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9428B1 -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428B1
KR101039428B1 KR1020080093239A KR20080093239A KR101039428B1 KR 101039428 B1 KR101039428 B1 KR 101039428B1 KR 1020080093239 A KR1020080093239 A KR 1020080093239A KR 20080093239 A KR20080093239 A KR 20080093239A KR 101039428 B1 KR101039428 B1 KR 10103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ignal
antenna
control signal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215A (ko
Inventor
박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riority to KR102008009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4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4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한 LF 발신 안테나와 전원을 구비한 차량의 무선(wireless)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LF 발신 안테나를 구동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LF 신호가 LF 발신 안테나로부터 발신되게 하는 안테나 구동부와, 전원의 전력을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고,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 제어 신호를 전류 변동부에 공급하는 전류 변동부는 전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부로 흐르는 전류를 변경시킨다. 그 결과,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LF 신호는 포브 키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다. 따라서, 차량의 배선에 위치한 포브 키와 차량 사이의 통신에 의한 차량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Vehicle wireless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riving antenn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스마트 키라고도 하는 포브(Fob) 키를 이용하여, 기존의 기계적인 키 없이, 자동차의 문을 열고 닫음은 물론 자동차의 전원 천이나 시동 등을 제어하도록 하는 원격 키리스(remote keyless) 시스템에 관련한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기존에는, 포브 키와 차량 내부 안테나 사이의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포브 키를 인증하고 전원 천이나 시동을 행하는 차량이 있었다. 다수 개의 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에서, 본체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은 어떤 안테나와 통신하는지에 따라서 그 상황에 적합한 제어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운전석 근처에서 포브 키가 감지되거나 운전석 도어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만지면, 본체 제어 모듈은 운전석 도어를 여는 것에 관련한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차량에서, 운전자는 포브 키를 아무렇게나 던져 놓거나, 휴대하고 있 다가 자신도 모르게 차량의 실내 바닥에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브 키는 차량 내의 배선으로부터 나오는 전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포브 키와 차량내 안테나 사이의 통신이 잘못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포브 키가 차량의 배선으로부터 유기되는 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로서 잘못 수신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와 같은 차량은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해 다수 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구동할 수 있는 신호 송수신부는 차량 내의 배선을 통해 배터리와 같은 전원에 연결된다. 신호 송수신부가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구동할 때, 포브 키가 수신할 수 있는 신호가 전원과 신호 송수신부 사이의 배선으로부터 유기된다. 배선으로부터 유기되는 이 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신호와 파형이 동일하다. 그러므로, 포브 키는 배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동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의 배선으로부터 유기되는 LF 안테나의 신호를 포브 키가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차량의 무선(wireless)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무선 송신 장치를 위한 안테나 구동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한 LF 발신 안테나와 전원을 구비한 차량의 무선(wireless)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LF 발신 안테나를 구동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LF 신호가 LF 발신 안테나로부터 발신되게 하는 안테나 구동부;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부로 흐르는 전류를 변경시키는 전류 변동부; 및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고,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 제어 신호를 상기 전류 변동부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를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는 동안, 포브 키가 차량의 전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의 배선으로부터 유기되는 신호에 의해 인식할 수 없도록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를 위한 안테나 구동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전원,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LF 발신 안테나를 구동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LF 신호가 LF 발신 안테나로부터 발신되게 하는 안테나 구동부,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전류 변동부, 및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고 전류 제어 신호를 상기 전류 변동부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를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변동부가 상기 생성된 전류 제어 신호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부로 흐르는 전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동시키고, 상기 안테나 구동부는 상기 변동된 전력, 상기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LF 신호를 생성하고 LF 발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류 제어 신호는 데이터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는 펄스 폭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브 키가 차량 내부의 배선 근처 위치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포브 키와 차량의 잘못된 통신으로 인한 차량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신 장치(100)는, 전원(11)에 연결되며, 포브 키(미도시)와의 통신을 위해 LF 발신 안테나(25)에도 연결된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전원(11)에 연결된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13)를 구비하며, 또한, 무선 송신 장치(100)는 전류 변동부, 제어부(17), 안테나 구동부를 구비한다. 제어부(17)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데이터 신호, GND 제어신호,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제어부(17)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서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에 의한 전류 제어신호의 생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원 공급부(13)는 전류 변동부를 경유하여 제어부(17)에 연결된다. 도 1에서, B+은 상시전원 전압을 의미한다. 상시전원은 스타트 버튼의 누름 여부에 무관하게 브레이크등, 실내등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다.
전류 변동부는, 저항(R)과 스위치 회로(15)를 구비한다. 저항(R)은 전원(11) 와 전원 공급부(13) 사이의 노드와 스위치 회로(15) 사이에 연결되고, 스위치 회로(15)는 제어부(17)에 연결된 제어단자를 가지며, 접지(GND)에도 연결된다.
안테나 구동부는 주파수 발생부(19),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 및 GND 제어부(23)를 구비한다. 주파수 발생부(19)는 전원 공급부(13)에 연결되며, 저주파수(LF)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여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에 공급한다. 제어부(17)는 포브 키(미도시)에 송신하려는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에 공급하고, LF 안테나(25)를 접지하기 위한 GND 제어신호를 GND 제어부(23)에 공급한다. 제어부(17)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는 LF 반송파 신호를 반송파로 하여 그 반송파를 데이터 신호에 따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에 기초하여 LF 안테나(25)를 구동한다. 이때, GND 제어부(23)는 GND 제어신호에 따라서 LF 안테나(25)를 접지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GND 제어부(23)는 GND 제어신호를 제어단에 인가받고, GND 제어신호에 따라서, 접지와 LF 안테나(25)측 단자의 연결과 연결해제를 제어하는 스위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LC 안테나 형태의 LF 안테나(25)는 LF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포브 키가 수신할 수 있는 LF 신호는, 예를 들면, 134.2KHz 또는 125KHz의 고정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전원(11)에 의해 상시 전원 전압(B+)이 전원 공급부(13)를 통해 각종 회로 블록들에 공급된다.
LF 안테나(25)로부터 송신되는 LF 신호를 포브 키(미도시)가 수신하지 못하도록 해야 할 때, 제어부(17)는, 데이터 신호를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에 공급하는 동안, 포브 키가 인식할 수 없는 LF 신호가 전원(11)과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100)의 전원공급부(13) 사이의 배선에서 유기되도록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7)는 안테나 구동부의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에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서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제어부(17)는 전류 제어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및 하강 에지(falling edge)가 데이터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게끔 전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전류 제어신호는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에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류 제어신호는 배선 근처에 위치된 포브 키가 LF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면 데이터 신호의 파형과는 다른 어떠한 파형이라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7)에 의해 생성된 전류 제어신호가 전류 변동부의 스위치 회로(15)에 인가될 때, 스위치 회로(15)는 전류 제어신호의 하이 레벨에서는 온(ON)되고 전류 제어신호의 로우 레벨에서는 오프(OFF)된다. 스위치 회로(15)가 온 될 때, 저항(R), 스위치 회로(15) 및 접지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경로의 의해, 전원(11)으로부터 전원 공급부(13)에 공급되는 전류는 변동한다. 한편, 전원공급부(13)는 일반적으로 레귤레이터를 구비하여 입력측에 전압이나 전류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출력측에서는 일정한 전압이나 전류가 뒷단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주파수 발생부(19) 및 LF 발신 안테나 구동부(21)는 스위치 회로(15)의 온/오프와는 무 관하게 안정적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의 장치는 LF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LF 신호를 포브 키가 인식할 수 없는 신호로 변경하여 발신하기 때문에, 차량 내에서 배선들이 지나가는 부분들에 위치된 포브 키는, LF 신호에 응답할 수 없고, 따라서, 차량 내 배선 부근에 위치한 포브 키와의 잘못된 통신으로 인한 차량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브 키와 스마트 키 등을 이용하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을 보이는 도면이다.

Claims (6)

  1.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한 LF 발신 안테나와 전원을 구비한 차량의 무선(wireless)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LF 발신 안테나를 구동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LF 신호가 LF 발신 안테나로부터 발신되게 하는 안테나 구동부;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부로 흐르는 전류를 변경시키는 전류 변동부; 및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고,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 제어 신호를 상기 전류 변동부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를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는 동안, 포브 키가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신호로서 인식할 수 없는 LF 신호가 차량의 전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의 배선으로부터 유기되도록 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4. 전원,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LF 발신 안테나를 구동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LF 신호가 LF 발신 안테나로부터 발신되게 하는 안테나 구동부,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과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전류 변동부, 및 데이터 신호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고 전류 제어 신호를 상기 전류 변동부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브 키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를 위한 안테나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변동부가 상기 생성된 전류 제어 신호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부로 흐르는 전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동시키고,
    상기 안테나 구동부는 상기 변동된 전력, 상기 데이터 신호 및 및 그라운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LF 신호를 생성하고 LF 발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를 위한 안테나 구동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데이터 신호를 안테나 구동부에 공급하는 동안, 포브 키가 인식할 수 없는 LF 신호가 차량의 전원과 전원 공급부 사이의 배선으로부터 유기되도록 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를 위한 안테나 구동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전류 제어 신호는 데이터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는 펄스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를 위한 안테나 구동 제어 방법.
KR1020080093239A 2008-09-23 2008-09-23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3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39A KR101039428B1 (ko) 2008-09-23 2008-09-23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39A KR101039428B1 (ko) 2008-09-23 2008-09-23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215A KR20100034215A (ko) 2010-04-01
KR101039428B1 true KR101039428B1 (ko) 2011-06-07

Family

ID=4221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2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9428B1 (ko) 2008-09-23 2008-09-23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116B1 (ko) * 2016-09-23 2023-12-04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6770A (ja) 2004-06-30 2006-01-1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遠隔施解錠制御装置
KR100608224B1 (ko) 2004-12-31 2006-08-08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용 개인 식별 제어 시스템
KR100767479B1 (ko) 2005-12-29 2007-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 보안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키시스템
JP2007332547A (ja) 2006-06-12 2007-12-27 Nissan Motor Co Ltd 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装置及び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6770A (ja) 2004-06-30 2006-01-1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遠隔施解錠制御装置
KR100608224B1 (ko) 2004-12-31 2006-08-08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용 개인 식별 제어 시스템
KR100767479B1 (ko) 2005-12-29 2007-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 보안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키시스템
JP2007332547A (ja) 2006-06-12 2007-12-27 Nissan Motor Co Ltd 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装置及びドアロック機構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215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9130B (zh) 无线通信系统
US9646436B1 (en) Gesture controls for remote vehicle access systems
US6323566B1 (en) Transponder for remote keyless entry systems
US9600947B2 (en) Lock system,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EP2521099B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20090017781A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JP6111935B2 (ja)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US20150246657A1 (en) Portable device
US20160127116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half duplex data transmission
JP2016178617A (ja) 車両制御装置
US7683756B2 (en) Wireless access system and method
KR101039428B1 (ko)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US20150247481A1 (en) Portable device
KR20100124313A (ko) 차량의 엑세스 제어 및 이모빌라이저를 위한 전기 회로 그리고 안테나 구동기의 측정 방법
US20050115761A1 (en) Device for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electrical signals from a vehicle steering wheel
EP2332788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equipment with prime mover
US6640090B1 (en) Signal transmitter utilizing ask modulation wave
JP2013248915A (ja) 統合受信機
US6441511B1 (en) Air-bag control apparatus for avoiding air bag unit malfunctions caused by electromagnetic waves
JP2010127036A (ja)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に使用する携帯機
KR101039429B1 (ko) 복수 개의 저주파수 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JP2005171720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KR101541997B1 (ko) 자가발전형 센서모듈 및 그 제어방법
JP200806290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信号伝送装置
US20020025805A1 (en) Remote signalling transmitter for use in various vehicl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11