단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와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연결보호부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보호부는 상기 제1 홈을 따라 형성된 발광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호부와 상기 발광 구조물 사이에, 상기 연결보호부를 상기 발광 구조물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호부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여, 둘 중 어느 하나와는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와는 오믹 접촉을 형성하는 금속으로 형성된 발광 소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크롬(C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은 InxAlyGa1-x-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로 형성되고, Si, Ge 또는 Sn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되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InxAlyGa1-x-yN (0≤x≤1, 0 ≤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로 형성되고, Mg, Zn, Ca, Sr 또는 Ba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된 발광 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호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전극과 접촉하는 발광 소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호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된 발광 소자.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 접촉은 4V 내지 6V의 전위 장벽을 형성하는 발광 소자.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발광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발광 소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아래에는 전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13.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제1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홈을 따라, 일단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중 어느 하나와는 쇼트키 접촉을 하는 연결보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호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홈의 내벽에 절연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SixOy, Si3N4, SixNy, SiOxNy, Al2O3, TiO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홈의 내벽에 증착하여 형성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에칭 공정 및 레이저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호부는 도금 또는 증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 아래에 전도성 지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20090118901A 2009-12-03 2009-12-03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3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8901A KR101039896B1 (ko) 2009-12-03 2009-12-03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10191104.8A EP2330638B1 (en) 2009-12-03 2010-11-12 Light emitting device
US12/945,283 US8294182B2 (en) 2009-12-03 2010-11-12 Light emitting device
CN201510148249.1A CN104868030B (zh) 2009-12-03 2010-12-03 发光器件
CN201010579288.4A CN102104100B (zh) 2009-12-03 2010-12-03 发光器件
US13/625,567 US8884336B2 (en) 2009-12-03 2012-09-24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8901A KR101039896B1 (ko) 2009-12-03 2009-12-03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896B1 true KR101039896B1 (ko) 2011-06-09

Family

ID=4347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189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9896B1 (ko) 2009-12-03 2009-12-03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294182B2 (ko)
EP (1) EP2330638B1 (ko)
KR (1) KR101039896B1 (ko)
CN (2) CN1048680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715A (ko) * 2013-01-03 2014-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90094137A (ko) * 2019-07-29 2019-08-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96B1 (ko) * 2009-12-03 201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709B1 (ko) * 2010-07-28 2012-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시스템
US20120032212A1 (en) * 2010-08-06 2012-02-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light emitting diode sidewall passivation
JP5647028B2 (ja) * 2011-02-14 2014-12-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37737B (zh) * 2011-09-14 2014-05-11 Lextar Electronics Corp 發光二極體結構及其製造方法
TWI515936B (zh) * 2011-12-15 2016-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及其製作方法
TW201336116A (zh) * 2012-02-24 2013-09-01 Genesis Photonics Inc 發光二極體元件及覆晶式發光二極體封裝元件
TWI538184B (zh) * 2012-08-06 2016-06-1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陣列
KR101886156B1 (ko) * 2012-08-21 2018-09-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DE102013103079A1 (de) * 2013-03-26 2014-10-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chip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Halbleiterchips
SE537818C2 (sv) * 2013-04-05 2015-10-27 Ten Medical Design Ab Strålskyddande material
DE102013107531A1 (de) * 2013-07-16 2015-01-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chip
TWI552386B (zh) 2013-12-20 2016-10-01 新世紀光電股份有限公司 半導體發光結構及半導體封裝結構
KR102098261B1 (ko) * 2014-06-18 2020-04-08 엑스-셀레프린트 리미티드 마이크로 어셈블링된 led 디스플레이들
KR102332839B1 (ko) * 2015-01-29 2021-11-30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412409B1 (ko) * 2015-10-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44426A (zh) * 2015-10-27 2016-01-13 天津三安光电有限公司 一种防止逆向电压击穿发光二极管的结构与制作方法
US10782002B2 (en) 2016-10-28 2020-09-22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optical components
KR20220069185A (ko) 2020-11-19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821A (ko) * 2004-09-17 2006-03-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방지기능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60062715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방전 보호 다이오드를 구비한 GaN 계열 반도체발광 소자
KR20090048030A (ko) * 2007-11-09 2009-05-13 (주)더리즈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035A (en) * 1984-11-26 1991-01-08 Hitachi Cable, Ltd.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US6180960B1 (en) * 1995-04-12 2001-01-30 Nippon Sheet Glass Co., Ltd. Surface light-emitting element and self-scanning type light-emitting device
US7002176B2 (en) * 2002-05-31 2006-02-21 Ricoh Company, Ltd. Vertical organic transistor
CA2514228A1 (en) * 2003-01-23 2004-08-05 Aruze Corp. Discrimination sensor
CN100524790C (zh) * 2004-02-02 2009-08-05 三垦电气株式会社 半导体发光元件与保护元件的复合半导体装置
TWI244748B (en) * 2004-10-08 2005-12-01 Epistar Corp A light-emitting device with a protecting structure
WO2006043796A1 (en) * 2004-10-22 2006-04-27 Seoul Opto-Device Co., Ltd. Gan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403561C (zh) * 2004-10-27 2008-07-16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电路保护装置的发光元件
KR100665116B1 (ko) 2005-01-27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Esd 보호용 led를 구비한 질화갈륨계 발광 소자 및그 제조 방법
JP4978014B2 (ja) * 2006-01-30 2012-07-1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9005B1 (ko) * 2007-11-26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E102007057672A1 (de) 2007-11-30 2009-06-0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körper
WO2009125953A2 (ko) * 2008-04-06 2009-10-15 Song June O 발광 소자
EP2270881B1 (en) * 2008-04-30 2016-09-28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090119596A (ko) * 2008-05-16 2009-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896B1 (ko) * 2009-12-03 201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0963B1 (ko) * 2010-04-23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821A (ko) * 2004-09-17 2006-03-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방지기능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60062715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방전 보호 다이오드를 구비한 GaN 계열 반도체발광 소자
KR20090048030A (ko) * 2007-11-09 2009-05-13 (주)더리즈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715A (ko) * 2013-01-03 2014-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07193B1 (ko) * 2013-01-03 2019-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90094137A (ko) * 2019-07-29 2019-08-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29876B1 (ko) 2019-07-29 2019-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0603A1 (en) 2013-01-24
CN102104100A (zh) 2011-06-22
US8294182B2 (en) 2012-10-23
CN104868030A (zh) 2015-08-26
EP2330638A1 (en) 2011-06-08
US20110133234A1 (en) 2011-06-09
EP2330638B1 (en) 2019-03-27
CN104868030B (zh) 2019-01-04
CN102104100B (zh) 2015-05-06
US8884336B2 (en)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896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81135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JP4777293B2 (ja) 窒化物系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
US8581268B2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a current concentrating structure
US9172002B2 (en)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patterned substrate
US20120168805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0999692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JP5816243B2 (ja)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101763072B1 (ko) 광 추출 효율 및 전류 주입 효율 개선을 위한 led 소자
JP2006086300A (ja) 保護素子を有する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37636A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30120615A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103963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413447B1 (ko) 발광소자
US9812614B2 (en) Light-emitting device
KR20120037266A (ko) 발광소자
KR101286210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23512A (ko) 질화물 발광장치
CN101834252B (zh) 发光器件、制造发光器件的方法以及发光装置
US9312449B2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reflecting electrode
KR20120055332A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976450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JP2016046411A (ja) 半導体発光素子
KR20120052747A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240266467A1 (en) Light-emitting diod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