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9639B1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639B1
KR101039639B1 KR1020080061551A KR20080061551A KR101039639B1 KR 101039639 B1 KR101039639 B1 KR 101039639B1 KR 1020080061551 A KR1020080061551 A KR 1020080061551A KR 20080061551 A KR20080061551 A KR 20080061551A KR 101039639 B1 KR101039639 B1 KR 10103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dy
speaker device
speaker
sound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585A (ko
Inventor
김지은
이병선
윤흥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39B1/ko
Priority to US12/491,828 priority patent/US8208977B2/en
Priority to EP09163911A priority patent/EP2139207A3/en
Publication of KR2010000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면에 스피커 홀이 형성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와 그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정 몸체, 힌지 모듈을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몸체에 결합되는 이동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가 대향하는 양 면 중 어느 한 면에 체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사방으로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를 외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이동 몸체와 고정 몸체의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로 휴대 단말기를 디자인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또한, 스피커 홀이나 보호망 등으로 인하여 출력되는 음향이나 음압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스피커, 공명, 슬라이딩, 음압, 주파수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Portable terminal and speaker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면에 스피커 홀이 형성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와 그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휴대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근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일반적으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다. 스피커 장치는 단말기내에 통화용 리시버(receiver) 장치와 별도로 설치되는데, 대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후면이나 리시버 장치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는 사용자가 불특정인이 들을 수 있도록 통화(즉, 스피커 폰 기능)를 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때 이용된다. 여기서 부가 기능으로는 MP3 플레이어를 통한 음악 청취,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모듈을 통한 공중파 시청 등을 들 수 있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스피커 장치는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음향을 외부로 출력시키고 외부로부터 스피커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스피커 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케이스에 다수의 홀(이하, 스피커 홀)을 뚫거나, 이에 대응하는 보호망을 부착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스피커 홀이 케이스에 형성되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스피커 홀의 크기와 형태에 제약을 받게 된다. 즉, 스피커 홀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스타일로 디자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더하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케이스에 스피커 홀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케이스 외부면에 스피커 홀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인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 장치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고정 몸체, 힌지 모듈을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몸체에 결합되는 이동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가 대향하는 양 면 중 어느 한 면에 체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사방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스피커 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내부에 상기 스피커 유닛이 결합되는 인클로져(Enclosur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클로져는 밀폐형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스피커 장치를 외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이동 몸체와 고정 몸체의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로 휴대 단말기를 디자인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또한, 스피커 홀이나 보호망 등으로 인하여 출력되는 음향이나 음압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된 음향이 이동 몸체와 고정 몸체 사이의 틈을 공명 공간으로 활용하며 이동하여 외부로 방사되므로 보다 나은 음질(즉, 주파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직접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위치에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므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크기로 스피커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출력을 높이고 음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를 지칭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외부' 또는 '외부면'란 사용자가 손 등을 통해 직접 접촉이 가능한 면들을 지칭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고정 몸체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a의 a - a'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고정 몸체(110), 이동 몸체(120), 및 스피커 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몸체(11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고정되며 이동되지 않는 부분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숫자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와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여기 키 입력부는 숫자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키와 다양한 명령의 입력 및 제어를 위한 기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몸체(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고정 몸체(110)를 기준으로 하여 상방이나 하방(즉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부분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LCD)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몸체(120)는 통화 키, 통화 종료 키, 취소 키, 방향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몸체(110)과 이동 몸체(120)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힌지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이동 몸체(120)가 고정 몸체(110)로부터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힌지 모듈은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도면에서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스피커 장치(150)는 상기 고정 몸체(110) 또는 이동 몸체(120) 중 하나에 체결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은 고정 몸체(110)와 이동 몸체(120) 사이에 형성된 틈(T)을 통해 사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피커 장치(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50)는 스피커 유닛(152)과 인클로져(Enclosure: 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 유닛(152)은 원반 형태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보이스 코일형 스피커(voice coil speak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스피커 유닛(152)이 하나의 스피커 장치(15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는 음향을 스테레오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스피커 유닛(152) 또는 세 개 이상 다수 개의 스피커 유닛(152)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인클로져(155)는 내부에 스피커 유닛(152)을 수용하며 외부로부터 스피커 유닛(152)을 보호함과 동시에, 스피커 유닛(152)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후방음을 차단하는 스피커 장치(150)의 몸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져(155)는 상기 스피커 유닛(152) 결합 시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는 밀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인클로져(155)는 스피커 유닛(152)이 체결되는 가이드 프레임(157)과, 스피커 유닛(152)의 배면을 둘러싸며 가이드 프레임(157)의 일면에 체결되어 공명 공간을 확보하는 차음 프레임(15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프레임(157)은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 형상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홀(158)에 스피커 유닛(152)들이 결합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저음 대역 음질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인클로져(155)의 크기가 클수록 유리하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스피커 유닛(152)은 박형화 및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인클로져(155)의 크기(즉, 두께)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클로져(155)의 차음 프레임(159)이 스피커 유닛(152)의 배면과 너무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인클로져(155) 내부의 공기압 상승에 따라 진동판의 진폭이 좁아지고 고음 대역 만이 주로 재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차음 프레임(159)을 금속 재질의 판으로 형성한다. 사출 성형을 통해 차음 프레임(159)을 형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약 0.35mm의 두께로 차음 프레임(159)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금속 재질(예컨대, 스테인리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 약 0.1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금속 재질로 차음 프레임(159)을 형성하게 되면,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인클로져(155) 내부의 공명 공간(도 2의 P)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50)는 인클로져(155) 내부의 공명 공간(P)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저음 대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50)는 차음 프레임(159)의 외부면인 배면이 고정 몸체(110)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때, 스피커 장치(150)는 고정 몸체(110)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스피커 장치(150)가 고정 몸체(110)의 결합면에 설치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종래와 같이 스피커 장치나 스피커 홀 등이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 이동 몸체(120)를 고정 몸체(110)로부터 분해하지 않는 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스피커 장치(150)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경우, 스피커 장치(150)가 직접 외부로 향하도록 설치되므로, 스피커 유닛(152)을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에 스피커 홀을 형성하거나 보호망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유닛(1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150)가 직접 외부로 향하도록 설치되지 않으므로, 이동 몸체(120)를 고정 몸체(110)로부터 분리해 내지 않는 한 사용자가 스피커 유닛(152)과 접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스피커 유닛(152)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기구물(즉 스피커 홀이나 보호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기구물을 형성하더라도 해당 기구물의 홀(Hole)을 최대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종래와 같이 스피커 유닛(152)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기구물(즉, 스피커 홀이나 보호망)에 의해 열화되지 않으며, 출력된 그대로 이동 몸체(120)와 고정 몸체(110) 사이의 틈(도 2의 T)을 공명 공간으로 이용하며 외부로 방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향상된 음질을 즐길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특정 음향의 출력을 요청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음향이 스피커 유닛(152)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고정 몸체(110)와 이동 몸체(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공명 공간으로 활용한다. 즉, 스피커 유닛(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고정 몸체(110)와 이동 몸체(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따라 공명하며 전파되고,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금속 재질로 차음 프레임(159)을 형성함으로써 확장된 인클로져(155) 내부의 공명 공간(P)을 통해 저음 대역도 명확하게 출력된다.
여기서, 고정 몸체(110)와 이동 몸체(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음향이 출력될 때, 어느 하나의 방향이 아닌 휴대 단말기(100)의 틈(T)이 형성된 모든 방향으로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b와 같이 이동 몸체(120)가 고정 몸체(110)로부터 밀어 올려진 경우에도 고정 몸체(110)와 이동 몸체(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통해서 음향이 출력된다. 즉, 출력되는 음향은 이동 몸체(120)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고정 몸체(110)와 이동 몸체(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T)을 통해서만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고정 몸체(110)와 이동 몸체(120)의 결합면이 굴곡없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고정 몸체와 이동 몸체의 결합면은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고정 몸체(210)와 이동 몸체(220)의 결합면이 굴곡을 갖는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휴대 단말기(200)의 이동 몸체(220)는 결합면을 향하여 즉, 고정 몸체(210)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5)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와 대응하여, 고정 몸체(210)는 이동 몸체(220)의 돌출부(225)와 대응하는 오목부(215)가 형성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150)는 고정 몸체(210)의 오목부(215)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가 구성되는 경우, 도 4b와 같이 이동 몸체(220)가 밀어 올려지게 되면, 돌출부(225)가 위치하고 있던 영역은 일정 크기의 공간(S)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피커 장치(150)으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공간(S)을 공명 공간으로 이용하며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물론, 도 4a와 같이 이동 몸체(220)와 고정 몸체(210)가 포개져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 몸체(210)와 이동 몸체(220) 사이의 틈(T)을 통해서만 음향이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도 4a와 같이 이동 몸체(220)와 고정 몸체(210)가 포개진 상태와, 도 4b와 같이 이동 몸체(220)가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의 출력되는 음향의 주파수 응답 특성에 차이가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의 휴대 단말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 4b에 도시된 상태의 휴대 단말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 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그래프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10cm 정도의 거리에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측정한 그래프로, 검은 실선이 각 주파수 별 특성을 나타낸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그래프의 경우, 기준선들(즉, 상단부의 적색 선과 중간 부분의 적색 선) 사이에 위치될 때 해당 주파수에 대한 출력이 양호함을 의미하며, 중간 부분의 적색 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주파수의 특성이 열악함을 의미한다.
도 5a와 도 5b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비슷한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저음 대역의 경우, 도 5a의 주파수 특성이 도 5b보다 양호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이동 몸체(220)와 고정 몸체(210) 사이의 틈(T)을 통해서만 음향이 출력될 때 저음 대역이 보다 명확하게 출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b의 상태의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 스피커 장치(150)로부터 출력되는 대부분의 음향은 이동 몸체(220)와 고정 몸체(210)의 사이의 틈(T)이 아닌, 오목부(21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을 통해 외부로 직접 출력된다. 즉,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외부를 향해 스피커 장치가 형성되는 경우와 유사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도 5a와 도 5b의 비교에서와 같이, 이동 몸체(220)와 고정 몸체(210) 사이의 틈(T)을 통해서만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보다 주파수 특성이 향상됨을 예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스피커 장치를 외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이동 몸체와 고정 몸체의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로 휴대 단말기를 디자인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 몸체와 고정 몸체의 사이의 틈을 공명 공간으로 활용하므로, 출력되는 음향의 주파수 특성과 음압 등이 종래에 비해 저하되지 않으며, 저음 대역에서는 오히려 향상되는 결과를 보인다.
따라서, 제조 시 스피커의 배치를 고려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외형을 디자인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으며, 스피커 홀이나 보호망 등으로 인하여 출력되는 음향이나 음압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음향이 이동 몸체와 고정 몸체 사이의 틈을 공명 공간으로 활용하며 이동하여 외부로 방사되므로 보다 나은 음질(즉, 주파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직접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위치에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므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크기로 설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출력을 높이고 음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장치가 고정 몸체에 결합되는 경우 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몸체의 결합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 몸체를 고정 몸체로부터 밀어 올리게 되면 스피커 장치가 외부로 노출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스피커 장치가 노출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스피커 유닛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장치가 이동 몸체의 결합면에 설치되는 경우, 스피커 장치는 고정 몸체의 키 패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형 휴대 단말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슬라이드 형으로 고정 몸체와 이동 몸체를 구비하며, 음향을 출력하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고정 몸체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의 a - a'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의 휴대 단말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b는 도 4b에 도시된 상태의 휴대 단말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휴대 단말기 110, 210 : 고정 몸체
120, 220 : 이동 몸체 150 : 스피커 장치
152 : 스피커 유닛 155 : 인클로져(Enclosure)
157 : 가이드 프레임 159 : 차음 프레임

Claims (10)

  1.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고정 몸체;
    힌지 모듈을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몸체에 결합되는 이동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가 대향하는 양 면 중 어느 한 면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체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공명 공간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고정 몸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배면이 상기 고정 몸체에 체결되고, 내부에 상기 스피커 유닛이 결합되는 인클로져(Enclosur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밀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유닛이 체결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을 둘러싸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 체결되어 공명 공간을 확보하는 차음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몸체는 일단 부분에서 상기 고정 몸체와 대향하는 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이동 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이동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 몸체에 포함된 키패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내부에 상기 스피커 유닛이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 유닛이 체결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을 둘러싸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 체결되어 공명 공간을 확보하는 차음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클로져(Enclosur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클로져는 밀폐형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KR1020080061551A 2008-06-27 2008-06-2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3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1A KR101039639B1 (ko) 2008-06-27 2008-06-2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US12/491,828 US8208977B2 (en) 2008-06-27 2009-06-25 Mobile terminal and speaker device thereof
EP09163911A EP2139207A3 (en) 2008-06-27 2009-06-26 mobile terminal and speaker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1A KR101039639B1 (ko) 2008-06-27 2008-06-2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85A KR20100001585A (ko) 2010-01-06
KR101039639B1 true KR101039639B1 (ko) 2011-06-09

Family

ID=4111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5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9639B1 (ko) 2008-06-27 2008-06-2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08977B2 (ko)
EP (1) EP2139207A3 (ko)
KR (1) KR101039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49A1 (en) * 2020-05-22 2021-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81006S1 (en) * 2011-04-22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speaker
USD681603S1 (en) * 2011-04-22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speaker
KR101910839B1 (ko) * 2011-11-07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D692406S1 (en) * 2012-01-18 2013-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341855B2 (en) * 2016-04-28 2019-07-02 Polycom, Inc. Detection of unsecure calls by communications device
KR20230016830A (ko) * 2021-07-27 2023-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95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60064934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폭확장이 가능한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70002348A (ko)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팬택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4115B1 (ko) * 2007-01-26 2008-01-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확장된 공명 공간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671A (ja) * 2000-09-06 2002-03-22 Nichias Corp 吸音構造体
TW488610U (en) * 2001-10-31 2002-05-21 Yang Chang K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50107499A (ko) * 2003-03-07 2005-11-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기
EP1583391A1 (en) * 2004-04-01 2005-10-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 communications unit with arrangment for loud reproduction of sound
KR100834626B1 (ko) * 2004-05-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JP4192187B2 (ja) * 2005-05-24 2008-12-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携帯端末機
KR101232951B1 (ko) * 2005-11-07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WO2007060730A1 (ja) 2005-11-25 2007-05-3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携帯端末
KR20080010625A (ko) * 2006-07-27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95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60064934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폭확장이 가능한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70002348A (ko)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팬택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4115B1 (ko) * 2007-01-26 2008-01-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확장된 공명 공간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49A1 (en) * 2020-05-22 2021-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US11496819B2 (en) 2020-05-22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9207A2 (en) 2009-12-30
US8208977B2 (en) 2012-06-26
KR20100001585A (ko) 2010-01-06
US20090325653A1 (en) 2009-12-31
EP2139207A3 (en)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6923B2 (en) Mobile terminal
KR1010396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US10361743B2 (en) Mobile terminal
KR101890145B1 (ko) 스피커 음 증폭 경로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7920904B2 (en) Mobile terminal
KR2013010413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수 케이스
JP2005006205A (ja) 携帯端末
KR100758824B1 (ko)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JP2006157464A (ja) 音響装置
EP172733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ound leakage preventing unit
KR101747968B1 (ko)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2009267985A (ja) 携帯端末装置
US811650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ceiver
KR1006907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WO2007060730A1 (ja) 携帯端末
US7930005B2 (en) Hous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429251B1 (ko) 리시버 및 이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34640B1 (ko) 공명 공간을 제공하는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794115B1 (ko) 확장된 공명 공간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26139A (ko) 압전형 스피커를 장착한 폴더형 휴대폰
KR1008194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음 개선을 위한 공명 구조
JP4675775B2 (ja) 携帯無線機
KR100594064B1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30126460A (ko)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6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